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77Y1 - 흡착 유니트 - Google Patents

흡착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77Y1
KR200468477Y1 KR2020080011099U KR20080011099U KR200468477Y1 KR 200468477 Y1 KR200468477 Y1 KR 200468477Y1 KR 2020080011099 U KR2020080011099 U KR 2020080011099U KR 20080011099 U KR20080011099 U KR 20080011099U KR 200468477 Y1 KR200468477 Y1 KR 200468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housing
display unit
suctio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149U (ko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1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7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투명 대상체의 일면에 부착 가능한 흡착판과, 일단은 상기 흡착판에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흡착 가동부를 구비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판과 상기 흡착 가동부 사이로, 사전 설정된 표시 아이콘이 배치된 일면이 상기 흡착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흡착 유니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관통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관통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곽과 소통시키는 디스플레이부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착 유니트{SUPPORT DEVICE}
본 고안은 지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소정의 메세지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구조의 흡착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근래 네비게이션 및 핸즈프리 등의 편의 시설에 대한 활발한 개발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차량 생산시 함께 일체 내장 출시되는 경우도 있으나, 상당 수의 차량의 경우 별도 장치로 운전자가 구입한 후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편의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하는데,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적 활용 및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차량의 윈드 쉴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거치대와 같은 지지대가 필요한데, 통상 흡착패드를 구비하는 거치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거치대의 경우 단순 부착 기능만을 수행할 뿐 별도의 추가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통상 자동차의 경우 운전자의 용무상 일시 주차 등의 행위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운전자는 자신의 연락처를 기재하기 위하여 별도의 메모 내지 부착 시설을 구비하여 함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저해하거나 메모를 통한 메세지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메모지를 배치하는 경우 운전자는 주차 상황 종료 후 차량 대쉬 보드 상에 배치하였던 메모지를 제거하지 않고 운전시 메모지 등에 의한 빛의 반사 내지 차량 윈드 쉴드 내 습기 형성으로 차량 실내 공조 장치 가동시 덕트 배출구의 가림으로 인하여 신속한 습기 제거가 곤란하여 운전자의 주의 분산으로 인한 안전 사고 발생 위험 등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네비게이션 및 핸즈프리 등과 같은 시설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소정의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투명 대상체의 일면에 부착 가능한 흡착판과, 일단은 상기 흡착판에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흡착 가동부를 구비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판과 상기 흡착 가동부 사이로, 사전 설정된 표시 아이콘이 배 치된 일면이 상기 흡착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흡착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흡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관통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관통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곽과 소통시키는 디스플레이부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상기 하우징을 향한 일면 단부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기 위한 흡착판 디스플레이부 수용부를 형성하는 흡착판 디스플레이부 수용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흡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블록을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블록 홀더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착 가동부는: 일단은 상기 흡착판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동 가능한 흡착판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흡착판 연결부와 상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흡착판 연결부에 대하여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대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흡착 가동 유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 연결부의 타단에는 유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유지 연결부와 회동 가 능하게 맞물리는 유지 연결 대응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흡착판 연결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바디 탄성부 지지부가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흡착판 연결부와 그리고 타단은 상기 바디 탄성부 지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흡착판 연결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흡착 가동 탄성부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유지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가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유지 대응 나사산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흡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흡착 가동 유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착 가동 유지 돌기의 가동을 허용하는 돌기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 상기 흡착판의 반대측에는 상기 흡착 가동 유지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흡착 유니트는, 네비게이션 및 핸즈 프리 등과 같은 시설의 차량 실내 장착을 이룸과 동시에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운전자의 주의 분산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흡착 유니트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블록을 구성하 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메세지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10)의 흡착판 및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10)의 작동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흡착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는데, 흡착부(200)의 흡착판(210)이 투명 대상체에 부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0)의 표시 아이콘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에서 흡착판(21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 구성요소가 투영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연결부(12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에는 흡착부(200) 및 디스플레이부(200)가 배치된다. 하우징 연결 부(120)는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에 배치되어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핸즈 프리 등의 장치들과의 위치 고정 연결을 이룸으로써, 네비게이션 등의 거치대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 바디(110)는 바디 흡착 헤드부(111)와 바디 메인부(112)를 구비하는데, 바디 흡착 헤드부(111)와 바디 메인부(112)는 일체로 형성된다. 바디 흡착 헤드부(111)는 바디 흡착 헤드 돔(111-2)과 바디 흡착 헤드 연장부(111-1)를 구비하는데, 바디 흡착 헤드 돔(111-2)은 반구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바디 흡착 헤드 연장부(111-1)는 바디 흡착 헤드 돔(111-2)의 단부에서 하우징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바디 흡착 헤드 연장부(111-1)는 투명 대상체(1, 도 4 참조)와 흡착판(210)이 안정적인 접촉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디 메인부(112)는 일단에서 바디 흡착 헤드부(111)와 연결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바디 메인부(112)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바디 메인부(112) 내부 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가 구비된다.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는 바디 메인부(112)의 내부에 형성되어 바디 메인부(112)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데, 분할된 내부 공간의 일부는 하기되는 흡착 가동 탄성부(240)를 수용하는 바디 탄성부 수용부(113)를 형성한다.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의 중심에는 바디 가동부 관통구(115)가 형성되고, 바디 메인부(112)에는 바디 흡착 헤드부(111)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다른 바디 가동부 관통구(117)가 구비된다.
바디 메인부(112)의 타단에는 하우징 연결부(120)가 구비되는데, 하우징 연 결부(120)는 하우징 연결축(125)을 통하여 하우징 바디(1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하우징 연결축(125)은 일정한 스톱퍼 기능을 구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호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0)는 하우징 연결 바디(121)와 하우징 연결 플레이트(122)와 하우징 연결 장착부(123)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연결 바디(121)는 하우징 연결축(125)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 연결 플레이트(122)는 하우징 연결 바디(121)의 단부에 고정 부착 내지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 연결 장착부(123)는 하우징 연결 플레이트(12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핸즈프리 유니트 등의 외부 장치는 하우징 연결 장착부(123)와 연결되고 하우징 연결 장착부(123)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연결 플레이트(122)는 하우징 연결 바디(121) 및 바디 메인부(112)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연결부(120)는 하우징 연결축(125)을 통하여 하우징 바디(112)에 대하여 단일의 회동축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하우징 연결부(120)는 복수 개의 연결 구조를 통하여 다 자유도 회동 운동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흡착부(200)는 흡착판(210)과 흡착 가동부(220)를 구비하는데, 흡착판(210)은 흡착 가동부(220)에 의하여 가동된다. 흡착판(210)은 투명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데, 흡착판(210)은 가요성 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변형 가능함으로써 투명 대상체(1)에 대한 흡착시 대상체 면과의 사이에 실질적인 진공 상태를 형성하여 흡착부(200) 측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양자 간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흡착판(210)은 흡착판 접촉부(211)와 흡착판 굴곡부(213)를 구비하는데, 흡착판 굴곡부(213)는 흡착 가동부(220)의 일단과 연결되고 흡착판 접촉부(211)는 흡착판 굴곡부(213)의 외주에 일체로 배치된다. 흡착판 접촉부(211)는 하기되는 투명 대상체(1)의 일면 상에 접촉하는 구조를 취하고, 흡착판 굴곡부(213)는 흡착 가동부(220)의 가동에 의하여 위치 변형되는 구조를 취한다.
흡착 가동부(220)는 일단이 흡착판(210)에 부착 연결되어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12)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착 가동부(220)는 흡착판 연결부(230)와 흡착 가동 유지부(250)를 구비하는데, 흡착판 연결부(230)는 일단이 흡착판(210)과 연결되고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흡착 가동 유지부(250)는 일단이 흡착판 연결부(230)와 상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흡착판 연결부(230)는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와 흡착판 연결 바디(233)와 유지 연결부(235,237)를 구비하고 흡착판 연결 바디(233)는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와 유지 연결부(235,237)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들은 개별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의 일면은 흡착판(210)과 연결되는데,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와 흡착판(210)의 연결은 접착제와 같은 구성요소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맞물림/끼움 구조로 서로 체결될 수도 있는 등 양자가 함께 가동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의 타면은 흡착판 연결 샤프트(233)와 연결되는데, 흡착판 연결 샤프트(233)는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를 사이에 두고 흡착판(21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흡착판 연결 샤프트(233)는 하우징 바디(110)의 바디 메인부(112)의 내부에 형성된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의 내측에 형성된 바디 가동부 관통구(115)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흡착판 연결 샤프트(233)의 타단은 바디 메인부(112)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흡착판 연결 샤프트(233)의 단부에는 유지 연결부(235,237)가 구비되는데, 유지 연결부(235,237)는 하기되는 흡착 가동 유지부(250)에 형성되는 유지 연결 대응부(259)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유지 연결부(235,237)는 유지 연결 회동볼(237)과 유지 연결 회동 넥(235)을 구비하고 유지 연결 대응부(259)는 수용홈 구조를 취하는데, 유지 연결 대응부(259)의 입구측은 수용홈 측보다 작은 단면적을 구비하여 유지 연결부와 유지 연결 대응부 간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유지 연결부와 유지 연결 대응부는 소정의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유지 연결 회동볼(237)은 구 형상을 구비하고 유지 연결 회동 넥(235)은 유지 연결 회동볼(237)보다 작은 길이 방향 단면적을 구비하며 유지 연결 회동볼(237)과 흡착판 연결 샤프트(233)의 단부를 연결한다. 유지 연결 회동볼(237)은 유지 연결 대응부(259)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수용됨으로써, 유지 연결부(235,237)와 유지 연결 대응부(259) 간의 상대 회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흡착판 연결 바디(233)는 사각 단면 내지 비원형 단면을 구비하고 바디 가동부 관통구(115)에 의하여 가이드됨으로써 직선 운동만을 이루되 회동 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취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착판 연결부(230)는 길이 방향 직선 운동을 수행하고 흡착 가동 유지부(250)는 회동 운동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 기술되었는데, 이는 본 고안의 일예로서 흡착판 연결부(230)가 길이 방향 가동을 이루고 흡착 가동 유지부가 흡착판 연결부의 이동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흡착 가동 유지부(250)는 흡착판 연결부(230)와 연결되되 흡착판 연결부(230)의 하우징(100)에 대한 상대 운동을 제한하여 하우징(100)에 대하여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를 취한다. 흡착 가동 유지부(250)는 본 실시예에서 나사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흡착 가동 유지부(250)는 바아 타입의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를 구비한다.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의 단부로, 유지 연결 대응부(259)가 구비되는 단부의 타단에는 흡착 가동 유지 노브(255)가 배치된다. 바아 타입의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를 하우징(100)에 대하여 위치 유지시키기 위하여 유지 나사산(253)과 유지 대응 나사산(257)을 구비하는데, 유지 나사산(253)은 바아 타입의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고 유지 대응 나사산(257)은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 메인부(112)의 내측에 형성된 도면 부호 117로 지시되는 바디 가동부 관통구(117)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다.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는 바디 가동부 관통구(117)를 관통하여 배치되는데,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지 나사산(253)과 바디 가동부 관통구(117)의 내주면에 형성된 유지 대응 나사산(257)은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맞물리어 치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10)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되는데, 디스플레이부(300)는 일면 상에 표시 아이콘(301)이 구비된다. 표시 아이콘(301)은 양각 내지 음각 형태 내지는 수 개의 표시 아이콘이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표시 아이콘(301)은 간단한 메모, 예를 들어 핸드폰 전화 번호 내지 간단한 안내 사항 등의 글자 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흡착판(210)과 흡착 가동부(220) 사이에 배치되는데, 표시 아이콘(301)이 배치된 일면이 흡착판(21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300)의 표시 아이콘(301)이 흡착판(210)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흡착판(210)의 반대면에서 표시 아이콘(301)의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00)는 가요성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부 관통구(310)와 디스플레이부 개구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관통구(31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중앙에 형성되는데, 디스플레이부 관통구(310)는 흡착판 연결부(230)의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의 외경보다 큰 값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 개구부(320)는 디스플레이부 관통구(310)가 디스플레이부(300)의 외곽과의 소통 가능하게 하는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관통구(310) 내측에 배치된 점 Q와 디스플레이부(300)의 외곽에 배치된 점 P(도 3 참조)간의 디스플레이부(300)를 관통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부(300)는 형상 변형을 이룰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개구부(320)가 넓혀진 상태로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의 외주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안정적인 장착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흡착판(210)과 흡착 가동부(220)의 사이로 흡착판(210)과 바디 흡착 헤드부(111)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부(300)의 원치 않는 축방향 이동 내지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착판(210)의 외주 단부에 흡착판 디스플레이부 수용단(215)이 구비되는데, 흡착판 디스플레이부 수용단(215)은 디스플레이부(300)의 안정적인 수용 장착을 위한 흡착판 디스플레이부 수용부(216)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300)의 외경은 디스플레이부 수용부(216)의 내경에 맞는 크기를 취하여 양자가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0)가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를 중심으로의 회동 내지 축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장착 수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 한편, 흡착 유니트(10)는 흡착 가동 유지부(250)의 유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되 흡착 유니트(10)의 해제시 원상 복귀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흡착 유니트(10)는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와 흡착 가동 탄성부(240)가 더 구비되는데,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는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 메인부(112)의 내측에서, 내부 중심에 배치되는 흡착판 연결부(2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데,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의 중앙에는 도면 부호 115로 지시되는 바디 가동부 관통구(115)가 배치되어 흡착판 연결부(230)의 관통을 가능하게 한다. 흡착 가동 탄성부(240)는 일단이 흡착판 연결부(230)와, 그리고 타단이 바디 탄성부 지지부(114)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흡착 가동 탄성부(240)는 흡착판(210)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흡착 가동 탄성부(240)의 일단은 흡착판 연결부(230)의 흡착판 연결 플레이트(231)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 유니트(10)를 투명 대상체에서 분리 해제하는 경우 흡착 가동 탄성부(240)에 의한 원위치 복귀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흡착 유니트(10)가 자동차 등에 부착되는 경우 자동차의 미세 진동 등에 의하여 흡착 가동 유지부(250)의 유지 나사산(253)과 유지 대응 나사산(257)의 치합 상태가 원치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흡착 유니트(10)의 흡착판(210)을 투명 대상체(1)의 흡착 유니트(10)를 흡착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흡착판 접촉부(211)가 투명 대상체(1)의 일면에 접하도록 한다. 그런 후, 흡착 유니트(10)를 투명 대상체(1)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흡착판(210)과 투명 대상체(1)의 일면이 서로 밀접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 과정에서 흡착판(210)의 흡착판 접촉부(211)의 중앙에 배치되는 흡착판 굴곡부(213)는 변형되는데, 변형전 굴곡진 흡착판 굴곡부(213)와 투명 대상체(1) 일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었던 공기는 흡착판 접촉부(211)와 투명 대상체(1) 일면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흡착판 굴곡부(213)는 투명 대상체(1)의 일면과 밀접한다.
그런 후, 사용자가 흡착 가동 유지 노브(255)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경우, 유지 나사산(253)과 유지 대응 나사산(257)의 맞물림 치합 회동을 이룸으로써 흡착 가동 유지부(250)는 투명 대상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 회동을 이루며 이동한다. 이때, 흡착 가동 유지부(250)에 연결된 흡착판 연결부(230)와 흡착 가동 유지부(250) 사이에는 상대 회동 운동이 발생하여 흡착 가동 유지부(250)를 따라 길이 방향 직선 운동을 이루되 회동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흡착 가동 유지 노브(255)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한 흡착 가동 유지부(250)의 직선 운동은 이와 연결된 흡착판 연결부(230)에 가해지는 흡착 가동 탄성부(240)에 의한 탄성 압축 저항력보다 큰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기술된 흡착판 연결부의 직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판 연결부(230)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투명 대상체(1)와 밀착된 흡착판(210)의 흡착판 굴곡부(213)는 흡착판 연결부(230)와 함께 투명 대상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흡착판 접촉부(211)는 바디 흡착 헤드부(111) 내지 바디 흡착 헤드부(111)의 단부에 형성된 흡착판 패드(130)와 접촉을 이룸으로써 투명 대상체(1)의 일면과 바디 흡착 헤드부(111) 내지 흡착판 패드(130)에 의하여 양자 사이의 밀접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흡착 가동 유지부(250)의 길이 방향 직선 운동이 소정의 크기만큼 이루어진 경우, 흡착판 연결부(230)와 함께 가동된 흡착판 굴곡부(213)는 투명 대상체(1)로부터 이격되고 흡착판 접촉부(211)는 투명 대상체(1)와 바디 흡착 헤드부(111)의 바디 흡착 헤드 연장부(111-1) 내지 흡착판 패드(130)와의 사이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투명대상체(1)와 흡착판 굴곡부(213) 사이의 공간의 내부 압력은 Pm이고 외부 대기압을 Pa라 할 때, Pm은 대체적으로 Pa보다 상당히 작은 값을 가지는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대기압 Pa이 흡착판 접촉부(211)를 가압함으로써 양자 간의 압력 차에 의한 부착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흡착판(210)과 하우 징(100)의 바디 흡착 헤드 연장부(111-1)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3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흡착판(210) 및 투명 대상체(1)를 통하여 투명 대상체(1)의 다른 일면에서의 디스플레이(300) 상 표시 아이콘(301)의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표시 아이콘이 형성 내지 배치된 디스크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는데,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로 대체한다. 디스플레이부(300a)는 디스플레이 블록(310a)을 구비하는데, 디스플레이 블록(310a)은 하우징(100a)의 하우징 바디(110a)의 바디 흡착 헤드부(111a)의 내측에 삽입 수용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블록(310a)의 일면 상에는 표시 아이콘(311a)이 구비되는데, 표시 아이콘(311a)은 양각, 음각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블록(310a)은 사전 설정된 표시 아이콘(311a)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형태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블록(310a)의 조합을 통하여 원하는 메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블록 타입의 디스플레이 블록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블록이 하우징 바디(110a)의 바디 흡착 헤드부(110a)에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블록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00a)는 디스플레이 블록 홀더(320a)를 더 구비하는데, 디스플레이 블록 홀더(320a)는 블록 홀더 헤드 접촉 부(321a)와, 블록 홀더 헤드 경사부(323a)와, 블록 홀더 디스크(327a)를 구비한다. 블록 홀더 헤드 접촉부(321a)와 블록 홀더 헤드 경사부(323a)는 바디 흡착 헤드부(110a)와 접촉하고, 블록 홀더 헤드 경사부(323a)는 블록 홀더 디스크(327a)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블록 홀더 디스크(327a)에는 블록 홀더 디스크 관통구(325a)가 구비되어 흡착 가동 연결부(230)의 관통을 허용한다. 블록 홀더 헤드 접촉부(321a)와 블록 홀더 헤드 경사부(323a)와 블록 홀더 디스크(327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블록 홀더 헤드 접촉부(321a)와 블록 홀더 디스크(327a)의 각각의 외주 및 내주 단부는 바디 흡착 헤드부(110a)에 고정 장착된다. 즉, 바디 흡착 헤드부(110a)의 외주 단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바디 흡착 헤드 외주 연장부(119)가 구비되고 바디 흡착 헤드부(110a)의 중심에는 흡착판(210)을 향하여 여장 형성되는 바디 흡착 헤드 중앙 연장부(118)가 구비되는데, 바디 흡착 헤드 외주 연장부(119)와 바디 흡착 헤드 중앙 연장부(118)는 각각 블록 홀더 장착부(119a,118a)를 형성한다. 블록 홀더 헤드 접촉부(321a)와 블록 홀더 디스크(327a)의 외주 및 내주는 각각 블록 홀더 장착 단부(322a,328a)를 형성함으로써 바디 흡착 헤드부(110a)에 고정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블록 홀더(321a)는 바디 흡착 헤드부(110a)의 바디 흡착 헤드 돔의 내측면과 공간을 형성하는데, 이 공간에 디스플레이 블록(310a)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요구 사항에 적합한 메세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형성하기 위하여 사전 설정된 구조의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블록 중 원하는 소정의 수 개를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맞는 표시 아이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흡착 유니트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나사산 구조를 통한 흡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고안의 흡착 가동 유지부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흡착 가동 유지부 구조가 도시되는데, 이들 도면은 하우징 바디(110b)의 배면 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하우징 바디(110b)에는 바아 타입의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b)의 가동을 허용하는 바디 가동부 관통구(117b)가 구비되는데,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b)는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외주에 유지 나사산이 배치되지 않는 구조를 취한다. 흡착판(210)이 배치되는 하우징 바디(110b)의 일면 반대측으로 하우징 바디(110b)의 바디 가동부 관통구(117b) 단부 외주에는 돌기 수용부(258b)가 구비되고,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b)의 외주에는 흡착 가동 유지 돌기(253b)가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 바디(110b)에는 흡착 가동 유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흡착 가동 유지 돌기(253b)의 가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돌기 가이드(257b)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b)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착 가동 유지 노브(미도시)에 힘을 가하여 흡착판의 반대 방향으로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b)를 인출하는 경우, 흡착 가동 유지 돌기(253b)는 돌기 가이드(257b)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b)가 안정적으로 회동없이 직선 방향 가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흡착 가동 유지 돌기(253b)가 바디 가동부 관통구(117b)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흡착 가동 유지 노브(미도시)에 회동력을 제공하여 각도 α만큼 회전시켜 흡착 가동 유니 돌기(253b)가 경로 A를 따라 회전하게 함으로써 흡착판 연결부와의 상대 회동 운동을 발생시 킨다. 그런 후, 사용자가 흡착 가동 유지 노브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흡착 가동 탄성부(240, 도 2 참조)의 탄성력에 의하여 흡착 가동 유지 바디(251b)는 하우징 바디(110b)를 향하여 경로 B를 따라 이동하고 흡착 가동 유지 돌기(253b)는 돌기 수용부(258b)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흡착 가동 유지부는 하우징 바디(110b)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고 흡착판(210, 도 1 참조)과 투명 대상체(1)의 일면 간의 흡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여기서 자세히 언급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블록은 일면이 레이저 에칭되어 형성된 표시 아이콘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고 바디 흡착 헤드부(111)의 후방으로 하우징 바디(110)에 수 개의 LED 램프가 구비되고 LED 램프는 소정의 배선을 따라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룸으로써 안정적인 조명 제공을 통한 디스플레이부 시인성 개선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블록 타입의 디스플레이 블록이 중심으로부터 다중열로 배치됨으로써 상황에 따른 다양한 메세지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의 흡착판 및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의 흡착 작동 상태 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 유니트의 작동 전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바디 및 흡착 가동 유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흡착 유니트 100...하우징
200...흡착부 300...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투명 대상체의 일면에 부착 가능한 흡착판과, 일단은 상기 흡착판에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흡착 가동부를 구비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판과 상기 흡착 가동부 사이로, 사전 설정된 표시 아이콘이 배치된 일면이 상기 흡착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 가동부는: 일단은 상기 흡착판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동 가능한 흡착판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흡착판 연결부와 상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흡착판 연결부에 대하여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대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흡착 가동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판 연결부의 타단에는 유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유지 연결부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유지 연결 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관통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관통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곽과 소통시키는 디스플레이부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상기 하우징을 향한 일면 단부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기 위한 흡착판 디스플레이부 수용부를 형성하는 흡착판 디스플레이부 수용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블록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흡착판 연결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바디 탄성부 지지부가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흡착판 연결부와 그리고 타단은 상기 바디 탄성부 지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흡착판 연결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흡착 가동 탄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유지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가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유지 대응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흡착 가동 유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흡착 가동 유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착 가동 유지 돌기의 가동을 허용하는 돌기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 상기 흡착판의 반대측에는 상기 흡착 가동 유지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유니트.
KR2020080011099U 2008-08-20 2008-08-20 흡착 유니트 KR200468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99U KR200468477Y1 (ko) 2008-08-20 2008-08-20 흡착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99U KR200468477Y1 (ko) 2008-08-20 2008-08-20 흡착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149U KR20100002149U (ko) 2010-03-03
KR200468477Y1 true KR200468477Y1 (ko) 2013-08-19

Family

ID=4419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099U KR200468477Y1 (ko) 2008-08-20 2008-08-20 흡착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72Y1 (ko) * 2011-10-10 2013-11-25 영 섭 신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CN113479143B (zh) * 2021-07-08 2023-02-14 深圳亿成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吸附式车载led显示屏及其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460U (ko) * 1997-12-06 1999-07-05 김영찬 도안용 필름을 수용하는 흡착판
KR200438824Y1 (ko) * 2006-11-06 2008-03-06 전연배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460U (ko) * 1997-12-06 1999-07-05 김영찬 도안용 필름을 수용하는 흡착판
KR200438824Y1 (ko) * 2006-11-06 2008-03-06 전연배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149U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5265A (ko) 차량용 거치대
US20190234609A1 (en) Light attachment for inspection tool
KR200468477Y1 (ko) 흡착 유니트
CN212290147U (zh) 折叠机构及可折叠车辆
CN104608705B (zh) 一种隐藏式移动设备夹紧装置
KR20160068545A (ko)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EP1931043A2 (en) Attachment and detachment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2911657U (zh) 车载仪器夹
KR2002466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CN104015666B (zh) 一种搁物架装置及其车辆
KR200454155Y1 (ko) 휴대폰 장착기구
JP2009018638A (ja) 車載用機器取付装置
KR20080000283U (ko) 멀티미디어 장치용 거치대
EP2045129B1 (en) Interior lamp with a wire harness attachment structure
KR100922169B1 (ko) 자동차 내부의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2356557B1 (ko)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CN207617633U (zh) 插入式手机支架
KR20150017170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200445702Y1 (ko) 차량용 스위치 유니트
KR101468643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CN218258010U (zh) 一种汽车中控台饰板结构
CN210047412U (zh) 车载移动终端支架和车辆
CN109793318A (zh) 用于安全带的发光锁扣
JP3845628B2 (ja) 車両用可倒式アンテナ
CN209870277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