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925Y1 -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25Y1
KR200385925Y1 KR20-2005-0007618U KR20050007618U KR200385925Y1 KR 200385925 Y1 KR200385925 Y1 KR 200385925Y1 KR 20050007618 U KR20050007618 U KR 20050007618U KR 200385925 Y1 KR200385925 Y1 KR 200385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groove
hole
protrusion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기용
Original Assignee
류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기용 filed Critical 류기용
Priority to KR20-2005-0007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ar passeng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TV등과 같은 소형 모니터를 뒷좌석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차량용 모니터를 거치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 단부의 둘레를 감싸며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호 조립되고, 조립시 전방에 개방장홀을 가지는 회전구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후단이 상기 회전구 홈에 삽입 장착되고 전단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이 모니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A monitor supporter for headrest}
본 고안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구비되어 차량용 모니터를 거치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대는 TV, 영화, 음악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TV의 구성 중 하나인 모니터를 차량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종래의 모니터 거치대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지지대가 돌출 구비되는 베이스 판과, 상기 지지대를 감싸며 그 상면의 중앙에 장홀을 갖는 개방부가 형성된 홀더와, 이 개방부에 구비되는 구체의 일측에 길이 연장되며 외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와, 이 조인트의 선단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종래의 모니터 거치대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를 조임에 따라 상기 홀더를 상기 조인트의 구체에 가압 밀착시켜 모니터를 고정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조인트를 풀게 되면 상기 구체의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받침판에 설치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 거치대가 조인트의 조임에 의해 가변 고정됨으로써, 차량 에서 모니터를 통해 각종 영상물을 시청하거나 감상하는 경우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위치에 맞게 모니터의 방향을 조정하여 편안하게 TV나 영화 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모니터 거치대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됨으로써, 뒷좌석에 탑승한 사람이 모니터의 화면을 보는데에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모니터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뒷좌석에서는 모니터를 볼 수 없으므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자리에 앉아 서 모니터를 봐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뒷좌석에서도 TV나 영화등의 영상물을 모니터를 통해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차량용 모니터를 거치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 단부의 둘레를 감싸며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호 조립되고, 조립시 전방에 개방장홀을 가지는 회전구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후단이 상기 회전구 홈에 삽입 장착되고 전단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이 모니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이하, 편의상 "거치대"라 한다)는 차량용 헤드레스트(8)의 지지축(81)에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수단(1)과; 상기 고정수단(1)에 볼트(213)와 너트(214)를 통해 상호 조립되는 한 쌍의 브라켓(21)으로 이루어진 몸체(2)와; 이 몸체(2)에 삽입 장착되고 전단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이 모니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수단(3)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수단(1)은 상기 헤드레스트(8)의 지지축(81)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볼트(12)를 통해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1)은 내부에 상기 지지축(81)이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111)의 측면에 외부로 연동되는 탭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둘레에 홈부(113)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11)와, 상기 고정체(11)의 탭홀(11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11)의 홈부(113)에는 후술하게 될 한 쌍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후방부가 결합되도록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볼트와 너트의 조절을 통해 상기 홈부(113)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체(11)의 전방에 결합되는 몸체(2)는 상기 고정수단(1)의 전방 둘레를 감싸며 볼트(213)와 너트(214)를 통해 상호 조립되는 한 쌍의 브라켓(21)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립 시 상부 일측에 후술하게 될 거치수단의 후방이 삽입되는 개방장홀(211)을 가지는 회전구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의 내부에는 한 쌍의 브라켓(21)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압축 코일 스프링(24)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2)는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에 의해 쌍으로 이루어진 브라켓(21)이 상호 결합된다. 이에 상기 너트(214)를 풀게 되면 한 쌍의 브라켓(21)이 상호 이격됨으로써, 전방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구 홈(212)의 직경이 가변되어 이 회전구 홈(212)에 삽입되는 거치수단의 후방이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쌍으로 이루어진 브라켓(21)을 조립하는 볼트(213)와 너트(214)를 조이게 되면, 양 브라켓(21)이 서로 밀착되며 상기 몸체(2)의 후방부가 상기 고정체(11)를 가압하여 고정됨과 동시에 전방 내측의 회전구 홈(212)에 삽입되는 거치수단의 후방이 상기 회전구 홈(212)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 때 양 브라켓(21)을 통과하는 상기 볼트(213)의 둘레를 감싸며 장착되어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24)이 양 브라켓(21)을 외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양 브라켓(21)을 관통하는 볼트(213)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214)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반대로 볼트(213)와 너트(214)를 풀게 되면, 양 브라켓(21)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몸체(2)가 상기 고정체(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전방의 회전구 홈(212)에 밀착되어 있던 거치수단의 후방이 회전구 홈(212)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상기 회전구 홈(212)에 결합되는 거치수단의 기울기가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너트(214)의 풀림 시 양 브라켓(21)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양 브라켓(21)이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필요시 보다 쉽게 거치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거치수단은 후단이 상기 회전구 홈(212)에 삽입 장착되고 전단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2)의 볼트(213)와 너트(214)간의 조임 상태에 따라 모니터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거치수단은 배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가 거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단이 모니터의 배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구 홈(212)에 삽입 장착되어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회전구 홈(212)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나선부(312)가 형성된 돌출대(311)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구(313)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대(31)와, 상기 돌출대(311)의 선단에 구비되어 모니터 배면의 홈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단속편(32)과, 상기 단속편(32)과 회전구(313)사이의 각도 조절대(31)에 나선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전방에 안착홈부(331)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33)와, 상기 안착홈부(331)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부재(33)의 전진시 모니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탄성판(3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거치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양 브라켓(21)을 상호 연결해주는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 상태에 따라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각도 조절대(31)의 기울기가 가변 고정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몸체(2)에서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는 거치수단의 단속편(32)이 모니터의 배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모니터가 체결되는 것이다.
즉 거치대의 단속편(32)에 모니터 배면에 형성된 홈부가 삽입되도록 모니터를 장착한 다음 상기 회전부재(33)를 조이게 되면, 상기 돌출대(311)에 형성된 나선부(312)를 따라 회전되어 모니터의 배면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 회전부재(33)의 안착홈부(331)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판(34)이 전진되면서 모니터 홈부 양측의 배면에 밀착되어 모니터가 고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모니터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회전부재(33)를 풀게 되면 모니터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탄성판(34)과 단속편(32)사이에 장착된 모니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거치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에 하부가 개방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인 경우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저면에 탭홀(7)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거치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속편(32)과 탄성판(34)사이의 돌출대(311)에 슬라이딩 장착되며 모니터 저면에 나선 결합되는 모니터 고정체(35)를 이용하여 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 고정체(35)는 외주면에 나선부(361)가 형성된 돌출대(362)를 포함하는 조절부재(36)와,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지지하며 내측에 상기 모니터 저면의 탭홀(7)에 상기 돌출대(362)가 관통 체결되는 장홀(37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37)과, 상기 수평판(37)의 후단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되 중앙에 상기 단속편(32)이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부가 개방된 개방장홀(38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3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저면에 탭홀(7)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는 모니터 고정체(35)를 구성하는 상기 수평판(37)의 장홀(371)을 관통하는 조절부재(36)에 의해 상기 수평판(37)에 고정된다. 그리고 모니터가 고정되는 모니터 고정체(35)는 상기 수직판(38)에 형성된 개방장홀(381)을 통해 거치수단의 전단인 상기 단속편(32)과 탄성판(34)사이의 돌출대(31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속편(32)과 탄성판(34)사이의 돌출대(311)에 장착되는 모니터 고정체(35)는 상기 회전부재(33)의 조임 상태에 따른 상기 탄성판(34)의 밀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배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차량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수단(1)에 대하여 회전되는 몸체(2)가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을 통해 회전위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몸체(2)에 연결되는 각도 조절대(31)의 기울기 즉 경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는 거치대가 장착되는 모니터의 방향 및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은 각도 조절대의 기울기, 즉 모니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의 전단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모니터 고정체(35)를 통해 저면에 탭홀(7)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의 제1 실시예로서, 거치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함으로써, 고정수단 및 몸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치수단이 장착된 거치대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3)은 상기 몸체(2)에 형성된 개방장홀(211)을 통해 돌출되는 각도 조절대(41)와, 이 각도 조절대(41)의 타단에 장착되는 연결체(42)와, 이 연결체(42)와 연결되어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는 모니터 고정체(43)로 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대(41)는 상기 회전구 홈(212)에 제1 구체(411)가 삽입되고 이 제1 구체(411)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연결봉(413)이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몸체(2)의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413)의 상단에 제2 구체(41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도 조절대(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양 브라켓(22)을 상호 연결해주는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 상태에 따라 기울기가 가변 고정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몸체(2)에서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42)는 볼트(421)와 너트(422)를 통해 조립되며 조립시 하부 내측에 상기 제2 구체(412)가 삽입 장착되는 하부 개방장홀(423)을 포함하는 회전구 홈(424)이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전방이 개방된 원형홈부(425)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42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6)을 외측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연결체(42)의 내부에는 양 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의 둘레를 감싸는 압축 코일 스프링(24)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체(42)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6)에 관통 설치되는 볼트(421)와 너트(422)를 조이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6)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회전구 홈(424)의 내측면이 상기 제2 구체(41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반대로 볼트(421)와 너트(422)를 풀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6)을 밀착시키도록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연결체(42)는 상기 제2 구체(41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모니터 고정체(43)는 상기 연결체(42)의 원형홈부(425)에 후방의 원형돌기(431)가 삽입되며, 이 원형돌기(431)의 전단면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판(432)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체(42)에 고정되는 고정판(432)은 연결체(42)의 볼트(421)와 너트(422)의 조임을 통해 회전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체(42)의 볼트(421)와 너트(422)를 조이게 되면, 한 쌍의 브라켓(426)이 서로 밀착되며 원형홈부(425)의 내측면이 원형돌기(431)의 둘레를 가압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원형돌기(431)와 이 원형돌기(431)에 볼트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고정판(432)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볼트(421)와 너트(422)를 풀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6)을 밀착시키도록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원형돌기(431)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형돌기(431)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고정판(432)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실시예의 거치수단이 장착된 거치대는 고정수단(1)에 대하여 회전되는 몸체(2)가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을 통해 회전위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몸체(2)에 연결되는 각도 조절대(41)의 기울기 즉 경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는 거치대가 장착되는 모니터의 방향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체(42)가 볼트(421)와 너트(422)의 조임을 통해 구체 및 하부 개방장홀(423)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모니터 고정판(432)을 통해 거치대에 고정되는 모니터의 화면방향 및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봉(413)의 하부에는 나선부(414)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부(414)에 나선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후방에 홈부(441)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442)와 상기 홈부(441)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체(442)의 후진시 상기 몸체(2)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고무판(443)을 포함하는 회전 방지체(44)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체(442)를 조이게 되면, 상기 연결봉(413)에 형성된 나선부(414)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몸체(2)를 향해 상기 회전체(442)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442)의 후진과 동시에 이 회전체(442)의 홈부(441)에 구비되는 상기 고무판(443)이 후진되어 몸체(2)에 밀착됨으로써, 모니터의 무게로 인해 상기 각도 조절대(41)의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의 제2 실시예로서, 거치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함으로써, 고정 수단 및 몸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따른 거치수단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3)은 상기 몸체(2)에 형성된 개방장홀(211)을 통해 돌출되는 각도 조절대(51)와, 이 각도 조절대(51)의 타단에 장착되는 연결체(52)와, 이 연결체(52)와 연결되어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는 가압 고정체(53)로 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대(51)는 상기 회전구 홈(212)에 제1 구체(511)가 삽입되고 상기 제1 구체(511)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연결봉(513)이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몸체(2)의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513)의 상단에 제2 구체(51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도 조절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양 브라켓(23)을 상호 연결해주는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 상태에 따라 기울기가 가변 고정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몸체(2)에서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체(52)는 볼트(521)와 너트(522)를 통해 조립되며 조립시 하부 내측에 상기 제2 구체(512)가 삽입 장착되는 하부 개방장홀(523)을 포함하는 회전구 홈(524)이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전방이 개방된 원형홈부(525)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5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527)을 외측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연결체(52)의 내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526)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체(52)의 볼트(521)와 너트(522)를 조이게 되면, 한 쌍의 브라켓(527)이 서로 밀착되며 상기 원형홈부(525)의 내측면이 상기 원형돌기(531)의 둘레를 가압하여 밀착됨으로써 상기 원형돌기(531)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볼트(521)와 너트(522)를 풀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브라켓(527)을 밀착시키도록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원형돌기(531)와 이 원형돌기(5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동되는 상기 돌출대(533)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 고정체(53)는 상기 원형홈부(525)에 후방의 원형돌기(531)가 삽입되며 이 원형돌기(531)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되 외면에 나선부(532)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대(533)와, 상기 돌출대(533)의 선단에 구비되어 모니터 배면의 홈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단속편(534)과, 상기 단속편(534)과 원형돌기(531)사이의 돌출대(533)에 나선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전방에 안착홈부(535)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536)와, 상기 안착홈부(535)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부재(536)의 전진시 모니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탄성판(5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는 거치수단의 단속편(534)이 모니터의 배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모니터가 체결되는 것이다.
즉 거치대의 단속편(534)에 모니터 배면에 형성된 홈부가 삽입되도록 모니터를 장착한 다음 상기 회전부재(536)를 조이게 되면, 상기 돌출대(533)에 형성된 나선부(532)를 따라 회전되어 모니터의 배면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536)의 전진과 동시에 이 회전부재(536)의 안착홈부(535)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판(537)도 전진함으로써 모니터의 배면에 밀착되어 모니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회전부재(536)를 풀게 되면 모니터에 밀착되도록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판(537)과 단속편(534)사이에 장착된 모니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거치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에 하부가 개방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인 경우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저면에 탭홀(7)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거치할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속편(534)과 탄성판(537)사이의 돌출대(533)에 슬라이딩 장착되며 모니터 저면에 나선 결합되는 모니터 고정체(6)를 이용하여 거치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모니터 고정체(6)는 외주면에 나선부(611)가 형성된 돌출대(612)를 포함하는 조절부재(61)와,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지지하며 내측에 상기 모니터 저면의 탭홀(7)에 상기 돌출대(612)가 관통 체결되는 장홀(62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62)과, 상기 수평판(62)의 후단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되 중앙에 상기 단속편(534)이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부가 개방된 개방장홀(63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6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저면 탭홀(7)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는 상기 모니터 고정체(6)를 구성하는 상기 수평판(62)의 장홀(621)을 관통하는 상기 조절부재(61)에 의해 상기 수평판(62)에 고정된다. 그리고 모니터가 고정되는 모니터 고정체(6)는 상기 수직판(63)에 형성된 개방장홀(631)을 통해 거치수단의 전단인 단속편(534)과 탄성판(537)사이의 돌출대(533)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단속편(534)과 탄성판(537)사이의 돌출대(533)에 장착되는 모니터 고정체(6)는 회전부재(536)의 조임 상태에 따른 상기 탄성판(537)의 밀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고정수단(1)에 대하여 회전되는 몸체(2)가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을 통해 회전위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몸체(2)에 연결되는 각도 조절대(51)의 기울기 즉 경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는 거치대가 장착되는 모니터의 방향 및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는 각도 조절대의 기울기, 즉 모니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체(52)가 볼트(521)와 너트(522)의 조임을 통해 구체 및 하부 개방장홀(523)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거치대에 고정되는 모니터의 화면방향 및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의 전단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모니터 고정체(6)를 통해 저면에 탭홀(7)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를 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봉(513)의 하부에는 나선부(514)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부(514)에 나선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후방에 홈부(541)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542)와 상기 홈부(541)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체(542)의 후진시 상기 몸체(2)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고무판(543)을 포함하는 회전 방지체(54)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체(542)를 조이게 되면, 상기 연결봉(513)에 형성된 나선부(514)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몸체(2)를 향해 상기 회전체(542)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542)의 후진과 동시에 이 회전체(542)의 홈부(541)에 구비되는 상기 고무판(543)이 후진되어 몸체(2)에 밀착됨으로써 모니터의 무게로 인해 상기 각도 조절대(51)의 경사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구비되어 뒷좌석에서도 TV나 영화등의 영상물을 모니터를 통해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치수단이 장착된 거치대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거치수단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수단
11 : 고정체
111 : 관통홀, 112 : 탭홀, 113 : 홈부
12 : 고정볼트
2 : 몸체
21,22,23 : 브라켓
211 : 개방장홀, 212 : 회전구 홈, 213 : 볼트, 214 : 너트
24 : 압축 코일 스프링
3 : 거치수단
31 : 각도 조절대
311 : 돌출대, 312 : 나선부, 313 : 회전구
32 : 단속편
33 : 회전부재
331 : 안착홈부
34 : 탄성판
35 : 모니터 고정체
36 : 조절부재
361 : 나선부, 362 : 돌출대
37 : 수평판
371 : 장홀
38 : 수직판
381 : 개방장홀
41 ; 각도 조절대
411 : 제1 구체, 412 : 제2 구체, 413 : 연결봉, 414 : 나선부
42 : 연결체
421 : 볼트, 422 : 너트, 423 : 하부 개방장홀,
424 : 회전구 홈, 425 : 원형홈부, 426 : 브라켓
43 : 모니터 고정체
431 : 원형돌기, 432 : 고정판
44 : 회전 방지체
441 : 홈부, 442 : 회전체, 443 : 고무판
51 : 각도 조절대
511 : 제1 구체, 512 : 제2 구체, 513 : 연결봉, 514 : 나선부
52 : 연결체
521 : 볼트, 522 : 너트, 523 : 하부 개방장홀,
524 : 회전구 홈, 525 : 원형홈부, 526 : 압축 코일 스프링
527 : 브라켓
53 : 가압 고정체
531 : 원형돌기, 532 : 나선부, 533 : 돌출대, 534 : 단속편,
535 : 안착홈부, 536 : 회전부재, 537 : 탄성판
54 : 회전 방지체
541 : 홈부, 542 : 회전체, 543 : 고무판
6 : 모니터 고정체
61 : 조절부재
611 : 나선부, 612 : 돌출대
62 : 수평판
621 : 장홀
63 : 수직판
631 : 개방장홀
7 : 탭홀
8 : 헤드레스트
81 : 지지축

Claims (8)

  1. 차량용 헤드레스트(8)의 지지축(81)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볼트(12)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수단(1)과;
    상기 고정수단(1)의 일측 단부의 둘레를 감싸며 볼트(213)와 너트(214)를 통해 상호 조립되고, 조립시 전방에 개방장홀(211)을 가지는 회전구 홈(21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21)으로 이루어진 몸체(2)와;
    후단이 상기 회전구 홈(212)에 삽입 장착되고 전단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이 모니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수단(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은;
    내부에 상기 지지축(81)이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111)의 측면에 외부로 연동되는 탭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둘레에 홈부(113)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11)와,
    상기 고정체(11)의 탭홀(11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3)은;
    상기 회전구 홈(212)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나선부(312)가 형성된 돌출대(311)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구(313)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대(31)와,
    상기 돌출대(311)의 선단에 구비되어 모니터 배면의 홈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단속편(32)과,
    상기 단속편(32)과 회전구(313)사이의 각도 조절대(31)에 나선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전방에 안착홈부(331)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33)와,
    상기 안착홈부(331)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부재(33)의 전진시 모니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탄성판(3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3)은;
    상기 회전구 홈(212)에 제1 구체(411)가 삽입되고 이 제1 구체(411)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연결봉(413)이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몸체(2)의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413)의 상단에 제2 구체(412)가 구비되어 있는 각도 조절대(41)와,
    볼트(421)와 너트(422)를 통해 조립되며 조립시 하부 내측에 상기 제2 구체(412)가 삽입 장착되는 하부 개방장홀(423)을 포함하는 회전구 홈(424)이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전방이 개방된 원형홈부(425)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426)으로 이루어진 연결체(42)와,
    상기 연결체(42)의 원형홈부(425)에 원형돌기(431)가 삽입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판(432)을 포함하는 모니터 고정체(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3)은;
    상기 회전구 홈(212)에 제1 구체(511)가 삽입되고 이 제1 구체(511)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연결봉(513)이 상기 개방장홀(2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몸체(2)의 볼트(213)와 너트(214)의 조임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513)의 상단에 제2 구체(512)가 구비되어 있는 각도 조절대(51)와,
    볼트(521)와 너트(522)를 통해 조립되며 조립시 하부 내측에 상기 제2 구체(512)가 삽입 장착되는 하부 개방장홀(523)을 포함하는 회전구 홈(524)이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전방이 개방된 원형홈부(525)가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527)으로 이루어진 연결체(52)와,
    상기 원형홈부(525)에 후방의 원형돌기(531)가 삽입되며 이 원형돌기(531)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되 외면에 나선부(532)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대(533)와 상기 돌출대(533)의 선단에 구비되어 모니터 배면의 홈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단속편(534)과 상기 단속편(534)과 원형돌기(531)사이의 돌출대(533)에 나선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전방에 안착홈부(535)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536)와 상기 안착홈부(535)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부재(536)의 전진시 모니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탄성판(537)을 포함하는 가압 고정체(5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편(32,534)과 탄성판(34,537) 사이에는,
    상기 단속편(32,534)과 탄성판(34,537)사이의 돌출대(311,533)에 슬라이딩 장착되며 모니터 저면에 나선 결합되는 모니터 고정체(35,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고정체(35,6)는,
    외주면에 나선부(361,611)가 형성된 돌출대(362,612)를 포함하는 조절부재(36,61)와,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지지하며 내측에 상기 모니터 저면의 탭홀(7)에 상기 돌출대(362,612)가 관통 체결되는 장홀(371,62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37,62)과,
    상기 수평판(37,62)의 후단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되 중앙에 상기 단속편(32,534)이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부가 개방된 개방장홀(381,63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38,6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413,513)의 하부에는,
    나선부(414,514)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부(414,514)에 나선 결합되어 전,후진되며 후방에 홈부(441,541)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442,542)와 상기 홈부(441,541)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체(442,542)의 후진시 상기 몸체(2)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고무판(443,543)을 포함하는 회전 방지체(44,5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KR20-2005-0007618U 2005-03-21 2005-03-21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KR200385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18U KR200385925Y1 (ko) 2005-03-21 2005-03-21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18U KR200385925Y1 (ko) 2005-03-21 2005-03-21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25Y1 true KR200385925Y1 (ko) 2005-06-03

Family

ID=4368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18U KR200385925Y1 (ko) 2005-03-21 2005-03-21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33B1 (ko) * 2012-11-30 2014-06-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411916B1 (ko) * 2007-05-18 2014-06-26 노상철 차량용 착탈식 모니터 장치
KR101562956B1 (ko) * 2014-04-11 2015-10-23 (주)대인테크 다기능 차량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16B1 (ko) * 2007-05-18 2014-06-26 노상철 차량용 착탈식 모니터 장치
KR101406733B1 (ko) * 2012-11-30 2014-06-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562956B1 (ko) * 2014-04-11 2015-10-23 (주)대인테크 다기능 차량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234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5457172B2 (ja) ディスプレイ取付け装置
US7959120B2 (en) Universal support for connecting to a base of a vehicle seat
US11619822B2 (en) Head mounted device with adjustable vertical and horizontal headbands
US20060175501A1 (en) Universal joint arrangement between an apparatus holder and a support arm or a console
JP2007206684A (ja) フラットパネル型電子ディスプレー取付装置
CN103133830A (zh) 夹持组件及应用该夹持组件的支撑装置
KR200385925Y1 (ko)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CA2569766C (en) Rotating armrest mechanism
KR200385924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US6877597B2 (en) Clutch mechanism
JP2003327032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110090411A1 (en) Deployable automotive video display
CN108372813B (zh) 多角度调节的座椅扶手及汽车座椅
JP2002145078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5302272B2 (ja) 機器支持アーム
KR100448141B1 (ko) 자동차의 콘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포터블 스탠드
CN101255889A (zh) 吸板和具有该吸板的用于汽车的支架
KR200410250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CN210204073U (zh) 按摩椅控制器支架旋转机构
JP3482842B2 (ja) 椅子の座部と背凭れ部の連動装置
KR200266184Y1 (ko) 차량용 티브이 장착대
JP2005167378A (ja) スピーカ装置
CN110613260B (zh) 座椅椅背角度调整定位机构
KR20090010002U (ko) 등받이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