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101A -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101A
KR20190076101A KR1020170177628A KR20170177628A KR20190076101A KR 20190076101 A KR20190076101 A KR 20190076101A KR 1020170177628 A KR1020170177628 A KR 1020170177628A KR 20170177628 A KR20170177628 A KR 20170177628A KR 20190076101 A KR20190076101 A KR 2019007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holder
grip
implement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이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석 filed Critical 이창석
Priority to KR102017017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6101A/ko
Publication of KR2019007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하기 위한 거치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노출형 네비게이션이나 노출형 디스플레이 수단, 개인용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외부 테두리에 거치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을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이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하기 위한 거치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시대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의 이용도가 일상에 크게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 기기는 제4차산업혁명으로 불리우는 최근 정보의 융합과 발전에 맞물려 사용자의 빠른 정보 취득과 취합,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의 증대에 기여하는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하고, 정보검색이나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용하는 등, 외부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장소를 불문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휴대 단말의 구조상, 손에 들고 이를 활용하는 경우, 장시간 이용이 어려우며, 운전 중 차량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용하거나 영화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PDA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IT 기기로써, 네비게이션이나 영화시청, 디지털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용도 등으로 차량의 운전 중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차량용 휴대 단말기를 위한 거치대가 생산 판매되고 있는데,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대시 보드와 같은 패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해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시 보드와 같은 패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설치하면 차후 거치대의 탈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점착 자국이 남고, 전면 유리에 부착시는 전방 시야를 방해하고 주행중 원치 않는 탈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순정부품으로써 운전석 앞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나 카시트의 후면에 설치된 디지털 단말기를 비롯하여 각종 차량 단말기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이러한 차량 단말기에 거치대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111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566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1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노출형 네비게이션이나 노출형 디스플레이 수단, 개인용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외부 테두리에 거치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을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조도에서와 같이, 장착대상물의 외부 테두리에 끼움결합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제1삽입부가 구현되는 제1부재(100); 및 상기 제1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휴대 단말의 측면이 내삽되는 제2삽입부가 마련되는 제2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제1부재의 상면(100)에 밀착하는 단턱부(210); 및 상기 단턱부(210)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방향으로 절곡되며, 제1방향(X)과 대응하는 제2방향(Y)과 상부 방향인 제3방향(Z)은 개구되는 삽입공간(P)을 구현하는 측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상면에 구현되는 경사구조(S)가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측벽부(220)는, 상기 삽입공간을 구현하는 절곡면(221)과, 상기 절곡면(221)의 일단에서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제1측면(222); 상기 절곡면(221)의 타단에서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제2측면(22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222)의 제1높이(H1)가 상기 제2측면(223)의 제2높이(H2)가 서로 상이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구조물은 경사구조(S)를 구비하도록 하되, 상기 경사구조(S)는, 상기 제1측면(222)의 상부면과 상기 절곡면(221)의 상부면, 상기 제2측면(223)의 상부면의 가상의 연장선(L)이 직선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상의 연장선(L1)과 상기 제2측면(223)의 하부표면의 가상의 수평면의 연장선(L2)이 이루는 각이 예각(θ)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예각(θ)은, 18도~58도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구현한다.
나아가, 이러한 경사구조의 구현은 상기 제1측면(222)의 제1높이(H1)가 상기 제2측면(223)의 제2높이(H2) 보다 크게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대는 상기 절곡면(221)의 내측에 상기 제3방향으로 구현되는 라인형 요철패턴이 다수개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대의 상기 제1부재(100)는, 상기 제2부재(200)의 단턱부(210)이 안착하는 상부면(110); 상기 상부면(110)의 일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그립면(120); 및 상기 상부면(110)의 타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그립면(120)과 상기 공간부(A)를 구현하는 제2그립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그립면(120)의 길이(H3)가 상기 제2그립면(H4) 보다 작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립면(120)은 상기 상부면(110)의 말단으로 부터 연장되며 절곡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거치대는 상기 제2그립면(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A)의 내부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폭조절부재(300)는, 상기 제1그립면(120)을 관통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현되며, 상기 제1그립면(120)의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부(310)의 길이조절을 구현하는 고정패턴부(315);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면에 구현되는 두께조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두께조절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에 일단의 고정부(322)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공간부(A)에 내삽되는 상기 장착대상물의 외부 표면에 밀착하는 패드면(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조절부(320)는, 상기 고정부(322)가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면에 내삽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패드면(321)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10)는, 상기 고정패턴부(315)가 구현되는 상부몸체부(311)와 하부몸체부(31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를 연결하는 일측의 측면몸체부가 구비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절곡형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31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는 높이고정판(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부 또는 상기 하부몸체부에 마련되는 그립패턴부(314);가 더 구현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상기 제1부재(100)의 구성을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재의 단턱부(210)이 안착하며, 상기 제1부재(100)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위치조절유닛(410);과 상기 위치조절유닛(410)의 하부에 마련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장착개소의 테두리부를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430)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노출형 네비게이션이나 노출형 디스플레이 수단, 개인용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외부 테두리에 거치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을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장착으로 인해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차량이나 한정된 공간의 디스플레이에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순정부품의 차량 단말기에 거치대를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하고, 거치대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다. 따라서,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 유리에 부착할 필요없이 차량 단말기에 거치할 수 있게 한다.
차량 단말기에 밀착되는 ?부재와와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제1부재의 후방부를 전방부보다 길게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의 터치화면을 간섭하지 않고도 효율적인 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휴대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장착하는 제2부재의 경우, 전면과 후면의 길이를 다르게 구현하여 상부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전면에서 차량 앞유리의 경사에 무관히 휴대폰을 쉽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구성 요소중, 한 쌍의 좌우 수평 부재의 상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안착부위에 휴대 단말기의 양단부를 놓아 장착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수직하게 세워 장착시 휴대 단말기 측면부의 누름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할 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X 방향에서의 사시개념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제2부재의 단면개념도 및 작용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의 구조물을 상부에서 바라본 구조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물을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장착하고,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이하, 차량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면을 전면이라 하고, 그 반대측 면을 후면이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설치된 순정부품의 차량 단말기(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가 거치된다. 이때, 차량 단말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옆의 대쉬 보드(DB)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포함한다. 물론, 그 외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카시트의 후면에 부착된 디지털 단말기 등도 차량 단말기에 해당한다.
또한, 도 1의 작용 상태 도면에서는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이 구비하는 PC나, 다른 디스플레이 화면 기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최근의 차량 단말기(10)는 대쉬 보드(DB) 등에 매립된 방식이 아닌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는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거치대 가 차량 단말기(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카시트 후면에 구비된 차량 단말기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때, 거치대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20)는 운전자나 뒷좌석에 앉는 탑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이 대표적일 것이나, 그 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단말기 및 태블릿 PC 등 다양한 타입의 단말기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X 방향에서의 사시개념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장착대상물의 외부 테두리에 끼움결합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제1삽입부가 구현되는 제1부재(100) 및 상기 제1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휴대 단말의 측면이 내삽되는 제2삽입부이 마련되는 제2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제1부재의 상면(100)에 밀착하는 단턱부(210) 및 상기 단턱부(210)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방향으로 절곡되며, 제1방향(X)과 대응하는 제2방향(Y)과 상부 방향인 제3방향(Z)은 개구되는 삽입공간(P)을 구현하는 측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상면에 구현되는 경사구조(S)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부재(200)는 도 1에서 상술한 작용상태도에서와 같이, 휴대폰과 같은 스마트기기(1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P)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마트기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P)을 구현하는 구조물은 판상의 구조물로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측벽부(220)으로 정의한다. 상기 측벽부(220)는 상기 삽입공간(P)을 구현하는 절곡면(221)과, 상기 절곡면(221)의 일단에서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제1측면(222), 상기 절곡면(221)의 타단에서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제2측면(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부(220)은 삽입공간(P)를 판상의 구조물로 구현하되, 도 2에서의 X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삽입공간을 구현하고, 삽입공간을 구현하는 절곡면(220)의 양단에는 상부 방향인 Z 방향으로 판상의 구조물이 세워지는 세1측면(222)와 제2측면(223)이 구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측벽부(220)을 구현하는 것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에서 바라 보았을때, "M" 자형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삽입공간을 구현하는 절곡면(221)과 제1측면(222) 및 제2측면(223)의 후방은 비워지는 구조로 구현되는데, 이러한 구조 설계는 사출공정으로 구현시 온도 증감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량생산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입체 구조물에 비해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도 강한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이러한 측벽부의 절곡구조는, 상기 제1측면(222)의 제1높이(H1)가 상기 제2측면(223)의 제2높이(H2)가 서로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는, 제1측면(222)의 높이가 제2측면(223)의 높이보다 더 높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벽부(220)의 상부면의 구조가 상술한 것과 같이 일정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거치대 구조물의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에 장착되는 경우, 제2측면(223)이 전방을 바라 보도록 장착하게 되며, 제2측면(223)에서 제1측면(221)으로 갈 수록 경사가 증가하는 경사도(S)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사구조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면을 따라 삽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되도록 하는 점에서 매우 현저한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도 1과 같은 차량용 거치대로 이용하는 경우에 더욱 필수적인 구성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차량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의 경우, 그 상부 테두리와 차량의 앞유리와의 공간에 매우 협소하게 남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 상술한 경사구조가 없다면, 상부에서 하부로 스마트폰을 거치내 내의 삽입공간(P)에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구조의 경우 스마트 단말기를 거치대 내의 삽입공간(P)에 끼울 때, 전방에서 후방(수직방향이 아니라, 수평방향의 진행)으로 내삽하는 방식으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앞유리와 네비게이션의 상부면과의 공간이 매우 협소한 경우에도 장착이 용이하게 구현하게 할 수 있다(도 5 (b) 참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경사구조를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측벽부(220)의 구조는, 삽입공간(P)를 형성하는 절곡면(221)과 좌우에 지지구조를 구현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측면(222)와 제2측면(223)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 상기 측벽부(220)의 상부면은 경사구조(S)를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경사구조(S)는 상기 제1측면(222)의 상부면과 상기 절곡면(221)의 상부면, 상기 제2측면(223)의 상부면의 가상의 연장선(L)이 직선형 구조로 구현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가상의 연장선(L1)과 상기 제2측면(223)의 하부표면의 가상의 수평면의 연장선(L2)이 이루는 각이 예각(θ)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각(θ)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5도~70도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도~58도의 범위의 각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36도~40도의 범위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범위는 70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경사를 주지 않는 경우, 즉 경사구조를 구현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문제를 초래하여 수평방향의 스마트폰이진입이 어려워지며, 15도 미만의 범위에서는 스마트폰을 장착시 지지력이 약해져 쉽데 넘어지는 빈도가 너무 높아 실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사구조의 구현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측면(222)의 제1높이(H1)가 상기 제2측면(223)의 제2높이(H2) 보다 더 높게 구현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높이(H1)은 30mm~50mm, 제2높이(H2)는 13mm~33mm 범위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최고 높이가 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디스플레이화면의 상부테두리와 차량의 앞유리 간격의 규격으로 인해 원할한 장착이 어려워지게 된다.
도 5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조에서 측벽부(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방향으로 구현되는 라인형 요철패턴(221a)이 다수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221a)의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이 내삽되는 구조로 장착되는 경우, 스마트폰의 측면 두께 사이즈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의 전후 이동을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벽부(220)의 내측 하부에는 단턱부(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210)는 제1부재(100)의 상부면(110)에 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일정한 두께로 단차를 이루는 구조로 구현된다. 이러한 단턱부는 내삽되는 스마트폰은 가로로 눕혀져서 안착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스마트폰 측면에 마련되는 기능스위치(전원, 음량조절, 기타 제어 키)가 상부면(110)에 닿아서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마트폰의 베젤부 부분이 삽입공간(P)에 끼워지게 되는 것과 동시에 하부면의 단턱부(210)에 베젤부가 닿은 상태로 고정이 되면, 상기 단턱부(210)의 단차의 높이가 제1부재(100)의 상부면(110)과 스마트폰의 측면과 닿지 않도록 하여 스위치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2부재(200)의 하부에 구현되는 제1부재(100)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재(100)는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기능이 아니라, 장착대상물(이를테면, 차량용 네비게이션, 개인용 PC화면 등)의 테두리에 본 발명의 거치대 자체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장착대상물을 차량용 네비게이션(도 1 참조)으로 가정할 때, 얇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부(베젤부) 중 상부 테두리에 장착이 이루어지는바, 장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나아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베젤부 이외의 영역(터치스크린영역)은 닿지 않아야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다양한 차량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네비게이션)의 크기와 두께는 매우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두께의 다양성을 커버하여 호환성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두께조절기능을 위해 폭조절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200)의 단턱부(210)이 안착하는 상부면(110)과 상기 상부면(110)의 일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그립면(120) 및 상기 상부면(110)의 타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그립면(120)과 상기 공간부(A)를 구현하는 제2그립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차량의 앞유리에서 차량 내부 쪽 방향은 전면 방향으로 본 발명의 거치대의 제2측면(223)이 향하도록 장착되게 되는바, 상기 제1부재(100)의 구조에서도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그립면(120)이 전방을 향하고, 제2그립면(130)이 후방을 향하도록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그립면(120)의 길이(H3)가 상기 제2그립면(H4)의 길이보다 짧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그립면(120) 부분이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화면(터치스크린면)에 접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지 않고 베젤부만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후면인 제2그립면(130)은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보다 길게 구현하여 안정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1그립면(120)은 상기 상부면(110)의 말단으로 부터 연장되며 절곡되는 구조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테두리의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구조물의 두께의 차이를 극복하여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부재(100)의 공간부(A)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부재(300)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이러한 폭조절부재(300)의 구조를 상세하게 게시한 개념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폭조절부재(300)는 제1부재의 제2그립면(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A)의 내부 폭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폭조절부재(300)는, 상기 제1그립면(120)을 관통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현되며, 상기 제1그립면(120)의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부(310)의 길이조절을 구현하는 고정패턴부(315), 그리고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면에 구현되는 두께조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면에 고정패턴부(315)가 구현되며, 상기 고정패턴부(315)는 요철패턴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조절홀(G)에 상기 몸체부가 내삽되며 고정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성의 패턴은 본 발명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라이프 타입의 패턴외에도, 오목한 홈구조의 패턴, 슬라이딩 타입에서 위치를 고정하는 독립적인 부재 등 다양하게 변형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조절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에 일단의 고정부(322)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공간부(A)에 내삽되는 상기 장착대상물의 외부 표면에 밀착하는 패드면(321)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구조에서는 고정부(322)가 분리구조로 구현되어, 삽입결합되도록 구현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몸체부와 일체형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322)를 분리형 구조로 구현하는 경우, 패드면(321)이 고정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 좌우로 일정한 범위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고정부(322)가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면에 내삽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패드면(321)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의 배면 하우징에 형상(곡면, 직선형, 타원형 표면 등)의 다양한 구조에 밀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패드면(321)은 탄성부재를 표면에 장착하거나, 점착부재를 장착하거나, 패드면 자체를 탄성부재로 구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폭조절부재(300)은 제2그립면(130)에 구현되는 조절홀(G)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며, 몸체부(310)의 표면에 구현되는 고정패턴부(315)가 단계적으로 조절홀(G) 테두리와 맞물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 경우, 몸체부(410)은 일정하게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 이를테면, 도 7에서와 같이 고정패턴부(315)가 구현되는 상부몸체부(311)와 하부몸체부(31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를 연결하는 일측의 측면몸체부가 구비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절곡형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상부몸체부와 하부 몸체부기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구현되어, 집게 구조와 같이 손으로 상하에서 가압을 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두께가 줄어들며, 상술한 조절홀(G)로의 내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원하는 위치에서 손을 몸체부에서 떼면, 다시 확장되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부몸체부(311)과 하부몸체부(312)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기 위해 높이고정판(330) 구조물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고정판(330)은 상기 몸체부(310)의 내측공간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여 두께조절의 위치에서 몸체부가 정지하는 이후에 삽입되어 후방으로 몸체부가 탈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선, 상기 몸체부 내부 표면에는 상기 높이고정판(330)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도 1에서의 332)이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폭조절유닛(30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패드면(321)이 구현되는 고정부(322)는 일체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322)는 몸체부 일측에 구현되는 결합홈(E)에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고정부(322)가 결합된 상태로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패드면(321) 역시 상하좌우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네비게이션과 같은 외부 장착 대상물의 후면에 상기 패드면(321)이 밀착하며 고정되는 경우, 외부 장착 대상물의 표면의 형상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강한 밀착력을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패턴부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며, 추가로 상부몸체부 또는 상기 하부몸체부에 마련되는 그립패턴부(31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위치에 그립감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의 제2부재의 구조는 동일하게 구현하여 스마트폰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나, 하부의 제1부재의 형상을 달리하여, 제2부2ㅐ의 단턱부(210)이 안착하며, 상기 제1부재(100)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위치조절유닛(410)과 상기 위치조절유닛(410)의 하부에 마련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장착개소의 테두리부를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430)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그립부재(330)는 집게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내부에 구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벌림동작과 닫힘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폭조절유닛과는 다른 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상기 위치조절유닛(410)은 상부에 구현되는 제2부재(200)와의 사이에 구현되어, 상기 제2부재(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힌지부를 하부에 구비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구조물은 도 1에서와 같이 동일한 구조물이 한쌍으로 마련되어, 좌우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제1부재
110: 상부면
120: 제1그립면
130: 제2그립면
200: 제2부재
220: 측벽부
221: 절곡면
222: 제1측면
223: 제2측면
300: 폭조절유닛
410: 위치조절유닛
420: 그립부재

Claims (19)

  1. 장착대상물의 외부 테두리에 끼움결합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제1삽입부가 구현되는 제1부재(100); 및
    상기 제1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휴대 단말의 측면이 내삽되는 제2삽입부가 마련되는 제2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제1부재의 상면(100)에 밀착하는 단턱부(210); 및
    상기 단턱부(210)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방향으로 절곡되며, 제1방향(X)과 대응하는 제2방향(Y)과 상부 방향인 제3방향(Z)은 개구되는 삽입공간(P)을 구현하는 측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상면에 구현되는 경사구조(S)가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220)는,
    상기 삽입공간을 구현하는 절곡면(221)과,
    상기 절곡면(221)의 일단에서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제1측면(222);
    상기 절곡면(221)의 타단에서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제2측면(22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222)의 제1높이(H1)가 상기 제2측면(223)의 제2높이(H2)가 서로 상이하게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S)는,
    상기 제1측면(222)의 상부면과 상기 절곡면(221)의 상부면, 상기 제2측면(223)의 상부면의 가상의 연장선(L)이 직선형 구조로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연장선(L1)과 상기 제2측면(223)의 하부표면의 가상의 수평면의 연장선(L2)이 이루는 각이 예각(θ)을 이루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예각(θ)은,
    18도~58도의 범위를 만족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222)의 제1높이(H1)가 상기 제2측면(223)의 제2높이(H2) 보다 크게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221)의 내측에 상기 제3방향으로 구현되는 라인형 요철패턴이 다수개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00)는,
    상기 제2부재(200)의 단턱부(210)이 안착하는 상부면(110);
    상기 상부면(110)의 일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그립면(120); 및
    상기 상부면(110)의 타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그립면(120)과 상기 공간부(A)를 구현하는 제2그립면(130);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면(120)의 길이(H3)가 상기 제2그립면(H4) 보다 작게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면(120)은 상기 상부면(110)의 말단으로 부터 연장되며 절곡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립면(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A)의 내부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재(300);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재(300)는,
    상기 제1그립면(120)을 관통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현되며, 상기 제1그립면(120)의 관통홀의 테두리에 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부(310)의 길이조절을 구현하는 고정패턴부(315);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면에 구현되는 두께조절부(320);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에 일단의 고정부(322)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공간부(A)에 내삽되는 상기 장착대상물의 외부 표면에 밀착하는 패드면(321)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부(320)는,
    상기 고정부(322)가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면에 내삽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패드면(321)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0)는,
    상기 고정패턴부(315)가 구현되는 상부몸체부(311)와 하부몸체부(31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를 연결하는 일측의 측면몸체부가 구비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절곡형 구조물로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하는 높이고정판(330)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부 또는 상기 하부몸체부에 마련되는 그립패턴부(314);
    가 더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한 쌍으로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00)은,
    상기 제2부재의 단턱부(210)가 안착하며, 상기 제1부재(100)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위치조절유닛(410);과
    상기 위치조절유닛(410)의 하부에 마련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장착개소의 테두리부를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430)가 마련되는 구조인,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
KR1020170177628A 2017-12-22 2017-12-22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90076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28A KR20190076101A (ko) 2017-12-22 2017-12-22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28A KR20190076101A (ko) 2017-12-22 2017-12-22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101A true KR20190076101A (ko) 2019-07-02

Family

ID=6725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628A KR20190076101A (ko) 2017-12-22 2017-12-22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610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12B1 (ko) 2014-05-14 2016-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200483134Y1 (ko) 2015-12-03 2017-04-06 설성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12B1 (ko) 2014-05-14 2016-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200483134Y1 (ko) 2015-12-03 2017-04-06 설성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1485B1 (en)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JP3944506B2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機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スライド装置
EP2037196A2 (en) Docking station for a refrigerator
US6842633B1 (en) Clip arrangement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ousing assembly
EP3221187B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ntenna
KR100841908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060014571A1 (en) Universal hands-free unit for mobile telephones
KR20190076101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080018022A (ko) 휴대용단말기의 거치대
CN208190695U (zh) 移动终端
JP5196331B2 (ja) 車載機器用支持具
KR200432333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JP4071875B2 (ja) 携帯電話機の内蔵アンテナ取付構造
CN208190693U (zh) 移动终端
CN202014289U (zh) 移动终端
US20160087370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s
US11863696B2 (en) Communications handset cradle attachment
CN209962173U (zh) 一种带无线充的拓展坞
JP5366231B2 (ja) 車載機器用支持具
CN217485760U (zh) 车载底座
JP3071689U (ja) 自動車の携帯電話機用ホルダー
EP1724993B1 (en) Wir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CD module
CN110138897B (zh) 移动终端
JP2018031997A (ja) ネームプレートの取り付け構造
JP2009284017A (ja) 表示ユニット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