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603Y1 - 휴대기기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603Y1
KR200411603Y1 KR2020050035455U KR20050035455U KR200411603Y1 KR 200411603 Y1 KR200411603 Y1 KR 200411603Y1 KR 2020050035455 U KR2020050035455 U KR 2020050035455U KR 20050035455 U KR20050035455 U KR 20050035455U KR 200411603 Y1 KR200411603 Y1 KR 200411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bile device
bolt
coupling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2020050035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6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기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착판과 연결되어 베이스캡의 상측 중앙으로 돌출된 축볼트에 좌우 회전되면서 흡착력을 조절하는 조절핸들이 삽입되고, 상기 조절핸들의 중앙부를 수용하면서 상단에 연결볼이 돌출된 연결몸체가 상기 베이스캡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흡착고정부와, 상기 휴대기기 홀더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연결볼이 형성된 장착볼트를 따라 체결몸체가 회전 승강하도록 구성된 기기장착부와, 지지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지지대, 및 상기 흡착고정부와 기기장착부의 각 연결볼과 상기 지지대의 각 연결돌기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분할커플링과, 상기 분할커플링을 관통하는 연결볼트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분할커플링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연결조절레버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휴대기기를 차량 내에 공간적인 제한없이 장시간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치대, 휴대기기

Description

휴대기기의 거치대 {The fixing device of portable instrument}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흡착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하부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흡착고정부 11: 베이스캡
12: 연결몸체 13: 연결볼
14: 흡착판 15: 축볼트
16: 조절핸들 20: 기기장착부
21: 장착볼트 22: 삽입부재
23: 연결볼 24: 체결몸체
30: 지지대 31/32: 상부, 하부 지지몸체
33/34: 상부, 하부 연결돌기 36: 회전결합부
37a/b: 원형기어부 39: 회전조절레버
40: 상부 조인트 41a/b: 분할커플링
43: 연결조절레버 50: 하부 조인트
본 고안은 휴대기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착력을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통해 흡착력을 증가시키고,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조인트와 회전결합부를 형성시켜 휴대기기를 차량 내에 편리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시대의 도래와 함께 핸드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기기는 그 보급이 대중화되었으며, 이러한 휴대기기는 모바일(Mobile)의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안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매우 커짐에 따라 휴대기기를 차량 내에 탑재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휴대폰, PDA, GPS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일정한 위치에 장착시켜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운전중에도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주로 대쉬보드나 윈드실드 등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휴대기기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종래의 휴대기기의 거치대(100)는 흡착판(110)과, 상기 흡착판(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캡(120)과, 상기 흡착판(110)과 연결되어 베이스캡(120)의 상부 중앙으로 돌출되 는 연결로드(130)와, 상기 연결로드(130)에 힌지 결합되어 흡착력을 가하는 가압레버(140)와, 상기 베이스캡(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150)에 연결되는 가요성을 갖는 지지대(160)와, 상기 지지대(160)의 상부에 결합되어 휴대기기가 장착되는 장착부(17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대는 가압레버(140)에 의한 1회 가압으로 흡착판(110)을 진공 부착시키므로 부착후 장시간이 경과되면 흡착력이 감소되어 부착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요성을 갖는 지지대(160)를 사용함으로써 각도조절을 위해 지지대의 굽힙과 펼침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160)가 연결된 연결구(150)가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160)를 제작하기 위해 강도가 약한 봉재를 사용하는 때는 외부 충격에 의해 굽힘 각도가 쉽게 변경될 수 있고, 강도가 너무 강한 봉재를 사용하는 때는 사용자가 각도 변경을 위해 상기 지지대(160)를 굽히는데 큰 힘을 주어야 하므로 이 또한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내부에 부착 고정되는 흡착고정부의 흡착력을 증가시켜 보다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대를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조인트와 회전결합부를 형성시켜 휴대기기를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의 거치대는,
흡착판과 연결되어 베이스캡의 상측 중앙으로 돌출된 축볼트에 좌우 회전되면서 흡착력을 조절하는 조절핸들이 삽입되고, 상기 조절핸들의 중앙부를 수용하면서 상단에 연결볼이 돌출된 연결몸체가 상기 베이스캡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흡착고정부와, 상기 휴대기기 홀더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연결볼이 형성된 장착볼트를 따라 체결몸체가 회전 승강하도록 구성된 기기장착부와, 지지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지지대, 및 상기 흡착고정부와 기기장착부의 각 연결볼과 상기 지지대의 각 연결돌기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분할커플링과, 상기 분할커플링을 관통하는 연결볼트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분할커플링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연결조절레버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의 지지몸체는 상부 지지몸체와 하부 지지몸체로 분리되어 회전결합부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회전결합부는 각 지지몸체에 상호 맛물리게 형성된 한 쌍의 원형기어부와, 상기 원형기어부를 관통하는 기어볼트와, 상기 기어볼트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원형기어부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판의 상면 테두리에는 상기 베이스캡의 저면에 눌려 압축되는 눌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구성과 작동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하부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의 거치대(1)는 흡착고정부(10)와, 기기장착부(20)와, 지지대(30)와, 상기 흡착고정부(10) 및 기기장착부(20)에 상기 지지대(30)를 각각 연결시키는 상부 조인트(40) 및 하부 조인트(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고정부(10)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 차량 내의 대쉬보드나 유리 등에 부착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흡착고정부(10)는 내측으로 소정 공간이 마련된 베이스캡(11)과, 상기 베이스캡(11)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몸체(12)와, 상기 베이스캡(11)의 저면부 하측에 위치되는 흡착판(14)과, 상기 흡착판(14)과 연결되면서 상기 베이스캡(11)의 상측 중앙으로 돌출되는 축볼트(15)와, 상기 축볼트(15)에 삽입되며 좌우로 회전되면서 상기 축볼트(15)와 연결된 흡착판(14)의 흡착력을 조절하는 조절핸들(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캡(11)과 연결몸체(12)는 일체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몸체(12)에는 그 상단에 후술할 하부 조인트(50)와의 연결을 위한 연 결볼(13)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브릿지 형태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핸들(16)의 일부분이 수용 설치된다.
상기 흡착판(14)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상면 테두리부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눌림부(18)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눌림부(18)는 흡착 고정시에 베이스캡(11)의 저면에 눌리면서 압축됨으로써 상기 흡착판(14)이 베이스캡(1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장시간 진공 흡착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캡(11)과 흡착판(14) 사이에는 조절핸들(16)의 왼쪽 회전에 의해 흡착판(14)의 중앙부위가 상승할 때 압축되고, 오른쪽 회전에 의해 흡착판(14)이 원상태로 복귀할 때 복원되는 스프링(17)이 설치된다.
상기 기기장착부(20)는 휴대기기(2)가 삽입 결합되는 휴대기기 홀더(3)를 본 고안의 거치대(1)에 장착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기기장착부(20)는 장착볼트(21)와, 상기 장착볼트(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휴대기기 홀더(3)에 끼워지는 삽입부재(22)와, 상기 장착볼트(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볼(23)과, 좌우 회전됨으로써 상기 장착볼트(21)를 따라 상기 삽입부재(22)와 연결볼(23) 사이에서 승강하는 체결몸체(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30)는 상술한 흡착고정부(10)와 기기장착부(20)에 각각 연결되어 흡착고정부(10)에 대해 기기장착부(2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지대(30)는 통 형상의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는 상부 지지몸체(31)와 하부 지지몸체(32)로 이루어지며, 상부 지지몸체(31)의 상단에는 상기 기기장착부(20)와의 연결을 위한 상부 연결돌기(33)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 지지몸체(32)의 하단에는 상기 흡착고정부(10)와의 연결을 위한 하부 연결돌기(3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연결돌기(33)와 하부 연결돌기(34)에는 측부에 각각 단면적이 점감했다가 다시 점증하는 고정홈(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몸체(31)의 하단과 하부 지지몸체(32)의 상단에는 회전결합부(35)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몸체(31)와 하부 지지몸체(32)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결합부(36)는 상기 상부 지지몸체(31)의 하단 및 하부 지지몸체(32)의 상단에 상호 맛물리도록 원주면을 따라 기어 이(gear tooth)가 형성된 원형기어부(37a,37b)와, 상기 상호 맛물린 원형기어부(37a,37b)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기어볼트(38)와, 상기 기어볼트(38)에 삽입되는 회전조절레버(39)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조절레버(39)는 상기 원형기어부(37a,37b)의 상호 밀착력을 조절하는 레버로서, 기어볼트(38)에 깊게 삽입되어 원형기어부(37a,37b)를 상호 견고하게 밀착시키면 상기 상부 지지몸체(31)와 하부 지지몸체(32)는 그 상태의 각도에서 고정이 되며, 기어볼트(38)에 대한 삽입 깊이를 조절하면 원형기어부(37a,37b) 상호간의 밀착력이 느슨해져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 조인트(40)는 상기 지지대(30)와 기기장착부(20)를 연결시키는 부분이며, 상기한 하부 조인트(50)는 상기 지지대(30)와 흡착고정부(10)를 연결시키 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부 조인트(40) 및 하부 조인트(5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뿐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하부 조인트(50)를 기준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하부 조인트(50)는 분할커플링(51a,51b)과, 상기 분할커플링(51a,51b)을 관통하는 연결볼트(52)와, 상기 연결볼트(52)에 삽입되는 연결조절레버(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커플링(51a,51b)은 둘로 나누어져 분할된 커플링이며, 상기 연결볼트(52)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흡착고정부(10)의 연결볼(13)과 지지대(30)의 하부 연결돌기(34)를 동시에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분할커플링(51a,51b)은 상기 연결볼(13)이 수용되는 하단에 대략 반구 형태로 단면적이 점감하는 절곡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54)의 양측에는 회전홈(5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54)의 내부에는 수용된 연결볼(13)이 안착되는 볼안착부(56)가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부(56)의 상측으로 수용된 상기 연결돌기(34)의 고정홈(35)에 끼워지는 걸림턱(57)이 형성된다.
상기 분할커플링(51a,51b)의 볼 안착부(56)에 상기 흡착고정부(10)의 연결볼(13)이 수용 안착되고 상기 지지대(30)의 하부 연결돌기(34)가 수용되어 고정홈(35)이 걸림턱(57)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볼트(52)에 삽입된 연결조절레버(53)를 회전시켜 분할커플링(51a,51b)의 결합력을 조절하게 되면 흡착고정부(10)에 대해 상기 지지대(30)를 다양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분할커플링(51a,51b)이 느슨하게 결합된 경우에는 연결볼(13)과 볼안착 부(56)가 유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연결볼(13)에 대해 분할커플링(51a,51b)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분할커플링(51a,51b)이 견고하게 결합된 경우에는 연결볼(13)이 볼안착부(56)에 압착되므로 분할커플링(51a,51b)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커플링(51a,51b)이 견고하게 결합된 경우 연결볼(13)이 볼안착부(56)에 더욱 잘 압착되도록 상기 볼안착부(56)에는 다수의 압착홈(48)이 방사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40)도 상술한 하부 조인트(5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분할커플링(41a,41b)과, 연결볼트(42), 연결조절레버(43)로 이루어지고, 분할커플링(51a,51b)에는 절곡부(44), 회전홈(45), 볼안착부(46), 걸림턱(47), 압착홈(48)이 형성되며, 상기 요소들의 기능은 하부 조인트(50)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1)는 흡착력이 조절되는 흡착고정부(10)가 차량 내부에 부착 고정되고, 기기장착부(20)에는 휴대기기 홀더(3)가 장착되며, 상기 기기장착부(20)와 흡착고정부(10)는 상부 조인트(40) 및 하부 조인트(50)에 의해 각각 지지대(30)와 연결된다.
도 4a와 도 4b는 상기 흡착고정부(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흡착고정부(10)의 흡착력을 조절하여 부착시키는 경우, 흡착판(14)을 부착하고자 하는 유리 등에 대고 상기 흡착판(14)과 축볼트(15)로 연결된 조절핸들(16)을 왼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핸들(16)과 축볼트(15)의 체결 깊이가 증가하면서 그와 동시에 흡착판(14)의 중앙부분이 상승됨과 함께 흡착판(14)의 눌림부(18)가 베이스캡(11)의 저면에 의해 압축되면서 흡착판(14)과 부착면 사이에 진공 흡착력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흡착고정부(10)는 부착면에 부착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흡착력이 감소된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조절핸들(16)을 왼쪽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재차 진공 흡착력을 증가시켜 더욱 견고하게 흡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흡착고정부(10)를 분리시키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절핸들(16)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흡착판(14)의 중앙부분을 하강시킴으로써 흡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장착부(20)에 휴대기기 홀더(3)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기기 홀더(3)의 저면부에 구비된 가이드홈(4)에 삽입부재(22)를 삽입한 후, 체결몸체(24)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몸체(24)는 장착볼트(21)를 따라 상승하면서 가이드홈(4)에 밀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가이드홈(4)은 삽입부재(22)와 체결몸체(24)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휴대기기 홀더(3)가 기기장착부(20)에 고정 장착되게 된다.
반대로 휴대기기 홀더(3)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몸체(24)를 왼쪽으로 회전시켜 하강시킴으로써 체결몸체(24)를 가이드홈(4)에서 분리시킨 후, 삽입된 삽입부재(22)를 가이드홈(4)에서 인출시키면 된다.
그리고,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흡착고정부(10)와 지지대(30)를 하 부 조인트(50)를 통해 연결시키는 것을 살펴보면, 지지대(30)의 하부 연결돌기(34) 및 흡착고정부(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볼(13)을 각각 분할커플링(51a,51b)의 걸림턱(57)과 볼안착부(56)에 안착 수용시키고, 상기 분할커플링(51a,51b)에 연결볼트(52)를 관통하여 연결조절레버(53)를 상기 연결볼트(52)에 삽입시킨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조절레버(53)가 연결볼트(52)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 즉 분할커플링(51a,51b)이 상호 완전히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할커플링(51a,51b)이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며, 그에 따라 상기 볼안착부(56)와 연결볼(13)도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되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각도와 방향으로 흡착고정부(10)에 대해 지지대(3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원하는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조절레버(53)를 회전시켜 분할커플링(51a,51b)이 상호 완전히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면, 볼안착부(56)에 연결볼(13)이 완전히 압착되고, 그에 따라 지지대(30)는 해당 방향과 각도로 상기 흡착고정부(10)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부 조인트(40)는 분할커플링(41a,41b) 내에 지지대(30)의 상부 연결돌기(33)와 기기장착부(20)의 연결볼(23)을 동시에 수용시키고 연결조절레버(43)의 회전을 조절하여 기기장착부(20)와 지지대(30)를 상호 여러 방향과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부 조인트(50)에 의해 흡착고정부(10)와 지지대(30)를, 상부 조인트(40)에 의해 기기장착부(20)와 지지대(30)를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지지대(30)를 구성하는 상부 지지몸체(31)와 하부 지지몸체(32)를 회전결합부(36)에 의해 또한 다양한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기어볼트(38)에 회전조절레버(39)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지지몸체에 형성된 원형기어부(37a,37b)는 상호 맛물리어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회전에 의해 회전조절레버(39)가 기어볼트(38)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원형기어부(37a,37b)는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고 그에 따라 상부 지지몸체(31)와 하부 지지몸체(32)는 해당 각도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조인트(40), 하부 조인트(50), 및 회전결합부(36)에서의 방향과 각도조절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는 휴대기기를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의 거치대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의 거치대는 좌우 회전에 의해 흡착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핸들을 구비하고 흡착 고정시 베이스캡에 압축되어 흡착판을 베이스캡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눌림부를 흡착판 에 형성시킴으로써 부착력을 증가시켜 차량 내부에 보다 장시간 휴대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대를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조인트를 구성하고 지지대 자체에도 회전결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휴대기기를 차량 내부에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기기의 홀더를 장착하여 거치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흡착판과 연결되어 베이스캡의 상측 중앙으로 돌출된 축볼트에 좌우 회전되면서 흡착력을 조절하는 조절핸들이 삽입되고, 상기 조절핸들의 중앙부를 수용하면서 상단에 연결볼이 돌출된 연결몸체가 상기 베이스캡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흡착고정부;
    상기 휴대기기 홀더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연결볼이 형성된 장착볼트를 따라 체결몸체가 회전 승강하도록 구성된 기기장착부;
    지지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지지대; 및
    상기 흡착고정부와 기기장착부의 각 연결볼과 상기 지지대의 각 연결돌기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분할커플링과, 상기 분할커플링을 관통하는 연결볼트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분할커플링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연결조절레버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지지몸체는 상부 지지몸체와 하부 지지몸체로 분리되어 회전결합부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회전결합부는 각 지지몸체에 상호 맛물리게 형성된 한 쌍의 원형기어부와; 상기 원형기어부를 관통하는 기어볼트와; 상기 기어볼트에 삽입되어 회전하면 서 상기 원형기어부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상면 테두리에는 상기 베이스캡의 저면에 눌려 압축되는 눌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거치대.
KR2020050035455U 2005-12-16 2005-12-16 휴대기기의 거치대 KR200411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55U KR200411603Y1 (ko) 2005-12-16 2005-12-16 휴대기기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55U KR200411603Y1 (ko) 2005-12-16 2005-12-16 휴대기기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603Y1 true KR200411603Y1 (ko) 2006-03-16

Family

ID=4176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455U KR200411603Y1 (ko) 2005-12-16 2005-12-16 휴대기기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60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53B1 (ko) * 2009-05-06 2009-09-16 삼부기술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용이한 gps 거치대
KR101081412B1 (ko) 2011-04-19 2011-11-08 이우철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KR101265526B1 (ko) * 2011-01-13 2013-05-20 (주) 에스문 휴대용 기기의 다단 다관절 거치대
KR200468795Y1 (ko) * 2011-04-20 2013-09-04 박재욱 모바일 기기 거치대
WO2013133461A1 (ko) * 2012-03-07 2013-09-12 (주)에스문 휴대용기기의 다단 다관절 지지대
KR101384652B1 (ko) 2012-12-12 2014-04-14 송순영 차량용 거치대
KR200474960Y1 (ko) * 2012-10-26 2014-10-27 차우-런 창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 고정기의 커버
KR101757894B1 (ko) * 2015-12-01 2017-07-13 정민시 거치용 브래킷
CN115776534A (zh) * 2022-11-29 2023-03-10 杭州正森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调节的视频录制设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53B1 (ko) * 2009-05-06 2009-09-16 삼부기술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용이한 gps 거치대
KR101265526B1 (ko) * 2011-01-13 2013-05-20 (주) 에스문 휴대용 기기의 다단 다관절 거치대
KR101081412B1 (ko) 2011-04-19 2011-11-08 이우철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KR200468795Y1 (ko) * 2011-04-20 2013-09-04 박재욱 모바일 기기 거치대
WO2013133461A1 (ko) * 2012-03-07 2013-09-12 (주)에스문 휴대용기기의 다단 다관절 지지대
KR200474960Y1 (ko) * 2012-10-26 2014-10-27 차우-런 창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 고정기의 커버
KR101384652B1 (ko) 2012-12-12 2014-04-14 송순영 차량용 거치대
KR101757894B1 (ko) * 2015-12-01 2017-07-13 정민시 거치용 브래킷
CN115776534A (zh) * 2022-11-29 2023-03-10 杭州正森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调节的视频录制设备
CN115776534B (zh) * 2022-11-29 2023-07-28 杭州正森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调节的视频录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603Y1 (ko) 휴대기기의 거치대
US7226026B2 (en) Suction device
EP2249074B1 (en) Holder
US7661648B2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US11369189B2 (en) Combination strap and stand support for tablets and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8356781B2 (en) Suction device
US7357361B2 (en) Hands-fre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of its mounting seat in any direction and positioning same
US7658354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EP1721783B1 (en) Suction fixture
US9416814B2 (en)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KR100625699B1 (ko)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GB2438626A (en) Suction disc apparatus
KR20130125196A (ko) 휴대폰 거치대
KR20120019971A (ko)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CN111495653A (zh) 一种连接结构及相应的花洒装置
KR101976645B1 (ko) 차량용 거치대
KR200451597Y1 (ko) 전자단말기 거치대
KR200432333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CN210372690U (zh) 一种具有伸缩、旋转功能的吸盘支架
KR200398691Y1 (ko) 차량용 휴대기기케이스 거치대.
KR100922169B1 (ko) 자동차 내부의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1240559B1 (ko)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JP2004356818A (ja) 耳掛け式イヤホン
AU4585102A (en) Device for removably attaching an oar to a boat
CN215494107U (zh) 滑定装置及三角锥雷达标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