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838A -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838A
KR20080106838A KR1020080043776A KR20080043776A KR20080106838A KR 20080106838 A KR20080106838 A KR 20080106838A KR 1020080043776 A KR1020080043776 A KR 1020080043776A KR 20080043776 A KR20080043776 A KR 20080043776A KR 20080106838 A KR20080106838 A KR 2008010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essure lever
plate
mobile devic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906B1 (ko
Inventor
전준배
Original Assignee
전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674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10683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전준배 filed Critical 전준배
Publication of KR2008010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의 진공흡착 방식에 있어서 좌우회전방식이 아닌 상하가압방식의 레버를 채택하되 사용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경우 가압레버를 쉽게 교체가능하도록 하고, 장기간 중앙이 승강된 흡착판에 중앙을 승강시키는 힘이 소멸한 경우 흡착판의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수명을 늘려 경제성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가 결합되고 바닥면이 편평한 탄성재질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를 가압하며 흡착판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의 베이스캡과,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하 작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판을 승하강시키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의 베이스캡 상면에 형성되어 이후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샤프트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거치대, 가압레버, 체결, 교환, 삽입바, 삽입로드, 톱니, 높이조절

Description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FIXING DEVICE OF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진공흡착 방식으로 바닥면에 부착되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진공흡착 방식에 있어서 좌우회전방식이 아닌 상하가압방식의 레버를 채택하되 사용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경우 가압레버를 쉽게 교체가능하도록 하고, 장기간 중앙이 승강된 흡착판에 중앙을 승강시키는 힘이 소멸한 경우 흡착판의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부재를 구비하고 나아가 안정된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사용수명을 늘려 경제성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정보통신이 급격하세 발전됨에 따라 휴대폰, PDA, PCS, 네비게이션과 같은 휴대기기가 대중화되었으며,이러한 휴대기기는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내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휴대기기를 차량내에 탑재하기 위한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기기 거치대를 차량내 등 바닥면에 부착시키는 방식은 진공흡착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진공흡착방식에는 레버를 좌우로 회전시켜 흡착하는 방식과 레버를 상하 가압하여 흡착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거치대로 회전레버방식을 취한 것으로는 등록실용신안 제376788호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377613호 『차량용 휴대폰케이스 거치대』가 있으며,
가압레버방식을 취한 것으로는 등록실용신안 제428218호 『흡착식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398691호 『차량용 휴대기기케이스 거치대』가 있다.
거치대는 상하가압레버방식이든 좌우회전방식이든 이를 바닥면에 장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레버를 작동시키게 되고, 장착 바닥면이 변경되거나 흡착력이 떨어져 다시 장착하여야 하는 등 사용자는 레버만을 주로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른 레버 파손이 빈번히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회전레버방식과 가압레버방식에 채용된 모든 레버가 거치대 본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즉, 용이하게 레버만을 교체가능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아니어서 레버가 파손되는 등 장시간 사용에 따른 제품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레버만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고 거치대 제품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종래기술에서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 어진 흡착판은 장기간 중앙이 승강된 경우에는 재질의 특성상 중앙을 승강시키는 힘이 소멸하여도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상태로 완전히 복원되지 아니하고 중앙부분이 어느 정도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차후에 다시 거치대를 부착면에 부착시킬 때에는 흡착판의 흡착력이 저감되어 거치대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게 되고 결국 거치대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출원 전 특허등록 제10-810624호 『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가 개시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주고는 있으나, 특허등록 제10-810624호는 본 발명의 제1목적이라 할 수 있는 레버가 교체가능한 구조로 채택되어 있지 않아 레버파손시에는 거치대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공흡착을 위한 가압레버를 거치대에 탈착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레버 파손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함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흡착판의 중앙을 승강시키는 힘이 소멸한 경우에 흡착판의 바닥면이 편평한 상태인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함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기기를 원하는 높이와 방향으로 거치대에 장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외력에 의해서 설정된 높이와 방향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안정성이 구비된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공함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기기 거치대는,
샤프트가 결합되고 바닥면이 편평한 탄성재질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를 가압하며 흡착판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의 베이스캡과,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하 작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판을 승하강시키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의 베이스캡 상면에 형성되어 이후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샤프트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샤프트 상부에는 가압레버의 삽입을 위한 삽입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로를 따라 가압레버의 삽입바가 삽입되어 가압레버가 샤프트에 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기기 거치대는 흡착판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흡착판의 바닥면이 편평해지도록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부에는 휴대기기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부에서 형성되는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기 위항 제1 및 제2 분지로 이루어지는 암부재,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상기 암부재를 수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360도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휴대기기의 회전각 조절은 상기 지지부 상부에 구비되는 축부 외주면에 연속 형성된 대응홈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축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조각편의 수용부 내주면에 형성된 돌부가 걸리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 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흡착을 위한 레버 방식을 가압레버방식으로 구비하되 상기 가압레버를 거치대에서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레버 파손시 거치대 자체를 쓰지못하고 버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착판 내부 중앙부에 자체탄성력이 뛰어난 급속판 형태의 복원부재를 내삽시킴으로서, 거치대를 장기간 부착면에 부착시킨 후에 탈착하여도 흡착판의 바닥면이 곧 편평한 초기상태로 복원됨으로, 거치대를 재차 부착면에 장착하여도 그 흡착력이 감소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기기를 원하는 높이와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특히, 손쉽게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외력에 의해서 설정된 높이와 방향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안정성이 구비된 휴대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차량의 유리와 같이 편평한 부착면에 진공방식으로 흡착되어 흡착부(10)와, 상기 흡착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부(20)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휴대기기가 장착되는 장착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는 흡착판(110), 베이스캡(120), 샤프트(130), 가압레버(140), 그리고 복원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판(110)은, 도 3을 참조하여, 바닥면이 편평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으로 가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형상이다.
또한 상기 흡착판은 유리와 같은 부착면에 긴밀히 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주로 PE, PE, 실리콘 등을 사용하였다. PE나 PP는 장기간 사용하면 탄성력이 감소되고 부착면에 긴밀히 밀착되지 못하여 거치대를 견고히 부착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탄성력과 밀착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우레탄으로 흡착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흡착판의 바닥면 중앙부분에는 하부로 돌출된 보강부(114)를 형성하였다. 상기 보강부는 샤프트의 승하강에 의해 힘이 집중되는 흡착판의 중앙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흡착판이 테두리에는 돌출부(112)를 형성하였다. 상기 돌출부는 흡착판이 하강된 상태에서 부착면에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을 때, 이를 손으로 살짝 들어 흡착판의 바닥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흡착판이 부착면에서 쉽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 도 3과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캡(120)은 상기 흡착판을 감싸며 가장자리에는 흡착판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가압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의 하부 내측으로는 승하강하는 흡착판을 수용하도록 공간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공(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캡 상면에는 지지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흡착판(110)의 중앙에 일단이 내설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캡의 삽입공(126)에 삽입되어 노출된다. 그리고 흡착판에 내설되는 샤프트의 일단에는 샤프트 일단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걸림부(132)가 형성되어 샤프트가 흡착판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캡의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에는 후술하는 가압레버(14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삽입로드(134)가 형성된다.
즉, 본원발명의 가압레버(140)는 상기 삽입로드(134)를 따라 삽입되는 삽입바(142)와, 상기 삽입바 양측에 형성되고 파지부(144a)를 형성하는 레버몸체(144)와, 그리고 상기 레버몸체에 형성되어 가압레버의 상하 가압시 가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탑퍼(146)로 구성되는데,
상기 삽입바(142)를 삽입로드(134)를 따라 샤프트에 삽입시키면 가압레버(140)가 샤프트(130)에 부착되고, 삽입시킨 반대 방향으로 삽입바를 끌어내게 되면 샤프트와 가압레버가 분리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0)에 삽입로드(134)가 형성된 방향이 중요한데, 상기 삽입로드는 삽입로드가 샤프트에 형성되는 시작 지점 즉, 삽입로드 입구(134a)에서 윗방향으로 사선형태로 뻗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형태로 삽입로드(134)가 샤프트(130)에 형성되어야만 삽입로드에 가압레버(140)가 삽입되더라도 가압레버가 샤프트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체결된다.
결국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삽입로드(134)의 형성 모양이 가압레버의 이탈방지수단(160)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삽입로드 형성 모양은 도면에 도시된 직선으로 뻗은 사선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샤프트에 삽입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형태면 족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한 삽입로드 형상 외, 삽입로드 일면에 걸림돌부를 돌출형성하여 삽입된 가압레버의 삽입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삽입로드 형성모양 자체로도 이탈방지수단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압레버(140) 체결시 레버몸체(144) 전방에 형성된 만곡부(140a)를 아래로 향하도록하여 베이스캡(120)과 접촉되는 상태로 삽입바(142)를 삽입로드의 입구(134a)에 삽입시키고, 서서히 레버를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즉 상기 만곡부(140a)가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면서 삽입로드(134)를 따라 삽입로드 끝까지 삽입바(142)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삽입바가 삽입로드의 끝까지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압레버가 샤프트에서 이탈되지 않고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체결 상태에서 가압레버(140)를 아랫 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되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로드(134)에 삽입바(142)가 걸려 안정된 상태로 샤프트가 상승되고 거치대가 바닥면에 흡착되게 된다.
또한 사용에 따라 가압레버 일부가 파손되어 가압레버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방을 향하고 있는 가압레버의 만곡부(140a)를 다시 아랫방향으로 위치시켜 베이스캡(120)과 접촉되도록 가압레버(140)를 회전시킨 후, 삽입로드를 따라 삽입바를 움직여 가압레버를 샤프트에서 분리시킨다. 이 경우, 샤프트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흡착판(110) 저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샤프트(130)를 윗방향으로 승강시켜 삽입로드 입구(134a)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킨다면 가압레버(140)를 샤프트(130)로부터 좀 더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복원부재(150)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흡착판의 바닥면이 판평해지도록 흡착판을 초기상태로 복원시킨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PE, PP,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이 강제로 승강되어 그 상태를 장기간 지속하게 되면, 그 상태로 굳게 되어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 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부착면과 흡착판의 바닥면이 긴밀히 접촉되지 못하고, 재차 흡착판의 중앙을 승강시킬 시에는 승강범위가 줄어 흡착판의 흡착력은 그만큼 약화되어 거치대를 부착면에 견고히 부착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체탄성력이 우수한 원형상의 금속판을 복원부재로 사용하였으며, 상기 금속판을 흡착판(110)의 중앙부(116)에 내삽시켰다. 즉, 상기 복원부재로서 금속판의 중앙에는 샤프트(130)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와 함께 금형 내에 배치된 후에 흡착판과 일체로 사출성형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지지부(20)를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에는 높이조절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지지부에서 연속되어 형성되는 수부재(210) 와, 상기 수부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는 암부재(220)와, 그리고 상기 암부재를 수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암부재(220)는 제1 및 제2 분지(220a, 220b)로 형성되어 수부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암부재(220)를 위치시키고 체결수단으로 암부재를 수부재(210)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암부재의 각 분지(220a, 220b) 내측 하단에는 원판 형상의 슬라이딩판(230)이 결합되는데,
암부재와 접촉되는 슬라이딩판 일면에는 홈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암부재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대응돌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와 대응돌부의 접촉면 내지 그 주변부에는 제1톱니부(240: 240a, 240b)가 형성되어 수부재(210)에 결합되는 암부재(220)의 전후 회전을 방지하면서 원하는 전후 회전각도로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부재(210)에는 상기 슬라이딩판(23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라이딩홈(212)이 더 형성되고,
슬라이딩홈의 저면과 이와 접촉되는 슬라이딩판에도 수부재에 결합되는 암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50; 250a, 250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50)은 앞서 언급한 제1톱니부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암부재가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고 원하는 수부재의 위치에 고정되 도록 한다.
결국, 상기한 암부재에 형성된 대응돌부(222) 및 이와 결합하는 슬라이딩판에 형성된 홈부(232), 그리고 슬라이딩판과 수부재의 슬라이딩홈 저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수단(250)이 높이조절수단을 구성하는 체결수단이 된다.
다만, 상기한 대응돌부(222), 슬라이딩판의 홈부(232), 미끄럼방지수단(250)은 상기 암부재의 제1분지 및 제2분지와 상기 수부재의 양측면,그리고 2 개의 슬라이딩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나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암부재의 제1분지(220a)의 내측 하단에 대응돌부(222)가 형성된다면 이와 결합되는 슬라이딩판의 접면에만 홈부(232)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제1분지 및 슬라이딩판에만 제1톱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부재의 제2분지(220b)의 내측면(220p)과 이와 결합되는 슬라이딩판(이하에서는 제1톱니부가 형성된 슬라이딩판과의 구별을 위하여 230'으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맞추어 설명한다)의 접면(230'p)은 편평하게 면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홈부(232) 및 제1톱니부(240)가 형성되지 않았던 슬라이딩판(230')과 이와 접하는 수부재의 슬라이딩홈(212)의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수부재의 슬라이딩홈(212) 저면과 이와 접하게 되는 슬라이딩판(230')의 접촉면에는 제1톱니부 구성과 같은 톱니부를 구비하게 되고 이것이 미끄럼방지수단되는 것이다. 물론,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된 슬라이딩홈(212)의 반대측 슬라 이딩홈(212')의 저면(212'p)(이 또한 미끄럼수단이 형성된 슬라이딩홈과 구별을 위하여 212'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은 톱니부가 없는 편평한 면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한 슬라이딩홈(212')의 저면(212'p)에 접하는 슬라이딩판(230)의 접면(230p) 또한 편평한 면처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 및 미끄럼방지수단 구성에 대한 상기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에서 A, B, C, D, E 부분을 별도 표시하여 A', B', C', D', E'로 함께 도시하고 있는데,
A' 부분은 A부분의 내측면을 도시한 부분이고,
B' 부분은 B부분의 반대면을 도시한 부분이고.
C' 부분 및 D' 부분은 C부분과 D부분의 반대편 구성을 도시한 부분이다.
그리고 E'부부은 E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상기한 구성의 체결수단 외에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에 대한 암부재의 안정된 체결을 위하여 별도의 체결볼트(262)와 체결너트(26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판(230)에는 지지판(234)을 더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 저면에는 지지판이 삽입되어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로드(214)를 형성하여 체결볼트(2620와 체결너트(264)의 견고한 체결작업을 보조해준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은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높이조절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판의 홈부와 암부재의 대응돌부에 형성된 제1톱니부(240) 구성에 의하여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상하 각도 조절까지 가능하게 하는바, 소위 자바라(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휴대기기를 위치시키는 기존 거치대의 구성에 비하여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미끄럼수단(250) 및 제1톱니부(240) 구성에 의하여 휴대기기를 원하는 위치 및 방향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암부재와 연결되는 것으로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360도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이 구비된다. 즉,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수단은 지지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암부재 상부에 구비되는 축부(310)와, 상기 축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조각편(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각편(320)은 제1 조각편(320a) 및 제2 조각편(320b)으로 이루어지고, 제1 조각편과 제2 조각편이 결합되면서 상기 축부(3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322)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축부(310) 외주면에는 톱니와 같은 형태로 연속 형성된 대응홈부(312)가 있고 상기 조각편의 수용부(322) 내주면에는 돌부(324)가 형성되어 있어서,
360도 회전을 위하여 지지부를 기준으로 조각편(320)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한 대응홈부(312)에 돌부(324)가 걸리면서 회전각이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각편(320) 내측으로는 회전판(410)이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판 또한 후술하는 볼트부의 삽입을 위하여 제1 회전판(410a) 및 제2 회전판(410b)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과 조각편의 접촉면에도 제2톱니부(420: 420a, 420b)를 형성하여 이들이 맞물리면서 돌아가도록 하여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제2톱니부 구성 자체로도 원하는 않은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죔볼트(432) 및 죔나사(434)를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장착부(30)를 살펴보면, 상기 장착부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도면에는 그 일례로서 지지부 상단 좀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판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310)에 나사결합되어 볼트부를 따라 전후진 되고,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받쳐주는 하부받침부(320)와, 휴대기기의 홀더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부에 결합고정되는 상부받침부(330)로 이루어진 장착부를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로써, 도 2a는 흡착부에서 지지부까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지지부에서 장착부까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착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3a는 가압레버의 가압 전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3b는 가압레버의 가압된 상태의 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압레버와 샤프트 및 복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수단을 도시한 내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흡착부 110: 흡착판 120: 베이스캡 130: 샤프트
140: 가압레버 150: 복원부재 160: 이탈방지수단
132: 걸림부 134: 삽입로드 134a: 삽입로드 입구
142: 삽입바 144:레버몸체 146: 스탑퍼 140a: 만곡부
20: 지지부 210: 수부재 212, 212': 슬라이딩홈 214: 슬라이딩로드
220: 암부재 222: 대응돌부
230, 230': 슬라이딩판 232: 홈부 234: 지지판
240: 제1톱니부
250: 미끄럼방지수단
262: 체결볼트 264: 체결너트
30: 장착부 310: 볼트부 320: 하부받침부 330: 상부받침부
310: 축부 312: 대응홈부 320: 조각편 322: 수용부 324: 돌부
410: 회전판 420: 제2톱니부 432: 죔볼트 434: 죔나사

Claims (9)

  1. 샤프트가 결합되고 바닥면이 편평한 탄성재질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테두리를 가압하며 흡착판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의 베이스캡과,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하 작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판을 승하강시키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의 베이스캡 상면에 형성되어 이후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샤프트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상부에는 가압레버의 삽입을 위한 삽입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로를 따라 가압레버의 삽입바가 삽입되어 가압레버가 샤프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삽입되는 가압레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는 흡착판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흡착판의 바닥면이 편평해지도록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원형상의 금속판으로서 흡착부 중앙부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휴대기기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부에서 형성되는 수부재,
    상기 수부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기 위항 제1 및 제2 분지로 이루어지는 암부재,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상기 암부재를 수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암부재의 내측에는 슬라이딩판이 더 결합되되,
    암부재와 접촉되는 슬라이딩판 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부재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대응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와 대응돌부의 접촉면에는 회전방지를 위한 제1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판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라이딩홈이 더 형성되고,
    슬라이딩홈의 저면과 이와 접촉되는 슬라이딩판에는 높이조절수단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장착되는 휴대기기의 360도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휴대기기의 회전각 조절은
    상기 지지부 상부에 구비되는 축부 외주면에 연속 형성된 대응홈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축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조각편의 수용부 내주면에 형성된 돌부가 걸리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KR1020080043776A 2008-03-27 2008-05-13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KR100895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589 2008-03-27
KR20080028589 200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38A true KR20080106838A (ko) 2008-12-09
KR100895906B1 KR100895906B1 (ko) 2009-05-04

Family

ID=4036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776A KR100895906B1 (ko) 2008-03-27 2008-05-13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9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7329A (zh) * 2010-06-24 2011-12-28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支撑机构
KR200471701Y1 (ko) * 2012-12-24 2014-03-11 조영희 독서대용 고정받침대
KR101469018B1 (ko) * 2013-10-29 2014-12-04 주식회사 트라콤 단말장치 거치대
CN108099804A (zh) * 2017-12-11 2018-06-01 郑州天舜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车载手机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283B1 (ko) * 2009-04-24 2013-02-26 (주)알테크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착탈식 화분받침대
KR101337443B1 (ko) * 2012-02-22 2013-12-05 (주)라이트컴 다용도 선반
KR101436954B1 (ko) 2012-11-23 2014-09-04 (주)에이스 힌지텍 단말기 거치대
WO2015111764A1 (ko) * 2014-01-22 2015-07-30 (주)에이스힌지텍 단말기 거치대
KR101565833B1 (ko) 2015-04-03 2015-11-05 톤 레이아웃 엘엘씨 휴대기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75B1 (ko) * 2005-09-05 2006-09-25 김종엽 차량용 거치대
KR100810624B1 (ko) * 2006-11-06 2008-03-06 전연배 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7329A (zh) * 2010-06-24 2011-12-28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支撑机构
KR200471701Y1 (ko) * 2012-12-24 2014-03-11 조영희 독서대용 고정받침대
KR101469018B1 (ko) * 2013-10-29 2014-12-04 주식회사 트라콤 단말장치 거치대
CN108099804A (zh) * 2017-12-11 2018-06-01 郑州天舜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车载手机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906B1 (ko) 2009-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906B1 (ko)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EP2249074B1 (en) Holder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7628364B2 (en) Fixation device
US7793899B2 (en) Structure for a suction device
US10935179B2 (en) Wire pressing and holding device for an extension arm support mechanism
US8087625B2 (en) Article holder with suction cup
US7661648B2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US7458541B1 (en) Tissue roll holder
US20100264182A1 (en) Cell Phone Holder
US7296771B2 (en) Separable ball and socket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mounts
JP5370202B2 (ja) 蓋体及び蓋体構造
TW200928318A (en) Gage enclosure with cover removal mechanism
KR101240559B1 (ko)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20043882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KR200447210Y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1965565B1 (ko) 스마트폰 링홀더
KR102053018B1 (ko) 전동 진공 흡착식 거치 장치
JP2011137508A (ja) スタンド装置
KR101014470B1 (ko) 스티어링휠용 부착물의 고정장치 및 이를 장착한 보조핸들
US20100206879A1 (en) Cup with Elastic Cover
US20120178052A1 (en) Structure of artificial tooth
KR100810624B1 (ko) 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CN218564966U (zh) 一种ccd摄像头
GB2457286A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040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219

Effective date: 201005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000290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130

Effective date: 201005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219

Effective date: 201005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130

Effective date: 20100528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203

Effective date: 201408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320

Effective date: 201408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000033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203

Effective date: 201408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000071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320

Effective date: 201408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200007141;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26

Effective date: 2015091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200007141;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26

Effective date: 2015091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02

Effective date: 201512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300001638;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02

Effective date: 2015122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38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216

Effective date: 201701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