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986B1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986B1
KR101560986B1 KR1020140130805A KR20140130805A KR101560986B1 KR 101560986 B1 KR101560986 B1 KR 101560986B1 KR 1020140130805 A KR1020140130805 A KR 1020140130805A KR 20140130805 A KR20140130805 A KR 20140130805A KR 101560986 B1 KR101560986 B1 KR 10156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se plate
buckle
link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률
황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4013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36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who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어퍼레일에서 상측으로 이격시켜 연결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을 위한 하이트 링크와, 시트벨트를 연결하기 위한 버클과, 버클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버클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버틀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하더라도 버틀의 높이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시트벨트의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하이트링크를 가지는 시트에서 차량의 충돌시 버클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결합유닛으로 하이트링크를 가압하도록 하여 시트프레임의 뒤틀림이 발생되는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하여 여러 가지 편의 장치를 가진다.
상기 편의 장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시트쿠션(Seat Cushion)을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 등받이에 해당하는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및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하이트 조절(height adjustment) 기능이 구비된다.
또한, 시트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 시트 벨트가 구비되며, 이 시트 벨트를 단속하기 위한 버클이 시트의 일측에 별도의 연결부재 및 연결브래킷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시트버클이 하이트 조절 기능을 갖는 시트에 고정된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시트는 슬라이딩 기능을 구비한 시트의 경우에 버클(1)이 시트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되는 부분 즉, 어퍼레일(2)이나 어퍼레일(2)의 위쪽에 고정되어야 한다.
버클(1)은 도 1과 같이, 어퍼레일(1) 위쪽에서 연결 브래킷(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하이트 조절이 되는 시트에서는 시트쿠션이 하이퍼링크를 통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버클(1)이 시트쿠션 위로 노출되는 부분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단속하기 위해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1)에 체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버클(1)을 하이퍼링크에 의해 상승되는 시트의 베이스 부분에 고정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버클(1)이 시트의 베이스에 연결 브래킷으로 고정된 차량이 추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려는 힘이 벨트에 작용되고, 이 벨트에 작용된 힘이 버클(1)을 통하여 시트레일로 전해져서 레일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1-037407(2011.2.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클을 시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추돌시 버클의 연결부분이 하이퍼 링크를 가압하여 차량의 높이를 원위치시켜서 시트프레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로우레일과 어퍼레일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어퍼레일에서 상측으로 이격시켜 연결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을 위한 하이트 링크와, 시트벨트를 연결하기 위한 버클과, 버클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버클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이트 링크는 어퍼레일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와, 제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클 결합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홀과, 버클이 연결되는 연결브래킷을 슬라이드 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클 결합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체결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체는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과, 일단은 연결브래킷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틀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하더라도 버틀의 높이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시트벨트의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버클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유닛을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하이트링크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하이트링크를 가압하여 시트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시트프레임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시트 프레임에서 베이스에 버클이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프레임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시트프레임의 배면 쪽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시트의 높이가 높여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3에서 시트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프레임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시트프레임의 배면 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시트의 높이가 높여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시트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는, 로우레일(101)과 어퍼레일(102)로 구성된 시트레일, 베이스 플레이트(110), 하이트링크(120), 버클(130), 버클 결합유닛(140)을 포함한다.
시트레일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101)과, 이 로우레일(101)의 상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102)로 구성된다.
즉, 어퍼레일(102)의 상부에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후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결합되어,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시 어퍼레일(102)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하이트링크(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어퍼레일(102) 사이를 연결하되, 어퍼레일(102)에 대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어퍼레일(102)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2)로 구성된다.
즉, 하이트링크(120)는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시트에서 시트가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시트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한 어퍼레일(102)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링크(121)는 일단이 어퍼레일(102)에 별도의 고정브래킷으로 힌지 고정된다.
제2링크(122)는 일단이 제1링크(121)의 타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힌지 고정된다.
버클(130)은 후술하는 시트벨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버클 결합유닛(14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버클(130)은 시트벨트에서 버클(130)에 결합되는 텅이 연결되는 소켓바디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연결브래킷, 소켓바디와 연결브래킷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버클 결합유닛(140)은 버클(130)을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드 홀(141)과, 체결부재(142)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홀(14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관통 결합되는 후술하는 체결부재(14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한다.
체결부재(142)는 슬라이드 홀(141)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버클(130)의 연결브래킷을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체결부재(142)는 슬라이드 홀(141)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과 내측에서 볼트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체결부재(14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구비되되, 제1링크(121)가 힌지 고정되는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전방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링크(121)를 차량의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시트가 높여진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시 체결부재(142)가 차량의 전방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링크(121)를 차량의 전방 쪽으로 가압하여,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2)의 연결부분()이 힌지로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후에, 시트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시트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한편, 버클 결합유닛(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체결부재(142)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143)를 더 포함한다.
이 탄성체(143)는 체결부재(142)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143a)과, 일단은 결합브래킷(143a)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143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143b)은 시트의 높이 조절이 된 상태 즉, 시트가 높게 설정된 상태에서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발생하고, 시트의 높이 조절이 해제된 상태 즉, 시트가 낮게 설정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 상태이다.
여기서, 탄성체(143)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면 즉, 시트 프레임에서 내측을 향하는 측면에 구비되고, 버클(130)은 탄성체(143)의 맞은편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시트의 초기 상태는 시트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은 상태 즉, 높이 조절장치(도시하지 않은)가 작동되지 않아 시트의 높이 낮게 설정된 상태를 말하고, 도 6과 같은 상태이다.
시트가 낮게 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이나 시트 근처에 설치된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시트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춰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하이트링크(120)는 도 6과 같은 상태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어퍼레일(102)에 힌지 고정되는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2)의 단부가 서로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트의 높이가 높아지면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2)의 단부가 멀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버클(130)을 결합하고 있는 체결부재(142)는 슬라이드 홀(141)의 전방 쪽에 위치하고 있다가 시트의 높이 조절에 의해 시트가 높아지면서 제1링크의 가압에 의해 시트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홀(141)의 후방 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142)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탄력 지지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143b)은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 로우레일 102 : 어퍼레일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하이트링크 121 : 제1링크
122 : 제2링크 123 : 연결부분
130 : 버클
140 : 버클 결합유닛 141 : 슬라이드 홀
142 : 체결부재
143 : 탄성체 143a : 결합브래킷
143b : 코일 스프링

Claims (5)

  1.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로우레일과 어퍼레일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어퍼레일에서 상측으로 이격시켜 연결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 조절을 위한 하이트 링크;
    시트벨트를 연결하기 위한 버클;
    버클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버클 결합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이트 링크는,
    어퍼레일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
    제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클 결합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홀;
    버클이 연결되는 연결브래킷을 슬라이드 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버클 결합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체결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탄성체는,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
    일단은 연결브래킷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1020140130805A 2014-09-30 2014-09-30 차량용 시트 KR10156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805A KR101560986B1 (ko) 2014-09-30 2014-09-30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805A KR101560986B1 (ko) 2014-09-30 2014-09-30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986B1 true KR101560986B1 (ko) 2015-10-16

Family

ID=5436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805A KR101560986B1 (ko) 2014-09-30 2014-09-30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9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646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180066648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10370998A (zh) * 2019-08-30 2019-10-25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汽车座椅的高度调节装置
KR102064845B1 (ko) 2018-07-02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시트벨트 버클 장치
KR102184744B1 (ko) 2020-08-18 2020-12-0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충돌 시 하이트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서브락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646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180066648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1884741B1 (ko) * 2016-12-09 2018-08-02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1884744B1 (ko) * 2016-12-09 2018-08-02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2064845B1 (ko) 2018-07-02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시트벨트 버클 장치
CN110370998A (zh) * 2019-08-30 2019-10-25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汽车座椅的高度调节装置
KR102184744B1 (ko) 2020-08-18 2020-12-0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충돌 시 하이트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서브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86B1 (ko) 차량용 시트
US10052989B2 (en) Headrest device
US9758076B2 (en) Automatic headrest
KR102431171B1 (ko) 좌석 장치
US20160137109A1 (en) Vehicle seat
KR101991252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CN107054177A (zh) 扶手装置
JP2015221599A (ja) 車両用シート
JP6144169B2 (ja) 乗物用シート
CN109109702B (zh) 车用座椅
KR101231013B1 (ko) 헤드레스트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55918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662461B1 (ko) 시트 쿠션의 매뉴얼 익스텐션 장치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CN108928269B (zh) 儿童座椅
KR10180344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819451B1 (ko) 차량용 차일드 부스터
KR20100048783A (ko) 각도와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한 시트 팔걸이 장치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JP4486868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02119171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KR200479022Y1 (ko)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12389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