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740A - 휴대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740A
KR20120124740A KR1020110042574A KR20110042574A KR20120124740A KR 20120124740 A KR20120124740 A KR 20120124740A KR 1020110042574 A KR1020110042574 A KR 1020110042574A KR 20110042574 A KR20110042574 A KR 20110042574A KR 20120124740 A KR20120124740 A KR 20120124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fastening
fastener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Priority to KR102011004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740A/ko
Publication of KR2012012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을 위한 흡착과 탈착이 간편하며, 사용자와의 휴대기기와 거리를 간단하게 조절가능하고, 휴대기기를 반자동 방식으로 쉽게 고정 후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조임구가 관통하는 체결단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를 흡착판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체결단에 체결되어 조임구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의 일 끝단에 볼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볼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와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가 볼을 가압하며 후방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전방몸체의 내부에서 제2스프링에 연결되어 상승 후 하부로 복원되는 상부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몸체의 전방 하부면에 받침고정구를 결합 고정하는 거치몸체를 구성하여, 스프링을 내부에 설치하여 작동구를 이용하여 흡착판의 흡입능력이 지속되도록 하며 전후 방향으로 거리 조절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간단하고, 시인성을 위한 각도 및 기울기 조절이 자유자재로 가능한 동시에 휴대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과 원터치 작동으로 고정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 거치대{Stands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을 위한 흡착과 탈착이 간편하며, 사용자와의 휴대기기와 거리를 간단하게 조절가능하고, 휴대기기를 반자동 방식으로 쉽게 고정 후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급속한 문화발달로 인해 네비게이션, PDA, PMP, DMB, 테블릿PC, 스마트폰, 휴대폰, MP3와 같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되고 있는 현 실정이고, 이러한 단말기는 사용 특성상 휴대하거나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가능한데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일 예로 차량 내부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거치대 형태로 설치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차량 실내에 설치 고정하는 거치대는 차량의 실내 전면에 형성된 대쉬보드 또는 전면글래스에 부착 고정되는 흡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단은 걸림돌기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걸림돌기에 삽입 고정되고 단말기가 장착되는 거치대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거치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차량 실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대부분의 거치대는 단말기를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나사식으로 체결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받침대를 마련한 후, 이 받침대에 단말기를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단말기가 거치대에서 쉽게 탈거되어 단말기와 거치대가 손상되어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버튼 간섭 현상의 일종으로 전원버튼의 눌림으로 인한 단말기의 ON/OFF 또는 볼륨의 증/감 현상이 발생되며 피 흡착면에 강력한 접착테이프 방식으로 부착되어 탈거시 피 흡착면에 손상이 발생되고, 단말기를 장착/탈착시키는 거치대의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나 전후방으로 길이 조절이 제한되어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흡착부를 흡착시킨 후 장시간 사용시 서서히 흡착능력이 감소되어 흡착력에 소멸되어 낙하됨으로서 단말기가 파손되고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흡착판의 흡착 능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간단하게 미는 작동을 통해 흡착과 탈거 가능하고, 사용자의 원근에 따라 전후, 상하방향으로 위치선정이 가능하여 최적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휴대기기의 거치 및 탈거가 간편하도록 개선된 거치대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프링을 내부에 설치하여 작동구를 이용하여 흡착판의 흡입능력이 지속되도록 하며 전후 방향으로 거리 조절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간단하고, 시인성을 위한 각도 및 기울기 조절이 자유자재로 가능한 동시에 휴대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과 원터치 작동으로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구가 좌우측으로 움직이면서 간단하게 흡착판에 흡착력을 발생, 해제시킬 수 있으며 흡착판을 가압시 스프링이 함께 가압되어 장시간 흡착상태를 유지하더라고 탄성력에 의해 흡착능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임과 풀림 작동으로 간단하게 기울림 작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의 설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볼을 따라 상하좌우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인성을 우수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의 높이(폭)에 제한받지 않고 고정이 가능하며, 버튼 간섭현상이 없는 동시에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겔 패드에 의해 표면이 매끈하지 않은 울퉁불퉁한 면에 접착 및 흡착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테블릿PC,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부착면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조임구가 관통하는 체결단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를 흡착판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체결단에 체결되어 조임구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의 일 끝단에 볼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볼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와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가 볼을 가압하며 후방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전방몸체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에 연결되어 상승 후 하부로 복원되는 상부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몸체의 전방 하부면에 받침고정구를 결합 고정하는 거치몸체를 구성하여, 휴대기기의 높이나 폭에 제한받지 않고 거치할 수 있는 상기 상부고정구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받침고정구에 올려놓고 상부고정구를 복귀시켜 고정하고, 상기 조임구를 풀어 위치조절바를 슬라이딩시켜 거리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체결구를 풀어 거치몸체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을 내부에 설치하여 작동구를 이용하여 흡착판의 흡입능력이 지속되도록 하며 전후 방향으로 거리 조절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간단하고, 시인성을 위한 각도 및 기울기 조절이 자유자재로 가능한 동시에 휴대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과 원터치 작동으로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작동구가 좌우측으로 움직이면서 간단하게 흡착판에 흡착력을 발생, 해제시킬 수 있으며 흡착판을 가압시 스프링이 함께 가압되어 장시간 흡착상태를 유지하더라고 탄성력에 의해 흡착능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조임과 풀림 작동으로 간단하게 기울림 작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의 설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볼을 따라 상하좌우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인성을 우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의 높이(폭)에 제한받지 않고 고정이 가능하고 버튼 간섭현상이 없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겔 패드에 의해 표면이 매끈하지 않은 울퉁불퉁한 면에 접착 및 흡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흡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된 흡착 구조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 구조의 작동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조절구의 거리 조절을 나타낸 작동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조절구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조절구에 연결되는 거치몸체의 기울기 작동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몸체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고정구와 틸팅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배면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가 장착된 휴대기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기기 거치대는 네비게이션, 테블릿PC,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200)를 거치하여 부착면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11)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10)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1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부착면은 자동차의 앞 유리나 자동차의 데쉬보드, 가정에서의 테이블 및 책상 유리, 타일 등을 예로써 설명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면에 흡착되는 흡착판(10)의 하부면에는 폴리우레탄 또는 겔 폴리머로 이루어진 패드(10a)를 부착하여, 흡착판(10)의 흡착력과 피 부착면의 형태에 관계없이 흡착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구(12)의 삽입홀(12a)이 형성되는 주변 상부면은 경사면(12b)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12b)의 저점에는 비흡착홈(12c)이 형성되고 정점에는 흡착홈(12d)이 형성된다.
즉, 상기 흡착판(10)이 비 흡착시에는 작동구(12)의 비흡착홈(12c)에 핀(16)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12)를 경사면(12b) 쪽으로 밀면 핀(16)이 경사면(12b)을 따라 이동 후 흡착홈(12d)에 위치되는 동시에 체결돌기(18)가 당겨지면서 압축스프링(11a)이 흡착판(10)을 가압하여 흡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에 조임구(13)가 관통하는 체결단(14)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15)를 흡착판(10)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12)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15)의 체결단(14)은 2열의 체결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13)가 체결단(14)을 관통 나선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단(14)이 형성된 하부로는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노출되는 작동홀(15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구(13)를 나선 체결하면 체결단(14)이 가압되어 체결홈(14a)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작동구(12)의 일 끝단을 밀면 반대 끝단이 작동홀(15a)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가압판(11)과 흡착판(10)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1a)을 삽입되는데, 상기 압축스프링(11a)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원뿔형태로 구성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판(10)의 중앙 상부로 핀(16)이 결합 관통되는 핀홀(17)이 관통되는 체결돌기(18)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작동구(12)의 중앙에는 삽입홀(12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8)가 삽입홀(12a)을 통과하여 핀홀(17)에 핀(16)이 결합되어 삽입홀(12a)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도 1 및 도 2,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단(14)에 체결되어 조임구(13)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20)의 일 끝단에 볼(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22)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팽창홀(22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바(20)가 체결되는 커버(15)의 체결단(14)은 2열의 체결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13)가 체결단(14)을 관통 나선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14)이 형성된 하부로는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노출되는 작동홀(15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구(13)를 나선 체결하면 체결단(14)이 가압되어 체결홈(14a)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작동구(12)의 일 끝단을 밀면 반대 끝단이 작동홀(15a)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볼(21)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31)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30)와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가 볼(21)을 가압하며 후방몸체(30)의 후방면에 미끄럼홈(31)이 형성된 체결구단(31a)에 체결된다.
도 1 및 도 2,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몸체(30)의 배면 끝단에는 끼움홈(32)과 걸림홈(33)이 십자형태로 연통하며 형성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32)에 끼움된 후 회전시키면 걸림홈(33)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단(34)의 후방으로 다수 개의 홀딩홈(35)이 동일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멀티홀딩구(36)를 구성한다.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몸체(30)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전방몸체(40)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41)에 연결되어 상승 후 하부로 복원되는 상부고정구(42)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몸체(40)의 전방 하부면에 받침고정구(43)를 결합 고정하는 거치몸체(50)를 한다.
먼저, 상기 거치몸체(50)은 후방몸체(30)와 전방몸체(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위치조절바(20)의 볼(21)을 따라 여러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몸체(40)에 결합되는 상부고정구(42)의 일 측면에는 상부 방향 낮아지고 하부방향으로는 높아지는 경사단(42a)의 의 하부에 직각단(42b)이 형성된 걸림단(42c)이 다수 개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단(42c)에 걸림 해제되는 틸팅단(44a)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단(44a)의 반대쪽으로 전방몸체(4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단(44b)이 형성된 틸팅부재(44)가 전방몸체(40)의 내부에서 손잡이단(44b) 쪽을 상부로 당겨지게 제2스프링(44c)으로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이동 후 이동을 해제하면 틸팅단(44a)이 경사단(42a)에 접촉하면서 틸팅, 직각단(42b)에 걸림되어 상부고정구(42)의 위치를 고정한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단(44b)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틸팅단(44a)이 직각단(42b)을 밀어 올리며 걸림 해제되어 상부고정구(42)가 제1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구(42)의 상부 끝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42d)에 휴대기기(200)의 상부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구(45)가 결합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휴대기기(200)를 받침고정구(43)에 올려놓고 상부고정구(42)를 복귀시켜 고정하여 휴대기기 거치대(100)를 구성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홀딩구(36)의 홀딩홈(35)의 내부로 휴대기기(200)에 연결되는 전원선이나 안테나선 또는 이어폰 등의 와이어나 블루투스, 터치팬 등을 끼워 정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고정구(43)는 전방 끝단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하향경사면(43a)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45)는 전방 끝단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향경사면(45a)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100)는 흡착판(10)의 상부로 압축스프링(11a)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체결돌기(18)를 가압판(11)을 통과시킨 다음 작동구(12)의 삽입홀(12a)을 재 통과킨 후 핀홀(17)에 핀(16)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핀(16)의 길이는 핀홀(17)의 길이보다 길어 체결을 완료하면 양 끝단이 체결돌기(18)를 벗어나 돌출되어 삽입홀(12a)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흡착판(10)에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핀(16)은 작동구(12)의 비흡착홈(12c)에 삽입 위치된다.
이후, 상기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커버(15)의 작동홀(15a)이 노출되도록 삽입된 상태로 가압판(11)의 상부로 커버(1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몸체(30)의 미끄럼홈(31)에 위치조절바(20)의 볼(2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구(22)를 끼움하여 볼(21)을 감싸도록 하면서 후방몸체(30)에 나선 체결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바(20)의 체결단홀(23)에 체결단(14)을 삽입하고 체결홀(14a)에 조절바(25)를 삽입하여 조임구(13)를 체결단홀(23)을 통해 관통시켜 체결단(14)과 체결로 조임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조임구(13)의 풀림으로 조임이 풀려 위치조절바(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체결구(22)를 풀어 거치몸체(5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며, 위치조절바(20)를 조임구(13)를 기준으로 전후 끝단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위치조절바(20)의 거리 및 높이 조절로 인하여 자동차에 설치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며 거치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2)의 조임력을 조절하여 후방몸체(3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상부고정구(42)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고정구(42)에 형성된 제1돌기(42e)와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돌기(40a)에 제스프링(41)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돌기(40b)에 틸팅부재(44)가 회전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틸팅부재(44)의 후방면에 형성되는 제3돌기(44d)와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4돌기(40c)에 제2스프링(44c)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한다.
더불어, 상기 틸팅부재(44)의 틸팅단(44a)는 전방몸체(40)에 상부고정구(4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d)가 일부분 절단된 절단통로(40d')에 걸림되어 제2스프링(44c)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틸팅부재(44)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은 전방몸체(4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홀(40e)을 통해 노출된다.
즉, 상기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을 하부로 내리게 되면 회전돌기(40b)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틸팅단(44a)이 상부고정구(42)의 걸림단(42c)을 형성하는 직각단(42b)에 접촉한 상태에서 직각단(42b)과 이탈될 때까지 밀어올리게 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고정구(42)는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을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면 하강하게 되고 손잡이단(44b)을 놓으면 제2스프링(44c)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틸팅단(44a)이 걸림단(42c)을 형성하는 직각단(42b)에 걸림되어 상부고정구(42)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후방몸체(30)의 전방으로 전방몸체(40)를 결합하고, 상기 전방몸체(40)의 전방 하부에 받침고정구(43)를 결합, 상기 상부고정구(42)의 결합돌기(42d)에는 지지구(45)를 결합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홀딩구(36)의 홀딩홈(35)의 내부로 휴대기기(200)에 연결되는 전원선이나 안테나선 또는 이어폰 등의 와이어나 블루투스, 터치팬 등을 끼워 정리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고정구(43)의 하향경사면(43a)과 지지구(45)의 상향경사면(45a)면이 휴대기기의 전방 모서리단을 물림 지지하여 휴대기기의 전원버튼이나 볼륨버튼 등의 기능버튼을 간섭하지 않게 되어 휴대기기(200)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거치대(100)는 흡착판(10)을 자동차의 데쉬보드를 일예로 설명하는 부착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구(12)를 흡착판(10)에 흡착력이 발생시키도록 밀게 된다.
즉, 상기 흡착판(10)이 비 흡착시에는 작동구(12)의 비흡착홈(12c)에 핀(16)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구(12)를 경사면(12b) 쪽으로 밀면 핀(16)이 경사면(12b)을 따라 이동 후 흡착홈(12d)에 위치되는 동시에 체결돌기(18)가 당겨지면서 압축스프링(11a)이 흡착판(10)을 가압하여 흡착하여 부착면에 강력하게 흡착된다.
추가로, 설명하자면 상기 작동구(12)를 흡착판(10)에 흡착력이 작용하도록 밀면 가압판(11)이 흡착판(10)에 압력을 가하면서 흡착판(10)의 중앙부가 커버(15)의 중앙방향으로 상향이동하면서 흡착판(10)과 피 흡착면 사이에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형성하며 휴대기기 거치대(100)를 흡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구(12)를 비 흡착방향으로 밀면 압축이 해제되면서 휴대기기 거치대(100)를 탈거하게 된다.
이후, 상기 조임구(13)를 풀어 위치조절바(20)를 체결단(14)을 따라 이동시킨 후 조임구(13)를 다시 조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잡아당겨 휴대기기(200)를 받침고정구(43)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을 눌러 틸팅단(44a)이 상부고정구(42)의 직각단(42b)과 이탈되면, 상기 상부고정구(42)가 제1스프링(41)의 탄성력으로 하강하면서 지지구(45)가 휴대기기(200)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어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흡착판 10a : 패드
11 : 가압판
11a : 압축스프링 12 : 작동구
12a : 삽입홀 12b : 경사면
12c : 비흡착홈 12d : 흡착홈
13 : 조임구 14 : 체결단
14a : 체결홈 15 : 커버
15a : 작동홀 16 : 핀
17 : 핀홀 18 : 체결돌기
20 : 위치조절바 21 : 볼
22 : 체결구 22a : 팽창홀
23 : 체결단홀 24 : 조임구홀
25 : 조절바 30 : 후방몸체
31 : 미끄럼홈 31a : 체결단홈
32 : 끼움홈 33 : 걸림홈
34 : 걸림단 35 : 홀딩홈
36 : 멀티홀딩구 40 : 전방몸체
40a : 제2돌기 40b : 회전돌기
40c : 제4돌기 40d : 가이드
40d' : 절단통로 40e : 손잡이홀
41 : 제1스프링 42 : 상부고정구
42a : 경사단 42b : 직각단
42c : 걸림단 42d : 결합돌기
42e : 제1돌기 43 : 받침고정구
43a : 하향경사면 44 : 틸팅부재
44a : 틸팅단 44b : 손잡이단
44c : 제2스프링 44d : 제3돌기
45 : 지지구 45a : 상향경사면
50 : 거치몸체 100 : 휴대기기 거치대
200 : 휴대기기

Claims (11)

  1. 네비게이션, 테블릿PC,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200)를 거치하여 부착면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11)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10)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12)를 형성하고, 상부에 조임구(13)가 관통하는 체결단(14)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15)를 흡착판(10)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12)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체결단(14)에 체결되어 조임구(13)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20)의 일 끝단에 볼(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를 형성하며,
    상기 볼(21)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31)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30)와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가 볼(21)을 가압하며 후방몸체(30)에 체결되며,
    상기 후방몸체(30)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전방몸체(40)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41)에 연결되어 상승 후 하부로 복원되는 상부고정구(42)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몸체(40)의 전방 하부면에 받침고정구(43)를 결합 고정하는 거치몸체(50)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휴대기기(200)를 받침고정구(43)에 올려놓고 상부고정구(42)를 복귀시켜 고정하고, 상기 조임구(13)를 풀어 위치조절바(20)를 슬라이딩시켜 거리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체결구(22)를 풀어 거치몸체(5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1)과 흡착판(10)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1a)을 삽입하고, 상기 흡착판(10)의 중앙 상부로 핀(16)이 결합 관통되는 핀홀(17)이 관통되는 체결돌기(18)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12)의 중앙에는 삽입홀(12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8)가 삽입홀(12a)을 통과하여 핀홀(17)에 핀(16)이 결합되어 삽입홀(12a)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2)의 삽입홀(12a)이 형성되는 주변 상부면은 경사면(12b)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12b)의 저점에는 비흡착홈(12c)이 형성되고 정점에는 흡착홈(12d)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10)이 비 흡착시에는 작동구(12)의 비흡착홈(12c)에 핀(16)이 위치되고, 상기 작동구(12)를 경사면(12b) 쪽으로 밀면 핀(16)이 경사면(12b)을 따라 이동 후 흡착홈(12d)에 위치되는 동시에 체결돌기(18)가 당겨지면서 압축스프링(11a)이 흡착판(10)을 가압하여 흡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바(20)가 체결되는 커버(15)의 체결단(14)은 2열의 체결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13)가 체결단(14)을 관통 나선 체결되며,
    상기 체결단(14)이 형성된 하부로는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노출되는 작동홀(15a)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구(13)를 나선 체결하면 체결단(14)이 가압되어 체결홈(14a)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작동구(12)의 일 끝단을 밀면 반대 끝단이 작동홀(15a)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바(20)의 두께를 상하로 관통되는 체결단홀(23)과 두께를 좌우로 관통하는 조임구홀(24)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4개의 조절바(25)를 구성하여,
    상기 위치조절바(20)의 체결단홀(23)에 체결단(14)을 삽입하고 체결홀(14a)에 조절바(25)를 삽입하여 조임구(13)를 체결단홀(23)을 통해 관통시켜 체결단(14)과 체결로 조임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조임구(13)의 풀림으로 조임이 풀려 위치조절바(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위치조절바(20)를 조임구(13)를 기준으로 전후 끝단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2)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팽창홀(22a)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30)의 배면 끝단에는 끼움홈(32)과 걸림홈(33)이 십자형태로 연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2)에 끼움된 후 회전시키면 걸림홈(33)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단(34)의 후방으로 다수 개의 홀딩홈(35)이 동일 크기 또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멀티홀딩구(36)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40)에 결합되는 받침고정구(43)와 마주보는 상부고정구(42)의 일 측면에는 상부 방향 낮아지고 하부방향으로는 높아지는 경사단(42a)의 하부에 직각단(42b)이 형성된 걸림단(42c)이 다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42c)에 걸림 해제되는 틸팅단(44a)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단(44a)의 반대쪽으로 전방몸체(4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단(44b)이 형성된 틸팅부재(44)가 전방몸체(40)의 내부에서 손잡이단(44b) 쪽을 상부로 당겨지게 제2스프링(44c)으로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이동 후 이동을 해제하면 틸팅단(44a)이 경사단(42a)에 접촉하면서 틸팅, 직각단(42b)에 걸림되어 상부고정구(42)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손잡이단(44b)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틸팅단(44a)이 직각단(42b)을 밀어 올리며 걸림 해제되어 상부고정구(42)가 제1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구(42)의 상부 끝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42d)에 휴대기기(200)의 상부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구(45)가 결합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 흡착되는 흡착판(10)의 하부면에는 폴리우레탄 또는 겔 폴리머로 이루어진 패드(10a)를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고정구(43)는 전방 끝단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하향경사면(43a)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지구(45)는 전방 끝단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향경사면(45a)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받침고정구(43)의 하향경사면(43a)과 지지구(45)의 상향경사면(45a)면이 휴대기기의 전방 모서리단을 물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KR1020110042574A 2011-05-04 2011-05-04 휴대기기 거치대 KR20120124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574A KR20120124740A (ko) 2011-05-04 2011-05-04 휴대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574A KR20120124740A (ko) 2011-05-04 2011-05-04 휴대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740A true KR20120124740A (ko) 2012-11-14

Family

ID=4751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574A KR20120124740A (ko) 2011-05-04 2011-05-04 휴대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47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32Y1 (ko) * 2013-05-24 2013-10-01 김은광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101488251B1 (ko) * 2013-10-16 2015-01-30 이인선 단말기 거치대
WO2016047948A1 (ko) * 2014-09-25 2016-03-31 최의승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형 차량용 거치대
KR20160002983U (ko) * 2016-06-15 2016-08-25 (주)가온솔루션 웰 플레이트 트레이
CN107878346A (zh) * 2017-11-28 2018-04-06 天派电子(深圳)有限公司 电控多自由度运动调节且可拆卸的车载导航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32Y1 (ko) * 2013-05-24 2013-10-01 김은광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101488251B1 (ko) * 2013-10-16 2015-01-30 이인선 단말기 거치대
WO2016047948A1 (ko) * 2014-09-25 2016-03-31 최의승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형 차량용 거치대
KR20160002983U (ko) * 2016-06-15 2016-08-25 (주)가온솔루션 웰 플레이트 트레이
CN107878346A (zh) * 2017-11-28 2018-04-06 天派电子(深圳)有限公司 电控多自由度运动调节且可拆卸的车载导航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15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an apparatus capable of holding an object
USD593103S1 (en) Apparatus support device holder
KR20120124740A (ko) 휴대기기 거치대
EP2831485B1 (en)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US20100213335A1 (en) Swivelable fixing seat
US6360083B1 (en) Clamping/holding device
US8403135B2 (en) Universal ear-bud holder
US20120120626A1 (en)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120129450A (ko) 흡착 거치대
US20110132950A1 (en) Seat Belt Attachment
KR101025432B1 (ko)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US20160081207A1 (en)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KR20140019665A (ko) 휴대폰 거치대
KR20120124742A (ko) 흡착구
KR20120138564A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N104608705A (zh) 一种隐藏式移动设备夹紧装置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20120007806U (ko)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
JP3127446U (ja) 固定装置
TW201228861A (en) A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124741A (ko) 휴대기기 거치부
KR2012008894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차량거치대용 가변형홀더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KR200432333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