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189B1 -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189B1
KR100541189B1 KR1020040085603A KR20040085603A KR100541189B1 KR 100541189 B1 KR100541189 B1 KR 100541189B1 KR 1020040085603 A KR1020040085603 A KR 1020040085603A KR 20040085603 A KR20040085603 A KR 20040085603A KR 100541189 B1 KR100541189 B1 KR 10054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bile phone
phone case
clip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이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상 filed Critical 이호상
Priority to KR102004008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핸드폰케이스를 편리하게 직접 거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차량뿐만 아니라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에도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에 천공된 축공(11)의 양측 상부로 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연결관(13)이 돌출된 베이스(10); 상기 축공(1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흡착판(30); 상기 샤프트(20)의 상부에 끼워져 경사면(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샤프트(20)를 승강시키는 레버(40); 상기 샤프트(20)의 상단에 체결되는 스냅링(50); 상기 연결관(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대(60); 상기 지지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이 끼워지는 클립홈(71)을 구비하는 거치부재(70); 상기 클립홈(71)에 설치되어 클립(2)의 자석(3)을 부착시키는 금속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흡착판, 금속판, 자석

Description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cellular phone case adhesion holder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a,6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휴대폰케이스 2 : 클립
3 : 자석 10 : 베이스
11 : 축공 11a : 키홈
12 : 경사면 13 : 연결관
14 : 회전방지턱 15 : 걸림턱
20 : 샤프트 20a : 키
30 : 흡착판 40 : 레버
50 : 스냅링 60 : 지지대
70 : 거치부재 71 : 클립홈
80 : 금속판 90 : 홀더
91 : 양면테이프
본 발명은 핸드폰케이스를 부착시키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핸드폰케이스를 편리하게 직접 거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차량뿐만 아니라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에도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중 핸드폰을 부착하여 전화가 오면 운전자가 신속하게 핸드폰을 받을 수 있도록 한 핸드폰 거치대가 설치되고, 이러한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방 대시보드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나사체결을 통해 대시보드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일단 설치한 다음에는 차량으로부터 자유자재로 분해할 수 없는 문제 점이 있었으며, 특히 대시보드에 나사자국이 남고 고정 시 무리한 힘이 가해질 경우 대시보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구조적으로 차량에만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에는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핸드폰을 편리하게 허리에 차고 다닐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핸드폰을 직접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즉 핸드폰케이스를 직접 부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운전 시 핸드폰을 차량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핸드폰케이스로부터 핸드폰을 분리한 상태에서 핸드폰을 거치대에 부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핸드폰케이스를 편리하게 직접 거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차량뿐만 아니라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에도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공의 양측 상부로 경사면이 형성된 베이스의 일측 상부에 연결관을 돌출시키고, 상기 베이스의 축공에 회전방지용 키가 구비된 샤프트를 승강가능하게 축설하며,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차량 또는 일반 구조물에 부착되는 흡착판을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샤프트를 승강시키는 레버를 조립하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스냅링을 체결하고, 상기 연결관에 지지대를 끼워서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휴대폰케이스의 클립이 끼워지는 클립홈이 구비된 거치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클립홈에 클립의 자석을 부착시키는 금속판을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천공된 축공(11)의 양측 상부로 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연결관(13)이 돌출된 베이스(10); 상기 축공(1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흡착판(30); 상기 샤프트(20)의 상부에 끼워져 경사면(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샤프트(20)를 승강시키는 레버(40); 상기 샤프트(20)의 상단에 체결되는 스냅링(50); 상기 연결관(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대(60); 상기 지지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이 끼워지는 클립홈(71)을 구비하는 거치부재(70); 상기 클립홈(71)에 설치되어 클립(2)의 자석(3)을 부착시키는 금속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와 도 7a,7b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판(30)을 흡착시키는 홀더(90)와, 상기 홀더(90)의 저면에 접착되는 양면테이 프(9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는 흡착판(30)의 상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10)의 중앙에는 샤프트(20)가 끼워지는 축공(11)이 천공되고, 축공(11)의 양측 상부에는 레버(40)를 승강시키는 경사면(12)이 동심원상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베이스(10)의 일측 상부에는 지지대(60)를 고정시키는 연결관(13)이 일체로 돌출된다.
상기 축공(11)의 내경 일측에는 샤프트(20)의 회전을 방지하는 키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경사면(12)의 상부에는 레버(4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턱(14)과 걸림턱(15)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0)는 도 5b에서와 같이 회전방지턱(14)에 걸리는 각도만큼만 회전이 가능하고, 이때 레버(40)를 완전히 회전시키면 레버(40)가 회전방지턱(14)과 걸림턱(15) 사이에 위치하여 걸림턱(15)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불필요하게 레버(4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샤프트(20)는 베이스(10)의 축공(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샤프트(20)의 외경 일측에는 축공(11)의 키홈(11a)에 끼워지는 회전방지용 키(20a)가 돌출되고, 샤프트(10)의 상부에는 스냅링(50)이 끼워지는 환홈(21)이 형성되며, 샤프트(20)의 하부에는 흡착판(30)에 고정되는 고정원판(22)이 일체로 돌출된다. 따라서, 조립 시 키홈(11a)으로 키(20a)가 끼워지므로 샤프트(20)의 상하 직선운동 시 회전은 방지된다.
상기 흡착판(30)은 샤프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흡착판 (30)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흡착판(30)의 상부 중앙에는 샤프트(20)의 고정원판(22)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홈(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착판(30)은 차량의 내부 또는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에 진공 흡착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부착 시 해당 표면이 유리와 같이 진공 흡착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고르면 홀더(90)를 사용하지 않고 도 6a,6b에서와 같이 흡착판(30)을 직접 해당 표면에 부착시키고, 한편 해당 표면이 진공 흡착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고르지 못하면 도 7a,7b에서와 같이 그 해당 표면에 먼저 홀더(90)를 부착한 상태에서 이 홀더(90)에 흡착판(30)을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레버(40)는 샤프트(20)의 상부에 끼워져 경사면(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샤프트(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레버(40)의 중앙에는 샤프트(2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41)이 천공되고, 레버(40)의 일측에는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42)가 일체로 돌출된다. 따라서, 도 4a,5a,6a,7a에서와 같이 레버(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경사면(12)을 따라 레버(40)가 회전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샤프트(20)도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흡착판(30)을 해당 표면에 밀착시키고 도 4b,5b,6b,7b에서와 같이 레버(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경사면(12)을 따라 레버(40)가 회전하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샤프트(20)도 동시에 상승하고, 이때 샤프트(20)에 연결된 흡착판(30)의 중앙부가 위로 올라가면서 진공상태가 되므로 흡착판(30)은 해당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스냅링(50)은 샤프트(20)의 환홈(21)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냅링(50)은 레버(40)를 샤프트(20)에 고정시켜주는 동시에 레버 (4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대(60)는 베이스(10)의 연결관(13)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대(60)는 도 1에서와 같이 거치부재(7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7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60)를 플렉시블한 자바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거치부재(70)는 지지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케이스(1)를 거치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거치부재(70)의 전방에는 도 8에서와 같이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이 끼워지는 클립홈(71)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판(80)은 거치부재(70)의 클립홈(71)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금속판(80)에는 도 9에서와 같이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이 부착되고, 이때 상기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에는 자석(3)이 매입된다. 따라서,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을 거치부재(70)의 클립홈(71)에 끼우면 자석(3)에 의해 상기 클립(2)이 금속판(80)에 부착되므로 휴대폰케이스(1)를 거치부재(70)에 간단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90)는 흡착판(30)을 흡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홀더(90)의 저면에는 양면테이프(91)가 부착되고, 상기 양면테이프(91)의 표면에는 박리지가 접착된다. 따라서, 흡착판(30)을 부착하려는 해당 표면이 진공 흡착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고르지 못하면 도 7a,7b에서와 같이 그 해당 표면에 먼저 홀더(90)를 부착한 상태에서 이 홀더(90)에 흡착판(30)을 부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거치대를 부착하고자 하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적당한 장소 또는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의 해당 표면 고르기를 확인한 후, 그 해당 표면이 유리와 같이 진공 흡착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고르면 홀더(90)를 사용하지 않고 도 6a,6b에서와 같이 흡착판(30)을 직접 해당 표면에 부착시키고, 한편 해당 표면이 진공 흡착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고르지 못하면 도 7a,7b에서와 같이 그 해당 표면에 홀더(90)를 부착한 상태에서 이 홀더(90)에 흡착판(30)을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30)을 차량 또는 일반 구조물의 해당 표면 또는 홀더(9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4a,5a,6a,7a에서와 같이 레버(40)를시계방향으로 돌려 샤프트(2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흡착판(30)을 해당 표면이나 홀더(90)에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4b,5b,6b,7b에서와 같이 레버(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경사면(12)을 따라 레버(40)가 회전하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샤프트(20)도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샤프트(20)와 연결된 흡착판(30)의 중앙부가 위로 올라가면서 진공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착판(30)은 해당 표면이나 홀더(9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차량이나 일반 구조물에 흡착판(30)을 부착한 상태에서 도 8,9에서와 같이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을 거치부재(70)의 클립홈(71)에 끼우면 자석(3)에 의해 상기 클립(2)이 금속판(80)에 부착되므로 휴대폰케이스(1)를 거치부재(70)에 간단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흡착판(30)이 부착된 상태에서 레버(4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샤프트(20)가 경사면(12)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샤프트(20)가 하강하여 결과적으로 흡착판(30)의 진공이 풀리기 때문에 부착된 흡착판(30)을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는 흡착판(30)을 통해 차량이나 일반 구조물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차량이나 일반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부착된 흡착판(30)을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거치대를 자유자재로 분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다시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는 핸드폰과 핸드폰케이스(1)를 분리하지 않고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핸드폰케이스(1)를 편리하게 직접 거치부재(70)에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차량뿐만 아니라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에도 흡착판(30)을 간단하게 부착하여 핸드폰케이스(1)를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폰케이스 거치대는 핸드폰뿐만 아니라 PDA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 및 모든 휴대기기의 휴대용 케이스에도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는 흡착판을 통해 부착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차량이나 일반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 단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핸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핸드폰케이스를 편리하게 직접 거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차량뿐만 아니라 책상 등과 같은 일반 구조물에도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중앙에 천공된 축공(11)의 양측 상부로 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연결관(13)이 돌출된 베이스(10); 상기 축공(1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흡착판(30); 상기 샤프트(20)의 상부에 끼워져 경사면(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샤프트(20)를 승강시키는 레버(40); 상기 샤프트(20)의 상단에 체결되는 스냅링(50); 상기 연결관(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대(60); 상기 지지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케이스(1)의 클립(2)이 끼워지는 클립홈(71)을 구비하는 거치부재(70); 상기 클립홈(71)에 설치되어 클립(2)의 자석(3)을 부착시키는 금속판(80)을 포함하는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일측 경사면(12)의 상부에는 레버(4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턱(14)과 걸림턱(15)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085603A 2004-10-26 2004-10-26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10054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603A KR100541189B1 (ko) 2004-10-26 2004-10-26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603A KR100541189B1 (ko) 2004-10-26 2004-10-26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068U Division KR200377613Y1 (ko) 2004-12-20 2004-12-20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189B1 true KR100541189B1 (ko) 2006-01-10

Family

ID=3717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603A KR100541189B1 (ko) 2004-10-26 2004-10-26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18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13B1 (ko) 2007-07-27 2009-01-09 (주)누리정보통신 모바일 세입미납차량 단속 시스템
KR200470827Y1 (ko)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CN105015429A (zh) * 2015-08-13 2015-11-04 成都众易通科技有限公司 车载显示器支架装置
KR101570721B1 (ko) 2014-04-30 2015-11-23 (주)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200484716Y1 (ko) 2016-12-28 2017-10-17 박성찬 차량 거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107347104A (zh) * 2017-07-07 2017-11-14 王云 一种多功能旋转式手机支架
US9845058B2 (en) 2014-07-23 2017-12-19 Bracketron, Inc. Heavy duty magnet mount
KR200488631Y1 (ko) * 2017-12-05 2019-03-04 김성웅 블랙박스 용도의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13B1 (ko) 2007-07-27 2009-01-09 (주)누리정보통신 모바일 세입미납차량 단속 시스템
KR200470827Y1 (ko)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101570721B1 (ko) 2014-04-30 2015-11-23 (주)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9845058B2 (en) 2014-07-23 2017-12-19 Bracketron, Inc. Heavy duty magnet mount
US11034309B2 (en) 2014-07-23 2021-06-15 Bracketron, Inc. Heavy duty magnet mount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CN105015429A (zh) * 2015-08-13 2015-11-04 成都众易通科技有限公司 车载显示器支架装置
KR200484716Y1 (ko) 2016-12-28 2017-10-17 박성찬 차량 거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107347104A (zh) * 2017-07-07 2017-11-14 王云 一种多功能旋转式手机支架
KR200488631Y1 (ko) * 2017-12-05 2019-03-04 김성웅 블랙박스 용도의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699B1 (ko)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US7226026B2 (en) Suction device
US7661648B2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EP2249074B1 (en) Holder
US7658354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41189B1 (ko)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200377613Y1 (ko)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20120129450A (ko) 흡착 거치대
KR200470827Y1 (ko)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JP2011094715A (ja) 吸盤装置
JP2010127400A (ja) 車載モニタ支持装置
KR20120124740A (ko) 휴대기기 거치대
KR20043882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CN216814064U (zh) 一种易于拆装的临时照明应急灯
KR200398691Y1 (ko) 차량용 휴대기기케이스 거치대.
CN214900949U (zh) 手机支架及其夹脚组件
CN110580793B (zh) 一种基于gps的车辆定位监控装置
KR100810624B1 (ko) 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WO2003005764A2 (en) Portable acoustic device
WO2009117865A1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JP2011137508A (ja) スタンド装置
CN221058337U (zh) 转接安装机构
CN215499094U (zh) 一种带动画效果的手机支架
CN218510524U (zh) 一种磁吸支架
CN217273972U (zh) 一种磁铁防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