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357B1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357B1
KR101887357B1 KR1020110115261A KR20110115261A KR101887357B1 KR 101887357 B1 KR101887357 B1 KR 101887357B1 KR 1020110115261 A KR1020110115261 A KR 1020110115261A KR 20110115261 A KR20110115261 A KR 20110115261A KR 101887357 B1 KR101887357 B1 KR 10188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od guide
guide block
harness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147A (ko
Inventor
준이치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조이슨 세이프티 시스템스 재팬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이슨 세이프티 시스템스 재팬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조이슨 세이프티 시스템스 재팬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2004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일드 시트는 숄더 하니스(4)의 배부측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를 갖는다.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는 하니스 지지 로드(23)를 유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더(21)와, 슬라이더(21) 내에 수용되는 로드 안내 블록(22)을 구비한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로드 안내 블록(22)의 슬라이더(21)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로드 유지 홈(14)에 출입한다. 로드 안내 블록(22)의 이동에 따라 하니스 지지 로드(23)가 로드 유지 홈(14)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슬라이더(21)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숄더 하니스(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출원은 2010년 11월 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2010-249331 및 2011년 9월 2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2011-207487에 근거한다. 본 명세서중에 이들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해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 특히 착좌된 아이를 구속하는 구속 기구의 숄더 하니스의 배부측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승차한 아이의 신체를 안전하게 구속하기 위해 차일드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차일드 시트는 착좌되는 아이의 체중이나 대략의 연령에 따라서 좌석으로의 부착 방법이 정해지고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가 적정한 부착 상태로 차량에 부착된 경우에도 착좌되는 아이의 체격에 적합한 위치에 숄더 하니스의 높이를 조정해서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숄더 하니스의 높이」는 숄더 하니스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의 배부측에서 지지되는 높이[도 12A의 예에서는 이용되는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의 높이]를 의미한다.
현상태의 기준(예를 들면 EC기준)에서는 착좌되는 아이의 체중이 13kg미만(대략 신생아로부터 9개월 지위)일 때에는 차일드 시트는 차량 좌석에 후방향으로 부착되고, 그 후 4세경(체중13~18kg지위)까지의 사이는 전방향으로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신생아로부터 4세정도까지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 차일드 시트에서는 각각의 설치 상태 및 착좌되는 아이의 체격에 따라 숄더 하니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의 연구가 되고 있다.
도 12A는 종래의 차일드 시트(50)의 일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차일드 시트(50)의 배부(52)에는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4개소의 높이에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A에 나타낸 예에서는 숄더 하니스(53)는 위에서 2번째의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을 이용해서 배부(52)로 부착되어 있다.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50)의 본체 셸(55)에는 시트 쿠션(51)에 형성된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과 같은 위치에 관통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 하니스(53)의 단부는 시트 쿠션(51)의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 본체 셸(55)의 관통 구멍(57)에 삽입된다. 그리고, 숄더 하니스(53)의 단부는 본체 셸(55) 배면측(이면측)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본체 셸(55) 하단에 설치된 고정 행거(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차일드 시트(50)의 숄더 하니스(53)를 적정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일드 시트(50)를 후방향으로 좌석에 부착한 경우에는 약간 누운 상태에 가까운 자세의 아이의 어깨의 높이와 동일 어깨보다 낮은 위치의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을 이용해서 숄더 하니스(53)의 단부를 본체 셸(55)의 배면측에서 고정한다. 한편, 차일드 시트(50)를 전방향으로 좌석에 부착한 경우에는 착좌되는 아이의 어깨의 높이와 동일 어깨보다 다소 높은 위치의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을 이용해서 숄더 하니스(53)의 단부를 본체 셸(55)의 배면측에서 고정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50)를 이용하는 아이의 성장에 맞추어서, 또한 복수의 아이가 이용할 경우에는 이용하는 아이의 체격에 맞추어서 숄더 하니스(53)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숄더 하니스(53)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숄더 하니스(53)의 단부를 행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떼어내서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으로부터 뽑아내고, 새로운 숄더 하니스 통과 구멍(54)에 다시 삽입하고, 재차 행거에 고정하는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들의 작업은 차일드 시트를 차량 좌석으로부터 뗀 상태로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차일드 시트의 숄더 벨트 높이 조절 기구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7-329706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하의 부호는 일본 특허 공개 평7-329706호 공보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부호)에서는 백 패널(24)의 표면에 소정의 높이 간격을 개방해서 배치된 고정 슬롯(56,58)이 이동용 통로(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숄더 벨트는 이동용 통로(60)를 통해서 고정 슬롯(56,58)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백 패널(24)은 고정 슬롯(56,58) 사이의 캔틸레버 부분(72)이 소정의 보강 플레이트(74,76)로 보강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329706호 공보에 개시된 차일드 시트에서는 좌우의 숄더 벨트마다 백 패널(24)의 표면에 형성된 좌우의 고정 슬롯 위치에 맞춰서 높이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좌우의 부착 위치를 그르치거나 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숄더 하니스를 적절한 높이로 간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는 착좌된 아이를 구속하는 좌우 숄더 하니스의 배부측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홈인 로드 유지 홈이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셸과, 상기 본체 셸의 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숄더 하니스를 삽입시켜서 상기 좌우 숄더 하니스를 지지하는 숄더 하니스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백 플레이트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니스 지지 로드를 갖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유지되는 상태와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를 스위칭가능한 로드 높이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착좌된 아이」는 누운 상태에 가까운 자세의 아이도 포함한다.
상기 로드 높이 조정 기구는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이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를 유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내에서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를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수용하거나, 또는 해방되어 승강가능한 상태로 하는 로드 안내 블록과,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 내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이 이동했을 때에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를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 터치 조작으로 하니스의 지지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측면에 가로로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은 측면에 로드 안내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의 로드 안내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 높이 조정 기구에 유지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저항해서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이 압하되었을 때에 상기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슬릿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콤팩트한 기구에 의해 원 터치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0014] 상기 슬라이더는 측면에 가로로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은 측면에 로드 안내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의 로드 안내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 높이 조정 기구에 유지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저항해서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이 압상되었을 때에 상기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슬릿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과 같이 콤팩트한 기구에 의해 원 터치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은 본체 셸 측을 향해서 돌출된 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노브가 면하는 개구와, 상기 노브의 조작을 보조하는 오목 개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일드 시트의 전면으로부터 상술과 같은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는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셸은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인접하는 플랜지 유지 홈이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수용될 때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유지 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 축선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의 안정한 상하 방향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셸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일부가 면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쿠션에 덮여지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커버로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숄더 하니스를 적절한 높이로 간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거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의 본체 셸을 경사 전방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체 셸을 경사 후방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로드 높이 조정 기구와 백 플레이트를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하니스 지지 로드가 로드 유지 홈나 플랜지 유지 홈에 수용되어 있을 때의 높이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B는 로드 안내 블록의 노브를 압하했을 때의 높이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나타낸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낸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를 백 플레이트측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 2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도 5A에 대응하는 설명도이다.
도 7B는 제 2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도 5B에 대응하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제 3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도 5A에 대응하는 설명도이다.
도 8B는 제 3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도 5B에 대응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차일드 시트의 커버 쿠션 전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부착되는 백 플레이트 전용 커버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B는 백 플레이트 전용 커버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C는 백 플레이트 전용 커버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커버 쿠션의 장착성을 향상시킨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A는 종래 예의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B는 종래 예의 차일드 시트의 본체 셸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실시형태의 차일드 시트의 본체 셸을 경사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커버 쿠션이나 그 밖의 쿠션(헤드 쿠션 등의 옵션류)을 제거한 상태의 본체 셸(1)에, 숄더 하니스(4), 허리 하니스(5), 버클(6)이 부착된 상태의 차일드 시트가 나타내어져 있다. 본체 셸(1)의 배부에는 후술하는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도 2 참조)에 의해 소정 높이로 유지된 백 플레이트(10)가 부착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10)의 높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다소 위쪽에는 숄더 하니스 삽입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 하니스(4)는 이 숄더 하니스 삽입 구멍(11)의 높이로 상단 위치가 유지되어 있다. 숄더 하니스(4)에는 벨트 형상의 패드(8)가 권회되어 있다. 패드(8)는 착좌된 아이가 숄더 하니스(4)에 의해 구속될 때에 아이의 흉부로부터 숄더에 걸쳐서의 부위를 소프트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다한다. 또한, 좌우의 패드(8)에는 그들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패드 위치 유지 벨트(7)가 부착되어 있다. 패드 위치 유지 벨트(7)는 1개의 벨트로 이루어지고, 차일드 시트의 본체 셸(1)의 배면측에 있어서 슬라이더(21)의 일부[벨트 삽입 훅(21e): 도 2,도 3 참조]에 걸려 있다. 이에 따라, 패드(8)는 숄더 하니스(4)에 삽입된 상태로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체 셸(1)을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셸(1)은 곡면 형상의 아이 수용부(1A)와, 2개의 본체 프레임(1B)이 제공되어 있다. 아이 수용부(1A)는 유아가 착좌되는 좌부와, 아이가 기대는 배부를 갖는다. 2개의 본체 프레임(1B)은 아이 수용부(1A)를 유지해서 본체 셸(1)의 강성을 확보한다. 아이 수용부(1A)의 배부에는 2개의 본체 프레임(1B)에 끼워진 2개의 하니스 높이 조정용의 개구(12)과, 개구(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유지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12)는 숄더 하니스 삽입 구멍(11)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숄더 하니스(4)는 본체 셸(1)의 전면측의 백 플레이트(10)의 숄더 하니스 삽입 구멍(11)의 전면측으로부터 삽입되고, 각각이 수평으로 배치된 1개의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양측에 걸쳐 있다. 좌우 숄더 하니스(4)의 하단은 하방으로 위치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안내된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 위치가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에 지지된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슬라이더 유지 구멍(13)을 따라 슬라이더(21)와 함께 본체 셸(1)의 배면측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본체 셸(1)의 이면에 제공되어 있는 하니스 높이 조정용의 개구(12)의 가장자리부(16)에는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승강가능한 범위에 걸쳐 로드 유지 홈(14)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 유지 홈(14)과 같이, 슬라이더 유지 구멍(13)과 하니스 높이 조정용의 개구(12)의 사이를 구분하는 세로 리브(19)에는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승강가능한 범위에 걸쳐 로드 유지 홈(15)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로드 유지 홈(14,15)은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로드 직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갖는 생대략 반원형 홈으로 이루어진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로 지지된 중앙부와 양단이 같은 높이의 로드 유지 홈(14,15) 내에 수용된다. 또한, 본체 셸(1)은, 예를 들면 로드 유지 홈(15)이 형성된 부재가 이면에 부착됨으로써 로드 유지 홈(15)이 간접적으로 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은 본체 셸(1)의 전면에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10)와,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높이 조정을 행하는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를 분해해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백 플레이트(10)의 배면측의 형상을 알도록 본체 셸(1)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백 플레이트(10)의 배면측의 2개의 숄더 하니스 삽입 구멍(11)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0a), 걸림 구멍(10b), 스프링 유지 돌기(10c), 슬라이더 고정 대좌(10d)가 백 플레이트 본체와 일체적으로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셸(1)의 배면에 제공된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도 2 참조)는 하니스 지지 로드(23)와, 슬라이더(21)와, 슬라이더(21) 내에 수용되는 로드 안내 블록(22)과, 로드 안내 블록(22)을 상방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24)을 갖는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단에 플랜지(23a)가 형성된 강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슬라이더(21)에 조립된 로드 안내 블록(22)에 지지되어 소정 높이의 로드 유지 홈(14,15) 내에 수용된다. 로드 유지 홈(14)의 외측면에는 플랜지 유지 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양측에 제공된 플랜지(23a)는 각각 플랜지 유지 홈(14a)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높이를 조정할 때에 하니스 지지 로드(23)가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드 유지 홈(14,15)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를 두고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소정의 피치가 개방된 로드 유지 홈(14)마다 단계적으로 수용된다. 그 때, 로드 유지 홈(14)이 형성되지 않고 있는 부위에도 플랜지(23a)에 상당하는 위치에 플랜지(23a)의 플랜지 폭 정도의 홈 깊이가 얕은 플랜지 유지 홈(14a)이 연속된 좁은 선 형상 홈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하니스 지지 로드(23)를 상하시킬 때에 플랜지(23a)의 일부가 선 형상의 플랜지 유지 홈(14a)을 따라 이동하므로 하니스 지지 로드(23)가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21)는 합성 수지제의 중공 성형 부품이다. 슬라이더(2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 하니스 지지 로드(23)가 관통하는 가로로 긴 구멍(21b)을 갖고, 배면에 노브(21a)와 벨트 삽입 훅(21e)을 갖고, 상단에 걸림 훅(21c)을 갖고, 하단에 멈춤 나사 구멍부(21d)를 갖는다. 슬라이더(21)는 걸림 훅(21c)과 멈춤 나사 구멍부(21d)에 의해 백 플레이트(10)에 고정된다. 또한, 벨트 삽입 훅(21e)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위치 유지 벨트(7)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패드 위치 유지 벨트(7)의 양단에 패드(8)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도 1), 패드(8)는 숄더 하니스(4)에 삽입된 상태로 그 높이가 적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로드 안내 블록(2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방체 상자 형상을 한 중공 성형 부품이다. 로드 안내 블록(22)은 슬라이더(21) 내에 수용되고, 슬라이더(21) 내에서 스프링(24)에 의해 상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안내 블록(22)은 노브(22a)를 통해서 압하됨으로써 슬라이더(21) 내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들의 각 부품은 로드 안내 블록(22)이 스프링(24)로 바이어싱된 상태로 슬라이더(21) 내에 수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더(21) 측면에 형성된 가로로 긴 구멍(21b)과, 로드 안내 블록(22)의 측면에 형성된 느슨한 곡선 형상을 이루는 로드 안내 슬릿(22b)(도 5A, 도 5B참조)을 측방으로부터 하니스 지지 로드(23)가 관통하고 있다. 더욱이, 슬라이더(21)의 걸림 훅(21c)을 본체 셸(1)의 배면측으로부터 슬라이더 유지 구멍(13)을 통해서 백 플레이트(10)의 훅 걸림 구멍(10b)에 걸리게 하고, 하단의 고정 나사(25)를 슬라이더 고정 대좌(10d)에 단단히 조인다. 이에 따라,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는 본체 셸(1)을 끼우도록 해서 백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승강가능하게 부착된다.
[하니스 지지 로드의 높이의 조정]
여기에서, 상술한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의 동작 및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높이 조정에 대해서 도 4A~도 5B의 각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A~도 5B에서는 슬라이더(21)의 배면에 있는 벨트 삽입 훅(21e)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A는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의 슬라이더(21)가 최상단 위치에 있고, 하니스 지지 로드(23)가 로드 유지 홈(14,15) 내에 플랜지(23a)가 플랜지 유지 홈(14a)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이 상태에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 내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의 슬라이더(21) 내에 위치하는 로드 안내 블록(22)은 내장된 스프링(24)에 의해 상방을 향해서 바이어싱되어 최상단 위치에 있다. 또한, 슬라이더(21)의 가로로 긴 구멍(21b)과 로드 안내 블록(22)의 로드 안내 슬릿(22b)에 유지된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중앙부가 로드 유지 홈(14,15)의 최상단 위치의 반원형 홈에 플랜지(23a)가 플랜지 유지 홈(14a)의 반원형 홈 내에 수용되어 있다. 유저는 이 상태로부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안내 블록(22)의 노브(22a)와 슬라이더(21)에 돌출되어 있는 노브(21a)를 손가락으로 끼우도록 해서 스프링(24)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로드 안내 블록(22)을 압하한다(도 4A 및 도 5A 화살표B 참조). 로드 안내 블록(22)을 압하하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로드 안내 슬릿(22b)의 느슨한 곡선을 따라 로드 안내 슬릿(22b) 내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로드 안내 슬릿(22b) 내를 상방 이동함으로써 로드 유지 홈(14,15)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도 4A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유저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안내 블록(22)의 노브(22a)를 압하함으로써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로서의 슬라이더(21)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망의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다(도 4B 및 도 5B 화살표C 참조). 그리고, 유저는 하니스 지지 로드(23)를 소망의 높이로 맞춰서 로드 안내 블록(22)의 노브(22a)를 분리함으로써 하니스 지지 로드(23)의 중앙부는 그 높이의 가장 가까운 로드 유지 홈(14,15) 내에 수용되고, 플랜지(23a)도 로드 유지 홈(14) 외측 위치의 플랜지 유지 홈(14a)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안정해서 그 위치가 유지된다. 이렇게 하니스 지지 로드(23)가 이동됨으로써 슬라이더(22)나 하니스 지지 로드(23)와 함께 백 플레이트(10)도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유저는 원 터치 조작으로 백 플레이트(10)를 상하시켜서 숄더 하니스(4)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백 플레이트(10)에는 좌우 숄더 하니스(4)의 각각을 지지하는 2개의 하니스 삽입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저는 일단의 조작으로 좌우 숄더 하니스(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제 2 실시형태]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가 부착된 백 플레이트(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도 7B는 제 2 실시형태의 도 5A, 도 5B에 대응한 부재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안내 블록(22)의 압하가 백 플레이트(10)의 전면측으로부터도 될 수 있다. 도 6,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도 5A에 나타낸 로드 안내 블록(22)의 형상을 변경하고, 백 플레이트(10) 측에도 노브(22c)(이하, 전면 노브라 함)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백 플레이트(10)에는 전면 노브(22c)의 동작 스페이스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개구(17)가 형성되고, 개구(17)로부터 전면 노브(22c)가 면한다. 또한, 슬라이더(21) 측의 노브(21a)(도 5A)에 상당하는 역할을 다하는 오목 개소(18)가 백 플레이트(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유저는 이 오목 개소(18)에 손가락을 걸어서 로드 안내 블록(22)의 전면 노브(22c)를 압하할 수 있다. 전면 노브(22c)를 사용해서 압하했을 경우에도,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로드 안내 블록(22)의 로드 안내 슬릿(22b) 내를 상방으로 이동하고, 로드 유지 홈(14)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로드 높이 조정 기구의 제 3 실시형태]
도 8A는 제 3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 내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안내 블록(22)의 동작 방향이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상하 역전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의 구성은 도 5A에 나타낸 구성과 대비시키면 이해하기 쉽다. 우선, 제 3 실시형태의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의 슬라이더(21) 내에 있어서, 로드 안내 블록(22)은 상측으로 배치된 스프링(24)에 의해 하방을 향해서 바이어싱되어 최하단 위치에 있다. 이 때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도 4A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중앙부가 로드 유지 홈(14,15)의 반원형 홈에 플랜지(23a)가 플랜지 유지 홈(14a)의 반원형 홈 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로부터, 유저는 슬라이더(21)에 형성된 개구부(21f)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로드 안내 블록(22)의 하면(22c)과, 슬라이더(21)의 상면(21g)을 손가락으로 끼우도록 해서 로드 안내 블록(22)을 스프링(24)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압상한다(도 8A 화살표B'참조). 로드 안내 블록(22)을 압상하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로드 안내 슬릿(22b)의 느슨한 곡선을 따라 로드 안내 슬릿(22b) 내를 하방으로 이동한다.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로드 안내 슬릿(22b) 내를 하방 이동함으로써 로드 유지 홈(14)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유저는 로드 안내 블록(22)의 하면(22c)을 압상함으로써 로드 높이 조정 기구(20)로서의 슬라이더(21)를,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낸 경우와 같이, 소망의 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다(도 8B 화살표C 참조). 또한, 슬라이더(21)가 가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 있으면 상승,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유저는 하니스 지지 로드(23)를 소망의 높이로 맞춰서 로드 안내 블록(22)의 하면(22c)을 가압하는 것을 중지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에 의해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그 높이의 가장 가까운 로드 유지 홈(14,15) 내에 수용되고, 플랜지(23a)도 로드 유지 홈(14) 외측 위치의 플랜지 유지 홈(14a)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하니스 지지 로드(23)는 안정해서 그 위치가 유지된다.
[커버 쿠션의 구성]
통상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 셸(1)의 유아가 착좌하는 측의 좌부, 배부, 측부 전체를 덮도록 커버 쿠션(3)을 씌운다. 이에 따라, 유아가 착좌되어 구속된 상태의 쾌적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실시형태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유아의 등이 접하는 위치에 백 플레이트(10)가 제공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좌되는 유아의 숄더 하니스(4)의 높이 조정을 행할 때에 상하 이동하는 부재이다. 이 때문에, 커버 쿠션(3) 본체에 대하여 백 플레이트(10)를 덮는 쿠션을 별체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실시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의 백 플레이트(10)를 덮는 쿠션에 대해서 도 9, 도 10 각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쿠션(3) 본체의 배부에는 사각형상으로 도려낸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는 백 플레이트(10)가 승강할 때에 백 플레이트(10)가 이동하는 범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7)에 면한 백 플레이트(10)에는 백 플레이트(10) 전용의 커버(9)가 씌워진다. 도 9에는 커버(9)로 덮어진 백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의 일부가 개구부(7)로부터 보여진 상태가 나타내어지고, 커버(9)로 덮어진 백 플레이트의 전체 형상은 파선으로 나타내어 있다.
도 10A는 커버(9)를 씌운 상태의 백 플레이트(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9)에는 백 플레이트(10)에 제공된 하니스 삽입 구멍(11)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하니스 삽입 구멍(11)과 같은 하니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9a)이 제공되어 있다. 커버(9)는, 예를 들면 도 10B나 도 10C에 나타낸 것 등이 호적하다. 도 10B에 나타낸 예에서는 커버(9)는 포켓(9b)을 제공하고, 측방으로부터 백 플레이트(10)에 부착된다. 또한, 도 10C에 나타낸 예에서는 배면측 개구를 좁히도록 작용하는 고무 끈 등의 탄성재(9c)를 커버(9)의 개구 주위에 내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백 플레이트(10)를 수용시킨 상태로 배면측의 입구부(9d)를 좁혀서 커버(9)를 늘린 상태로 백 플레이트(10)를 덮을 수 있다.
도 11은 커버 쿠션(3) 전체의 장착성을 향상시킨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동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쿠션(3)의 개구부(7)의 하단과 커버 쿠션(3)의 허리 하니스 삽입 구멍(3a)의 사이에 노치 라인(8)을 제공함으로써 숄더 하니스(4)(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을 본체 셸(1)의 배면측에서 유지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커버 쿠션(3) 전체를 본체 셸(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 내에서의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 내에서 적당히 변경한 기술적 수단을 조합시킨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7)

  1. 착좌된 아이를 구속하는 좌우 숄더 하니스의 배부측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홈인 로드 유지 홈이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셸;
    상기 본체 셸의 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숄더 하니스를 삽입시켜서 상기 좌우 숄더 하니스를 지지하는 숄더 하니스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백 플레이트;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니스 지지 로드를 갖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유지되는 상태와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를 스위칭하는 로드 높이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 높이 조정 기구는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이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를 유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내에서의 상하 방향 이동을 따라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를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수용하거나, 또는 해방되어 승강가능한 상태로 하는 로드 안내 블록과,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 내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이 이동했을 때에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를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측면에 가로로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은 측면에 로드 안내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의 로드 안내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 높이 조정 기구에 유지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저항해서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이 압하되었을 때에 상기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슬릿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측면에 가로로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은 측면에 로드 안내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는 상기 슬라이더의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의 로드 안내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 높이 조정 기구에 유지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저항해서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이 압상되었을 때에 상기 가로로 긴 구멍과 상기 로드 안내 슬릿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드 유지 홈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안내 블록은 본체 셸 측을 향해서 돌출된 노브가 형성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노브가 면하는 개구와, 상기 노브의 조작을 보조하는 오목 개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는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셸은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인접하는 플랜지 유지 홈이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가 상기 로드 유지 홈에 수용될 때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유지 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니스 지지 로드의 축선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셸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일부가 면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쿠션으로 덮여지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커버로 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7. 삭제
KR1020110115261A 2010-11-08 2011-11-07 차일드 시트 KR101887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9331 2010-11-08
JPJP-P-2010-249331 2010-11-08
JP2011207487A JP5685509B2 (ja) 2010-11-08 2011-09-22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11-207487 2011-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47A KR20120049147A (ko) 2012-05-16
KR101887357B1 true KR101887357B1 (ko) 2018-08-10

Family

ID=4547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261A KR101887357B1 (ko) 2010-11-08 2011-11-07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50226B1 (ko)
JP (1) JP5685509B2 (ko)
KR (1) KR101887357B1 (ko)
CN (1) CN102555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6664B1 (de) * 2012-05-22 2014-04-02 HAUCK GmbH & Co. KG Kindersicherheitssitz für Fahrzeuge
CN105473378B (zh) * 2013-08-23 2018-03-23 康贝株式会社 儿童座椅
JP6676320B2 (ja) * 2015-09-28 2020-04-08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GB2553802B (en) * 2016-09-14 2019-08-07 Stroller Tech Ltd A stroller
CN107161202B (zh) * 2017-06-06 2023-05-2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座兜及儿童推车
CN110816466B (zh) * 2018-08-07 2024-04-30 北京弦歌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带肩带高度调节装置及交通工具
JP6971480B2 (ja) * 2019-02-07 2021-11-24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チャイルドシート
CN112406645B (zh) * 2020-11-30 2022-07-05 东莞恒耀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座椅肩带调节装置
GB2612025A (en) * 2021-10-12 2023-04-26 Silver Cross Ip Ltd Adjustable infant se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837A1 (en) * 2000-09-22 2002-04-18 Kain James M. Juvenile carrier with juvenile-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2325A (en) * 1990-07-20 1992-01-21 Century Products Company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5449223A (en) 1994-06-07 1995-09-12 Hoover Universal, Inc. Shoulder bel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6030047A (en) * 1998-04-06 2000-02-29 Cosco, Inc.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JP2001294064A (ja) * 2000-02-07 2001-10-23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JP4539337B2 (ja) * 2004-02-10 2010-09-08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4760215B2 (ja) * 2005-08-18 2011-08-31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5293359B2 (ja) 2009-04-10 2013-09-18 三浦工業株式会社 蒸気エンジンを用いた冷凍機
JP5416010B2 (ja) 2010-03-29 2014-02-12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誤操作防止機構付きバルブ、ローディングアームおよびバルブの誤操作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837A1 (en) * 2000-09-22 2002-04-18 Kain James M. Juvenile carrier with juvenile-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47A (ko) 2012-05-16
EP2450226A1 (en) 2012-05-09
CN102555851B (zh) 2016-01-20
EP2450226B1 (en) 2014-04-02
JP5685509B2 (ja) 2015-03-18
JP2012116465A (ja) 2012-06-21
CN102555851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57B1 (ko) 차일드 시트
US6868585B2 (en) Web adjuster device
US8038212B2 (en) Child vehicle seating system
US9067516B2 (en) Child safety seat
CN104837675B (zh) 车辆儿童安全座椅以及肩垫
KR20160046803A (ko) 차일드 시트
TW201221387A (en) Child seat
CN104822561A (zh) 车辆儿童安全座椅
EP2925559A1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and harness cover
CN107539264A (zh) 安装在座椅上的可调节安全带的织带引导件
GB2496748A (en) Adjustable harness for child's chair
KR20160045705A (ko) 차일드 시트
US9428143B2 (en) Seat with upwardly projecting harness straps
KR102154598B1 (ko) 아동용안전의자
KR20160045703A (ko) 차일드 시트
KR101807639B1 (ko) 차일드 시트
EP2586676B1 (en) Strap adjuster and stroller backrest tilt adjusting device
US20020163240A1 (en) Cushioning device
JP425518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TWI545035B (zh) 設有錨定帶組件的兒童座椅
JP2015171652A (ja) 椅子及びその座部
KR20160045704A (ko) 차일드 시트
US20110101753A1 (en) Fastening device for a chair
CN109984519B (zh) 肩带高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JP2013103068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