KR101488251B1 -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8251B1 KR101488251B1 KR1020130123190A KR20130123190A KR101488251B1 KR 101488251 B1 KR101488251 B1 KR 101488251B1 KR 1020130123190 A KR1020130123190 A KR 1020130123190A KR 20130123190 A KR20130123190 A KR 20130123190A KR 101488251 B1 KR101488251 B1 KR 101488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pair
- support
- terminal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착판에 결합된 샤프트와 승강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도 거치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승강 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및 썩션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고,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와 이에 대응되는 베이스의 하부에 돌기, 홈 또는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 거치대를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회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단말기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 상부면에 단말기 일단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부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축공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 중앙에 샤프트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 탄성체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상기 축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흡착판;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부 상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레버; 상기 단말기의 타단을 접촉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가 일측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는 일측 하부면이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단말기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 상부면에 단말기 일단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부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축공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 중앙에 샤프트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 탄성체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상기 축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흡착판;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부 상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레버; 상기 단말기의 타단을 접촉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가 일측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는 일측 하부면이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착판에 결합된 샤프트와 승강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도 거치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승강 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및 썩션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고,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와 이에 대응되는 베이스의 하부에 돌기, 홈 또는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 거치대를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회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내부에는 텔레비전 방송이나 비디오, CD 등에 저장된 영상 또는 네비게이션 등을 볼 수 있도록 액정 모니터 또는 DMB 기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근래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 내에 매립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전히 차량에 설치되는 단말기 거치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단말기 거치대는 구조가 거의 일률적이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이유로 불편함을 주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651416호(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대)에는 휴대용 통신 장치와 같은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제시하고 있다. 이 선행문헌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흡착판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의 상부는 회전 수단에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결국, 상기 회전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흡착판은 썩션 또는 썩션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회전 수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이 썩션 상태에서 거치대를 회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썩션 상태에서 원한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없고, 원하는 방향에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를 해제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선행문헌은 단말기를 고정된 거치부재에 거치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단말기의 거치를 보다 강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없어서, 단말기의 흔들림이나 단말기 빠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선행문헌은 흡착판을 썩션하기 위하여 회전 수단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에 앉아서 상기 흡착판을 썩션 또는 썩션 해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흡착판에 결합된 샤프트와 승강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도 거치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승강 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및 썩션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고,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와 이에 대응되는 베이스의 하부에 돌기, 홈 또는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 거치대를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회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단말기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 상부면에 단말기 일단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부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축공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 중앙에 샤프트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 탄성체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상기 축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흡착판;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부 상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레버; 상기 단말기의 타단을 접촉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가 일측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는 일측 하부면이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레버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통과하여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게 형성된 절개홀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수평한 방향 중, 일방향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상단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의 상단 아랫부분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타측 하부면 일측부에는 아랫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측 하부면 타측부에는 상기 제1 회동 결합부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아랫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의 복원력을 위한 탄성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회동 홀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는 각각 상기 회동 핀이 상기 회동 홀, 탄성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판 상부면은 테두리를 따라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착판 상부면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 하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흡착판에 결합된 샤프트와 승강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도 거치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의 썩션 및 썩션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를 손쉽게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와 이에 대응되는 베이스의 하부에 돌기, 홈 또는 요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의 썩션 상태에서 거치대를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회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승강 레버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흡착판이 썩션되기 전의 상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흡착판이 썩션된 후의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흡착판의 상세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베이스 하부면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승강 레버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흡착판이 썩션되기 전의 상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흡착판이 썩션된 후의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흡착판의 상세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베이스 하부면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00)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착판(3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배치되되, 상기 흡착판(30)에 결합되는 샤프트(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레버(50) 및 상기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상부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구조를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
즉, 상기 베이스(1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면 중 일측(11)은 단순한 구조인 평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타측(13)은 평면 구조뿐만 아니라 수직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일측(11) 상부면에는 상기 단말기의 일단을 접촉 지지할 수 있는 제1 지지부(11a)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1a)는 상기 단말기의 일단을 부드럽고 강하게 접촉 지지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지부(11a)는 상기 베이스(10)의 일측(11)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홀(도면 부호 생략)에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0)의 타측(13) 상부면에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상을 가지면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세워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15)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축공(17a)이 형성되는 수평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15)는 얇은 판이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를 유지하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부(15)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지지대(7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17)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부(17)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되, 평면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수평부(17)는 평평한 구조를 가지되, 중앙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뚫려 있는 축공(17a)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공(17a)은 상기 수평부(17)의 상측과 상기 수평부(17)의 하부면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10)의 하측을 서로 연통시킨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수평부(17)는 상기 승강 레버(50)가 수평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17)에 형성된 축공(17a)은 상기 흡착판(30)에 결합된 샤프트(20)의 상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상기 베이스(10)는 일측(11) 상부면에 단말기 일단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a)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13) 상부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15)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되(평면 구조로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축공(17a)이 형성되는 수평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하측에는 상기 흡착판(3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의 타측(13) 하부면 아래에 상기 흡착판(30)이 배치된다. 상기 흡착판(30)은 하부면에 흡착 패드 또는 흡착 겔이 부착되고, 부착 대상체의 부착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중앙이 상측으로 상승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부착 대상체의 부착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흡착판(30)의 상부면 중앙에는 샤프트(20)가 수직하게 결합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0)에는 탄성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5)가 끼워져 있다. 상기 탄성체가 끼워져 있는 상기 샤프트(20)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상단(21)이 상기 축공(17a)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축공(17a)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기 승강 레버(5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축공(17a)에서 아랫 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탄성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5)는 상기 샤프트(20)에 끼워진 상태로, 그 하단은 상기 흡착판(30)의 상부면에 접촉 지지되고, 그 상단은 상기 축공(17a)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10)(수평면(17))의 하부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 레버(5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상방향으로 상승하면, 상기 샤프트(20)가 상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판(30)의 중앙 부분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흡착판(30)은 썩션 상태가 되면서 부착 대상체의 부착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흡착판(30)은 상기 베이스(10)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 중앙에 상기 샤프트(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0)에 탄성체(25)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상기 축공(17a)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로 상기 승강 레버(50)에 걸쳐져서 결합된다.
상기 승강 레버(50)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부(17) 상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샤프트(20)를 승하강시킨다.
즉, 상기 승강 레버(50)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평 왕복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레버(50)가 일방향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되면, 상기 승강 레버(50)에 걸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승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승강 레버(50)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되면, 상기 승강 레버(50)에 걸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레버(50)가 수평 왕복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판(30)은 썩션 상태 또는 썩션 해제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상기 승강 레버(50)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면(17) 상에 상기 승강 레버(50)를 배치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샤프트(2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자신을 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축공(17a)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승강 레버(50)에 결합된다. 이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 레버(50)가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흡착판(30)은 썩션 과정을 통하여 상기 흡착 대상체의 부착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부착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샤프트(20)를 축으로 하여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70)에 자신의 단말기를 쉽게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70)는 상기 단말기의 타단을 접촉 지지한다. 즉, 상기 단말기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11)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지지부(11a)에 안착 지지되고, 상기 단말기의 반대쪽 단, 즉 타단은 상기 지지대(70)의 일측(71) 하부면에 접촉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70)의 일측(71) 하부면에는 상기 제1 지지부(11a)에 대응될 수 있는 제2 지지부(71a)가 결합된다. 상기 제2 지지부(71a)는 상기 제1 지지부(11a)와 동일 유사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일단(하단)이 상기 제1 지지부(11a)에 안착 지지되고, 타단(상단)이 상기 제2 지지부(71a)에 가압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 사이에서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 사이에서 견고하게 거치되기 위해서, 상기 제2 지지부(71a)가 상기 단말기의 타단(상단)을 아랫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는 상기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이탈하거나 미끄러지지 않는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제2 지지부(71a)가 상기 단말기의 타단(상단)을 아랫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70)의 타측(73)은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대(70)의 일측(73)이 아랫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15)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거치되기 전에,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 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제2 지지부(71a)는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70)의 타측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상기 지지대(70)의 타측(73)은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대(70)의 일측(73)이 아랫 방향으로 향하는 힘, 즉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지지부(71a)는 상기 단말기의 타단(상단)을 아랫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 사이에서 견고하게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대(70)는 상기 단말기의 타단을 접촉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71a)가 일측(71)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73)은 상기 수직부(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지부(71a)가 고정 결합되는 일측(71) 하부면이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을 통하여 본 발명인 단말기 거치대(100)는 상기 승강 레버(70)의 수평 왕복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과정을 통하여 상기 흡착판(30)의 썩션 상태 또는 썩션 해제 상태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회전 방향)으로 동작되는 기존 승강 레버(70)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고 용이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판(30)의 썩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샤프트(2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회전하여, 상기 단말기를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사이에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베이스(10), 샤프트(20) 및 승강 레버(50)의 결합 구조와 상세한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레버(50)는 상기 수평부(17)의 평면에 슬라이딩되어 수평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부(51)와 상기 슬라이딩부(51)가 수평 왕복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부(51)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조작부(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5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가지고, 양 측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의 하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도 4b에서 도면부호 15b로 표기되어 있음)에 가이딩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레버(50)의 슬라이딩부(5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통과하여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게 형성된 절개 홀(5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개 홀(55)은 단순한 원형 홀이 아니라, 상기 슬라이딩부(5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51)의 상단(21)이 상기 절개홀(55)에 걸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53)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슬라이딩부(51)는 수평 왕복 이동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에 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게 된다.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공(17a)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기 절개홀(55)을 관통하여 테두리(55a)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53)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홀(55)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51)는 상기 수평 왕복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슬라이딩부(51)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상기 흡착판(30)의 썩션 또는 썩션 해제 동작을 위하여 상기 샤프트(20)는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게 형성된 절개홀(55)의 테두리(55a)에는 경사부(57)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에는 상기 슬라이딩부(51)가 수평하게 왕복 이동하는 수평한 방향 중, 일방향으로 갈수록 경사(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의 상기 경사부(57)는 상기 슬라이딩부(51)가 당겨져서 슬라이딩되는 방향(즉, 도 3에서 좌하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57)는 상기 슬라이딩부(51)가 미는 힘을 받아서 슬라이딩되는 방향(즉, 도 3에서 우상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상기 수평부(17)는 상기 슬라이딩부(51)가 수평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에는 경사부(57)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경사부(57)가 시작되는 부분(가장 낮은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테두리(55a) 부분에는 제1 안착부(5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57)가 끝나는 부분에는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부분(가장 높은 부분)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안착부(59)가 구비된다.
결국,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에는 상기 제1 안착부(58), 경사부(57) 및 제2 안착부(59)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안착부(59)는 상기 제1 안착부(58)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승강 레버(50)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통과하여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게 형성된 절개홀(55)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에는 상기 수평한 방향 중, 일방향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는 경사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기 절개홀(55)에 관통되어 걸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0)는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한다. 상기 흡착판(30)이 썩션되지 않은 상태, 즉 부착 대상체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안착부(58)에 걸쳐진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흡착판(30)이 썩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착 대상체의 부착면에 상기 흡착판(30)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샤프트(20)를 상승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53)를 밀고, 그러면 상기 슬라이딩부(51)는 일방향(도 3에서 우상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57)에 미끄러지게 되고, 상기 경사부(57)의 높이는 점점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2 안착부(59)에 안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안착부(59)에 안착된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승되었고, 상기 샤프트(20) 역시 상승되면서 상기 흡착판(30)의 중앙 부분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판(30)은 썩션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흡착판(30)은 부착 대상체의 부착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썩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53)를 당기게 되면,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부(51)는 후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기 경사부(55)를 타고 내려가서 상기 제1 안착부(58)에 안착된 상태로 가변된다.
그러면,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다시 하강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샤프트(20)도 하강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판(30)의 썩션 상태는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은 상술한 탄성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5)가 관여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에 걸쳐진 상태로 미끄러질 수 있고,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의 상단(21)의 직경이 그 하측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20)를 형성시킨다. 즉,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 아랫부분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상기 절개홀(55)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되, 자신(또는 축공)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홀(55)에 걸쳐진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2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1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25)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체(25)의 탄성력이 너무 크면, 상기 탄성체(25)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면을 너무 강하게 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탄성체(25)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면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25)의 탄성력이 너무 크면,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과 상기 절개홀(55)의 테두리(55a)(구체적으로 제2 안착부)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면, 상기 베이스(10)의 회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25)는 적정 수준의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상술한 지지대(70)의 타측(73)은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지지대(7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안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상기 지지대(70)의 일측(71)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11a)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대(70)의 타측(73)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상기 한 쌍의 수직부(15)의 바깥쪽에 형성된 베이스의 상부면)에는 제1 가이드(1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하강한 상태, 즉 상기 흡착판(30)의 썩션이 해제된 상태의 상기 승강 레버(50)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51)는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져서 슬라이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제1 안착부(58)에 안착되어 있다.
도 4b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이 상승한 상태, 즉 상기 흡착판(30)의 썩션이 진행된 상태의 상기 승강 레버(50)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51)는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아서 슬라이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20)의 상단(21)은 제2 안착부(59)에 안착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의 상단을 상승시켜 상기 흡착판(30)이 썩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도 4b의 상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샤프트(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썩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에 회전 힘을 가하여 상기 베이스(10)를 상기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게 회전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흡착판(30)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돌기 또는 홈에 대응되는 요홈을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판(30) 상부면의 테두리(31)에 돌기 또는 홈(31a)을 형성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판(30) 상부면의 테두리(31)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면에도 요홈(1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1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감각과 소리에 의한 감각을 통하여 회전감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판(30) 상부면은 테두리(31)를 따라 돌기 또는 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착판(30) 상부면의 테두리(31)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10) 하부면에는 요홈(19)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10)를 상기 샤프트(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감을 부여받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흡착판(30)이 썩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후, 단말기를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 사이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상기 제2 지지부(71a) 사이에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의 상단을 우선적으로 상기 제2 지지부(7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지지부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 다음(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거리는 충분하게 이격됨), 상기 단말기의 하단을 상기 제1 지지부(11a) 상방향에 위치되도록 한 후, 가한 힘을 빼면서 상기 단말기의 하단이 상기 제1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서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서 견고하게 거치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대(70)의 타측(73)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수직부(15)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70)의 일측(71) 하부면의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대(70)의 타측(73) 하부면 일측부에는 아랫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75)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70)의 타측(73) 하부면 타측부에는 상기 제1 회동 결합부(75)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아랫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7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회동 결합부(75)와 상기 제2 회동 결합부(77)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의 바깥쪽 부분(수평부가 형성되지 않는 베이스의 상부면)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10)의 양 쪽 상부면에 각각 하나씩 안착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75)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77)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70)의 복원력을 위한 탄성 스프링(75a, 77a)이 배치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75a)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75)의 후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미도시) 사이에서 탄성력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탄성 스프링(77a)도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77)의 후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미도시) 사이에서 탄성력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75)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77)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 핀(75c, 77c)이 삽입될 수 있는 회동 홀(75b, 77b)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75) 각각의 후미 하단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회동 핀(75c)이 삽입될 수 있는 회동 홀(75b)이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77) 각각의 후미 하단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회동 핀(77c)이 삽입될 수 있는 회동 홀(77b)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75)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77)는 각각 상기 회동 핀(75c, 77c)이 상기 회동 홀(75b, 77b), 탄성 스프링(75a, 77a)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에 각각 형성된 지지홀(15a)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는 단말기의 타단을 접촉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가 일측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는 일측 하부면이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11 : 베이스의 일측
11a : 제1 지지부 13 : 베이스의 타측
13a : 제1 가이드 15 : 수직부
15a : 지지홀 15b : 제2 가이드
17 : 수평부 17a : 축공
19 : 요홈 20 : 샤프트
21 : 샤프트의 상단 25 : 탄성체
30 : 흡착판 31 : 흡착판의 테두리
31a : 돌기 또는 홈 50 : 승강 레버
51 : 슬라이딩부 53 : 조작부
55 : 절개홀 55a : 절개홀의 테두리
57 : 경사부 58 : 제1 안착부
59 : 제2 안착부 70 : 지지대
71 : 지지대의 일측 71a : 제2 지지부
73 : 지지대의 타측 75 : 제1 회동 결합부
75a :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스프링
75b :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
75c :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에 삽입되는 회동 핀
77 : 제2 회동 결합부
77a :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스프링
77b :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
77c :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에 삽입되는 회동 핀
100 : 단말기 거치대
11a : 제1 지지부 13 : 베이스의 타측
13a : 제1 가이드 15 : 수직부
15a : 지지홀 15b : 제2 가이드
17 : 수평부 17a : 축공
19 : 요홈 20 : 샤프트
21 : 샤프트의 상단 25 : 탄성체
30 : 흡착판 31 : 흡착판의 테두리
31a : 돌기 또는 홈 50 : 승강 레버
51 : 슬라이딩부 53 : 조작부
55 : 절개홀 55a : 절개홀의 테두리
57 : 경사부 58 : 제1 안착부
59 : 제2 안착부 70 : 지지대
71 : 지지대의 일측 71a : 제2 지지부
73 : 지지대의 타측 75 : 제1 회동 결합부
75a :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스프링
75b :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
75c :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에 삽입되는 회동 핀
77 : 제2 회동 결합부
77a :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스프링
77b :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
77c :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에 형성되는 회동 홀에 삽입되는 회동 핀
100 : 단말기 거치대
Claims (5)
-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 상부면에 단말기 일단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부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축공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 중앙에 샤프트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 탄성체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상기 축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흡착판;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부 상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레버;
상기 단말기의 타단을 접촉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가 일측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 지지부가 고정 결합되는 일측 하부면이 하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판 상부면은 테두리를 따라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착판 상부면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 하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레버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통과하여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게 형성된 절개홀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홀의 테두리에는 상기 수평한 방향 중, 일방향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상단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의 상단 아랫부분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타측 하부면 일측부에는 아랫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타측 하부면 타측부에는 상기 제1 회동 결합부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아랫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의 복원력을 위한 탄성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회동 홀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회동 결합부는 각각 상기 회동 핀이 상기 회동 홀, 탄성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3190A KR101488251B1 (ko) | 2013-10-16 | 2013-10-16 | 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3190A KR101488251B1 (ko) | 2013-10-16 | 2013-10-16 | 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8251B1 true KR101488251B1 (ko) | 2015-01-30 |
Family
ID=5259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3190A KR101488251B1 (ko) | 2013-10-16 | 2013-10-16 | 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825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13301A1 (ko) * | 2016-06-09 | 2017-12-14 | 한성산 |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
KR20190029070A (ko) * | 2017-09-11 | 2019-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24740A (ko) * | 2011-05-04 | 2012-11-14 |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 휴대기기 거치대 |
KR20130105799A (ko) * | 2013-09-03 | 2013-09-26 |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 |
-
2013
- 2013-10-16 KR KR1020130123190A patent/KR1014882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24740A (ko) * | 2011-05-04 | 2012-11-14 |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 휴대기기 거치대 |
KR20130105799A (ko) * | 2013-09-03 | 2013-09-26 |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13301A1 (ko) * | 2016-06-09 | 2017-12-14 | 한성산 |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
KR20190029070A (ko) * | 2017-09-11 | 2019-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
KR102060154B1 (ko) * | 2017-09-11 | 2019-1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289408B (en) | Mount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
US6382693B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attaching cover slips to microscope slides | |
KR20090035265A (ko) | 차량용 거치대 | |
KR101025432B1 (ko) |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 |
KR101488251B1 (ko) | 단말기 거치대 | |
KR100609852B1 (ko) | 디스플레이장치 | |
KR2005009575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JP3231142U (ja) | 支持装置 | |
KR20060016664A (ko) | 모니터장치 | |
KR20170119932A (ko) | 피부 미용 기기 | |
CN210016503U (zh) | 一种用于手机支架的托持机构 | |
CN108418932A (zh) | 一种手机支撑装置 | |
JP2011047445A (ja) | スタンド装置 | |
CN211720589U (zh) | 一种手机夹持装置 | |
CN205945868U (zh) | 护眼手机支架 | |
CN210016502U (zh) | 一种多杆联动型手机支架 | |
CN208642714U (zh) | 一种试剂瓶支撑装置 | |
CN109466463B (zh) | 一种重力支架 | |
JP2754165B2 (ja) | 吸盤式ホルダ− | |
CN220139601U (zh) | 一种电话机支撑架 | |
KR20160056421A (ko) | 책상상판의 각도조절가능한 책상 | |
KR101864580B1 (ko) | 각도 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 |
JP3095671U (ja) | 支持高さが調節可能な支持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 |
CN216480007U (zh) | 一种显示屏移动支架位置调整装置 | |
CN213118315U (zh) | 支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