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559B1 -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559B1
KR101240559B1 KR1020100049612A KR20100049612A KR101240559B1 KR 101240559 B1 KR101240559 B1 KR 101240559B1 KR 1020100049612 A KR1020100049612 A KR 1020100049612A KR 20100049612 A KR20100049612 A KR 20100049612A KR 101240559 B1 KR101240559 B1 KR 10124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vehicle
mounting portion
crad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129A (ko
Inventor
이규성
Original Assignee
(주)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테크 filed Critical (주)알테크
Priority to KR102010004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5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55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기기를 위한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수단인 주접착부와 요홈 구조의 보조접착부로 이루어져, 차량의 전면유리또는 대쉬보드의 부착패드에 흡착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거치부에 네비게이션이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를 거치하며, 상기 제1거치부와 연결되는 제2거치부에는 메모지 등을 부착할 수 있고, 또 다목적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거치대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는 거치부; 주(主)접착부와 상기 주접착부에 요입 형성된 복수의 보조접착부를 갖는 흡판을 포함하는 차량 장착수단; 상기 거치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SUPPORTER FOR CAR}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기기를 위한 차량용 복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수단인 주접착부와 요홈 구조의 보조접착부로 이루어져,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의 부착패드에 흡착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며,
또한, 제1거치부에 네비게이션이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를 거치하며, 상기 제1거치부와 연결되는 제2거치부에는 메모지 등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거치대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이나 디엠비(DMB),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는
송순영의 특허공개 제2008-0084683(2008년09월19일) [흡착기구]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흡착기구의 하우징은 독특한 형상의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판스프링에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만곡부가 형성된 가지부를 외주부에 구비하여, 이 만곡부가 패드의 상면 외주부에 가압력을 가하게 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흡착기구는 일정한 곡면을 가진 피부착면에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의 하면 외주부에는 접착력 있는 공업용 겔이 융착되어 있어서, 그 접착력에 의해 피부착면과 패드의 밀착 상태를 더욱 강력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흡착기구의 패드의 하면 외주부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공업용 겔을 별도로 제작하고, 제작시 적정 위치에 부착하여야 함으로 별도의 인건비가 상승하며, 사용자가 부착하고 위치를 바꾸거나 잘못 부착시에 떼었다 다시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거치대로 최현아 실용신안공개 제2009-0008620호(2009년08월26일) [거치대]가 있는데,
상기 공개실용은 하우징의 개구부에 흡착 패드가 구비된다. 상기 흡착패드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점착성 물질이 일부가 내재하여 성형 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점착성 물질의 일부는 상기 흡착패드의 표면보다 높게 성형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 점착성 물질이 완전하게 성형 될 수 있도록 상기 요홈은 충분한 깊이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점착성 물질의 일부가 흡착패드의 요홈에 성형 되면, 점착성 물질은 흡착 패드의 표면에서 다른 위치로 밀리지 않게 고정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점착성 물질을 구비하고 점착성 물질을 요홈에 실장 되도록 별도의 고정이나 제거시 점착성 이물질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범용성면에서도 한계가 뚜렷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발명은 단일 흡착수단으로 유리나 별도의 부착패드가 구비된 대쉬보드 등에 장착되어 가치하는 것이 아니라 주접착부와 요홈 구조의 보조접착부로 이루어진 장착수단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의 부착패드에 흡착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제2거치부와 연결된 제1거치부에 구비된 장착수단이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장착될 수 있어 차량 환경이나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거치대 설치위치의 변경이 용이하여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선회체결수단이어서 선회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수단을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고정할 수 있어 더 편리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거치부를 위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각각 걸이부 및 결합고리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분해도 용이하며, 어느 정도 걸이부 및 결합고리의 움직임이 가능하여 제2거치부 위치 변경이 가능하면서도 너무 심하고 움직이지도 않아 안정성도 충족할 수 있도록 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따라,
거치부;
주(主)접착부와 상기 주접착부에 요입 형성된 복수의 보조접착부를 갖는 흡판을 포함하는 차량 장착수단; 상기 거치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거치부는 제1연결부재를 갖는 제1거치부와,
상기 제1거치부의 제1연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를 구비한 제2거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거치부의 제1연결부재는 걸이부이고,
상기 제2거치부의 제2연결부재는 결합고리인 것을 특징을 갖고,
상기 체결수단은 선회체결수단이어서 선회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수단을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제2거치부와 연결된 제1거치부에 구비된 장착수단 상기 장착수단은 주접착부와 요홈 구조의 보조접착부로 이루어져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어 차량 환경이나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거치대 설치위치의 변경이 용이하여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선회체결수단이어서 선회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수단을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고정할 수 있어 더 편리하며, 아울러 제1 및 제2 거치부를 위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각각 걸이부 및 결합고리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조립이 가능하고, 분해도 용이하며, 어느 정도 걸이부 및 결합고리의 움직임이 가능하여 제2거치부 위치 변경이 가능하면서도 너무 심하고 움직이지도 않아 안정성도 충족할 수 있고, 또 상기 장착수단은 흡착부재를 포함하고, 이 흡착부재 외에 별도의 부착패드를 제공하여 매끄럽지 못한 대쉬보드에도 흡착부재를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결국 전자기기 하나만을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나 메모지와 같은 이종 물품을 거치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 및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목적, 다기능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고 새로운 수요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차량용 거치대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거치대 결합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써, 도 2a는 흡착부에서 지지부까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지지부에서 장착부까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의 흡착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3a는 가압레버의 가압 전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3b는 가압레버의 가압된 상태의 상태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의 가압레버와 샤프트 및 복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의 회전수단을 도시한 내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착수단으로 주(主)접착부에 보조접착부를 갖는 흡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장착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차량용 대쉬보드에 부착된 부착패드에 장착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및 ~제4~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본 출원인의 이전출원된 특허출원 제2008-0043776호(일 실시예라 함.)에서 기재된 발명에서 흡착부의 흡착판의 구조를 본 발명과 같은 보조접착부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도 1 내지 도 5는 보조접착부의 구조가 적용된 거치대의 흡착부의 흡착판 바닥면의 일측에 보조접착부를 적용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는 차량의 유리와 같이 편평한 부착면에 진공방식으로 흡착되어 흡착부(10)와, 상기 흡착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부(20)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휴대기기가 장착되는 장착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는 흡착판(110), 베이스캡(120), 샤프트(130), 가압레버(140), 그리고 복원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판(110)은, 도 3을 참조하여, 바닥면이 편평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으로 가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형상이다.
또 상기 흡착판은 편평한 바닥면의 바깥쪽으로 가깝게 외주면을 따라 일정깊이를 갖는 요홈 형상의 보조접착부가 다수 배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판은 유리와 같은 부착면에 긴밀히 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주로 PE, PE, 실리콘 등을 사용하였다. PE나 PP는 장기간 사용하면 탄성력이 감소되고 부착면에 긴밀히 밀착되지 못하여 거치대를 견고히 부착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력과 밀착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우레탄으로 흡착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흡착판의 바닥면 중앙부분에는 하부로 돌출된 보강부(114)를 형성하였다. 상기 보강부는 샤프트의 승하강에 의해 힘이 집중되는 흡착판의 중앙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흡착판이 테두리에는 돌출부(112)를 형성하였다. 상기 돌출부는 흡착판이 하강된 상태에서 부착면에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을 때, 이를 손으로 살짝 들어 흡착판의 바닥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흡착판이 부착면에서 쉽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 도 3과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캡(120)은 상기 흡착판을 감싸며 가장자리에는 흡착판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가압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의 하부 내측으로는 승하강하는 흡착판을 수용하도록 공간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공(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캡 상면에는 지지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흡착판(110)의 중앙에 일단이 내설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캡의 삽입공(126)에 삽입되어 노출된다. 그리고 흡착판에 내설되는 샤프트의 일단에는 샤프트 일단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걸림부(132)가 형성되어 샤프트가 흡착판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캡의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에는 후술하는 가압레버(14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삽입로드(134)가 형성된다.
즉, 일 실시예의 가압레버(140)는 상기 삽입로드(134)를 따라 삽입되는 삽입바(142)와, 상기 삽입바 양측에 형성되고 파지부(144a)를 형성하는 레버몸체(144)와, 그리고 상기 레버몸체에 형성되어 가압레버의 상하 가압시 가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탑퍼(146)로 구성되는데,
상기 삽입바(142)를 삽입로드(134)를 따라 샤프트에 삽입시키면 가압레버(140)가 샤프트(130)에 부착되고, 삽입시킨 반대 방향으로 삽입바를 끌어내게 되면 샤프트와 가압레버가 분리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0)에 삽입로드(134)가 형성된 방향이 중요한데, 상기 삽입로드는 삽입로드가 샤프트에 형성되는 시작 지점 즉, 삽입로드 입구(134a)에서 윗방향으로 사선형태로 뻗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형태로 삽입로드(134)가 샤프트(130)에 형성되어야만 삽입로드에 가압레버(140)가 삽입되더라도 가압레버가 샤프트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체결된다.
결국,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삽입로드(134)의 형성 모양이 가압레버의 이탈방지수단(160)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삽입로드 형성 모양은 도면에 도시된 직선으로 뻗은 사선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샤프트에 삽입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형태면 족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한 삽입로드 형상 외, 삽입로드 일면에 걸림돌부를 돌출형성하여 삽입된 가압레버의 삽입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삽입로드 형성모양 자체로도 이탈방지수단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압레버(140) 체결시 레버몸체(144) 전방에 형성된 만곡부(140a)를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베이스캡(120)과 접촉되는 상태로 삽입바(142)를 삽입로드의 입구(134a)에 삽입시키고, 서서히 레버를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즉 상기 만곡부(140a)가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서 삽입로드(134)를 따라 삽입로드 끝까지 삽입바(142)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삽입바가 삽입로드의 끝까지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압레버가 샤프트에서 이탈되지 않고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체결 상태에서 가압레버(140)를 아랫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되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로드(134)에 삽입바(142)가 걸려 안정된 상태로 샤프트가 상승되고 거치대가 바닥면에 흡착되게 된다.
또한, 사용에 따라 가압레버 일부가 파손되어 가압레버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방을 향하고 있는 가압레버의 만곡부(140a)를 다시 아랫방향으로 위치시켜 베이스캡(120)과 접촉되도록 가압레버(140)를 회전시킨 후, 삽입로드를 따라 삽입바를 움직여 가압레버를 샤프트에서 분리시킨다. 이 경우, 샤프트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흡착판(110) 저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샤프트(130)를 윗방향으로 승강시켜 삽입로드 입구(134a)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킨다면 가압레버(140)를 샤프트(130)로부터 좀 더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복원부재(150)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흡착판의 바닥면이 편평해지도록 흡착판을 초기상태로 복원시킨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PE, PP,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이 강제로 승강 되어 그 상태를 장기간 지속하게 되면, 그 상태로 굳게 되어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 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부착면과 흡착판의 바닥면이 긴밀히 접촉되지 못하고, 재차 흡착판의 중앙을 승강시킬 시에는 승강 범위가 줄어 흡착판의 흡착력은 그만큼 약화되어 거치대를 부착면에 견고히 부착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자체탄성력이 우수한 원형상의 금속판을 복원부재로 사용하였으며, 상기 금속판을 흡착판(110)의 중앙부(116)에 내삽시켰다. 즉, 상기 복원부재로서 금속판의 중앙에는 샤프트(130)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와 함께 금형 내에 배치된 후에 흡착판과 일체로 사출성형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지지부(20)를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에는 높이조절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지지부에서 연속되어 형성되는 수부재(210)와, 상기 수부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는 암부재(220)와, 그리고 상기 암부재를 수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암부재(220)는 제1 및 제2 분지(220a, 220b)로 형성되어 수부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암부재(220)를 위치시키고 체결수단으로 암부재를 수부재(210)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암부재의 각 분지(220a, 220b) 내측 하단에는 원판 형상의 슬라이딩판(230)이 결합되는데,
암부재와 접촉되는 슬라이딩판 일면에는 홈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암부재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대응돌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와 대응돌부의 접촉면 내지 그 주변부에는 제1톱니부(240: 240a, 240b)가 형성되어 수부재(210)에 결합되는 암부재(220)의 전후 회전을 방지하면서 원하는 전후 회전각도로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부재(210)에는 상기 슬라이딩판(23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라이딩홈(212)이 더 형성되고,
슬라이딩홈의 저면과 이와 접촉되는 슬라이딩판에도 수부재에 결합되는 암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50; 250a, 250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50)은 앞서 언급한 제1톱니부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암부재가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고 원하는 수부재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결국, 상기한 암부재에 형성된 대응돌부(222) 및 이와 결합하는 슬라이딩판에 형성된 홈부(232), 그리고 슬라이딩판과 수부재의 슬라이딩홈 저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수단(250)이 높이조절수단을 구성하는 체결수단이 된다.
다만, 상기한 대응돌부(222), 슬라이딩판의 홈부(232), 미끄럼방지수단(250)은 상기 암부재의 제1분지 및 제2분지와 상기 수부재의 양측면, 그리고 2 개의 슬라이딩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나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암부재의 제1분지(220a)의 내측 하단에 대응돌부(222)가 형성된다면 이와 결합되는 슬라이딩판의 접면에만 홈부(232)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제1분지 및 슬라이딩판에만 제1톱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부재의 제2분지(220b)의 내측면(220p)과 이와 결합되는 슬라이딩판(이하에서는 제1톱니부가 형성된 슬라이딩판과의 구별을 위하여 230'으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맞추어 설명한다)의 접면(230'p)은 편평하게 면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홈부(232) 및 제1톱니부(240)가 형성되지 않았던 슬라이딩판(230')과 이와 접하는 수부재의 슬라이딩홈(212)의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수부재의 슬라이딩홈(212) 저면과 이와 접하게 되는 슬라이딩판(230')의 접촉면에는 제1톱니부 구성과 같은 톱니부를 구비하게 되고 이것이 미끄럼방지수단되는 것이다. 물론,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된 슬라이딩홈(212)의 반대측 슬라이딩홈(212')의 저면(212'p)(이 또한 미끄럼수단이 형성된 슬라이딩홈과 구별을 위하여 212'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은 톱니부가 없는 편평한 면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한 슬라이딩홈(212')의 저면(212'p)에 접하는 슬라이딩판(230)의 접면(230p) 또한, 편평한 면처리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한 구성의 체결수단 외에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에 대한 암부재의 안정된 체결을 위하여 별도의 체결볼트(262)와 체결너트(26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판(230)에는 지지판(234)을 더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 저면에는 지지판이 삽입되어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로드(214)를 형성하여 체결볼트(262)와 체결너트(264)의 견고한 체결작업을 보조해준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은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높이조절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판의 홈부와 암부재의 대응돌부에 형성된 제1톱니부(240) 구성에 의하여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상하 각도 조절까지 가능하게 하는바, 소위 자바라(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휴대기기를 위치시키는 기존 거치대의 구성에 비하여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미끄럼수단(250) 및 제1톱니부(240) 구성에 의하여 휴대기기를 원하는 위치 및 방향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암부재와 연결되는 것으로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360도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이 구비된다. 즉,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수단은 지지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암부재 상부에 구비되는 축부(310)와, 상기 축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조각편(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각편(320)은 제1 조각편(320a) 및 제2 조각편(320b)으로 이루어지고, 제1 조각편과 제2 조각편이 결합되면서 상기 축부(3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322)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축부(310) 외주면에는 톱니와 같은 형태로 연속 형성된 대응홈부(312)가 있고 상기 조각편의 수용부(322) 내주면에는 돌부(324)가 형성되어 있어서,
360도 회전을 위하여 지지부를 기준으로 조각편(320)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한 대응홈부(312)에 돌부(324)가 걸리면서 회전각이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각편(320) 내측으로는 회전판(410)이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판 또한 후술하는 볼트부의 삽입을 위하여 제1 회전판(410a) 및 제2 회전판(410b)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과 조각편의 접촉면에도 제2톱니부(420: 420a, 420b)를 형성하여 이들이 맞물리면서 돌아가도록 하여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제2톱니부 구성 자체로도 원하는 않은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죔볼(432) 및 죔나사(434)를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장착부(30)를 살펴보면, 상기 장착부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도면에는 그 일례로서 지지부 상단 좀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판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310)에 나사결합되어 볼트부를 따라 전후진 되고,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받쳐주는 하부받침부(320)와, 휴대기기의 홀더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부에 결합고정되는 상부받침부(330)로 이루어진 장착부를 도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8-0043776호의 구성에 보조접착부의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A)는 도 6 내지 도 1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 상기 거치부(1)는 크게 제1거치부(10), 상기 제1거치부와 연결된 제2거치부(20), 그리고 차량, 특히 전면유리(C1) 또는 대쉬보드(C2)에의 고정을 위한 장착수단(30), 그리고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거치부(10)는 하부지지대(11)와 후판(15)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여서 주로 네비게이션(N) 등과 같은 전자제품이 설치되며, 네비게이션(N) 또는 DMB, 휴대전화 등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예: 탄성밴드, 볼트, 흡판, 억지끼움형 암 또는 수 부재 등의 공지수단)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수단(30)의 주접착부(31A)에 보조접착부(31B)를 다수개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지지대(11)는 차량의 전면유리(C1) 또는 대쉬보드(C2)에 장착된 상태(도 10 내지 도 11 참조)에서 수평을 이루기보다는 약간 후면으로 누워 있어 수납(또는 장착)된 물품이 전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거치부(20)는 기본적으로 메모지(M)가 양면테이프(도 6 참조, 미지칭 됨)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제2거치부의 측면, 특히 다수인 오른손잡이를 고려하여 우측에 필기구(W) 장착부(25)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장착부(25)는 제2거치부(20) 우측 상하여 이격 구비되어 필기구(W)의 억지끼움 방식 고정이 가능한 탄성 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종의 '제3거치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와 관련하여 제1, 제2, 제3의 구분은 임의의 것이며, 각 거치부에 수납(또는 장착)되는 물품은 상호 변경되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2거치부(20)에는 메모지 대신에 휴대전화나 PMP 등이 거치될 수 있다.
또 수납(또는 장착)된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탄성밴드, 볼트, 흡판, 억지끼움형 암 또는 수 부재, 걸림턱, 벨크로테이프, 자석,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의 공지수단이 다양하게 선택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거치부(10) 및 제2거치부(20)의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은 각각, 제1거치부의 제1연결부재(13)가 고리형 걸이부(13A)이고, 제2거치부의 제2연결부재(23)가 결합고리(23A) 형태여서 분해된 상태로 포장 판매되기 용이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조립이 가능하며, 또 분해도 용이하다.
아울러 도 8, 도 9 및 도 10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걸이부(13A) 및 결합고리(23A)의 움직임이 가능하여 장착수단을 통하여 차량에 고정된 제1거치부(10)에 대하여 각도조절을 통하여 제2거치부(2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면서도 너무 심하게 움직이지도 않아 안정성도 충족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와 결합고리의 형성 위치는 상호 뒤바뀔 수 있고, 또 목적에 맞게 치수나 개수 등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고정력이나 제2거치부의 변위각도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또 각도 조정 후 조정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예: 볼트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수단(3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접착부(31A)와 상기 주접착부(31A)의 편평한 바닥면의 바깥쪽으로 가깝게 외주면을 따라 일정깊이를 갖는 요홈 형상의 보조접착부(31B)가 다수 배열되어 이루어져서 차량의 전면유리(C1)또는 대쉬보드(C2)의 부착패드(33)에 흡착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장착수단(30)은 차량의 전면유리(C1)(도 10 및 도 11 참조) 또는 대쉬보드(C2)(도 9의 점선으로 도시한, 흡착부재가 아래를 향하도록 방향을 전환한 상태)에 고정되며,
고정편리성을 위하여 장착수단(30)의 돔 타입 하우징(31)에는 주접착부(31A)(필요에 따라 단일 흡판 또는 공지의 다중 흡판 도입이 가능함. 또 흡착력 강화를 위한 공지의 흡착부재 당김 레버 구조 도입 가능)가 구비되어 있다.
또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대쉬보드(C2)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표면이 매끄러움 노출시트(33A)를 포함하는 부착패드(33)를 활용할 수 있고(도 9 점선 참조),
이 부착패드는 노출시트를 대쉬보드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 특히 양면테이프(33B)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거치부(10)와 상기 장착수단(30)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거치대(1)가 차량의 전면유리(C1) 또는 대쉬보드(C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쉽도록 선회체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선회체결수단은 유니버설 조인트 형태여서 장착수단을 이루는 하우징(31)의 상하 반전뿐 아니라, 좌우 임의 방향 선회(최도 각도 변화시 그 궤적은 원뿔형을 이룬다)가 가능하도록 볼조인트(4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거치부(10)의 후판(15) 뒷면에는 홈(41B)이 구비되어 있고, 장착수단(30)의 하우징(31)에는 볼(41A)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이다.
물론 이러한 볼과 홈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도 조절 후, 변경된 각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예: 볼트)이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볼조인트(41) 타입의 체결수단(40)을 통하여 필요에 따라 거치대를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장착하기 쉽고, 각 거치부의 각도 변환도 용이하여 차량 환경이나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거치대 설치위치의 변경이 용이하므로 편의성이 뛰어나다.
이상의 설명에서 전자기기의 종류, 구체적인 전자기기 등의 거치부 고정 방법, 흡착부재의 흡착력 강화 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거치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거치대 1 : 거치부
10: 제1거치부 11: 하부지지대
13: 제1연결부재 13A: 걸이부
15: 후판 20: 제2거치부
21: 메모지안착판 23: 제2연결부재
23A: 결합고리 25: 필기구장착부
30: 장착수단 31A: 주접착부
31B: 보조접착부 33: 부착패드
33A: 노출시트 33B: 양면테이프
40: 체결수단 41: 볼조인트
41A: 볼 41B: 홈
N : 네비게이션(각종 전자기기) M : 메모지부재
W : 필기구 C1: 유리
C2: 대쉬보드

Claims (4)

  1. 거치부(1);
    주(主)접착부(31A)와, 상기 주접착부(31A)에 요입 형성된 복수의 보조접착부(31B)를 갖는 흡판을 포함하는 차량 장착수단(30);
    상기 거치부(1)와 상기 장착수단(30)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부(1)는 제1연결부재(13)를 갖는 제1거치부(10)와, 상기 제1거치부(10)의 제1연결부재(13)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23)를 구비한 제2거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거치부(10)의 제1연결부재(13)는 걸이부(13A)이고, 상기 제2거치부(20)의 제2연결부재(23)는 결합고리(23A)로 구성되며,

    상기 제1거치부(10)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후판(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수단(30)은 상기 주접착부(31A)가 연결되는 하우징(3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체결수단(40)은 선회체결수단이어서 선회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수단(30)을 차량의 전면유리(C1) 또는 대쉬보드(C2)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40)은 상기 제1거치부(10)의 후판(15)에 연결되는 홈(41B)과, 상기 장착수단(30)의 하우징(31)에 형성되고, 상기 홈(41B)에 삽입되는 구(球) 형상의 볼(41A)로 구성되는 볼조인트(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쉬보드(C2)에 상기 장착수단(30)을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장착수단(30)의 주접착부(31A)가 부착되는 표면이 매끄러운 노출시트(33A)와, 상기 대쉬보드(C2)에 부착되는 접착부(33B)를 포함하는 부착패드(3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부(20) 일측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탄성 후크 타입으로 이루어져 필기구가 억지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필기구장착부(2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4. 삭제
KR1020100049612A 2010-05-27 2010-05-27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10124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12A KR101240559B1 (ko) 2010-05-27 2010-05-27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12A KR101240559B1 (ko) 2010-05-27 2010-05-27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29A KR20110130129A (ko) 2011-12-05
KR101240559B1 true KR101240559B1 (ko) 2013-03-11

Family

ID=4549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612A KR101240559B1 (ko) 2010-05-27 2010-05-27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26B1 (ko) * 2015-01-09 2016-08-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JP7109066B2 (ja) * 2018-07-06 2022-07-29 学校法人 名城大学 吸着パッ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771A (ko) * 2000-05-25 2001-12-07 조규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0761012B1 (ko) * 2007-03-28 2007-10-01 배지현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771A (ko) * 2000-05-25 2001-12-07 조규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0761012B1 (ko) * 2007-03-28 2007-10-01 배지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29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8903S1 (en) Suction cup clamp assembly
EP2268505B1 (en)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9155213B2 (en) Affixable belt clip for a phone incorporating an adjustable kickstand
US1042246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and related method
US20080308693A1 (en) Multipurpose Sucker
US7007908B2 (en) Sucking disk type hanging pole
CN109302509A (zh) 智能终端设备用指环套
US20080308667A1 (en) Tissue roll holder
US7793899B2 (en) Structure for a suction device
EP2249074B1 (en) Holder
US20090224117A1 (en) Suction cup device and article attaching apparatus
US7731139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106838A (ko)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WO2006017625B1 (en) Patient lift with integrated foot push pad
KR101240559B1 (ko)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200411603Y1 (ko) 휴대기기의 거치대
CN208522816U (zh) 一种基于卡接限位的手机支架结构
KR200473759Y1 (ko) 집게타입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JP5736480B2 (ja) 家具脚用キャップ
CN209676307U (zh) 一种手机支架
US20150069195A1 (en) Apparatus carrier with pivot arm and suction foot
CN210687620U (zh) 转动机构及其支架
WO2007117130A1 (en) Mount comprising a suction cup
CN210162003U (zh) 按压式电子设备支架
KR101314849B1 (ko)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