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635B1 -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6635B1 KR101696635B1 KR1020150149571A KR20150149571A KR101696635B1 KR 101696635 B1 KR101696635 B1 KR 101696635B1 KR 1020150149571 A KR1020150149571 A KR 1020150149571A KR 20150149571 A KR20150149571 A KR 20150149571A KR 101696635 B1 KR101696635 B1 KR 1016966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rest
- cradle
- headrest body
- smartphon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60N2/48—
-
- B60N2/487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헤드레스트 바디와, 헤드레스트 바디의 후면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유닛과, 헤드레스트 바디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어 거치유닛을 덮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사용시에는 거치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미사용시에 헤드레스트 내로 수용하여 거치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바디의 내측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내장하여 사용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교통수단 즉, 항공, 고속철도 등의 발달로 인하여 전국이 일일 생활권으로 바뀌고, 차량을 이용한 출퇴근이나 지방으로의 출장이 잦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태블릿 PC(Tablet), 노트북, 스마트폰 등이 발달하여 누구나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휴가나 출장 등의 이유로 차량으로 장거리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으로 장거리 이동을 할 경우에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지루함을 달래거나 업무를 하기 위하여, 태블릿 PC 등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스마트 패드로 통칭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운행중에 스마트 패드를 이용하게 되면, 탑승자는 스마트 패드를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무릎, 가방 등에 올려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스마트 패드를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무릎, 가방 등에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손으로 사용하게 되면 팔이 아프고 자세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릎, 가방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되면, 고개를 많이 구부리게 되는데, 오랜 시간 고개를 많이 구부리게 되면, 고개에 무리가 가게 되면, 결국에는 목 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헤드레스트에 거치하기 위한 장치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69894호(2014.06.10: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헤드레스트의 뒷면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별도로 설치한 후에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사용이 불편하고, 미사용시에도 외부로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가 노출되어 있어 실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내측에 스마트폰 거치대를 구비하여 사용시에만 스마트폰 거치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형을 형성하는 헤드레스트 바디와, 헤드레스트 바디의 후면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유닛과, 헤드레스트 바디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어 거치유닛을 덮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헤드레스트 바디는, 후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거치유닛이 힌지 결합되어 미사용시 수용되고 사용시 회동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헤드레스트 바디와 거치유닛에는 거치유닛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설정하기 위한 경사 조절유닛이 구비되되, 경사 조절유닛은 거치대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 바디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헤드레스트 바디에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동부재와, 유동부재를 헤드레스트 바디의 내측에 대하여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헤드레스트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유동부재의 단부에 접촉되어 외부의 가압에 의해 유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유동부재와 조작노브는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밀착되는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치유닛은, 헤드레스트 바디에 연결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거치대에 대해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톱퍼는 거치대의 후면에 탄력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가 걸리는 복수의 지지홈이 지지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사용시에는 거치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미사용시에 헤드레스트 내로 수용하여 거치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거치대가 헤드레스트에 항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시 거치대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의 거치대 사용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의 거치유닛과 경사조절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에서 스톱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에서 거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의 거치대 사용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의 거치유닛과 경사조절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에서 스톱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에서 거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의 거치대 사용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의 거치유닛과 경사조절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에서 스톱퍼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에서 거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사용시 스마트폰(200)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시키고, 미사용시 스마트폰(200)을 거치하는 거치유닛(120)을 헤드레스트 바디(110) 내에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바디(110), 거치유닛(120), 커버부재(130)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며 후면에 스마트폰(200)이나 태블릿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유닛(120)이 구비된다.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후면에는 거치유닛(1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1)이 구비된다.
거치유닛(120)은 양측하부가 수용홈(11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미사용시 수용홈(111)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거치유닛(120)은 수용홈(111)과 거치유닛(120) 사이에 구비되는 경사조절유닛(14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거치유닛(12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200)을 사용자가 볼 때 최적의 각도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유닛(120)은 스마트폰(200)을 올려놓기 위한 거치대(121)와, 거치대(1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2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2)과, 지지부재(122)를 거치대(121)에 임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123)를 포함한다.
거치대(121)는 판부재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스마트폰(200)이 올려지는 받침부(121a)가 돌출 형성된다. 즉, 거치대(121)의 받침부(121a) 윗면에 스마트폰(200)이 올려져 지지되면, 스마트폰(200)의 상단부가 지지부재(122)에 걸려서 거치된다.
지지부재(122)는 거치대(121)의 후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대(121)에 올려지는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200)을 모두 지지하게 된다. 지지부재(122)는 거치대(121)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21b)에 끼워져 수직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설치되되, 가이드홈(121b)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톱퍼(123)에 의해 지지위치가 설정된다. 즉, 지지부재(122)는 거치대 후면에 대향하는 면에 스톱퍼(123)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홈(122a)이 물결 모양으로 형성되되, 지지부재(122)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122)는 상부에 스마트폰(200)의 상단부를 걸어서 지지하는 걸림부(122b)가 절곡 형성된다. 걸림부(122b)는 스마트폰(200)의 상단부에 접촉될 때, 스마트폰(200)의 상단부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부재를 더 포함한다.
거치대(121)는 경사조절유닛(140)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을 볼 때, 최고의 상태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사조절유닛(140)은 거치대(121)와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수용홈(111)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거치대(121)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부재(141), 유동부재(142), 스프링(143), 조작노브(144)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41)는 거치대(121)를 헤드레스트 바디(11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거치대(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수용홈(111)의 끼움홀을 통하여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끼워져 거치대(121)의 경사각 조절시 이동된다.
유동부재(142)는 헤드레스트 바디(110) 내에 연결부재(141)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유동부재(142)는 연결부재(141)가 끼워져 관통되고, 이동도록 하는 관통홀(142a)이 형성된다. 유동부재(142)는 일단이 헤드레스트 바디(110) 내에서 스프링(143)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조작노브(144)에 밀착된다. 유동부재(142)와 조작노브(144)가 서로 밀착되는 단부중 하나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조작노브(144)의 누름시 유동부재(142)가 스프링(143) 쪽으로 이동한다.
즉, 유동부재(142)는 조작노브(144)를 사용자가 누르면 유동부재(142)는 스프링(143)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스프링(143)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조작노브(144)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위치한다.
연결부재(141)는 일단이 거치대(121)에 연결되고, 타타단이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끼움홀에 끼워진 후에 유동부재(142)의 관통홀(142a)을 관통하여 헤드레스트 바디(110)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여기서, 유동부재(142)가 스프링(143)에 탄력 지지된 상태에서는 끼움홀과 관통홀(142a)이 서로 어긋나서 끼움홀과 관통홀(142a)에 끼워진 연결부재(141)가 고정된 상태가 되어 거치대(121)의 경사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노브(144)를 누르면 유동부재(142)가 스프링(143) 쪽으로 이동하면서 끼움홀과 관통홀(142a)이 일치되면서 이에 끼워진 연결부재(141)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때 사용자가 거치대(121)를 잡고 경사를 조절한다.
커버부재(130)는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단이 록킹유닛에 의해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상부에 잠금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부재(130)는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후면에 구비되는 거치대(121)를 가려서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외형을 이루는 재질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록킹유닛은 커버부재(130)와 헤드레스트 바디(110)에 각각 걸림턱과 후크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고, 커버부재(130)과 헤드레스트 바디(110)에 각각 마그넷과 철부재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거치대(12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헤드레스트(100)는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후면에 커버부재(130)가 록킹 상태에 있기 때문에 거치대(1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리어시트에 탑승자가 스마트폰(200)이나 태블릿으로 영화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하여 커버부재(130)의 잠금을 해지하여 커버부재(130)를 오픈한다.
이후에, 거치대(121)의 지지부재(122)를 위로 당겨서 스마트폰(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122)와 거치대(121)의 받침부(121a) 사이에 공간을 확보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폰(200)을 지지부재(122)와 받침부(121a) 사이에 끼워 넣고, 지지부재(122)를 하강시켜 스마트폰(200)의 상단부를 지지부재(122)로 가압하여 거치대(121)에 스마트폰(200)을 임시 고정한다.
그런 다음, 경사조절유닛(140)을 조작하여 거치대(121)의 경사를 조절하여 스마트폰(200)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즉, 탑승자는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수용홈(111)에 구비되는 조작노브(144)를 눌러 연결부재(141)가 이동 가능하게 한 후에, 거치대(121)를 잡고 경사를 조절한 후에 조작노브(144)를 놓아 거치대(121)의 경사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스마트폰의 사용시에는 거치대(121)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미사용시에 헤드레스트(100) 내로 수용하여 거치대(121)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거치대(121)가 헤드레스트(100)에 항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시 거치대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헤드레스트
110 : 헤드레스트 바디 111 : 수용홈
120 : 거치유닛 121 : 거치대
121a : 받침부 121b : 가이드홈
122 : 지지부재 122a : 지지홈
122b : 걸림부
123 : 스톱퍼
130 : 커버부재
140 : 경사조절유닛
141 : 연결부재 142 : 유동부재
142a : 관통홀
143 : 스프링 144 : 조작노브
200 : 스마트폰
110 : 헤드레스트 바디 111 : 수용홈
120 : 거치유닛 121 : 거치대
121a : 받침부 121b : 가이드홈
122 : 지지부재 122a : 지지홈
122b : 걸림부
123 : 스톱퍼
130 : 커버부재
140 : 경사조절유닛
141 : 연결부재 142 : 유동부재
142a : 관통홀
143 : 스프링 144 : 조작노브
200 : 스마트폰
Claims (7)
- 외형을 형성하는 헤드레스트 바디;
헤드레스트 바디의 후면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유닛;
헤드레스트 바디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어 거치유닛을 덮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헤드레스트 바디는, 후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거치유닛이 힌지 결합되어 미사용시 수용되고 사용시 회동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헤드레스트 바디와 거치유닛에는 거치유닛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설정하기 위한 경사 조절유닛이 구비되되,
경사 조절유닛은,
거치대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 바디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연결부재;
헤드레스트 바디에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동부재;
유동부재를 헤드레스트 바디의 내측에 대하여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헤드레스트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유동부재의 단부에 접촉되어 외부의 가압에 의해 유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작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동부재와 조작노브는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밀착되는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거치유닛은,
헤드레스트 바디에 연결되는 거치대;
거치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를 거치대에 대해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스톱퍼는
거치대의 후면에 탄력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가 걸리는 복수의 지지홈이 지지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9571A KR101696635B1 (ko) | 2015-10-27 | 2015-10-27 | 차량용 헤드레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9571A KR101696635B1 (ko) | 2015-10-27 | 2015-10-27 | 차량용 헤드레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6635B1 true KR101696635B1 (ko) | 2017-01-16 |
Family
ID=5799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9571A KR101696635B1 (ko) | 2015-10-27 | 2015-10-27 | 차량용 헤드레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663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68660A1 (fr) * | 2017-07-07 | 2019-01-11 | Psa Automobiles Sa |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integrant un dispositif support pour terminal mobile. |
KR20210047533A (ko) | 2019-10-22 | 2021-04-30 | 박강혁 | 차량 머리 받침대 디스플레이 홀더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1986A (ja) * | 1997-11-21 | 1999-06-08 | Ikeda Bussan Co Ltd | モニター付きシートバック |
KR20140002927U (ko) * | 2012-11-09 | 2014-05-19 | 홍주연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
KR20140069894A (ko) | 2012-11-30 | 2014-06-10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
-
2015
- 2015-10-27 KR KR1020150149571A patent/KR1016966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1986A (ja) * | 1997-11-21 | 1999-06-08 | Ikeda Bussan Co Ltd | モニター付きシートバック |
KR20140002927U (ko) * | 2012-11-09 | 2014-05-19 | 홍주연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
KR20140069894A (ko) | 2012-11-30 | 2014-06-10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68660A1 (fr) * | 2017-07-07 | 2019-01-11 | Psa Automobiles Sa |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integrant un dispositif support pour terminal mobile. |
KR20210047533A (ko) | 2019-10-22 | 2021-04-30 | 박강혁 | 차량 머리 받침대 디스플레이 홀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6733B1 (ko) |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 |
US20120120626A1 (en) |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
CN100475602C (zh) | 具有用背板实现的靠背的后座 | |
KR101112601B1 (ko)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
US9643566B2 (en) | Height adjuster of seat belt for vehicle | |
KR101696635B1 (ko) | 차량용 헤드레스트 | |
KR200488939Y1 (ko) | 스마트 장치 거치대 | |
KR20140069684A (ko) |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 |
CN107487273B (zh) |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及车辆 | |
US20160129877A1 (en) | Buckle guide | |
US20190135153A1 (en) | Cover for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 |
CN108263290B (zh) | 车辆中用于移动设备的储存装置 | |
JP5657310B2 (ja) | 容器保持装置 | |
JP5668423B2 (ja) | ポータブル機器固定装置 | |
KR101754892B1 (ko) | 스마트폰 거치대 | |
KR20090034637A (ko) | 차량용 거치대 | |
CN106427717B (zh) | 一种车载折叠桌板 | |
KR200487926Y1 (ko) | 자석 거치대 | |
CN210149252U (zh) | 一种方便夹持手机的汽车座椅扶手 | |
KR102356557B1 (ko) |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 |
KR101406730B1 (ko) |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 |
KR20170102939A (ko) | 음료 용기 보유 장치 | |
KR20110018712A (ko) |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 |
CN109795390B (zh) | 暖壶座和具有其的车辆 | |
KR101521797B1 (ko) | 전자기기 거치 가능한 글러브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