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908B1 -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908B1
KR100841908B1 KR1020070078060A KR20070078060A KR100841908B1 KR 100841908 B1 KR100841908 B1 KR 100841908B1 KR 1020070078060 A KR1020070078060 A KR 1020070078060A KR 20070078060 A KR20070078060 A KR 20070078060A KR 100841908 B1 KR100841908 B1 KR 100841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portable
portable terminal
body portion
hold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원
노승탁
안효미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07007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908B1/ko
Priority to PCT/KR2008/003771 priority patent/WO200902028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78Quick-disconnect two-parts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bstract

개인휴대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개시된다.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및 몸체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몸체부에 대향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HOLDER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개인휴대단말기는 휴대가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 여러 종류의 많은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를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정한 장소, 예를 들어 차량의 유리창 등에 개인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킨 후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를 특정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접촉부재(10)의 진공압 등에 의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W) 안쪽에 부착되어 판넬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종래의 거치대는 접촉부재(10), 연결지지부재(20) 및 거치부재(30)를 포함하며, 접촉부재(10)의 접착력에 의해 연결지지부재(20) 및 거치부재(30)를 지지하게 된다. 연결지지부재(20)의 단부에는 거치부재(30)가 구비되며, 거치부재(30)에는 개인휴대단말기(40) 즉, 휴대폰, 차량자동항법장치(car navigation system), PDA, CD플레 이어 등의 다양한 물품이 거치부재(30)의 형상 및 기능에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개인휴대단말기(40)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각 제품에 맞춰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40)를 거치대에 거치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개인휴대단말기(40) 후면에 고정홈(42)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거치부재(30) 전면에 고정돌기(3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홈(42)에 상기 고정돌기(32)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종래의 거치대에서 개인휴대단말기(40)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개인휴대단말기(40)에 강한 힘을 가하여 고정홈(42)에 고정돌기(32)를 분리 또는 삽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거치대는 개인휴대단말기(4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분리 결합 방법은 한 손만으로 수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운전 등의 다른 행동 중에는 개인휴대단말기(40)를 분리 결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의 분리 결합 방법에는 과도한 힘이 가해지므로 개인휴대단말기의 탈착 과정 중에 개인휴대단말기에 흠집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가 손쉽게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양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 손만으로 손쉽게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대에서 분리 결합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및 몸체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몸체부에 대향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개인휴대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몸체부의 일면도 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은 후술할 홀딩부와 함께 개인휴대단말기를 지지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가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편은 몸체부의 일단부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몸체부의 타단부에도 지지편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 다. 일반적으로는 몸체부의 하단부에 지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편은 몸체부의 일단을 절곡함으로써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설계에 따라서는 몸체부와 별개로 형성되어 몸체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몸체부의 후면에는 지지부가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의 일단부는 몸체부의 후면에 연결되며, 지지부의 타단부는 거치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면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의 타단부에는 일반적으로 흡착판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유리면 등에 부착할 수 있는 흡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차량자동항법장치(car navig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l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홀딩부는 몸체부와 함께 개인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개인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홀딩부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개인휴대단말기 일측의 반대쪽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홀딩부는 일반적으로 몸체부 하단부에 형성되는 지지편에 대응하여 몸체부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만, 홀딩부의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몸체부의 측면 등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몸체부에 의해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이 지지되고, 홀딩부에 의해 개인휴대단말기의 반대편 타측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대향하는 두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의 지지되지 않는 다른 두 측면 사이의 거리에 상관 없이 개인휴대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다.
홀딩부는 몸체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홀딩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홀딩부가 몸체부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가해진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력에 의해 홀딩부가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어 진입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딩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개인휴대단말기의 장착 전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홀딩부가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홀딩부와 몸체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를 통해 홀딩부는 몸체부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홀딩부가 과도하게 몸체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개인휴대단말기가 진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홀딩부 일측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홀딩부 일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홀딩부가 소정 방향, 즉 몸체부 내측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홀딩부가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진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홀딩부의 자유 단부가 개인휴대단말기의 둥근 모서리와 접하도록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홀딩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용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홀딩부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몸체부의 지지편에 지지한 채 개인휴대단말기의 대향하는 타측을 몸체부 쪽으로 가볍게 밀어 넣음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의 거치를 마무리할 수 있다.
아울러, 홀딩부 중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은 우레탄고무와 같은 고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딩부의 일부분 자체가 고무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가 홀딩부에 부가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재질이 고무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휴대단말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홀딩부가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재질의 재료이면 어느 것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탈착 과정에서 개인휴대단말기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홀딩부가 몸체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가해지는 외력의 유무에 따라 홀딩부가 몸체 부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 개인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한 손만으로도 개인휴대단말기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홀딩부 일측에 지지돌기가 구비되고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홀딩부의 자유 단부가 개인휴대단말기의 둥근 모서리와 접하도록 대응되기 때문에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용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홀딩부 일부분이 고무 재질로 제조되어 거치된 개인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탈착 과정 중에 개인휴대단말기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 홀딩부와 몸체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몸체부(110) 및 홀딩부(13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몸체부(110)는 개인휴대단말기 후면에 대응하여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되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1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지지편(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편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몸체부(110) 하단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몸체부(110)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딩부(130)는 몸체부(110)와 함께 개인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 홀딩부(130)는 몸체부(110)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편(112)에 대응하여 몸체부(110)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홀딩부(130)의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지지편이 몸체부(110) 측면에 형성되면, 홀딩부는 몸체부(110)의 대향하는 다른 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딩부(130) 중 개인휴대단말기의 상측을 지지하는 부분은 우레탄고무와 같은 고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딩부(130)의 일부분 자체가 고무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가 홀딩부(130)에 부가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재질이 고무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휴 대단말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홀딩부(130)가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재질의 재료이면 어느 것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30)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탈착 과정에서 개인휴대단말기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 개인휴대단말기의 하측은 지지편(112)에 의해 지지되고, 개인휴대단말기의 상측은 홀딩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대향하는 두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의 지지되지 않는 다른 두 측면 사이의 거리에 상관 없이 개인휴대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홀딩부(13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딩부(130)는 완만한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홀딩부(13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상측 단면 형상에 관계 없이 개인휴대단말기의 상측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하면, 개인휴대단말기는 그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에 있어 홀딩부(130)는 개인휴대단말기 상측을 감싸서 개인휴대단말기 상측과 전면 상부 일부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휴대단말기 상측 단면 형상에 관계 없이 개인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홀딩부(130)는 몸체부(1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홀딩부(130)에 외력이 가해지면 홀딩부(130)가 몸체부(110)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180)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가해진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력에 의해 홀딩부(130)가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어 진입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180)의 하측을 몸체부(110)의 지지편(112)에 지지하고 개인휴대단말기(180)를 몸체부(110) 쪽(ⓒ)으로 밀어 넣으면, 홀딩부(130)가 개인휴대단말기(180)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즉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개인휴대단말기(180)가 몸체부(110) 쪽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180)가 삽입된 후에는 홀딩부(130)가 탄성력에 위해 원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삽입된 개인휴대단말기(180)의 상측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홀딩부(130)의 상기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홀딩부(130)는 고정핀(140)에 의해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핀(140)에 의해 홀딩부(130)가 몸체부(110)에 결합됨에 따라 홀딩부(130)에 외력이 가해지면 홀딩부(130)가 고정핀(140)을 축으로 원활하게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딩부(130)는 개인휴대단말기(180)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개인휴대단말기(180)의 장착 전 개인휴대단말기(180)의 수직 진입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홀딩부(13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개인휴대단말기(180)를 한 손만으로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개인휴대단말기(180)의 하측을 몸체부(110)의 지지편(112)에 지지한 채 개인휴대단말기(180)의 상측을 몸체부(110) 쪽으로 가볍게 밀어 넣음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180)의 거치를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딩부(130)가 몸체부(110)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홀딩부(130)와 몸체부(110)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150)으로 구성되며, 홀딩부(130)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의 종류 및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150)을 수용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130)에는 토션 스프링(150)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132)이 형성되며, 몸체부(110)에는 토션 스프링(150)의 타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150)의 타단부가 제2 수용홈(115)에 수용되어 몸체부(110)에 의해 지지되고, 토션 스프링(150)의 일단부가 제1 수용홈(132)에 수용되어 홀딩부(130)를 지지함으로써, 홀딩부(130)가 몸체부(110)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해 홀딩부(130)가 상측으로 이동한 후에도 외력이 사라지면 홀딩부(13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원력에 의해 홀딩부(130)가 과도하게 몸체부(11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방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 해 홀딩부(130) 일측에는 지지돌기(13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36)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지지돌기 수용홈(116)에 수용되어 몸체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딩부(130)가 필요 이상으로 몸체부(110)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 수용홈(116)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에 필요한 정도에 따라 그 형성 깊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홀딩부(130)가 몸체부(110) 내측으로 더 많이 이동한 상태이어야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용이한 경우에는 지지돌기 수용홈(116)을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부(110) 내측으로 더 조금 이동한 상태이어야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용이한 경우에는 지지돌기 수용홈(116)을 더 얕게 형성하거나 지지돌기 수용홈(116)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홀딩부(130)의 자유 단부가 개인휴대단말기(180)의 둥근 모서리와 접하도록 대응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상기와 같이 지지돌기(13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직 진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홀딩부(130)의 자유 단부가 개인휴대단말기(180)의 둥근 모서리와 접하도록 대응됨으로써 홀딩부(130)가 개인휴대단말기의 수직 진입이 용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개인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0)는 홀딩부(130)와 몸체부(110)를 통해 개인휴대단말기(180)를 용이하게 거 치할 수 있으며, 거치 후에는 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개인휴대단말기(180)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 후면에는 터치스크린 펜(16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구(117)는 상측 수용구(118)와 하측 수용구(119)로 구성된다. 하측 수용구(119)는 몸체부(110) 하측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 펜(160)의 일단부를 수용하게 되며, 상측 수용구(118)는 몸체부(110) 상측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 펜(160)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펜(160)을 상측 수용구(118)를 통해 수용구(117)에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게 터치스크린 펜(160)을 거치대(100)에 보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지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70)는 몸체부(110) 후면에 장착되어 몸체부(110)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지지부(170)의 일단부는 몸체부(110) 후면에 고정되고, 지지부(170)의 타단부는 거치대(100)를 고정하고자 하는 면에 접착되어 거치대(100)가 지지부(1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70)의 타단부에는 흡착판을 이용한 흡착부(172)가 구비될 수 있다. 흡착부(172)는 자동차의 유리 면 등에 흡착판의 진공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다만, 흡착부(172)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흡착판 없이 접착 물질 등을 통해 접착면에 접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70)와 몸체부(110)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170)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1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몸체부(110)의 후면에는 고정돌기(174)를 수용하는 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70)의 고정돌기(174)를 몸체부(110) 후면의 고정홈(114)에 삽입함으로써 몸체부(110)와 지지부(170)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를 원하는 장소에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 홀딩부와 몸체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개인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10 : 몸체부
112 : 지지편 114 : 고정홈
116 : 지지돌기 수용홈 117 : 수용구
130 : 홀딩부 136 : 지지돌기
140 : 고정핀 150 : 토션 스프링
160 : 터치스크린 펜 170 : 지지부
174 : 고정돌기 180 : 개인휴대단말기

Claims (10)

  1.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지지편에 대향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홀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홀딩부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홀딩부 일측에는 지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홀딩부의 자유 단부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둥근 모서리와 접하도록 대응되는 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하측이 상기 지지편에 의해 지지된 채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상측이 상기 몸체부에 접근하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는 상기 홀딩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향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홀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홀딩부는 고정핀에 의해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타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 중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부분은 고무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가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상기 홀딩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후면에는 터치스크린 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몸체부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0070078060A 2007-08-03 2007-08-03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084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60A KR100841908B1 (ko) 2007-08-03 2007-08-03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CT/KR2008/003771 WO2009020287A1 (en) 2007-08-03 2008-06-28 Holder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60A KR100841908B1 (ko) 2007-08-03 2007-08-03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908B1 true KR100841908B1 (ko) 2008-06-27

Family

ID=3977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060A KR100841908B1 (ko) 2007-08-03 2007-08-03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1908B1 (ko)
WO (1) WO20090202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596A1 (ko) * 2011-02-08 2012-08-16 주식회사 성림시스템 태블릿 pc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552B1 (ko) * 2010-03-15 2010-09-30 장용철 휴대용 전자제품홀더
CN102951090B (zh) * 2011-08-18 2015-05-20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车用固定装置
WO2013037395A1 (en) * 2011-09-12 2013-03-2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A holding means for fasten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a vehicle component
TW201443360A (zh) * 2013-05-15 2014-11-16 Ping-Sheng Lin 支撐架結構
DE102014004955A1 (de) * 2014-04-05 2015-10-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Smartphones in einem Fahrzeuginnenra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80B1 (ko) * 2006-09-08 2007-07-30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438202Y1 (ko) * 2006-12-04 2008-01-29 조수환 차량용 휴대형 전자 기기의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295Y1 (ko) * 2000-12-29 2001-07-19 (주)에스티21 핸즈프리 거치대
TW563832U (en) * 2003-02-27 2003-11-21 Da-Guang Ye Placing frame structur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412698Y1 (ko) * 2005-12-12 2006-03-31 전연배 핸즈프리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80B1 (ko) * 2006-09-08 2007-07-30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438202Y1 (ko) * 2006-12-04 2008-01-29 조수환 차량용 휴대형 전자 기기의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38202호 Y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743880호 B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596A1 (ko) * 2011-02-08 2012-08-16 주식회사 성림시스템 태블릿 pc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0287A1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908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951385B1 (ko) 양방향 및 다중 각도의 지지를 구현하는 보호 커버
US8396521B2 (en) Antenna cover and operating section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US7630745B2 (en) PDA carrying case
US20140071607A1 (en) Case and keyboar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1629933B (zh) 固持移动终端设备的装置及具有此类型固持装置的交通工具
KR102045078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CN102480892A (zh) 芯片卡固持机构及具有该固持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92906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54892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7333837B2 (en) Universal hands-free unit for mobile telephones
US2010002720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KR10130850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KR200353977Y1 (ko)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KR200474320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JP5599428B2 (ja) 電子機器
KR100681153B1 (ko) 흡착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20474068U (zh) 一种带手持终端的atm机
KR101674461B1 (ko) 모니터 탑재용 키보드
CN105098506A (zh) 卡固定机构及具有该卡固定机构的电子装置
EP2708972B1 (en)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178387B (zh) 基座
CN218103184U (zh) 一种电子设备
KR102255370B1 (ko) 스마트기기용 스탠드
KR200410276Y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