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33U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633U KR20190000633U KR2020170004635U KR20170004635U KR20190000633U KR 20190000633 U KR20190000633 U KR 20190000633U KR 2020170004635 U KR2020170004635 U KR 2020170004635U KR 20170004635 U KR20170004635 U KR 20170004635U KR 20190000633 U KR20190000633 U KR 201900006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vehicle
- horizontal member
- vertical member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비게이션과 같은 순정부품의 차량 단말기에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를 차량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누름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 단말기 탈부착시의 이동 경로 길이를 줄여 탈부착시 차량 내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를 차량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누름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 단말기 탈부착시의 이동 경로 길이를 줄여 탈부착시 차량 내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과 같은 순정부품의 차량 단말기에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를 차량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누름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 단말기 탈부착시의 이동 경로 길이를 줄여 탈부착시 차량 내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PDA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IT 기기로써, 네비게이션 용도 등으로 차량의 운전 중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차량용 휴대 단말기를 위한 거치대가 생산 판매되고 있는데,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대시 보드와 같은 패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해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시 보드와 같은 패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설치하면 차후 거치대의 탈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점착 자국이 남고, 전면 유리에 부착시는 전방 시야를 방해하고 주행중 원치 않는 탈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순정부품으로써 운전석 앞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나 카시트의 후면에 설치된 디지털 단말기를 비롯하여 각종 차량 단말기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이러한 차량 단말기에 거치대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비게이션과 같은 순정부품의 차량 단말기에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를 차량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누름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 단말기 탈부착시의 이동 경로 길이를 줄여 탈부착시 차량 내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좌우 측면을 각각 고정하도록 좌우 한 쌍의 제1 거치대 및 제2 거치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대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의 좌측 상단부에 끼워지는 제1 수평부재; 및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좌측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의 우측 상단부에 끼워지는 제2 수평부재; 및 상기 제2 수평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우측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상면 중 좌측 단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평부재의 상면 중 우측 단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장착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저면부에 구비된 누름 버튼이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의 높이 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좌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의 상면에 끼워지는 제1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부재는 상기 제2 수평부재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수평부재의 우측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의 상면에 끼워지는 제2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는 각각 상기 차량 단말기의 상측면과, 상기 상측면에 인접하는 전면부 및 후면부에 밀착되면서 끼워지도록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는 각각 상기 차량 단말기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부분보다 후면부에 밀착되는 부분이 더 길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는 상기 차량 단말기의 좌측면이 안착되도록 좌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직부재는 상기 차량 단말기의 우측면이 안착되도록 우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 및 제2 수직부재는 각각 후방측 단부가 전방측 단부보다 상기 휴대 단말기측으로 더 연장됨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보다 후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 및 제2 수직부재의 상측부는 각각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재와 차량 단말기 사이 및 상기 제2 수평부재와 차량 단말기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 간격을 채우는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량 단말기와 접하는 상기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의 외측면에는 각각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의 내측면은 각각 접착재를 통해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와 휴대 단말기 사이 및 상기 제2 수직부재와 휴대 단말기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 간격을 채우는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접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의 외측면에는 각각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의 내측면은 각각 접착재를 통해 상기 제1 수직부재 및 제2 수직부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순정부품의 차량 단말기에 거치대를 탈부착 가능하게조립하고, 거치대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다. 따라서,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에 부착할 필요없이 차량 단말기에 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단말기에 밀착되는 수평 부재와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수직 부재의 후방부를 각각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차량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한 쌍의 좌우 수평 부재의 상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안착부 위에 휴대 단말기의 양단부를 놓아 장착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수직하게 세워 장착시 휴대 단말기 측면부의 누름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직 부재의 상단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직 부재의 바닥부터 상단 개구부까지의 높이를 낮춘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탈부착시의 이동 경로 길이를 줄여 탈부착시 차량 내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차량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면을 전면이라 하고, 그 반대측 면을 후면이라 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L, 100-R)는 차량 내에 설치된 순정부품의 차량 단말기(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거치대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가 거치된다.
이때, 차량 단말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옆의 대쉬 보드(DB)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한다. 물론, 그 외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카시트의 후면에 부착된 디지털 단말기 등도 차량 단말기에 해당한다.
최근의 차량 단말기(10)는 대쉬 보드(DB) 등에 매립된 방식이 아닌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는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거치대가 차량 단말기(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카시트 후면에 구비된 차량 단말기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때, 거치대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20)는 운전자나 뒷좌석에 앉는 탑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이 대표적일 것이나, 그 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단말기 및 태블릿 PC 등 다양한 타입의 단말기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의 (a)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측면을 각각 고정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한다.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는 차량 단말기(10)의 상측부에 끼워져 조립되며,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형상의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는 차량 단말기(1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를 거치한다.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작됨에 따라 차량 단말기(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폭에 따라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는 차량 단말기(10)에 장착 사용되는 것이므로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며, 휴대 단말기(20)를 지지하도록 그 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한다. 예컨대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는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거치대(100-L)는 휴대 단말기(20)의 좌측 측면(도면기준)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 구성인 제1 수평부재(110-L) 및 상부 구성인 제1 수직부재(120-L)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이들은 일체로 성형 제작된다.
여기서 제1 수평부재(110-L)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10)의 좌측 상단부에 끼워지고, 제1 수직부재(120-L)는 제1 수평부재(110-L)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계된 높이 만큼 연장되어 휴대 단말기(20)의 좌측 측면을 지지한다.
그에 대응하여, 제2 거치대(100-R)는 휴대 단말기(20)의 우측 측면(도면기준)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 구성인 제2 수평부재(110-R) 및 상부 구성인 제2 수직부재(120-R)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이들은 일체로 성형 제작된다.
여기서 제2 수평부재(110-R)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10)의 우측 상단부에 끼워지고, 제2 수직부재(120-R)는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계된 높이 만큼 연장되어 휴대 단말기(20)의 우측 측면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거치대(100-L)의 제1 수평부재(110-L)와 제2 거치대(100-R)의 제2 수평부재(110-R)는 각각 차량 단말기(10)의 상측 측면을 따라 조립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계된 길이를 가지며, 차량 단말기(10)의 두께 방향으로 감싸도록 일정 폭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1 수평부재(110-L)와 제2 수평부재(110-R)는 각각 차량 단말기(10)의 상측면과, 그 상측면에 인접하는 전면부 및 후면부에 밀착되면서 끼워지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 단말기(10)의 상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예컨대,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단면 형상은 하측을 바라보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 단말기(10)의 상측면, 전면 및 후면에 밀착 조립된다.
다만, 차량 단말기(10)의 전면에 구비된 화면(디스플레이 패널)을 가리지 않도록 상측면에서 전면 하방으로 절곡된 후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일정 길이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거치대(100-L)의 제1 수직부재(120-L)와 제2 거치대(100-R)의 제2 수직부재(120-R)는 각각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측면을 지지한다. 휴대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가 있는 전면부가 운전자 등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제1 수직부재(120-L)와 제2 수직부재(120-R) 사이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1 수직부재(120-L)는 차량 단말기(10)의 좌측면이 안착되도록 좌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대향하도록 제2 수직부재(120-R)는 차량 단말기(10)의 우측면이 안착되도록 우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판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단면은 둥근 형상(반원형, U자형 등)으로 굴곡지게 형성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가 거치되는 내측 방향이 개방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20)가 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내측면 중심부로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측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내측면 전/후방부는 휴대 단말기(20)의 전면 및 후면을 지지하면서 휴대 단말기(2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한다.
제1 수직부재(120-L)의 전후방측 단부에 구비된 보강 프레임(F-L)은 제1 수직부재(120-L)를 강도를 보강하여 휴대 단말기(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제2 수직부재(120-R)의 전후방 양측 단부에도 보강 프레임(F-R)이 구비된다.
다만, 도 2a에서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는 그 상단부가 편평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단부는 전후방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성형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가 있는 전면부가 운전자 등을 향하도록 휴대 단말기(20)를 세워서 제1 수직부재(120-L)와 제2 수직부재(120-R) 사이에 장착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의 하측 단면부에 구비된 누름 버튼(B)이 제1 수직부재(120-L)와 제2 수직부재(120-R)의 상면에 닿아 잘못 눌려질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제1 수평부재(110-L)의 상면 중 좌측 단부에는 휴대 단말기(20)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130-L)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여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 중 우측 단부에는 제2 안착부(130-R)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20)는 제1 수직부재(120-L)와 제2 수직부재(120-R) 사이에 삽입되므로, 제1 안착부(130-L)는 제1 수평부재(110-L)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되 제1 수직부재(120-L)보다는 내측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2 안착부(130-R)는 제2 수평부재(110-R)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되 제2 수직부재(120-R)보다는 내측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제1 안착부(130-L)는 제1 수직부재(120-L)의 내측면에 맞닿는(혹은 거의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안착부(130-R)는 제2 수직부재(120-R)의 내측면에 맞닿는(혹은 거의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안착부(130-L) 및 제2 안착부(130-R)는 일 예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단면이 원형이고 상면이 편평한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그 외 다른 형상 역시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제1 안착부(130-L) 및 제2 안착부(130-R)의 상면에는 휴대 단말기(20)가 끼워지는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의 (b)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20)를 세워 장착시, 휴대 단말기(20)의 하측면에 구비된 누름 버튼(B)이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으로부터 제1 안착부(130-L) 및 제2 안착부(130-R)의 높이 만큼 이격되어 공중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누름 버튼(B)이 거치대에 의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 역시 차량 단말기(10)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거치대(100-L)는 차량 단말기(10)에 장착되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가 지지되는 제1 수직부재(120-L)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수평부재(110-L)의 상면에는 제1 안착부(130-L)가 구비된다.
또한, 제2 거치대(100-R)는 차량 단말기(10)에 장착되는 제2 수평부재(110-R)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가 지지되는 제2 수직부재(120-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에는 제2 안착부(130-R)가 구비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제1 수평부재(110-L)의 외측(좌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L1) 연장된 제1 연장부재(111-L)를 더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수평부재(110-R)의 외측(우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L1) 연장된 제2 연장부재(111-R)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부재(120-L)는 제1 수평부재(110-L)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고, 제1 연장부재(111-L)는 제1 수평부재(110-L)의 좌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더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1 연장부재(111-L)는 차량 단말기(10)의 상면에 끼워지도록 제1 수평부재(110-L)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2 수직부재(120-R)는 제2 수평부재(110-R)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고, 제2 연장부재(111-R)는 제2 수평부재(110-R)의 우측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더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2 연장부재(111-R) 역시 차량 단말기(10)의 상면에 끼워지도록 제2 수평부재(110-R)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가 차량 단말기(10)에 고정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가 각각 차량 단말기(10)의 좌우 외측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량 단말기(10)에 장착시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폭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하기 쉽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차량 단말기(10)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거치대(100-L)는 차량 단말기(10)에 장착되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가 지지되는 제1 수직부재(120-L)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수평부재(110-L)의 상면에는 제1 안착부(130-L)가 구비된다.
또한, 제2 거치대(100-R)는 차량 단말기(10)에 장착되는 제2 수평부재(110-R)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가 지지되는 제2 수직부재(120-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에는 제2 안착부(130-R)가 구비된다. 이점은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는 각각 차량 단말기(10)의 전면부(디스플레이가 위치한 면)에 밀착되는 부분보다 후면부에 밀착되는 부분이 더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는 각각 그 단면이 하측을 바라보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상면에서 전방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전면 밀착부보다 상면에서 후방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면 밀착부가 설정된 길이(L2) 만큼 더 길다.
즉,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는 각각 후면 밀착부의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설정된 길이(L2) 만큼 밀착 보강부(112-L/R)가 더 연장되어 있어서, 차량 단말기(10)에 장착시 고정되는 힘을 증가시키고 거치대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단부에 각각 구비된 경사부(121-L/R)는 휴대 단말기(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이 제3 실시예는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단부가 편평한 경우는 물론, 경사부(121-L/R)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후방부를 전방부보다 길게 함에 있어서,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는 다양한 타입의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121-L/R)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거치대(100-L)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1 수직부재(120-L)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수평부재(110-L)의 상면에는 제1 안착부(130-L)가 구비된다.
또한, 제2 거치대(100-R)는 제2 수평부재(110-R) 및 제2 수직부재(120-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에는 제2 안착부(130-R)가 구비된다. 이점은 다른 실시예와 같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는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가 각각 후방측 단부(휴대 단말기의 후면측)가 전방측 단부(휴대 단말기의 전면측)보다 일정 길이(L3)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된 것을 특징부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는 일 예로 단면이 반원이나 U자형 등으로 구성되어 그 내측 홈 부에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측면이 삽입 및 지지되는 방식으로 거치된다.
따라서,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후방측 단부를 휴대 단말기(20)측으로 더 연장시켜 그 연장된 부분에 지지 보강부(122-L/R)를 구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20)의 후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더 넓도록 한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다만,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도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단부가 편평한 타입이나 경사부(121-L/R)가 있는 타입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거치대(100-L)는 제1 수평부재(110-L),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1 안착부(130-L)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거치대(100-R)는 제2 수평부재(110-R), 제2 수직부재(120-R) 및 제2 안착부(130-R)를 포함하며, 이점은 다른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수직부재(120-L)와 제2 수직부재(120-R)의 상단부에 각각 경사부(121-L/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사부(121-L/R)는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측부에는 후방측(휴대 단말기의 후면측)에서 전방측(휴대 단말기의 전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경사부(121-L/R)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slope) 형상으로 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 계단(step) 형상으로 단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것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21-L/R)는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측부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경사부(121-L/R)에 대응하는 성형부가 구비된 성형틀에 원료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로써 측면도인 도 6의 (b)와 같이,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는 각각 그 저면부터 상단부까지의 높이가 경사부(121-L/R)를 따라 서로 다르게 된다. 특히, 운전자 등 사용자가 있는 전방측(휴대 단말기의 전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의 탈부착시 그 이동 경로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예컨대, 장착된 휴대 단말기(20)를 직상부로 들어올린 후 운전자 등 사용자가 있는 전방측으로 잡아당겨 탈착시킬 때 경사부(121-L/R)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부분을 통해 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만약,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와 다르게 경사부(121-L/R)가 없다면, 휴대 단말기(20)를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측 개구를 완전히 벗어나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높이를 낮춰야 하고,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20)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경사부(121-L/R)가 없다면 휴대 단말기(20)를 상대적으로 높이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전면 유리 등 차량내 구조물에 충돌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소형 차량 등에서 특히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고안은 경사부(121-L/R)에 의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a)와 같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거치대(100-L)는 제1 수평부재(110-L),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1 안착부(130-L)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거치대(100-R)는 제2 수평부재(110-R), 제2 수직부재(120-R) 및 제2 안착부(130-R)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6 실시예는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는 차량 단말기(10)의 두께와 무관하게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에 구비된 끼움부 폭이 차량 단말기(10)의 두께보다 큰 경우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를 삽입하여 간격을 메움으로써 거치대가 차량 단말기(10)에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수평부재(110-L)와 차량 단말기(10) 사이의 공간부(간격) 및 제2 수평부재(110-R)와 차량 단말기(10) 사이의 공간부(간격)에는 각각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가 삽입된다.
특히, 차량 단말기(10)와 접하는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외측면에는 각각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부(141a)가 구비되어 있다. 논슬립 패드부(141a)는 일 예로 사선(혹은 격자) 형상의 패턴을 돌출시킨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논슬립 패드부(141a)는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표면에 별도로 부착되거나 혹은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표면을 특수 가공 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내측면과 접하는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내측면은 각각 접착재(AD)를 통해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에 부착된다. 접착재(AD)로는 대표적으로 양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도 7의 (b)와 같이,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두께나 형상은 조절될 수 있다. 즉, 차량 단말기(10)의 두께에 따라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으며, 부착 면적을 향상시키도록 다양한 형상의 변형도 가능하다.
또한, 위와 같은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가 후방측 밀착부의 길이가 전방측 밀착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경우나 그렇지 않은 어느 경우에나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는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부에 경사부(121-L/R)가 있는 경우는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예: 편평한 경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후방부가 더 긴 경우나 그렇지 않은 어느 경우에나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7 실시예는 차량 단말기용 가압기(142)를 더 포함하여, 차량 단말기(10)의 두께와 무관하게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제7 실시예는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하되, 그 중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에는 각각 차량 단말기용 가압기(142)가 설치된다.
차량 단말기용 가압기(142)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전방측 밀착부 또는 후방측 밀착부 중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으며, 밀착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 단말기(10)를 가압 고정하거나 해제한다.
이때, 외관을 위해서라면 후방측(차량용 단말기 후면측)에 설치되어 운전자 측에 보이지 않도록 한다. 반면, 사용 편리성을 위해서라면 전방측(차량용 단말기 전면측)에 설치되어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서는 외관을 위해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후방측 밀착부에 각각 차량 단말기용 가압기(142)를 설치한 것을 일 예로 들었다.
이러한 차량 단말기용 가압기(142)는 일 예로 손잡이(142a), 나사 몸체(142b) 및 가압부(14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에는 나사 몸체(142b)가 끼워지는 나사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나사 몸체(142b)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나사공에 관통하여 끼워지며, 손잡이(142a)는 나사 몸체(142b)의 외측 단부에 고정된다. 가압부(142c)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내측에 구비된 차량 단말기(10) 삽입 공간에서 나사 몸체(142b)의 내측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각각 차량 단말기(10)의 상측부에 끼운 후, 외측에서 손잡이(142a)를 잡고 돌리면 나사 몸체(142b)와 함께 가압부(142c)가 내측으로 이동하며 차량 단말기(10)를 가압 고정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의 (a)와 같이, 본 고안의 제9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거치대(100-L)는 제1 수평부재(110-L),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1 안착부(130-L)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거치대(100-R)는 제2 수평부재(110-R), 제2 수직부재(120-R) 및 제2 안착부(130-R)를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의 제8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는 휴대 단말기(20)의 두께와 무관하게 거치대에 거치될 수 있게 한다.
도 9의 (b)와 같이,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끼움부 폭이 휴대 단말기(20)의 두께보다 큰 경우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를 삽입하여 간격을 메움으로써 삽입 장착된 휴대 단말기(20)가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수직부재(120-L)와 휴대 단말기(20) 사이의 공간부(간격) 및 제2 수직부재(120-R)와 휴대 단말기(20) 사이의 공간부(간격)에는 각각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가 삽입된다.
특히, 도 7에서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를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20)와 접하는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의 외측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부(151a)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내측면과 접하는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의 내측면은 각각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재(AD)를 통해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에 부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9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용 가압기(152)를 더 포함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20)의 두께와 무관하게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제9 실시예는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하되, 그 중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에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가압기(152)가 설치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가압기(152) 역시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전방측 지지부 또는 후방측 지지부 중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20)를 가압 고정하거나 해제한다.
이때, 외관을 위해서라면 후방측(휴대 단말기 후면측)에 설치되어 운전자 측에 보이지 않도록 한다. 반면, 사용 편리성을 위해서라면 전방측(휴대 단말기 전면측)에 설치되어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서는 외관을 위해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후방측 지지부에 각각 휴대 단말기용 가압기(152)를 설치한 것을 일 예로 들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가압기(152) 역시 차량 단말기용 가압기(142)와 마찬가지로 일 예로 손잡이(152a), 나사 몸체(152b) 및 가압부(15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에는 나사 몸체(152b)가 끼워지는 나사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 사이에 휴대 단말기(20)를 세워 삽입한 후, 외측에서 손잡이(152a)를 잡고 돌리면 나사 몸체(152b)와 함께 가압부(152c)가 내측으로 이동하며 휴대 단말기(20)를 가압 고정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L: 제1 거치대
110-L: 제1 수평부재
120-L: 제1 수직부재
130-L: 제1 안착부
100-R: 제2 거치대
110-R: 제2 수평부재
120-R: 제2 수직부재
130-R: 제2 안착부
121-L, 121-R: 경사부
141, 151: 인서트
142, 152: 가압기
110-L: 제1 수평부재
120-L: 제1 수직부재
130-L: 제1 안착부
100-R: 제2 거치대
110-R: 제2 수평부재
120-R: 제2 수직부재
130-R: 제2 안착부
121-L, 121-R: 경사부
141, 151: 인서트
142, 152: 가압기
Claims (10)
- 휴대 단말기(20)의 좌우 측면을 각각 고정하도록 좌우 한 쌍의 제1 거치대(100-L) 및 제2 거치대(100-R)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대(100-L)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10)의 좌측 상단부에 끼워지는 제1 수평부재(110-L); 및 상기 제1 수평부재(110-L)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20)의 좌측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수직부재(120-L);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대(100-R)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10)의 우측 상단부에 끼워지는 제2 수평부재(110-R); 및 상기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20)의 우측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수직부재(120-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110-L)의 상면 중 좌측 단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20)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130-L)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 중 우측 단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20)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130-R)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20)를 장착시, 상기 휴대 단말기(20)의 저면부에 구비된 누름 버튼(B)이 상기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안착부(130-L) 및 제2 안착부(130-R)의 높이 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120-L)는 상기 제1 수평부재(110-L)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수평부재(110-L)의 좌측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10)의 상면에 끼워지는 제1 연장부재(111-L)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부재(120-R)는 상기 제2 수평부재(110-R)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수평부재(110-R)의 우측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10)의 상면에 끼워지는 제2 연장부재(111-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는 각각
상기 차량 단말기(10)의 상측면과, 상기 상측면에 인접하는 전면부 및 후면부에 밀착되면서 끼워지도록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는 각각 상기 차량 단말기(10)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부분보다 후면부에 밀착되는 부분이 더 길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120-L)는 상기 차량 단말기(10)의 좌측면이 안착되도록 좌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직부재(120-R)는 상기 차량 단말기(10)의 우측면이 안착되도록 우측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는 각각 후방측(휴대 단말기 후면측) 단부가 전방측(휴대 단말기 전면측) 단부보다 상기 휴대 단말기(20)측으로 더 연장됨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20)의 전면보다 후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의 상측부는 각각 후방측(휴대 단말기 후면측)에서 전방측(휴대 단말기 전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부(121-L/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110-L)와 차량 단말기(10) 사이 및 상기 제2 수평부재(110-R)와 차량 단말기(10)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 간격을 채우는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량 단말기(10)와 접하는 상기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외측면에는 각각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부(141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량 단말기용 인서트(141)의 내측면은 각각 접착재(AD)를 통해 상기 제1 수평부재(110-L) 및 제2 수평부재(110-R)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120-L)와 휴대 단말기(20) 사이 및 상기 제2 수직부재(120-R)와 휴대 단말기(20)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 간격을 채우는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20)와 접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의 외측면에는 각각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부(151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151)의 내측면은 각각 접착재(AD)를 통해 상기 제1 수직부재(120-L) 및 제2 수직부재(120-R)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635U KR200489154Y1 (ko) | 2017-09-01 | 2017-09-01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635U KR200489154Y1 (ko) | 2017-09-01 | 2017-09-01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633U true KR20190000633U (ko) | 2019-03-11 |
KR200489154Y1 KR200489154Y1 (ko) | 2019-05-09 |
Family
ID=6572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4635U KR200489154Y1 (ko) | 2017-09-01 | 2017-09-01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15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8286B1 (ko) * | 2019-09-17 | 2020-07-27 | 박성욱 | 핸드폰 거치 스테레오 스피커 및 그의 제조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34681A (ko) * | 2011-09-29 | 2013-04-08 | 한규진 | 자동차 계기판 박스(Box)안쪽에 설치하는 핸드폰 거치대 |
KR20130006990U (ko) * | 2012-05-28 | 2013-12-06 | 이나원 | 평면모니터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101533387B1 (ko) * | 2014-03-03 | 2015-07-10 | 제이와이커스텀(주) | 오디오 노브에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KR20150144476A (ko) * | 2014-06-17 | 2015-12-28 | 이나원 | 평면모니터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101601112B1 (ko) | 2014-05-14 | 2016-03-0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60065664A (ko) | 2014-12-01 | 2016-06-09 | (주)제이에스엠 |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
KR200483134Y1 (ko) | 2015-12-03 | 2017-04-06 | 설성문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
2017
- 2017-09-01 KR KR2020170004635U patent/KR200489154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34681A (ko) * | 2011-09-29 | 2013-04-08 | 한규진 | 자동차 계기판 박스(Box)안쪽에 설치하는 핸드폰 거치대 |
KR20130006990U (ko) * | 2012-05-28 | 2013-12-06 | 이나원 | 평면모니터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101533387B1 (ko) * | 2014-03-03 | 2015-07-10 | 제이와이커스텀(주) | 오디오 노브에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KR101601112B1 (ko) | 2014-05-14 | 2016-03-0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50144476A (ko) * | 2014-06-17 | 2015-12-28 | 이나원 | 평면모니터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60065664A (ko) | 2014-12-01 | 2016-06-09 | (주)제이에스엠 |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
KR200483134Y1 (ko) | 2015-12-03 | 2017-04-06 | 설성문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8286B1 (ko) * | 2019-09-17 | 2020-07-27 | 박성욱 | 핸드폰 거치 스테레오 스피커 및 그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9154Y1 (ko) | 2019-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36563A (en) | Mobile phone holder | |
US9975493B2 (en) | Vehicular console device | |
US20150151690A1 (en) | Height adjustable holder for mobile device | |
US20200070708A1 (en) | Console having a cup holder | |
US20160214520A1 (en) | Assist grip | |
KR20160001328A (ko) |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
US10793083B1 (en) | Item holding assembly for a vehicle | |
US20080142651A1 (en) | Cradle for Mobile Phones and Ejector Device Thereof | |
CN101734200A (zh) | 车辆用收纳装置 | |
KR200489154Y1 (ko)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
KR101048549B1 (ko) |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 |
KR101969661B1 (ko) | 음료 용기 보유 장치 | |
JP2021146783A (ja) | 車両用収納構造 | |
JPH0350039A (ja) | 東両用カップホルダ | |
KR100540398B1 (ko) | 휴대폰 거치대 | |
JP3028591U (ja) | 携帯電話ホルダ | |
JPH0735190U (ja) | バン型車両におけるパッケージトレイの支持構造 | |
JP2020031282A (ja) | 自動車用スマートフォンホルダ | |
JP4247381B2 (ja) | 自動車用内装部品に備えたポケット装置 | |
JP3049378B2 (ja) | 車両用収納装置 | |
CN213442337U (zh) | 车内置手机夹持装置及汽车 | |
CN221213643U (zh) | 一种可左右滑动的汽车中控箱杯托、中控箱及车辆 | |
JPH10129365A (ja) | 電話機ホルダー | |
CN109963014B (zh) | 一种可伸缩手机夹持装置 | |
JP2000264134A (ja) | 車載用携帯電話機ホルダ支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