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826B1 -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826B1
KR101651826B1 KR1020150003486A KR20150003486A KR101651826B1 KR 101651826 B1 KR101651826 B1 KR 101651826B1 KR 1020150003486 A KR1020150003486 A KR 1020150003486A KR 20150003486 A KR20150003486 A KR 20150003486A KR 101651826 B1 KR101651826 B1 KR 10165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indow
present
receiver
bi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134A (ko
Inventor
박상호
조완수
이주형
신성진
정민규
오동호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8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기를 대상체(25)로 하여 건축물 상에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25)를 지지하는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에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건축물에 결속되는 주결속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주결속부(30)는 결속력을 증대하도록 보조결속부(40) 또는 조임수단(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건물의 창호 등에 고정함에 있어 비전문가에 의한 설치 및 위치 변경의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Supporter for mounting receiver}
본 발명은 물품 고정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창호 등에 설치되어 외부의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용 수신기 등을 건물의 외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브라켓을 볼트나 접착제로 고정하는 방식을 택하게 된다. 이 경우 다양한 공구와 전문성을 지닌 전문가의 손을 빌려야 할뿐더러 설치후 위치를 변경하기 용이하지 않아 여러 가지 불편을 초래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고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83230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1188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내측 적소에 형성된 핀에 피니언기어가 장착된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대칭으로 맞물려서 좌우로 유동가능하도록 하측에 래크가 각각 형성되어 장착되는 좌ㅇ우 조절날개와, 상기 각 날개의 하부 내측의 벽면에는 장착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구비한다. 이에, 무선전화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대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진공흡착방식으로 유리 혹은 창문과 같은 설치면에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 상측면 중심에 수직방향의 원통모양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통모양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흡착판 결합부재; 무선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안테나를 내장하는 케이스; 등을 포함한다. 이에, 흡착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유리와 같은 설치면에 고정됨으로써 고객 구조물의 파손 없이 간단하게 시설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무선전화기의 차량 거치를 위한 구조를 제시하므로 수신기의 건물 외부 거치에 적용하기 곤란하고, 선행문헌 2는 창호에서 매끄러운 유리 외에는 설치가 곤란하여 위치 변경에 한계성을 보인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83230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차량용 거치대" (공개일자 : 1999. 2. 18.)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1188호 "흡착판을 이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공개일자 : 2010. 2. 2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건물의 창호 등에 고정함에 있어 설치 및 위치 변경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기를 대상체로 하여 건축물 상에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지지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건축물에 결속되는 주결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결속부는 결속력을 증대하도록 보조결속부 또는 조임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부는 대상체의 다방향 자세변동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주결속부는 이중절곡형포크, 절곡대, 치형대, 7자형포크, C형대, 밴드 중 적어도 하나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보조결속부는 절곡대, 평판대, 흡착편, c형대, 호형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임수단은 가압볼트, 토션스프링, 조임롤러, 볼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건물의 창호 등에 고정함에 있어 비전문가에 의한 설치 및 위치 변경의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신기를 대상체(25)로 하여 건축물 상에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대에 관하여 제안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건축물은 창틀(11), 창문(13), 난간(15)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체(25)는 수신기 외에 공유기, 위성안테나, 통신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20)가 상기 대상체(25)를 지지하는 구조를 지닌다. 몸체부(20)는 일측으로 대상체(25)를 지지하면서 타측으로 건축물에 밀착되어 위치를 고정한다. 몸체부(20)는 성형성이 양호하고 탄성이 높은 수지재가 선호되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부(20)는 대상체(25)의 다방향 자세변동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조인트(22)는 볼이 나선으로 결합된 소켓 상에 수용된 구조로서 몸체부(20)에 대한 대상체(25)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주결속부(30)가 상기 몸체부(20)에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건축물에 결속되는 구조를 지닌다. 주결속부(30)는 건축물의 창틀(11), 창문(13), 난간(15) 중 하나에 대하여 몸체부(20)를 1차적이고 기본적으로 결속(밀착)하는 부분이다. 주결속부(30)가 몸체부(20)에 연장되거나 결합되는 구성은 도 2 내지 도 8을 통하여 다양하게 구현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주결속부(30)는 이중절곡형포크(31), 절곡대(32), 치형대(33), 7자형포크(35), C형대(36), 밴드(37) 중 적어도 하나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몸체부(20)의 상단에서 좌측, 하측, 좌측으로 이어진 이중절곡형포크(31)를 연장하여 창틀(11)에 끼운 형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몸체부(20)의 상단에서 절곡대(32)를 연장하여 창틀(11)에 끼운 형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몸체부(20)의 하단에 치형대(33)를 결합하여 창틀(11)에 맞물린 형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3처럼 몸체부(20)의 상단에서 절곡대(32)를 연장하여 창틀(11)과 창문(13) 사이에 끼운 형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몸체부(20)의 상단에 상측, 좌우측, 하측으로 이어진 7자형포크(35)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창틀(11)과 창문(13) 사이에 끼운 형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몸체부(20)의 상단에서 C형대(36)를 연장하여 난간(15)에 끼운 형태를 나타내고, 도 8은 몸체부(20)의 하단에 밴드(37)를 결합하여 난간(15)에 끼운 형태를 나타낸다. 이중절곡형포크(31), 절곡대(32), C형대(36) 등은 몸체부(2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결속부(30)는 결속력을 증대하도록 보조결속부(40) 또는 조임수단(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결속부(30)만으로 충분한 결속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결속부(40) 또는 조임수단(50) 중 적어도 하나는 연동적으로 활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보조결속부(40)는 절곡대(32), 평판대(43), 흡착편(44), C형대(46), 호형대(4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에서 이중절곡형포크(31)는 별도의 보조결속부(4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도 2(b)처럼 몸체(20)와 함께 창틀(11)의 외면, 상면, 내면, 바닥면 등 3개소 이상의 지지 상태로 긴밀하게 결속된다. "개소"는 면접촉, 선접촉, 점접촉 상태를 모두 구분하여 카운트한다. 도 3(a)에서 절곡대(32)의 하측으로 경사대(42)를 구비하면 도 3(b)처럼 창틀(11)의 하단에서 3개소 지지 상태로 결속된다. 도 4(a)에서 치형대(33)와 대향하도록 평판대(43)를 힌지로 연결하면 도 4(b)처럼 창틀(11)의 측면 등에서 점지지 상태로 결속된다. 도 5(a)에서 몸체부(20)의 볼조인트(22)와 반대되는 면에 흡착편(44)을 결합하면, 도 5(b)처럼 창틀(11)과 창문(13) 사이의 3개소 지지 외에 흡착편(44)에 의한 진공압으로 결속된다. 흡착편(44)은 창문(13)의 유리창에 부착된다. 도 6(a)에서 7자형포크(35)의 하측으로 별도의 보조결속부(4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도 6(b)처럼 창틀(11)과 창문(13) 사이에 3개소 이상의 지지 상태로 결속된다. 도 7(a)에서 C형대(36)의 하측으로 또 다른 C형대(46)를 형성하면 도 7(b)처럼 수평의 난간(15)과 수직의 난간(15)에 동시에 결속된다. 도 8에서 밴드(37)의 상측으로 호형대(47)를 연장하고 호형대(47)와 맞물리는 별도의 호형홈(48)을 몸체부(20)에 형성하면 난간(15)에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임수단(50)은 가압볼트(51), 토션스프링(53), 조임롤러(55), 볼스프링(5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는 몸체부(20)의 볼조인트(22)에 인접하여 2개의 가압볼트(51)를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다. 이에 도 3(b)처럼 가압볼트(51)를 조이면 절곡대(32)와 경사대(42)에 대한 가압력(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몸체부(20)와 평판대(43) 사이의 힌지에 토션스프링(53)을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다. 몸체부(20)는 고무나 수지재의 톱니형 치형대(33)를 지닌다. 이에 도 4(b)처럼 치형대(33)와 평판대(43)가 창틀(11)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가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8는 밴드(37)의 단부를 원형으로 말아서 조임롤러(55)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호형대(47)의 돌출턱에 다수의 통공(47a)을 형성하고 몸체부(20)의 호형홈(48)에 2개의 볼스프링(57)을 장착한 상태를 예시한다. 이에 밴드(37)를 난간(15)에 결속하여 조이고 몸체부(20)를 결합하면서 볼스프링(57)이 특정의 통공(47a)에 맞물리면 대상체(25)의 자세를 고정하거나 변동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밴드(37)는 내면을 가죽으로 외면을 우레탄 수지로 하는 복합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 창틀 13: 창문
15: 난간 20: 몸체부
22: 볼조인트 25: 대상체
30: 주결속부 31: 이중절곡형포크
32: 절곡대 33: 치형대
35: 7자형포크 36: C형대
37: 밴드 40: 보조결속부
42: 경사대 43: 평판대
44: 흡착편 46: C형대
47: 호형대 48: 호형홈
50: 조임수단 51: 가압볼트
53: 토션스프링 55: 조임롤러
57: 볼스프링

Claims (5)

  1. 수신기를 대상체(25)로 하여 건축물의 창호 또는 난간에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25)를 지지하는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에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건축물에 결속되는 주결속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0)는 대상체(25)의 다방향 자세변동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22)를 구비하고,
    상기 주결속부(30)는 결속력을 증대하도록 보조결속부(40)와 조임수단(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결속부(30)는 이중절곡형포크(31), 치형대(33), 밴드(3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결속부(40)는 평판대(43), 호형대(4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조임수단(50)은 토션스프링(53), 조임롤러(55), 볼스프링(5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3486A 2015-01-09 2015-01-09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KR10165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86A KR101651826B1 (ko) 2015-01-09 2015-01-09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86A KR101651826B1 (ko) 2015-01-09 2015-01-09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134A KR20160086134A (ko) 2016-07-19
KR101651826B1 true KR101651826B1 (ko) 2016-08-30

Family

ID=5661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486A KR101651826B1 (ko) 2015-01-09 2015-01-09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8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230B1 (ko) 1997-12-29 2001-03-02 정몽규 밸브의 유압조정장치
KR100451188B1 (ko) 2002-03-19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장치
KR20090052120A (ko) * 2007-11-20 2009-05-25 최원영 이륜차용 거치대
KR101010303B1 (ko) * 2008-10-15 2011-01-25 이의근 안테나 지지용 기구
KR101240559B1 (ko) * 2010-05-27 2013-03-11 (주)알테크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200461459Y1 (ko) * 2010-07-05 2012-07-13 김석 상품 진열대용 복합 기능 착탈식 광고지 고정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134A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648B2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WO2003099074A3 (en) Canopy
TW200631841A (en) Bicycle seat post
EP1851594A2 (en) Receiver collar
CA2465464A1 (en) Folding pinnacle bending device
WO2009142404A3 (ko) 안테나 접속장치
KR101651826B1 (ko) 수신기 고정용 거치대
US20090146034A1 (en) Anchor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US20160101513A1 (en) Forearm rest for portable saw
KR200442666Y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 소켓
US3452956A (en) Antenna stand
KR200455407Y1 (ko) 이륜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7527230B2 (en) Anchor dock equipped with a bracing rack
WO2007075384A3 (en) Saddle cushioning assembly
US20040173551A1 (en) Supporting frame with adjustable connecting joints
US6977332B2 (en) Anchoring structure for telescopic tubes of drum sets
WO2006088787A3 (en) Portable grill having accessory attachment and portable grill accessories
CN211632140U (zh) 运动手机夹
CN211182494U (zh) 一种具有辅助定位功能的卫星电视天线
KR101166695B1 (ko) 버스의 루프 사이드 패널 곡면부 지그.
CN206564322U (zh) 长尺寸全向天线安装结构
CN216697125U (zh) 一种手持终端的固定带
CN210713630U (zh) 一种高低板材连接件
CN204906478U (zh) 一种手机支架
US20130313208A1 (en) Outdoor unit system and holder for outdoo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