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447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447B1
KR101803447B1 KR1020170090696A KR20170090696A KR101803447B1 KR 101803447 B1 KR101803447 B1 KR 101803447B1 KR 1020170090696 A KR1020170090696 A KR 1020170090696A KR 20170090696 A KR20170090696 A KR 20170090696A KR 101803447 B1 KR101803447 B1 KR 10180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inge shaft
cam
mounting bracket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준
정주현
장우정
손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to KR102017009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60N2002/48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 로드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에 하부전방힌지축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연결된 전방링크와, 마운팅 브라켓의 후방에 하부후방힌지축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연결되고,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홈이 구비된 래칫을 갖는 후방링크와, 전방링크의 상측과 후방링크의 상측 좌우에 상부전방힌지축과 상부후방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는 좌우사이드링크와, 하부전방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이 마운팅 브라켓에 지지되며, 타측이 전방링크에 지지되어 전방링크에 복원력을 가하는 메인 스프링과, 래칫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하부후방힌지축에 설치된 몸체,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홈, 몸체의 상부에 이격되게 형성된 전방작동바와 후방작동바를 갖는 작동구 및,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에 하부전방힌지축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캠힌지축, 캠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측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작동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캠, 캠힌지축에 설치되어 일측이 마운팅 브라켓의 바닥면에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타측이 캠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캠에 복원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캠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좌석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탑승자가 좌석에 앉았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목 부상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준다.
탑승자에 따라 신체 사이즈 및 앉는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데, 보통은 헤드레스트의 스테이에 상하로 다수 개의 홈을 형성하고 스테이가 끼워지는 좌석의 삽입구 내에서 돌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고 헤드레스트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해서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모두 조절해줄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번호 제10-2011-0026180호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서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종래기술은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수단의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작동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 이동장치는 스테이 로드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에 하부전방힌지축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연결된 전방링크와, 마운팅 브라켓의 후방에 하부후방힌지축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연결되고,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홈이 구비된 래칫을 갖는 후방링크와, 전방링크의 상측과 후방링크의 상측 좌우에 상부전방힌지축과 상부후방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는 좌우사이드링크와, 하부전방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이 마운팅 브라켓에 지지되며, 타측이 전방링크에 지지되어 전방링크에 복원력을 가하는 메인 스프링과, 래칫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하부후방힌지축에 설치된 몸체,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홈, 몸체의 상부에 이격되게 형성된 전방작동바와 후방작동바를 갖는 작동구 및,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에 하부전방힌지축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캠힌지축, 캠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측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작동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캠, 캠힌지축에 설치되어 일측이 마운팅 브라켓의 바닥면에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타측이 캠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캠에 복원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캠유닛을 포함하고, 전방작동바가 후방링크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걸림돌기는 작동홈으로부터 이탈된 후 몸체의 외측면에 가압되어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고, 후방작동바가 후방링크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걸림돌기는 몸체의 외측면에서 작동홈에 걸림되도록 이동하여 걸림부가 걸림홈에 걸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우측 투영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좌측 투영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우측 투영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좌측 투영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100)는 마운팅 브라켓(110), 전방링크(120), 후방링크(130), 좌우사이드링크(140), 메인스프링(150), 작동구(160), 캠유닛(170)으로 이루어진다.
마운팅 브라켓(110)은 스테이 로드(미도시)의 상면에 밑면이 용접 또는 조립 고정되는 하판(112)과, 하판(112)의 좌우에서 위로 돌출한 좌우판(114)으로 이루어진다. 좌우판(114)에는 하부전방힌지축(122), 하부후방힌지축(132) 및, 캠힌지축(172)이 결합되는 하부전방힌지홀(114a), 하부후방힌지홀(114b) 및, 캠힌지홀(114c)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판(112)에는 캠유닛(170)의 리턴스프링(176)의 타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홀(112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메인 스프링(150)의 일측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12b)이 형성된다.
전방링크(120)는 마운팅 브라켓(110)의 전방 즉, 좌우판(114)의 전방에 하부전방힌지축(122)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후방링크(130)는 마운팅 브라켓(110)의 후방 즉, 좌우판(114)의 후방에 하부후방힌지축(132)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후방링크(130)의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홈(136a)이 구비된 래칫(136)이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링크(130)의 길이를 전방링크(1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는데, 후방링크(130)의 길이를 전방링크(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게 되면 헤드레스트의 작동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헤드레스트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좌우사이드링크(140)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으로, 전방링크(120)의 상측과 후방링크(130)의 상측 좌우에 상부전방힌지축(124)과 상부후방힌지축(134)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메인 스프링(150)은 전방링크(120)에 복원력을 가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마운팅 브라켓(110)의 하판(112)에 형성된 지지홈(112b)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전방링크(120)에 지지되도록 하부전방힌지축(122)에 설치된다.
작동구(160)는 후방링크(130)에 형성된 래칫(136)과 캠유닛(170)의 캠(174)이 걸림상태가 되게 하거나 걸림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작동구(160)는 래칫(136)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하부후방힌지축(132)에 설치된 몸체(162)와, 몸체(162)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홈(164)과, 몸체(162)의 상부에 이격되게 형성된 전방작동바(166)와 후방작동바(168)를 갖는다.
캠유닛(170)은 후방링크(130)에 형성된 래칫(136)에 구비된 다단의 걸림홈(136a)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마운팅 브라켓(110)의 전방 즉, 좌우판(114)의 전방에 하부전방힌지축(1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캠힌지축(172)과, 캠힌지축(172)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래칫(136)에 구비된 다단에 걸림홈(136a)에 걸림되는 걸림부(174a)와 걸림부(174a)의 측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작동구(160)의 몸체(162)에 형성된 작동홈(164)에 걸림되는 걸림돌기(174b)가 형성된 캠(174)과, 캠힌지축(172)에 설치되어 일측이 마운팅 브라켓(110)의 바닥면 즉, 하판(112)에 형성된 지지홀(112a)에 삽입되고, 타측이 캠(174)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174c)에 삽입되어 캠(174)에 복원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17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동홈(164)의 일측과 마주보는 걸림돌기(174b)의 일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작동홈(164)의 타측과 마주보는 걸림돌기(174b)의 타측은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전방링크(120)와 후방링크(130)에 외력이 마운팅 브라켓(110)의 후방으로 가해졌을 때 전방링크(120)와 후방링크(130)의 위치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한편, 앞에서는 래칫(136)이 후방링크(130)의 하부 양측 단부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래칫(136)을 전방링크(120)의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작동구(160)는 전방링크(120)의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래칫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하부전방힌지축(122)에 설치되며, 캠유닛(170)은 마운팅 브라켓(110)의 후방에 하부후방힌지축(13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래칫(136)을 전방링크(120) 또는 후방링크(130)의 상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한 후, 작동구(160)를 전방링크(120) 또는 후방링크(130)의 상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래칫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상부전방힌지축(124) 또는 상부후방힌지축(134)에 설치하고, 캠유닛(170)을 좌우사이드링크(140)에 상부전방힌지축(124) 또는 상부후방힌지축(134)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좌우사이드링크(140)의 상부면에는 캠유닛(170)의 리턴스프링(176)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을 갖는 상판(미도시)이 좌우사이드링크(140)를 상호연결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 이동장치의 작동을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마운팅 브라켓(110)으로 전방을 향해 밀면 전방링크(120)와 후방링크(130)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방링크(120)와 후방링크(130)는 캠(174)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74a)와 걸림되도록 래칫(136)에 형성된 다단의 걸림홈(136a)의 개수에 따라 다단으로 이동된다(도 5a의 (a), (b), (c) 참조).
계속해서 전방링크(120)와 후방링크(1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작동바(166)가 후방링크(130)에 의해 가압되면 작동구(160)가 후방링크(130)와 함께 후방링크(130)의 이동방향으로 선회되면서 걸림돌기(174b)가 작동홈(164)으로부터 이탈된 후 몸체(162)의 외측면에 가압된다(도 5b의 (d)참조). 걸림돌기(174b)가 몸체(162)의 외측면에 가압되면 캠(174)이 마운팅 브라켓(110)의 하판(112)을 향해 하강되면서 걸림부(174a)가 걸림홈(136a)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부(174a)와 걸림홈(136a)의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메인스프링(150)에 의해 전방링크(120)에 가해지는 복원력에 의해 전방링크(120)와 후방링크(13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도 5b의 (e)참조).
전방링크(120)와 후방링크(1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후방작동바(168)가 후방링크(130)에 의해 가압되면 작동구(160)가 후방링크(130)와 함께 후방링크(130)의 이동방향으로 선회되면서 몸체(162)의 외측면에 가압되어 있던 걸림돌기(174b)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서 걸림돌기(174b)는 몸체(162)의 외측면에서 작동홈(164)에 걸림되고, 이와 동시에 마운팅 브라켓(110)의 하판(112)을 향해 하강되었던 캠(174)도 래칫(136)을 향해 상승되어 걸림부(174b)가 걸림홈(136a)에 걸림 상태가 된다(도 5b의 (f)참조).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래칫(136)이 후방링크(130)의 하부 양측 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작동구(160)와 캠유닛(170)이 한 쌍으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마운팅 브라켓
120; 전방링크
122; 하부전방힌지축
124; 상부전방힌지축
130; 후방링크
132; 하부후방힌지축
134; 상부후방힌지축
136; 래칫
140; 좌우사이드링크
150; 메인스프링
160; 작동구
162; 몸체
164; 작동홈
166; 전방작동바
168; 후방작동바
170; 캠유닛
172; 캠힌지축
174; 캠
176; 리턴스프링

Claims (6)

  1. 스테이 로드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에 하부전방힌지축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연결된 전방링크;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후방에 하부후방힌지축에 의해 하부 양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홈이 구비된 래칫을 갖는 후방링크;
    상기 전방링크의 상측과 상기 후방링크의 상측 좌우에 상부전방힌지축과 상부후방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는 좌우사이드링크;
    상기 하부전방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전방링크에 지지되어 상기 전방링크에 복원력을 가하는 메인 스프링;
    상기 래칫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후방힌지축에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홈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이격되게 형성된 전방작동바와 후방작동바를 갖는 작동구;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전방에 상기 하부전방힌지축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캠힌지축과, 상기 캠힌지축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캠과, 상기 캠힌지축에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바닥면에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캠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캠에 복원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갖는 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작동바가 상기 후방링크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작동홈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가압되어 상기 걸림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후방작동바가 상기 후방링크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작동홈에 걸림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게 하며,
    상기 작동홈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은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상기 전방링크의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는 상기 전방링크의 하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래칫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전방힌지축에 설치되며, 상기 캠유닛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후방에 상기 하부후방힌지축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링크의 길이는 상기 전방링크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메인 스프링의 일측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70090696A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80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696A KR101803447B1 (ko)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696A KR101803447B1 (ko)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447B1 true KR101803447B1 (ko) 2017-11-30

Family

ID=6081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696A KR101803447B1 (ko) 2017-07-18 2017-07-1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351B1 (ko) * 2019-10-29 2021-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슬라이딩 락킹구조가 적용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59B1 (ko) 2009-05-14 2009-08-20 대흥산업(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59B1 (ko) 2009-05-14 2009-08-20 대흥산업(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351B1 (ko) * 2019-10-29 2021-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슬라이딩 락킹구조가 적용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2294B2 (en) Head rest of an upward swing adjustment type
US9132756B1 (en) Head restraint assemblies
KR101864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560986B1 (ko) 차량용 시트
KR10180344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9039086B2 (en) Vehicle seat
KR101588702B1 (ko)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CN107336641B (zh) 车辆用座椅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KR101791106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WO2006098521A1 (ja) リクライニング式自動車用シート
WO2015146351A1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KR101593849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
US20050242647A1 (en) Device for reclining seatback of vehicle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1615221B1 (ko) 조정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래치 장치
JP6772902B2 (ja) 乗物用シート
KR20090058706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2440845B (zh) 交通工具座椅组件和复位弹簧机构
US20150366354A1 (en) Chair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chair
KR20180122503A (ko) 차량용 시트장치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190118340A (ko)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JP7292832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