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012B1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012B1
KR100761012B1 KR1020070030423A KR20070030423A KR100761012B1 KR 100761012 B1 KR100761012 B1 KR 100761012B1 KR 1020070030423 A KR1020070030423 A KR 1020070030423A KR 20070030423 A KR20070030423 A KR 20070030423A KR 100761012 B1 KR100761012 B1 KR 10076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d
vehicle
su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현
Original Assignee
배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지현 filed Critical 배지현
Priority to KR102007003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성 패드를 이용하여 점착력과 압착력을 결합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끈한 표면, 또는 매끈하지 않은 표면에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 대상 물품과 대면하는 영역에 오목 홈을 형성하고, 오목 홈을 빨판처럼 이용함으로써 거치대가 결합 대상 물품에 보다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는 거치부, 차량에 부착되는 흡착판, 거치부와 흡착판을 연결하는 지지대, 및 흡착판을 차량에 압착하는 압착 레버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흡착판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 홈이 형성되고,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성 재질로 형성되며, 압착 레버에 의해 가해지는 압착력에 점착력을 부가하는 점착 패드를 구비한다.
점착, 접착, 거치대, 오목 홈, 압착 레버

Description

거치대{Suppor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 거치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흡착 패드가 변형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점착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점착 패드에 형성되는 오목 홈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거치부 120 : 지지대
130 : 흡착판 131 : 하우징
132 : 흡착 패드 140 : 압착 레버
150 : 점착 패드
본 발명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착력과 압착력을 함께 이용하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결합 대상 물품에도 잘 부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는 네비게이터, 소형 컴퓨터, 컵 받침대, 휴대폰 거치대, 및 편 의품을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거치대는 차량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차량에 물품을 결합하기 위해 빨판의 원리를 이용한 흡착 패드를 이용하고 있으며, 흡착 패드가 차량의 유리나 몸체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압착 레버를 이용하여 흡착 패드의 중심부를 당겨주는 방식을 이용한다. 통상의 흡착 패드는 압착 레버를 이용하여 흡착 패드의 중심부를 당겨주지 않을 때는 차량에 부착되지 않으며, 압착 레버를 당겨주지 않으면 네비게이터, LCD, 및 기타 편의품을 차량에 거치할 수 없다. 이는 흡착 패드가 투명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압착 레버에 의해 발생하는 압착력에 의해서만 유리나 차량 몸체에 부착되도록 만들어지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차량에 부착 가능한 물품의 무게는 압착 레버에 의해 당겨지는 힘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결정되며, 흡착 패드가 부착되는 물체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으면 압착력을 발휘할 수 없다. 즉, 기존의 거치대는 표면이 매끄러운 유리에 주로 부착 가능하며, 물체의 표면에 조금이라도 손상이 가는 경우, 압착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매끄럽지 않은 표면에도 부착 가능하며, 점착력에 압착력을 부가함으로써 거치대가 감당할 수 있는 하중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거치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이 거친 곳에도 부착이 용이한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착성 물질을 이용하여 결합 대상 물품에 부착하도록 하며, 점착성 물질이 같는 점착력에 압착력을 더하여 거치 가능한 물품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는 거치부, 차량에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거치부와 상기 흡착판을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흡착판을 상기 차량에 압착하는 압착 레버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 홈이 형성되고,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압착 레버에 의해 가해지는 압착력에 상기 점착력을 부가하는 점착 패드를 구비하는 점착성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점착 패드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판은, 굴곡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압착력이 가해지면 상기 굴곡진 형상을 따라 변형되는 흡착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점착 패드의 일 면은, 상기 흡착 패드와 결합 된다.
상기 흡착 패드와 상기 점착 패드는, 열 접합, 및 본딩 접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합 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는 거치부, 차량에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거치부와 상기 흡착판을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흡착부를 압착하는 압착 레버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굴곡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압착 레버에 의해 생성되는 압착력에 의해 그 형상이 상기 굴곡진 형상을 따르는 점착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점착 패드는, 굴곡진 형상으로 변 하면서 생성되는 흡착력에 재질이 갖는 점착력을 더하는 점착성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점착 패드 사이에 마련되며, 일 면은 상기 점착 패드와 결합되고, 타 면은 상기 압착 레버와 결합되며, 상기 압착 레버에 의해 가해지는 압착력을 상기 점착 패드에 전달하는 흡착 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착 패드와 상기 점착 패드는, 열 접합, 및 본딩 접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 거치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점착성 거치대는, 거치부(110), 흡착판(130), 지지대(120), 압착 레버(140), 및 점착 패드(150)를 구비한다. 거치부(110)는 네비게이터, 휴대폰, LCD 와 같은 차량 용품과 결합되며, 컵 받침대, 및 기타 차량에 부착할 수 있는 물품들과 결합 된다. 이를 위해, 거치부(110)는 삼각 또는 사각의 패널 형태를 가지며, 결합 대상 물품과의 결합을 위해, 자석을 구비하도록 하거나, 나사홈(111 ∼ 114)이 형성되거나,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마련될 수 있다. 흡착판(130)은 굴곡진 형상의 하우징(131), 하우징(131)과 마주하는 흡착 패드(132)를 구비하며, 하우징(131)의 중심부는 결합 봉(143)이 관통하여 흡착 패드(132)의 중심부와 결합된다.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압착 레 버(140)는 레버(141), 견인 축(142), 견인 축(142)에 의해 A 방향으로 견인되는 결합 봉(143)을 구비하며, 결합 봉(143)의 하단은 흡착 패드(132)에 고정시키기 위해 "ㅅ"자 형상을 갖는다. 압착 레버(140)는 견인 축(142)을 기준으로 장축(1A)의 길이가 단축(1B)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며, 일종의 캠(CAM)과 같이 작동한다. 레버(141)를 B 방향으로 움직이면 장축(1A)이 C 방향으로 이동하며, 결합 봉(143)은 A 방향으로 움직인다. 결합 봉(143)이 A 방향으로 이동 시, 결합 봉(143)과 연동 되는 흡착 패드(132)도 A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패드(132)의 중심부에는 진공 영역(G)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흡착 패드(132)가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되면 영역 G와 같은 진공영역을 형성하며, 거치대(100)는 물체에 견고히 결합 된다.
흡착 패드(132)는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유리나 몸체와 같이 매끈한 면을 갖는 곳에 잘 부착된다. 압착 레버(140)는 결합 봉(143)을 통해 흡착 패드(132)와 결합되며, B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결합봉(143)이 A 방향으로 당겨지고, 흡착 패드(132)의 중심부는 하우징(131)의 형태에 따라 변형된다. 한편, 흡착 패드(132)에는 고분자 물질인 폴리우레탄 재질의 점착 패드(150)가 부착된다. 점착 패드(150)를 구성하는 폴리우레탄은 고무보다 강한 마찰 강도와 장력을 가지며, 통상 인치당 500 ∼ 100 lbs의 장력을 가진다. 폴리우레탄이 가지는 장력을 이용하면, 점착 패드(150)는 별도의 접착제나 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도 차량의 유리, 및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기재되는 점착력은 접착력과는 다른 개념으 로, 접착을 위한 별도의 용재나 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착력은 점착 패드(150)를 구성하는 소재(폴리우레탄)의 특성에 의해 결합 대상 물품에 잘 달라붙는 힘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순히 폴리우레탄의 점착력 그 자체를 이용하여 거치대(100)를 차량에 부착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흡착 패드(132)와 점착 패드(150)를 결합하고, 압착 레버(140)를 통해 흡착 패드(132)를 A 방향으로 당길 때, 점착 패드(150)가 함께 견인되도록 함으로써 점착 패드(150)가 갖는 점착력과 흡착 패드(132)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력의 합력을 이용하여 거치대(100)가 차량에 보다 견고히 부착되도록 한다.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은 일반적으로 경화제의 양을 조절하여 자기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분자량이 큰 원료를 사용하게 되면 자기점착성 뿐만이 아니라 탄성도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을 패드 형태로 만들고, 이를 차량의 유리나 몸체에 접합하면, 압착 레버(140)로 당겨주지 않더라도 유리나 차량 몸체에 잘 부착된다.
연성을 자기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차량 몸체, 비정질의 표면에도 잘 부착되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체가 점착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재질이 유연해야 하며, 연성 재질의 점착 패드(150)는 압착 레버(140)와 직접 결합 될 수 없다. 따라서, 점착 패드(150)는 압착 레버(140)에 의해 A 방향으로 당겨지는 흡착 패드(132)와 결합되며, 흡착 패드(132)가 압착 레버(140)에 의해 A 방향으로 당겨질 때 함께 견인되도록 함으로써 소재(폴리우레탄) 자체가 갖는 점착력을 압착력에 추가할 수 있다.
지지대(1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통형의 플라스틱으로 감싸거나, 고무 재질로 코팅한다. 지지대(120)는,
1) 연성을 갖는 하나의 굵은 금속 봉(예컨대 철심)으로 형성하거나,
2) 여러개의 금속 선을 꼬아서 형성할 수 있다.
흡착 패드(132)는 하우징(131)과 점착 패드(150) 사이에 마련되며, 압착 레버(140)가 B 방향으로 작동 시, 하우징의 형상(도면에서는 굴곡진 형상)을 따라 그 형태가 변한다. 본 발명에서 흡착 패드(132)는 결합 대상 물품(예컨대 유리, 차량의 몸체 등)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압착 레버(140)에 의해 변형되는 형태를 점착 패드(150)에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흡착 패드(132)는 유리나 차량의 몸체에 잘 달라붙는 재질일 필요가 없으며, 압착 레버(140)에 의해 그 형상이 하우징(131)의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수준의 연성을 가지면 되고, 점착 패드(150)와 본딩 결합, 또는 열 접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점착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점착 패드(150)는 결합 대상 물품과 대면하는 위치에 오목 홈(151 ∼ 155)이 형성되고, 오목 홈(151 ∼ 155)을 이용하여 결합 대상 물품과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오목 홈(151 ∼ 155)은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점착 패드(150)의 외곽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착 레버(140)에 의해 점착 패드(150)가 굴곡진 형상으로 변형될 때, 점착 패드(150)의 중심부가 결합 대상 물품과 대면하지 않는 특성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오목 홈(151 ∼ 155)은 하우징(131)의 형태에 따라 점착 패드(150)가 변형되더라도 결합 대상 물품과 대면하는 측, 즉 점착 패드(150)가 결합 대상 물품과 항상 대면할 수 있는 곳에 형성된다.
오목 홈(151 ∼ 155)은 점착 패드(150) 내에 형성되는 또 하나의 점착 패드로서 기능 한다. 오목 홈(151 ∼ 155)은 압착 레버(140)에 의해 압착력이 가해질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므로 주변 영역(E)에 비해 결합 대상 물품을 강하게 당긴다. 이는 일종의 문어 빨판과 같이 기능하는 것으로 점착 패드(150)의 외곽부위가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착성 패드를 이용하여 점착력과 압착력을 결합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 유리, 및 기타 다양한 곳에 거치대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점착력을 이용하여 거치대를 부착하면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결합 대상 물품에도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대상 물품과 대면하는 영역에 오목 홈을 형성하고, 오목 홈을 빨판처럼 이용함으로써 거치대가 결합 대상 물품에 보다 견고히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성 재질이 아닌 점착성 재질이 갖는 점착력과 압착력을 결합함으로써 결합 대상 물품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6)

  1.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는 거치부, 차량에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거치부와 상기 흡착판을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흡착판을 상기 차량에 압착하는 압착 레버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 홈이 형성되고,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압착 레버에 의해 가해지는 압착력에 상기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점착력을 부가하는 점착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굴곡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압착력이 가해지면 상기 굴곡진 형상을 따라 변형되는 흡착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점착 패드의 일 면은, 상기 흡착 패드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와 상기 점착 패드는,
    열 접합, 및 본딩 접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거치대.
  5. 삭제
  6. 삭제
KR1020070030423A 2007-03-28 2007-03-28 거치대 KR10076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23A KR100761012B1 (ko) 2007-03-28 2007-03-28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423A KR100761012B1 (ko) 2007-03-28 2007-03-28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012B1 true KR100761012B1 (ko) 2007-10-01

Family

ID=3941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423A KR100761012B1 (ko) 2007-03-28 2007-03-28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0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98B1 (ko) * 2007-05-15 2008-03-20 배진서 차량 거치대
KR101240559B1 (ko) * 2010-05-27 2013-03-11 (주)알테크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101962161B1 (ko) * 2018-01-17 2019-03-26 제트스타 주식회사 외측써레판 록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8691A (ja) * 2001-08-17 200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レジスト除去用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レジスト除去方法
KR20040041106A (ko) * 2004-03-25 2004-05-13 강경욱 부착식 샤워기 홀더
KR20050060036A (ko) * 2005-01-22 2005-06-21 주식회사 엠키 차량용 gps 수신 장치
KR100659389B1 (ko) * 2005-12-23 2006-12-19 김종훈 다용도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8691A (ja) * 2001-08-17 200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レジスト除去用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レジスト除去方法
KR20040041106A (ko) * 2004-03-25 2004-05-13 강경욱 부착식 샤워기 홀더
KR20050060036A (ko) * 2005-01-22 2005-06-21 주식회사 엠키 차량용 gps 수신 장치
KR100659389B1 (ko) * 2005-12-23 2006-12-19 김종훈 다용도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4-0041106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06003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398691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59389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98B1 (ko) * 2007-05-15 2008-03-20 배진서 차량 거치대
KR101240559B1 (ko) * 2010-05-27 2013-03-11 (주)알테크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101962161B1 (ko) * 2018-01-17 2019-03-26 제트스타 주식회사 외측써레판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1783B1 (en) Suction fixture
USD554042S1 (en) Object carrier with exchangable flexible support arm
USD563309S1 (en) Object carrier with exchangeable flexible support arm
CN108597373B (zh) 异形曲面盖板与柔性屏的贴合装置及贴合方法
US20120292466A1 (en) Adhesive supporter
WO2007015641A3 (en) Mount for mounting a device, such as a telephone cradle or a navigation device, to a surface
KR100761012B1 (ko) 거치대
CA2453236A1 (en) Article support device
KR20070102293A (ko) 진공 흡착기
EP1587105A3 (en) In-vehicle player
CN207945464U (zh) 磁吸式车载支架
AU2003269750A1 (en) Securing device
KR100815498B1 (ko) 차량 거치대
WO2023236865A1 (zh) 支架支撑座及支架
CN208978758U (zh) 隐藏式车用磁吸手机支架
KR20090075436A (ko) 거치대의 고정구조
KR100843385B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용 힌지장치
CN101634392A (zh) 底盘结构
KR101240559B1 (ko) 흡착력이 강화된 흡판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CN202400023U (zh) 吸盘装置
KR200478726Y1 (ko) 휴대단말기용 다용도 원터치 거치구
CN214325020U (zh) 一种车载支架底座
KR20090075435A (ko) 거치대의 고정구조
TWM421398U (en) Suction device
CN207706249U (zh) 一种汽车出风口用的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