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412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1412B1 KR101081412B1 KR1020110036071A KR20110036071A KR101081412B1 KR 101081412 B1 KR101081412 B1 KR 101081412B1 KR 1020110036071 A KR1020110036071 A KR 1020110036071A KR 20110036071 A KR20110036071 A KR 20110036071A KR 101081412 B1 KR101081412 B1 KR 1010814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portable terminal
- hole
- pinion
- scr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노트북 피씨(Notebook PC), 테블렛 피씨(Tablet PC), 카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및 포터블 DVD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형 AV기기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한 쌍의 거치부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단과, 상기 받침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단을 포함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각 단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을 회동 및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거치단에 수평각도조절부를 통해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단과, 상기 받침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단을 포함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각 단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을 회동 및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거치단에 수평각도조절부를 통해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노트북 피씨(Notebook PC), 테블렛 피씨(Tablet PC), 카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및 포터블 DVD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형 AV기기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한 쌍의 거치부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하나의 기능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단말기에서 구현되고 있으며, 특히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phone)이라고 통칭 되는 휴대용 전화기(이하 ' 스마트폰' 이라 함)는 전화기능과 더불어 전자우편, 전자책 읽기, 영화 보기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 종래의 피처 폰(feature phone)이 갖지 못한 장점이 있어 사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입력 방식이 키패드와 전자펜 입력방식 및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한 손에 스마트폰을 거치한 후 다른 손으로 화면을 조작하는 형태로서 조작이 직관적이며 사용이 간편하고 크기 또한 종래의 피처폰과 유사한 크기로 휴대성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파지한 후 다른 손으로 화면을 터치하는 형태로 내용을 입력하거나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게 되는데, 장시간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파지하게 되면 손가락 및 손목의 관절에 무리가 생기고, 정지된 상태로 오랫동안 스마트폰을 파지할 수 없어 흔들리는 상태로 화면을 시청하게 되어 사용자의 시력에도 좋지 않고, 나아가 실내에서 스마트폰을 적당히 거치해둘 곳이 없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책상이나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숙인채로 화면을 터치하거나 한 손에 파지한 후 입력하는 것이어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내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구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자동차의 센터페시아 또는 앞유리에 고정된 거치구를 분리한 후 재고정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자동차용 거치구의 경우 흡착판을 이용하여 앞유리에 고정하는데, 흡착판이 부착된 자동차용 거치구는 크기가 크고, 분리한 후 재고정하기 위해 흡착판이 부착될 앞유리를 닦은 후 부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거치구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파지구가 내측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맞닿은 휴대용 단말기를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하게 되나, 스프링의 인장력이 저하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떨어져 사용 중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구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단과 상기 받침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단을 포함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각 단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을 회동 및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거치단에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거치단에 구비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동작실이 구비된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의 동작실에 삽입되며 외측으로 노출된 면에 일정 간격으로 조절돌기가 형성된 조절구와, 상기 동작실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구를 조절돌기가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받침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돌기가 삽입되는 각도조절공이 방사상 형태로 다수개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관통 삽입된 후 상기 조절구의 내측으로 결합하는 누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단의 상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각도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수평각도조절부는, 상기 거치단의 상단과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동구에 각각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되고 좌우에 관통된 한 쌍의 걸림공과 중앙에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토션스프링이 결합된 축나사와, 상기 걸림공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단의 내측에 구비된 가압스프링에 의해 상기 걸림공을 향해 가압 지지되는 가압볼과, 상기 축나사가 나사 결합하며 거치단의 내측에 배치되는 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조절구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맞닿도록 외주면에 환형으로 외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가 결합하는 내측에는 누름구의 끝단이 맞닿는 내부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걸림공은, 상기 가압볼의 유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압볼과 맞닿는 일면에 중앙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나사는, 상기 거치단에 헤드가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에 다리가 배치되되, 상기 헤드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거치단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회전축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중앙에 돌출된 축돌기에 피니언이 결합된 베이스와;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파지구와, 상기 피니언과 기어 물림된 래크와, 상기 슬라이드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돌기가 구비된 집게와; 상기 베이스와 체결나사를 통해 결합되고, 말단이 상기 피니언에 결합되어 피니언과 연동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동작에 따라 압축 또는 해제되는 당김스프링이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린 래크의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해제되는 인장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거치단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누름구를 가압한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뒤 누름구를 가압하던 손을 떼어내면 이와 동시에 거치단의 위치가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으로, 조작이 편리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한 쌍의 집게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 모두를 파지하여 집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후 휴대용 단말기를 집게 사이에 배치한 후 가하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휴대용 단말기마다 상이한 좌우폭 또는 상하폭에 관계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 고정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5b,5c 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7b,7c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각도조절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9b,9c 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5b,5c 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7b,7c 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각도조절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9b,9c 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1)는, 지지부(10)와, 각도조절부(20)와, 수평각도조절부(30) 및 거치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0)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단(11)과 상기 받침단(1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단(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단(11)은, 책상의 상판, 실내의 바닥, 자동차의 센터페시아 등에 배치되는 것으로, 대략 평평한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맞닿는 바닥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고, 저면에는 바닥과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111)가 더 결합되며, 후술하는 거치부(40)의 집게(42)가 삽입되는 집게삽입홈(112)이 형성되어 미사용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단(12)은, 상기 받침단(11)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으로 이루어져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H)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거치단(12)이 상단(121)과 하단(122)의 2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단(121)은, 일측에 휴대용 단말기(H)가 거치되는 거치부(40)를 위한 체결부(1211)가 구비되고, 타측 말단에는 후술하는 수평각도조절부(30)와 결합을 위한 수평축공(121d)과 고정나사공(121e)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11)는, 후술하는 거치부(40)의 결합볼트(433)가 나사 결합하여 고정되는 관통공(121c)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1c)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볼트(433)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당김스프링(434)이 배치되는 안치홈(121b)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축공(121d)과 고정나사공(121e)은, 각각 상단(121)의 타측 말단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평각도조절부(30)의 수평회전축(36)과 고정나사(32)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122)은, 상기 상단(121)과 받침단(11)에 각각 각도조절부(20)를 통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121)에 결합되는 거치부(4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H)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 또는 데이터케이블 등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122a)이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21f)는 상기 상단의 체결부(1211)를 덮는 커버이다.
상기 각도조절부(20)는, 상기 받침단(11)과 하단(122)사이 및 상기 하단(122)과 상단(121)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하단(122)을 받침단(11)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상단(121)을 하단(122)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동구(21)와, 조절구(22)와, 지지구(23)와 누름구(24) 및 코일스프링(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는 상기 거치단(12)의 상단(121)과 하단(122)사이에 구비된 각도조절부(20)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조절구(22)가 삽입된 회동구(21)가 상단(121)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구(21)의 양단이 맞닿는 지지구(23)가 하단(122)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구(24)는 상기 지지구(23)에 관통 결합된 뒤 회동구(21)에 형성된 끼움돌기(213)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코일스프링(25)은 상기 조절구(22)와 회동구(21)사이에서 상기 조절구(22)를 회동구(21)의 반대 방향을 향해 가압 지지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회동구(21)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동작실(211)이 구비되고, 상기 동작실(211)을 구획하는 내벽(212)의 중앙에는 동작실(211)이 형성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끼움돌기(213)가 형성되고, 상기 동작실(2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이동하는 조절구(22)의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수평각도조절부(30)를 통해 상단(121)에 결합되며, 상기 하단(122)에 구비되는 회동구(21)는 하단(12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동작실(211)이 대칭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작실(211)이 한 쌍이 구비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구(22)는, 회동구(21)의 동작실(211)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노출된 일측 단면에 일정 간격으로 조절돌기(221)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동작실(211)에 형성된 멈춤돌기(214)와 맞닿거나 떨어지면서 조절구(22)의 이동을 제한하는 외부단턱(222)이 형성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중앙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224)과, 상기 결합공(224)의 일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24)을 통해 결합된 누름구(24)의 끝단이 맞닿는 내부단턱(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구(23)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되, 막힌 타측에는 상기 조절구(22)의 조절돌기(221)가 삽입되는 각도조절공(231)이 방사상형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고, 중앙에 누름구(24)가 삽입되는 구멍(232)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구(24)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가압면(241)이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24)의 대편에서 내부에 끼움홈(24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봉(242)이 형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25)은, 상기 회동구(21)의 동작실(211)에서 일단은 동작실(211)의 바닥에 맞닿고 타단은 조절구(22)의 외부단턱(222)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조절구(22)를 맞닿은 지지구(23)가 위치하는 방향쪽으로 가압지지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각도조절부(20)의 동작상태를 도 5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a 는 코일스프링(25)이 조절구(22)를 지지구(23)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조절구(22)의 조절돌기(221)가 지지구(23)의 각도조절공(231)에 삽입된 상태이며 이로 인해 상기 조절구(22) 또는 지지구(23)의 회동이 제한되면서 위치가 고정된다.
도 5b 에서는 사용자가 누름구(24)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누름구(24)를 가압함과 동시에 누름구(24)의 가압봉(242) 끝단이 조절구(22)의 내부단턱(223)을 가압하여 회동구(21)의 동작실(211) 내벽(212)쪽으로 조절구(22)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조절구(22)의 조절돌기(221)가 각도조절공(231)에서 빠져나오면서 조절구(22) 또는 지지구(23)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c 는 사용자가 누름구(24)를 가압하여 조절구(22) 또는 지지구(23)의 위치를 조절한 후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가압하던 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구(22)의 외부단턱(222)에 의해 압축되던 코일스프링(25)이 복원되면서 조절구(22)를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해 조절구(22)의 조절돌기(221)가 각도조절공(231)에 삽입되면서 조절구(22)와 지지구(23)의 위치는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상단 또는 하단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누름구를 가압한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뒤 누름구를 가압하던 손을 떼어내면 이와 동시에 상단 또는 하단의 위치가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으로, 조작이 편리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구(22)의 조절돌기(221)는 각도조절공(231)에 삽입될 때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 외부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a의 하단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은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221a)으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상기 경사면(221a)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22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각도조절부(30)는, 거치단(12)의 상단(121)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단(121)과 회동구(21) 사이에 구비되되 고정판(31)과, 고정나사(32)와, 축나사(33)와, 가압볼(34)과, 가압스프링(35)과, 수평회전축(36)과, 토션스프링(37) 및 축너트(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31)은, 상단(121)과 회동구(21)에 각각 고정나사(32)를 통해 고정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볼(34)이 배치되는 걸림공(311)과, 상기 축나사(33)가 관통 결합되는 나사공(3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공(311)은 배치된 가압볼(34)이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볼(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형성되고, 가압볼(34)과 맞닿는 일면이 이동하는 가압볼(34)을 유도하기 위하여 내측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3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면(312)은 가압볼(34)이 걸림공(311)에 유입 또는 배출될 때 가압볼(34)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축나사(33)는, 상단(121)과 회동구(21)에 각각 고정된 고정판(31)을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단(121)의 회전시 회전축의 역활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121)의 내측에 헤드(331)가 위치하고 나사산이 형성된 다리(332)가 회동구(21)쪽에 배치되며, 회동구(21)에 결합된 고정판(31)의 내측에 구비되는 축너트(38)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다리(332)의 외주면을 감싸며 구비된 토션스프링(37)은, 상기 축나사(33)의 헤드(331)와 고정판(31)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단(121)을 파지한 후 회동구(21)가 위치하는 대편 방향으로 당겨서 상단(121)의 각도를 조절할 때 압축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던 상단(121)을 놓음과 동시에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단(121)을 회동구(21)쪽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상기 가압볼(34)은, 상기 회동구(21)의 내측에서 가압스프링(35)에 의해 외측을 향해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동구(21)에 결합된 고정판(31)의 걸림공(311)에 배치되어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노출된 일부가 상단(121)에 결합된 고정판(31)의 걸림공(311)에 유입 또는 배출됨으로써 상단(121)이 회동하거나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회전축(36)은, 축나사(33)의 헤드(331)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거치단(12)의 상단(121)에 형성된 수평회전축공(121d)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축나사(33)의 헤드(331)를 보호하며 동시에 상기 토션스프링(37)의 일단이 맞닿아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수평각도조절부(30)의 동작 상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 에서는 가압스프링(35)이 가압볼(34)을 가압하여 회동구(21)에 결합된 고정판(31)에서 외측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가압볼(34)은 상단(121)에 결합된 고정판(31)의 걸림공(311)에 삽입되어 상단(121)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 7b 는 상기 상단(121)을 사용자가 파지한 후 회동구(21)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상태이며, 이때 상기 상단(121)의 내측에 위치한 축나사(33)에 결합된 토션스프링(37)이 압축되고, 동시에 상단(121)의 걸림공(311)에 결합된 가압볼(34)이 배출되면서 상단(121)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게 된다.
도 7c 는 회동된 상단(121)을 당기던 힘을 해제하여 각도가 조절된 상단(121)을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단(121)을 당기던 힘을 해제하면 토션스프링(37)의 복귀력에 의해 상단(121)은 회동구(21)쪽으로 밀려나가며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구(21)에 결합된 고정판(31)의 걸림공(311)에 배치된 가압볼(34)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단(121)을 회동구(21)와 중심축이 일치한 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킬 때 상기 가압볼(34)이 상단(121)에 결합된 고정판(31)의 걸림공(311)에 유입되어 상단(121)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상단(121)에 결합된 거치부(40)는, 휴대용 단말기(H)와 맞닿아 이를 고정 거치하는 것으로, 베이스(41)와, 집게(42) 및 덮개(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41)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슬라이드공(411)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축돌기(412)가 구비되며, 상기 축돌기(412)에는 피니언(413)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43)와 결합을 위한 체결나사(415)가 구비되고, 상기 축돌기(412)에 일단이 결합된 인장스프링(4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집게(42)는, 휴대용 단말기(H)와 직접 맞닿아 이를 고정하는 것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휴대용 단말기(H)와 맞닿으며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맞닿는 휴대용 단말기(H)의 손상을 방지하는 파지구(421)와, 상기 베이스(41)의 피니언(413)과 기어로 맞물리는 래크(42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41)의 슬라이드공(4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돌기(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43)는, 상기 베이스(41)와 체결나사(415)를 통해 결합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당김축공(432)이 형성된 결합돌기(431)와, 상기 당김축공(432)에 삽입되며 말단이 상기 베이스(41)의 피니언(413)에 결합되어 피니언(413)과 연동되는 결합볼트(433)와, 상기 결합볼트(433)의 동작에 따라 압축 또는 해제되는 당김스프링(434)과, 상기 집게(42)가 출입하는 출입공(4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거치부(40)의 동작 상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도 9에서는 덮개(43)와 베이스(41)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덮개(43)와 베이스(41)의 중앙을 연결하는 중심선을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인 것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도 9a 에서는 집게(42)가 대기 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집게(42)는 덮개(43)의 출입공(435) 내측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 9b 는 사용자가 한 쌍의 집게(42)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 모두를 파지한 후 집게(42)사이의 간격이 떨어지도록 벌리는 상태이다.
이때, 집게(42)에 형성된 래크(422)가 집게(42)의 이동에 따라 맞물린 피니언(413)을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413)의 내측에 결합된 결합볼트(433)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당김스프링(434)이 압축된다.
도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려진 집게(42) 사이에 휴대용 단말기(H)를 배치한 후 사용자가 집게(42)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당김스프링(434)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결합볼트(433)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피니언(413)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래크(422)를 이동시켜 집게(42)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쌍의 집게(42)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 모두를 파지하여 집게(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후 휴대용 단말기(H)를 집게(42) 사이에 배치한 후 가하던 힘을 제거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H)를 거치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휴대용 단말기마다 상이한 좌우폭 또는 상하폭에 관계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 고정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거치구 H : 휴대용 단말기
10 : 지지부 11 : 받침단 12 : 거치단
121 : 상단 122 : 하단 1211 : 체결부
121b : 안치홈 122c : 관통공
20 : 각도조절부 21 : 회동구 22 : 조절구
23 : 지지구 24 : 누름구 25 : 코일스프링
211 : 동작실 212 : 내벽 213 : 끼움돌기
221 : 조절돌기 221a : 경사면 221b : 수직면
222 : 외부단턱 223 : 내부단턱 224 : 결합공
231 : 각도조절공 232 : 구멍
241 : 가압면 242 : 가압봉 243 : 끼움홈
30 : 수평각도조절부 31 : 고정판 32 : 고정나사
33 : 축나사 34 : 가압볼 35 : 가압스프링
36 : 수평회전축 37 : 토션스프링
311 : 걸림공 312 : 테이퍼면 333 : 나사공
40 : 거치부 41 : 베이스 42 : 집게
43 : 덮개
411 : 슬라이드공 412 : 축돌기 413 : 피니언
415 : 체결나사 416 : 인장스프링
421 : 파지구 422 : 래크 423 : 슬라이드돌기
424: 고리
431 : 결합돌기 432 : 당김축공 433 : 결합볼트
434 : 당김스프링 435 : 출입공
10 : 지지부 11 : 받침단 12 : 거치단
121 : 상단 122 : 하단 1211 : 체결부
121b : 안치홈 122c : 관통공
20 : 각도조절부 21 : 회동구 22 : 조절구
23 : 지지구 24 : 누름구 25 : 코일스프링
211 : 동작실 212 : 내벽 213 : 끼움돌기
221 : 조절돌기 221a : 경사면 221b : 수직면
222 : 외부단턱 223 : 내부단턱 224 : 결합공
231 : 각도조절공 232 : 구멍
241 : 가압면 242 : 가압봉 243 : 끼움홈
30 : 수평각도조절부 31 : 고정판 32 : 고정나사
33 : 축나사 34 : 가압볼 35 : 가압스프링
36 : 수평회전축 37 : 토션스프링
311 : 걸림공 312 : 테이퍼면 333 : 나사공
40 : 거치부 41 : 베이스 42 : 집게
43 : 덮개
411 : 슬라이드공 412 : 축돌기 413 : 피니언
415 : 체결나사 416 : 인장스프링
421 : 파지구 422 : 래크 423 : 슬라이드돌기
424: 고리
431 : 결합돌기 432 : 당김축공 433 : 결합볼트
434 : 당김스프링 435 : 출입공
Claims (8)
-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단과, 상기 받침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과 하단으로 이루어진 거치단을 포함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각 단 사이에 배치되어 각 단을 회동 및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거치단에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거치단에 구비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동작실이 구비된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의 동작실에 삽입되며 외측으로 노출된 면에 일정 간격으로 조절돌기가 형성된 조절구와, 상기 동작실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구를 조절돌기가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받침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돌기가 삽입되는 각도조절공이 방사상 형태로 다수개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관통 삽입된 후 상기 조절구의 내측으로 결합하는 누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단의 상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각도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수평각도조절부는,
상기 거치단의 상단과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동구에 각각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되고 좌우에 관통된 한 쌍의 걸림공과 중앙에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토션스프링이 결합된 축나사와,
상기 걸림공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단의 내측에 구비된 가압스프링에 의해 상기 걸림공을 향해 가압 지지되는 가압볼과,
상기 축나사가 나사 결합하며 거치단의 내측에 배치되는 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맞닿도록 외주면에 환형으로 외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가 결합하는 내측에는 누름구의 끝단이 맞닿는 내부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상기 가압볼의 유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압볼과 맞닿는 일면에 중앙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나사는,
상기 거치단에 헤드가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에 다리가 배치되되,
상기 헤드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거치단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회전축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중앙에 돌출된 축돌기에 피니언이 결합된 베이스와;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파지구와, 상기 피니언과 기어 물림된 래크와, 상기 슬라이드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돌기가 구비된 집게와;
상기 베이스와 체결나사를 통해 결합되고, 말단이 상기 피니언에 결합되어 피니언과 연동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동작에 따라 압축 또는 해제되는 당김스프링이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린 래크의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해제되는 인장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071A KR101081412B1 (ko) | 2011-04-19 | 2011-04-19 |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071A KR101081412B1 (ko) | 2011-04-19 | 2011-04-19 |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1412B1 true KR101081412B1 (ko) | 2011-11-08 |
Family
ID=4539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6071A KR101081412B1 (ko) | 2011-04-19 | 2011-04-19 |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141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4652B1 (ko) | 2012-12-12 | 2014-04-14 | 송순영 | 차량용 거치대 |
KR101457359B1 (ko) | 2013-08-06 | 2014-11-10 | 한민형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WO2015156559A1 (ko) * | 2014-04-07 | 2015-10-15 | 김은광 |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
KR101804483B1 (ko) * | 2014-09-11 | 2017-12-04 |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 일체식 셀프촬영장치 |
KR102267229B1 (ko) * | 2020-09-18 | 2021-06-21 | 최성호 | 휴대단말기 거치대 고정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603Y1 (ko) | 2005-12-16 | 2006-03-16 | 이경호 | 휴대기기의 거치대 |
-
2011
- 2011-04-19 KR KR1020110036071A patent/KR1010814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1603Y1 (ko) | 2005-12-16 | 2006-03-16 | 이경호 | 휴대기기의 거치대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4652B1 (ko) | 2012-12-12 | 2014-04-14 | 송순영 | 차량용 거치대 |
KR101457359B1 (ko) | 2013-08-06 | 2014-11-10 | 한민형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WO2015156559A1 (ko) * | 2014-04-07 | 2015-10-15 | 김은광 |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
KR101804483B1 (ko) * | 2014-09-11 | 2017-12-04 |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 일체식 셀프촬영장치 |
KR102267229B1 (ko) * | 2020-09-18 | 2021-06-21 | 최성호 | 휴대단말기 거치대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1412B1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
TWI512428B (zh) | 支撐裝置及使用該支撐裝置的電子裝置 | |
TWI414929B (zh) | 樞軸裝置及擴充基座 | |
US8844098B2 (en) |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 |
US8255015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TWI498709B (zh) | 電子裝置及其支持機構 | |
KR101357009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
US8567739B2 (en) |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 | |
CN105874400B (zh) |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支架 | |
US20120043452A1 (en) |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 |
US10455067B1 (en) | Holder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 |
US20130168288A1 (en) | Support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 |
TWM453337U (zh) | 支架及採用這種支架的平板電子產品 | |
US20220212334A1 (en) |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 |
CN101877735A (zh) | 支撑结构及具该支撑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 |
US20240008209A1 (en) | Portable streaming media player holder | |
KR101429394B1 (ko) | 모바일 기기용 스탠드 거치대 | |
US20150144672A1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 |
CN214222485U (zh) | 可升降和折叠的支架 | |
CN210407436U (zh) | 一种基于tws蓝牙耳机充电盒设有旋转式手机支撑座 | |
KR102064329B1 (ko) | 모바일 기기의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케이스 | |
US2016022406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ain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in a supported operative orientation | |
KR20120047484A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
US20140021323A1 (en) | Book Sized Holder/Cradle and Associated Clamping and Positioning Mechanisms Combined into a Single Articl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Ergonomically Centric Human Interface With a Handheld/Pocket-sized Device While Allowing Access to the Handheld/Pocket-sized Device's Touch Screen and Selected IO Ports and Interface Buttons | |
WO2017143707A1 (zh) | 一种支架及移动终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