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589A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589A
KR20150134589A KR1020140061512A KR20140061512A KR20150134589A KR 20150134589 A KR20150134589 A KR 20150134589A KR 1020140061512 A KR1020140061512 A KR 1020140061512A KR 20140061512 A KR20140061512 A KR 20140061512A KR 20150134589 A KR20150134589 A KR 20150134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astic member
gear
b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648B1 (ko
Inventor
오석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6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6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앉은 키가 작은 운전자도 전방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스마트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큰 규격의 화면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 또는 노트 패드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에 지지되는 고정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진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치부는, 좌, 우 양단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내부에 구비되어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 폰 거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중 어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일측으로 인출되는 길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앉은 키가 작은 운전자도 전방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스마트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큰 규격의 화면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 또는 노트 패드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A SMART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한 스마트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데쉬 보드에서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시청하기 용이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서 스마트 폰 또는 일반 핸드폰을 지지하며 길이 또는 너비를 가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폰 거치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91895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이하, “거치대"라 칭한다)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거치대(SH)는, 거치부재(IM)와 베이스(BS)와 연결샤프트(JS)로 대별된다.
거치부재(IM)는 바닥 지지판(SP)과 상기 바닥 지지판(SP)의 전면 일 측방에 핸드폰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측벽(FW)으로 이루어지며, 이 고정측벽(FW)에 대향하는 위치에 좌,우 및 상,하 측방으로 제 1, 2조절측벽(미도시)(W2)이 구비되어, 핸드폰(PN)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길이와 너비를 가변(可變)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바닥 지지판(SP)은 고정측벽(FW)과 제 2조절측벽(W2)의 각 단부가 엇갈리도록 텐션작동부(TM)를 구비하여 고정되는 핸드폰(PN)의 전, 후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해 고정된다.
베이스(BS)는 내부에 흡착판(SU)이 구비되는데, 이 흡착판(SU)의 상측에는 고정브라켓(FB)이 구비된다.
이 고정브라켓(FB)는 상측에 연결샤프트(JS)의 힌지축(HS)과 회전축(RS)에 의해 나란히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결샤프트(JS) 상단의 볼 죠인트(BJ)는 상기한 거치부재(IM) 하측에 구비된 결합부재(AM)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IM)에 안착된 핸드폰(PN)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연결샤프트(JS)를 전방으로 회동하면 회전축(RS)을 중심으로 연결샤프트(JS)의 하단이 회동함에 따라 힌지축(HS)이 구비된 일단이 회동한다.
이에 따라, 흡착판(SU)이 흡착 고정되며, 이 흡착을 해제하려면 연결샤프트(JS)을 뒤로 젖히면 상기한 동작의 반대로 흡착이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거치대(SH)는 핸드폰을 수직방향으로 거치할 때, 앉은 키가 작은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래 스마트 폰을 네비게이션 대용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급증함에 따라, 큰 규격의 화면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또는 노트 패드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절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정측벽(FW)과 제 2조절측벽(W2)의 단부가 엇갈리도록 구비되며 발생하는 탄성에 의해 핸드폰을 지지하도록 하는 텐션작동부(TM)의 탄성이 저하될 경우, 차량의 운행중 진동에 의해 핸드폰의 이탈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앉은 키가 작은 운전자도 전방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스마트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규격의 화면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 또는 노트 패드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운행중 진동이 발생해도 거치된 스마트폰의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스마트 폰 거치대를 널리 공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에 지지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진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치부는 좌, 우 양단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내부에 구비되어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 폰 거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중 어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일측으로 인출되는 길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거치부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레그와, 상기 레그의 일단에 상기 지지부가 구비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직각방향으로 구비된 스토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레그는,
단면상 일측 길이방향에 제 1, 2기어가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레그의 제 2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된 가이드 피니언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부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 일단에 구비된 가이드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평면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쉬와, 상기 가이드부쉬에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부 타단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부쉬와 슬라이드 가이드 사이의 중간부분 수직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터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핀과 가이드 부쉬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레그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접촉 라인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 라인은,
단면상 호형 또는 삼각형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측에 구비된 슬라이더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된 제 1기어와 기어결합할 수 있도록 요홈의 저부에 형성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하측과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슬라이드 터널의 상측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베이스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양측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 내부 하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낙하방지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 하측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되는 일측 수직방향으로 기어가 구비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버튼과;
상기 버튼 일측에 스마트 폰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버튼의 기어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 수직방향으로 기어가 마련되고, 베이스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의해 슬라이딩이 용이하되, 이탈이 방지되는 슬라이드 윙이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지지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지지장치와 베이스를 사이에 두고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장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 지지부와,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에 대향하도록 베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지지브라켓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부재 압축시 좌굴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레그에 구비된 제 1기어와, 상기 스토퍼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버튼의 지지부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지지장치에 구비되는 기어는 래칫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는,
상기 길이조절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 타단에서 수직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힌지식 충전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식 충전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상, 하 방향에 구비된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돌기를 갖추며, 일측 방향으로 젠더 커넥터가 구비되는 충전기 본체와;
상기 충전기 본체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충전기본체가 일측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구비되도록 탄성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충전기본체는,
상기 힌지돌기가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된 장방형 외형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힌지케이스와;
상기 젠더 커넥터가 일측에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되는 젠더 지지브라켓과;
상기 젠더 지지브라켓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힌지케이스와 결합되는 마구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힌지케이스는, 상기 삽입부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젠더 지지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 테두리에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일측 방향으로 젠더 커넥터가 돌출되며 결합할 수 있도록 젠더 결합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힌지케이스는, 양측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제 1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마구리는, 상기 제 1결합부와 결합하도록 양측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제 2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젠더 지지브라켓과 상기 마구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젠더 브라켓 지지용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결합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브라켓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는, 상기 제 2결합부의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상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 수록 높아지는 경사가 형성되는 단면상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 측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으로 지지부에 구비된 결합용 브라켓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 하 양단에 구비되며, 지지부에 구비된 지지폴에 볼트체결이 용이하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의 일측 상, 하 방향에 나란히 구비되며, 상기 충전기본체가 소정 각도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마구리 후면에 탄성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마구리 후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단부에 형성된 라운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또는 압축코일 스프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와 연결부 사이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거치부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가 고정설치되는 프레임에 결합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통공을 중심으로 수직방향 상부와 수평방향 좌우로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반구형 결합부와;
상기 반구형 결합부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제 1연결부재에 나사결합되어 탄성 지지되며, 후면에 상기 반구형 결합부의 안내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T형 안내요홈이 형성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반구형 결합부 후면과 연결부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반구형 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선단 내부둘레면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상기 반구형 결합부에 탄성 지지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반구형 결합부의 전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후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전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는,
차량의 데쉬 보드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와 결합된 연결부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착탈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된 요홈을 갖추며, 차량의 데쉬 보드에 안착되는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요홈 저부에 구비되는 제 2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측에 구비되데,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 탄성되도록 탄성수단을 갖추며, 상기 고정판의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의 제 2고정부재에 걸리도록 후크가 구비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측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데, 상기 고정판과 결합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판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경사부에 대향하는 각도로 경사단을 갖춘 작동 바아가 하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록킹해제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록킹해제판의 하측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 상측에 고정된 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록킹해제판 사이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제 2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의하면, 앉은 키가 작은 운전자도 전방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스마트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이하게 좌, 우 수평방향과 하측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큰 규격의 화면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 또는 노트 패드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중 진동이 발생해도 거치된 스마트폰의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스마트 폰 거치대를 널리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외형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길이조절장치와 낙하방지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길이조절장치와 낙하방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길이조절장치와 낙하방지장치가 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슬라이더와 스토퍼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2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낙하방지장치와 베이스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구비된 길이조절장치와 낙하방지장치의 작용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 폰의 거치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힌지식 충전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 도 3 “C”선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충전장치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과 도 12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충전장치의 작용 효과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각도 조절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각도 조절장치 각 구성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각도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4 “D”-”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착탈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 “E”선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착탈장치 구성중 베이스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 “F”선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착탈장치 구성중 결합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9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구비된 착탈장치의 결합순서를 순차적으로 보인 일측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착탈장치에 의해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스마트 폰 거치대를 보인 참고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는 차량에 지지되는 고정부(11)와, 이 고정부(11)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부(13)와, 이 연결부(13)의 상단에 구비되며, 전면커버(15a)와 후면커버(15b)를 갖춘 거치부(15)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부(15)는 좌, 우 양단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20)를 포함하고, 상기한 거치부(15) 내부에 구비되어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 폰 거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20)중 어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일측으로 인출되는 길이조절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길이조절장치(100)에 대향하는 타단의 지지부(20)에는 힌지식 충전장치(300)가 구비되며, 거치부(15)의 중간부분에 낙하방지장치(200)가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길이조절장치(100)는, 베이스(110)와 슬라이더(130)와 스토퍼(15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10)는 슬라이딩부(110a)와 가이드부쉬(111)와 슬라이드 가이드(113)와 슬라이드 터널(115)과 탄성부재(117)과 이탈방지턱(118)과 탄성부재 지지브라켓(119)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부(110a)는 도시하지 않은 피스 볼트로 상기한 거치부(15)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지진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 단면의 요홈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더(130)의 좌, 우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가이드 부쉬(111)는 상기한 슬라이딩부(110a)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후술하는 슬라이더(130) 일단의 가이드핀(131c)이 관통할 수 있도록 평면부 중심에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 부쉬(111)에 대향하는 슬라이딩부(110a) 타단에 슬라이드 가이드(113)가 구비된다.
슬라이드 가이드(113)는 단면상 “┓”자 형상 대칭형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더(130)가 상기한 슬라이딩부(110a)를 따라 이동할 때,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쉬(111)와 슬라이드 가이드(113) 사이, 다시 말해서, 슬라이드부(110a)의 중간 부분에 슬라이드 터널(115)이 구비되는데, 이 슬라이드 터널(115)은 일측에서 바라볼 때, 그 형상이 “ㄷ”자로 형성되어 상기한 슬라이드부(110a)의 요홈과 결합하여 슬라이더(130)의 길이방향 이동이 용이하도록 직사각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10)의 일측으로 슬라이더(130)가 구비된다.
슬라이더(130)는 레그(131)와 연결판(133)으로 이루어진다.
레그(131)는 상술한 베이스(110)의 슬라이딩부(110a)를 따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단면상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 하 양측 길이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된다.
이 레그(131)의 단면상 일측 길이방향으로 제 1, 2기어(131a)(131b)가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제 1기어(131a)는 래칫(Ratchet)기어로서, 기어가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일방향으로는 별도의 해제조치, 다시 말해서 후술하는 스토퍼(150)에 의한 해제가 없으면 제동이 걸린 상태로 고정되며, 타방향으로는 별도의 스토퍼(150)에 의한 해제조치가 없어도 임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제 1기어(131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스토퍼(150)의 기어(152)와 결합된다.
제 2기어(131b)는 일반 래크 기어(Rack Gear) 형태로서, 후술하는 가이드 피니언(138)과 기어결합되어 유동없이 좌, 우 방향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레그(131)의 일단에 가이드 핀(131c)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가이드 핀(131c)은 상술한 베이스(110)의 슬라이딩부(110a) 일단에 일체로 구비된 가이드부쉬(111)의 평면부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12)을 관통하며, 이 가이드부쉬(111)와 가이드 핀(131c)사이에는 탄성부재(117)가 구비된다.
연결판(133)은 상기한 한조의 레그(131)가 일체가 되도록 사각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에 지지부(20)의 일단, 다시 말해서 홀더(23)가 구비된 일단의 지지부(20)가 구비된다.
한편, 슬라이더(130)는 상술한 베이스(110)의 슬라이딩부(110a)와 슬라이드 가이드(113)와 슬라이드 터널(115)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 길이방향으로 접촉 라인(135)이 마련된다.
이 접촉 라인(135)은 단면상 호형 또는 삼각형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작용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더(130)가 슬라이딩할 때,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130)의 일측 직각방향으로 스토퍼(150)가 구비된다.
스토퍼(150)는 상기한 슬라이더(13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요홈(151)과 기어(152)와 탄성부재(153)와 가이드 돌기(154)로 이루어진다.
요홈(151)은 상기한 스토퍼(150)가 설치될 때, 슬라이더(130)와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 요홈(151)의 저부에 기어(15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어(152)는 상술한 슬라이더(130)에 마련된 제 1기어(131a)와 동일한 형태의 래칫 기어(Ratchet Gear)로서 기어결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150)에 의해 지지부(20)가 구비된 일측으로 슬라이딩이 되지 않는다.
한편, 이와 같은 기어(152)의 하측으로 탄성부재(153)가 구비되는데, 이 탄성부재(153)의 하단은 상술한 베이스(110)에 마련된 슬라이드 터널(115)의 상측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이 탄성부재(153)의 탄성에 의해 일방향으로 제동이 걸리도록 래칫기어로 이루어진 상기한 슬라이더(130)의 제 1기어(131a)와 스토퍼(150)의 기어(152)가 기어결합되어, 일측, 다시 말해서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제동이 걸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150)의 상, 하 양측에는 대칭형으로 가이드 돌기(154)가 구비되어, 상술한 베이스(11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19)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는, 낙하방지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방지장치(200)는, 상술한 거치부(15) 중간부분 하측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거치된 스마트 폰(미도시)의 저부를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210)과 지지장치(230)와 탄성부재 지지브라켓(250)과 탄성부재(270)로 이루어진다.
버튼(210)은 거치부(15)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의 탄성부재(211)에 의해 탄성되는 일측 수직방향으로 기어(214)가 구비되는 지지부(213)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13)는 기어(213)에 대향하는 타측으로 가이드 핀(213a)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 핀(213a)은 관통공(215a)이 형성된 가이드 부쉬(215)를 관통하며, 이 가이드 부쉬(215)와 가이드 핀(213a) 사이에 탄성부재(211)가 구비되어 일측으로 탄성되는 것이다.
지지장치(230)는, 안착부(231)와 기어(233)와 슬라이드 윙(235)으로 이루어진다.
안착부(231)는 상기한 버튼(210)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거치되는 스마트 폰(5)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이 안착부(231)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상기한 버튼(210)에 구비된 기어(214)와 기어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 수직방향으로 기어(2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어(214)(233)는 상술한 슬라이더(130)의 제 1기어(131a)와 스토퍼(150)의 기어(152)와 마찬가지로 일방향으로는 제동이 걸리는 래칫 기어(Ratchet Gear)로서, 도시한 방향 기준한 하측 방향으로 임의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걸려 있는 상태이다.
지지장치(230)의 상, 하 양측 대칭방향으로 슬라이드 윙(235)이 마련되어 상술한 베이스(11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18)에 의해 슬라이딩이 용이하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낙하방지장치(200)는, 탄성부재 지지부(250)와 탄성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 지지부(250)는 상기한 지지장치(230)와 베이스(110)를 사이에 두고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장치(230)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탄성부재 지지부(250)와 상술한 베이스(110)의 후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지지브라켓(119) 사이 수직방향으로 탄성부재(270)가 구비되는데, 이 탄성부재(2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 지지부(250)에 의해 후술하는 작용에서 압축될 때, 좌굴(挫屈)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길이가 큰 규격의 스마트 폰(5)을 거치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장치(100)를 인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스토퍼(150)를 누르는 압력에 의해 스토퍼(150)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더(130)의 제 1기어(131a)와 기어결합되었던 기어(152)가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117)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일측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홀더(23)가 구비된 일단의 지지부(20)가 인출되면, 낙하방지장치(200)를 작동하여 너비를 조절한다.
너비를 조절하는 방법은 우선 버튼(210)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서로 기어결합되어 있는 버튼(210)에 구비된 기어(214)와 지지장치(230)에 구비된 기어(233)를 해제시킨다.
이 기어(214)(233)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베이스(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한 지지장치(23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탄성부재 지지부(250)에 구비된 탄성부재(270)의 탄성에 의해 낙하방지장치(200)가 하측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인출이 완료되면 힌지식 충전장치(300)에 스마트 폰 충전용 젠더 연결부(미도시)를 결합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인출되었던 홀더(23)가 구비된 지지부(20)를 원상태로 복귀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23)에 의해 스마트 폰(5)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의 지지가 완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인출되었던 낙하방지장치(2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거치된 스마트 폰(5)의 하측에 안착부(23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 스마트 폰(5)의 거치가 완료된다.
이 때, 상기한 제 1기어(131a)와 기어결합되었던 기어(152)와, 버튼(210)과 지지장치(230)에 각각 구비되어 결합된 기어(214)(233)는 래칫기어(Ratchet Gear)이기 때문에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는 스토퍼(150) 및 버튼(210)을 누르지 않고도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면 원위치 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스마트 폰이라 하더라도 수평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앉은 키가 작은 운전자도 전방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좌, 우 수평방향과 하측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큰 규격의 화면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 또는 노트 패드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는 거치부(15)의 좌, 우 양단의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20)중 상술한 길이조절장치(100)에 대향하는 타단에 구비되어 수직선상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힌지식 충전장치(300)(이하, “충전장치”라 칭한다)를 더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300)는 충전기본체(300a)와 탄성부재(300b)로 구성된다.
충전기본체(300a)는, 힌지케이스(310)와 젠더 지지브라켓(320)과 마구리(330)로 이루어진다.
힌지케이스(3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상기한 지지부(20)에 구비된 힌지브라켓(HB)에 지지되며 힌지회동이 용이하도록 힌지돌기(310a)가 구비된 삽입부(311)와 가이드홈(313)과 제 1결합부(315)로 이루어진다.
삽입부(311)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힌지케이스(31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구성으로써, 후술하는 젠더 지지브라켓(320) 선단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가이드홈(313)은 상기한 삽입부(311) 내면에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젠더 지지브라켓(320)에 다수 구비된 슬라이드 돌기(321)가 삽입되며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는 용도이다.
제 1결합부(315)는 상기 힌지케이스(310)의 양측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마구리(330)에 구비된 제 2결합부(331)와 결합할 수 있도록 돌기(3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16)는 단면상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 수록 높아지는 경사가 형성되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제 2결합부(331)와 결합은 용이하되, 결합이 이루어지고 나서는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젠더 지지브라켓(320)은 상기한 힌지케이스(310)의 삽입부(31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부(311)의 내면과 동일한 외형을 갖추고, 상기한 힌지케이스(310)의 가이드홈(3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 테두리에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3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돌기(321)는 상기한 가이드 홈(313)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작용에서 스마트 폰(5)의 거치가 용이하다.
상기한 슬라이드 돌기(321)의 일측 직각방향으로 젠더 결합부(323)가 구비되는데, 이 젠더 결합부(323)는 일측으로 돌출된 중앙에 젠더 커넥터(ZC)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공(3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젠더 결합부(323)의 대칭방향으로 후술하는 탄성부재(340) 일단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탄성부재 안착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젠더 지지브라켓(320)의 일측, 다시 말해서, 상술한 힌지 케이스(310)의 일측에서 결합이 용이하도록 마구리(330)가 구비된다.
마구리(330)는 직사각형 판재형상의 일측으로 제 2결합부(331)가 구비되어, 상기한 힌지 케이스(310)의 제 1결합부(315)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 2결합부(331)는 도시한 방향을 기준하여 마구리(330)의 상, 하 방향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결합공(333)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공(333)은 상기한 힌지케이스(310)에 구비된 제 1결합부(315)의 돌기(316)가 삽입되며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마구리(330)의 중앙부위에는 젠더 커넥터(ZC)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관통공(335)이 구비되고, 이 관통공(335)의 상, 하 방향으로 탄성부재 지지돌기(33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젠더 지지브라켓(300)과 마구리(3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젠더 브라켓 지지용 탄성부재(340)가 구비되는데, 이 젠더 브라켓 지지용 탄성부재(340)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일단은 상기한 마구리(330)의 탄성부재 지지돌기(337)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한 젠더 지지브라켓(320)에 구비된 탄성부재 안착부(325)에 결합됨으로써, 이 젠더 지지브라켓(320)이 일측으로 탄성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전기본체(300a)는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상, 하 방향으로 구비된 힌지브라켓(HB)과 전면커버(15a)에 구비된 힌지브라켓(HB)에 힌지돌기(310a)가 지지되어 힌지회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충전기본체(300a)의 일측으로 탄성부재(300b)가 구비된다.
탄성부재(300b)는 베이스(350)와 제 1, 2지지부재(360)(370)와 탄성부(380)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300b)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의 일종으로서, 탄성한계가 높고, 충격 및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크며, 급격한 진동을 완화하고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프링강(SPS)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350)는 지지부(20)의 측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구비되며, 이 베이스(350)의 상, 하 양측으로 전면커버(15a)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결합용 브라켓(20a)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지지부재(360)가 구비된다.
제 2지지부재(370)는 도시한 방향 기준한 베이스(210)의 상, 하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지지부(20)에 구비된 지지폴(20ab)에 볼트(BT)에 의해 고정이 용이하도록 중심부에 관통공(371)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380)는 상기한 베이스(350)의 일측 상, 하 방향에 나란히 구비되는 것으로, 그 단부에 라운딩부(381)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하는 작용에서 상술한 충전기본체(300a)를 일측으로 탄성시킬 때, 마구리(330) 후면에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탄성부재(30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Leaf Spring)을 적용해도 무방하지만 압축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을 적용해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충전장치(300)의 충전기본체(300a)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젠더 지지브라켓(320)의 젠더 결합부(323)에 젠더 커넥터(ZC)를 결합하기 전에, 젠더 커넥터(ZC)의 선단을 마구리(330)에 구비된 관통공(335)으로 관통시킨 다음, 젠더 지지브라켓(320)의 젠더 결합부(323)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젠더 커넥터(ZC)가 결합된 젠더 지지브라켓(130)을 힌지케이스(310)의 삽입부(311)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 때, 삽입부(311) 내면에 다수 형성된 가이드홈(313)에 젠더 지지브라켓(320)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321)를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홈(313)을 따라 상기 젠더 지지브라켓(320)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젠더 지지브라켓(320)을 힌지케이스(310)와 결합한 다음, 이 힌지케이스(310)의 후방에서 마구리(330)를 결합하는데, 이 마구리(330)에 직사각형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결합부(331) 중심의 결합공(333)을 상기한 힌지 케이스(310) 외측에 구비된 제 1결합부(315)의 돌기(316)가 삽입되도록 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본체(300a)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런 다음, 탄성부재(300b)의 상, 하 양단에 구비된 제 2지지부재(370)를 지지부(20)에 구비된 지지폴(20ab)에 구비시킨 다음,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371)에 볼트(BT)를 관통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00b)의 결합이 완료되면, 그 일측에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충전기본체(300a)를 조립하는데, 이 충전기본체(300a)는 일측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에 구비된 힌지브라켓(HB)에 상, 하 양단에 구비된 힌지돌기(310a)를 구비한 다음, 전면커버(15a)를 결합하면 이 힌지돌기(310a)를 힌지점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본체(300a)의 힌지 회동이 용이하다.
또한, 상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b)에 의해 일측으로 회동한 상태로 탄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작용에서 스마트폰(5)의 젠더 연결부(미도시)와 젠더 커넥터(ZC)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도 11과 도 12의 가) 내지 다)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충전장치(30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충전장치(300)의 충전기본체(300a)는 일측에 구비된 탄성부재(300b)의 탄성부(380)에 의해 힌지돌기(310a)를 중심하여 일측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힌지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된 젠더 커넥터(ZC)도 회동되어 스마트폰(5)에 구비된 젠더 연결부(미도시)에 결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5)의 젠더 연결부(미도시)와 젠더 커넥터(ZC)의 결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일측, 다시 말해서,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좌측으로 스마트폰(5)을 밀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케이스(310) 내부의 젠더 지지브라켓(320)과 마구리(330) 사이에 구비되는 젠더 브라켓 지지용 탄성부재(340)의 압축에 의해 젠더 지지브라켓(32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10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5)을 안착하기 위해 도시한 방향 기준한 상측으로 스마트폰(5)을 회동해도 상대편에 구비되는 홀더(23)에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그런 다음,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5)이 안착될 위치에 구비되었을 때, 스마트 폰(5)을 놓으면 상기한 젠더 브라켓 지지용 탄성부재(340)의 탄성에 의해 젠더 지지 브라켓(320)이 원상태로 돌출되고, 스마트폰(5)의 일단이 홀더(23)의 내측에 안착되며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충전장치(300)를 갖춘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에 의하면, 차량 내에서 충전을 위한 스마트폰(5)의 거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또한, 충전을 위해 구비되는 젠더 커넥터(ZC)를 스마트 폰(5)에 구비된 젠더 연결부(미도시)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가 형성된 상태로 구비시킴으로써, 스마트폰(5)의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식 충전장치(300)에 구비된 젠더 커넥터(ZC)에 스마트 폰의 젠더 연결부와의 용이한 연결에 의해 젠더 연결부 또는 젠더 커넥터의 불량 원인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였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는 상기한 거치부(15)와 연결부(13) 사이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설명 편의상 상술한 길이조절장치(100)와 낙하방지장치(200)와 힌지식 충전장치(300) 구성은 도시하지 않고 각도조절장치(400)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여 설명한다.
각도조절장치(400)는, 반구형 결합부(410)와 제 1, 2지지부재(420)(430)와 탄성부재(440)로 이루어진다.
반구형 결합부(410)는 상기한 거치부(15)의 결합통공(15c) 일측에 구비되며, 이 결합통공(15c)을 중심으로 수직방향 상부와 수평방향 좌우로 형성된 안내돌기(411)(412)(413)를 포함한다.
제 1지지부재(420)는 상기한 반구형 결합부(410)의 반구형 내면에 면접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연결부(13)의 제1 연결부재(13a)에 구비되는 나사결합부(13ab)에 나사(470) 결합되어 후술하는 스프링(45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후면에는 상기한 반구형 결합부(410)의 안내돌기(411)(412)(413)에 대응되는 위치에 T형 안내요홈(411a)(412a)(413a)이 구비된다.
또한, 이 제 1지지부재(420)의 테두리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슬롯(423a)(423b)이 형성되는데, 이 슬롯(423a)(423b)은 제 1지지부재(420)가 후술하는 탄성부재(440)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벌어지며 상기한 반구형 결합부(410)의 내면에서 유동하지 않고 밀착되도록 절개(切開)되는 것이다.
탄성부재(440)는 상기한 제 1지지부재(420)의 일측선단 내부 둘레면에 끼움 설치되어 제 1지지부재(420)에 다수 마련된 슬롯(423a)(423b)에 의해 반구형 결합부(410)내에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지지부재(430)는 상기한 반구형 결합부(410) 후면과 연결부(13)의 제 2 연결부재(13b) 사이에 위치되어, 반구형 결합부(4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반구형 결합부(410)와의 접촉부를 최소화하도록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기(431)가 구비되어 회동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제1 지지부재(420)는 중심에 구비되는 스프링 결합요홈(424)에 스프링(450)이 탄력설치되어 상기한 제 1연결부재(13a)의 나사결합부(13ab)에 조절나사(470)와 와셔(460)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탄성 지지된다.
이 조절나사(470)의 나사조절에 의해 상기한 스프링(45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제 1지지부재(420)와 제 2지지부재(430)로 부터 상기 반구형 결합부(410)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반구형 결합부(410)의 전면과 제 1지지부재(420)의 후면 및 제 2지지부재(430)의 전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415)(427)(431)가 각각 구비되어, 제 1지지부재(420)와 제 2지지부재(430) 사이에 구비되는 반구형 결합부(410)의 면접하며 완전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장치(400)는, 거치부(15)에 스마트 폰(미도시)을 거치한 상태에서 반구형 결합부(410)의 안내돌기(411)(412)(413)와 제1 지지부재(420)의 T형 안내요홈(411a)(412a)(413a)에 의해 운전자가 시야 확보를 위한 적합한 각도(바람직하게는 최대 경사각이 상부 및 좌우로 약 13°정도) 범위 내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의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 회동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15)가 정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1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420) T형 안내요홈(411a)(412a)(413a)의 횡(橫)방향 중앙에 반구형 결합부(410)의 안내돌기(411)(412)(413)가 위치하게 되며, 차량의 대시보드(미도시)로부터 거치부(15)가 직각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거치부(15)를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하면,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결합부(410)의 안내돌기(411)(412)(413)가 제1 지지부재(420)의 T형 안내요홈(411a)(412a)(413a)을 따라 하측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거치부(15)를 좌, 우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반구형 결합부(410)의 안내돌기(411)(412)(413)가 T형 안내요홈(411a)(412a)(413a) 내에서만 이동하기 때문에 상측과 좌, 우 방향으로만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적합한 각도 범위 내에서만 거치부(15)가 기울어지게 되기 때문에 거치부(15)에 구비된 스마트 폰(5)의 조작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데쉬보드(DB)에 용이한 착탈을 위하여 상기 고정부(11)와 연결부(13) 사이에 구비되는 착탈장치(500)를 더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장치(500)는 베이스(500a)와 결합부(500b)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의 구성인 고정부(11)와 연결부(13)와 거치부(1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500)가 설치되는 일 실시예일 뿐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500a)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데쉬 보드(미도시)에 매립되는 형태로서, 제 1, 2고정부재(510)(530)로 이루어진다.
제 1고정부재(51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하측을 향해 함몰된 요홈(511)을 갖추며, 이 요홈(511)의 저부에 데쉬 보드(미도시)와 볼트(512) 체결이 용이하도록 탭(513)이 마련된다.
이 요홈(511)의 상측 테두리에는 플랜지(515)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차량의 데쉬 보드(미도시)와 결합 후 표면마감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제 2고정부재(530)는 상기한 제 1고정부재(510)에 형성된 요홈(51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탭(513)과 도시한 방향을 기준하여 수직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에 볼트 안착홈(531)이 마련되고, 그 볼트 안착홈(531) 저부 중심에 상기한 볼트(512)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관통공(5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볼트 안착홈(531)의 측방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판(560)의 후크(563)가 걸릴 수 있도록 록킹홀(535)이 구비되는데, 이 록킹홀(535)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작용에서 후크(563) 외측에 형성된 테이퍼(564)와 대향하는 각도로 테이퍼(536)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부(500b) 슬라이드판(560) 후크(563)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제 2고정부재(530)의 외주 테두리에 플랜지(530a)가 구비되어 상기한 제 1고정부재(510)의 요홈(511)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500a)의 상측으로 결합부(500b)가 구비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결합부(500b)는, 고정판(550)과 슬라이드판(560)과 가이드판(570)과 록킹해제판(580)으로 대별된다.
고정판(550)은, 상기한 연결부(13)의 하단에 구비된 탭(미도시)과 볼트(552)에 의해 장착이 용이하도록 볼트홈(550a) 중심에 관통공(551)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슬라이드판(560)에 마련된 후크(563)과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후크관통공(55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양측 길이방향 대칭형으로 탄성수단(561) 일단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탄성수단 지지부재(55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수단 지지부재(555)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가이드(557)가 단면상 호형(弧形)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고정판(560)의 저부에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고정판(550)의 상면에는 다수의 수직폴(558)이 구비되며, 그 수직폴(558)의 중심 길이방향으로 탭(559)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이드판(570)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볼트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고정판(550)의 상측으로 슬라이드판(560)이 구비된다.
슬라이드판(560)은 사각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진 전, 후 방향에 후크(563)가 구비되어 있다.
이 후크(563)는 일측에서 바라볼 때,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베이스(500a)의 제 2고정부재(530)에 마련된 록킹홀(535)의 저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후크(231)의 외측은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고정부재(530)의 록킹홀(535) 접촉면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테이퍼(5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560)의 후방에는 경사부(565)가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데, 이 경사부(565)는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후방측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록킹해제판(580)의 작동바아(581)의 수직방향 이동에 의해 일측, 다시 말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경사부(565)의 전방하측으로 탄성수단 지지수단(566)가 구비되어 상술한 고정판(550)에 구비된 탄성수단 지지부재(555)와 길이방향으로 대향하게 구비되며, 그 사이에 탄성수단(561)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 슬라이드판(560)은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후방으로 탄성이 작용한다.
또한, 이 슬라이드판(56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한 고정판(550)의 상면에 다수 마련된 수직폴(558)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장공(56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공(567)이 형성된 이유는 후술하는 작용에서 슬라이드판(560)이 전, 후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한 수직폴(558)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판(560)의 상측으로 가이드판(570)이 구비된다.
가이드판(570)은 상술한 고정판(550)의 수직폴(558) 중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탭(559)과 수직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볼트홀(571)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570)은 상기한 수직폴(558)의 상단과 저면이 밀착되데, 상기한 슬라이드판(560)과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 슬라이드판(560)의 슬라이딩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판(570)과는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한 연결부(13) 상측에 록킹해제판(580)이 구비된다.
록킹해제판(580)은 후술하는 작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500)의 버튼(Button)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좌, 우측과 전, 후 양측에 대칭형으로 작동바아(581)와 슬라이드바아(273)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마련된다.
작동바아(581)는 하측단에 상술한 고정판(560)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경사부(565) 각도와 동일 각도로 경사단(58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가이드판(570)과 록킹해제판(580) 사이, 다시 말해서, 연결부(13) 상측에 지지판(590)이 설치된다.
지지판(590)은 상기한 연결부(13) 상측에 구비된 탭과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그 중심에 돌기(591)가 구비되어 탄성수단(592) 일단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이 탄성수단(592)의 상단은 상기한 록킹해제판(580)의 저부에 지지된다.
또한, 이 지지판(590)의 좌우와 전후 양측에는 대칭형으로 제 1, 2가이드 홀(593)(595)이 마련되는데, 제 1가이드홀(593)은 상기한 록킹해제판(580)에 구비된 작동바아(581)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고, 제 2가이드홀(595)은 슬라이드바아(583)의 상, 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한다.
계속해서, 도 19의 가) 내지 다)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50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시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500)의 결합방법을 설명한다.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쉬보드(DB)에 매립되어 있는 베이스(510a)의 상측에서 결합부(500b)가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의 연결부(13)를 삽입하는데, 이 때,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563)의 외측에는 테이퍼(564)가 형성되어 제 2고정부재(530)의 록킹홀(535) 외측의 테이퍼(536)와 접촉할 때, 하측으로 압축하면 상기한 후크(563)의 테이퍼(564)가 록킹홀(535)의 테이퍼(536)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홀(535)의 내측으로 후크(563)의 삽입이 완료되면, 고정판(550)과 슬라이드판(56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수단(561)의 탄성에 의해 록킹홀(535)의 테이퍼(536) 하측에 후크(563)가 걸리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500)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거치대(1)의 설치가 완료된다.
반대로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9의 다)에 도시한 연결부(13) 상측의 록킹해제판(580)을 누르면 이 록킹해제판(580) 양측에 구비된 작동바아(581) 단부의 경사단(582)이 고정판(560) 양측의 경사부(565)를 압축함에 따라, 고정판(560)은 경사부(565)의 경사거리만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며,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홀(535)에서 이탈이 가능한 위치로 슬라이딩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착탈부재(500)가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500)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중 진동이 발생해도 거치된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의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후크(563)에 의해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10)가 결합 또는 해체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를 널리 공급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1 : 고정부
13 : 연결부 15 : 거치부
100 : 길이조절장치 110 : 베이스
130 : 슬라이더 150 : 스토퍼
200 : 낙하방지장치 210 : 버튼
230 : 지지장치 250 : 탄성부재 지지부
270 : 탄성부재 300 : 힌지식 충전장치
300a : 충전기본체 300b : 탄성부재
310 : 힌지케이스 320 : 젠더 지지브라켓
330 : 마구리 400 : 각도조절장치
410 : 반구형 결합부
420,430 : 제 1, 2지지부재 440 : 탄성부재
450 : 스프링 470 : 조절나사
500 : 착탈장치 500a : 베이스
500b : 결합부 510,530 :제 1, 2고정부재
550 : 고정판 560 : 슬라이드판
570 : 가이드판 580 : 록킹해제판

Claims (33)

  1. 차량에 지지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진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좌, 우 양단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내부에 구비되어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 폰 거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중 어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일측으로 인출되는 길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거치부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레그와, 상기 레그의 일단에 상기 지지부가 구비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직각방향으로 구비된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일측 길이방향 제 1, 2기어가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레그의 제 2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된 가이드 피니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슬라이딩부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 일단에 구비된 가이드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평면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쉬와, 상기 가이드부쉬에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부 타단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부쉬와 슬라이드 가이드 사이의 중간부분 수직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터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핀과 가이드 부쉬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레그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접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라인은 단면상 호형 또는 삼각형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측에 구비된 슬라이더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된 제 1기어와 기어결합할 수 있도록 요홈의 저부에 형성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하측과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슬라이드 터널의 상측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베이스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양측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 내부 하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낙하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 하측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되는 일측 수직방향으로 기어가 구비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버튼과;
    상기 버튼 일측에 스마트 폰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버튼의 기어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 수직방향으로 기어가 마련되고, 베이스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의해 슬라이딩이 용이하되, 이탈이 방지되는 슬라이드 윙이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지지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지지장치와 베이스를 사이에 두고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장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 지지부와,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에 대향하도록 베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지지브라켓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부재 압축시 좌굴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5. 제 2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에 구비된 제 1기어와, 상기 스토퍼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버튼의 지지부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지지장치에 구비되는 기어는 래칫기어로서 일방향으로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는,
    상기 길이조절장치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 타단에서 수직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힌지식 충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식 충전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상, 하 방향에 구비된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돌기를 갖추며, 일측 방향으로 젠더 커넥터가 구비되는 충전기 본체와;
    상기 충전기 본체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충전기본체가 일측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구비되도록 탄성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본체는,
    상기 힌지돌기가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된 장방형 외형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힌지케이스와;
    상기 젠더 커넥터가 일측에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 내에 삽입되는 젠더 지지브라켓과;
    상기 젠더 지지브라켓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힌지케이스와 결합되는 마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케이스는, 상기 삽입부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젠더 지지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 테두리에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일측 방향으로 젠더 커넥터가 돌출되며 결합할 수 있도록 젠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케이스는, 양측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제 1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마구리는, 상기 제 1결합부와 결합하도록 양측 상, 하 방향 대칭형으로 제 2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젠더 지지브라켓과 상기 마구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젠더 브라켓 지지용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브라켓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부는, 상기 제 2결합부의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상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 수록 높아지는 경사가 형성되는 단면상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 측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으로 지지부에 구비된 결합용 브라켓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 하 양단에 구비되며, 지지부에 구비된 지지폴에 볼트체결이 용이하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의 일측 상, 하 방향에 나란히 구비되며, 상기 충전기본체가 소정 각도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마구리 후면에 탄성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마구리 후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단부에 형성된 라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또는 압축코일 스프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와 연결부 사이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거치부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가 고정설치되는 프레임에 결합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통공을 중심으로 수직방향 상부와 수평방향 좌우로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반구형 결합부와;
    상기 반구형 결합부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제 1연결부재에 나사결합되어 탄성 지지되며, 후면에 상기 반구형 결합부의 안내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T형 안내요홈이 형성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반구형 결합부 후면과 연결부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반구형 결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선단 내부둘레면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상기 반구형 결합부에 탄성 지지하는 링 형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결합부의 전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후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전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는,
    차량의 데쉬 보드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와 결합된 연결부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진 착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된 요홈을 갖추며, 차량의 데쉬 보드에 안착되는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요홈 저부에 구비되는 제 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측에 구비되데,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 탄성되도록 탄성수단을 갖추며, 상기 고정판의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의 제 2고정부재에 걸리도록 후크가 구비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측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데, 상기 고정판과 결합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판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경사부에 대향하는 각도로 경사단을 갖춘 작동 바아가 하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록킹해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록킹해제판의 하측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 상측에 고정된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록킹해제판 사이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제 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40061512A 2014-05-22 2014-05-22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2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512A KR101625648B1 (ko) 2014-05-22 2014-05-22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512A KR101625648B1 (ko) 2014-05-22 2014-05-22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89A true KR20150134589A (ko) 2015-12-02
KR101625648B1 KR101625648B1 (ko) 2016-05-30

Family

ID=5488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512A KR101625648B1 (ko) 2014-05-22 2014-05-22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648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9733A (zh) * 2017-04-13 2017-07-18 重庆天胜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显示器
RU175725U1 (ru) * 2017-07-18 2017-12-15 Рафаэль Хабибович Зайнуллин 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WO2018026107A1 (ko) * 2016-08-05 2018-02-08 (주)로보와이즈 블록 조립 방식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기기 홀더
CN108418932A (zh) * 2018-04-26 2018-08-17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手机支撑装置
CN108685452A (zh) * 2018-07-31 2018-10-23 易通汽车部件如皋有限公司 挂钩及其置物袋挂架
CN109040392A (zh) * 2018-09-13 2018-12-18 陈可钗 一种宽度可调节的手机支架
CN109050427A (zh) * 2018-10-22 2018-12-21 丹阳永凌车业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载手机安装支架
CN109348028A (zh) * 2018-12-17 2019-02-15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手机支架
KR20190000709U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월드툴 스마트 장치 거치대
KR20190051459A (ko) * 2017-11-07 2019-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장치
EP4190641A1 (en) * 2021-12-03 2023-06-07 Shenzhen City Qicaiguohong Technology Co., Ltd. Magnetic vehicle bracket
CN116526686A (zh) * 2023-05-16 2023-08-01 深圳市洛沃克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无线充电器及其调节方法
CN108418932B (zh) * 2018-04-26 2024-05-28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手机支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3225B (zh) * 2018-04-26 2024-04-12 曾志丰 移动终端支架
KR102139487B1 (ko) 2018-12-26 2020-07-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로드 셀을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장치 및 제어방법
KR200494557Y1 (ko) * 2020-05-11 2021-11-05 팬 이글 폴더블 3단식 클램핑 장치
KR20220028689A (ko) 2020-08-31 202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의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220030698A (ko)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의 모바일기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61Y1 (ko)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휴대폰용 핸드 프리 거치대
KR100625699B1 (ko) * 2005-07-06 2006-09-20 이호상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KR101326687B1 (ko) * 2012-11-06 2013-11-20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07A1 (ko) * 2016-08-05 2018-02-08 (주)로보와이즈 블록 조립 방식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기기 홀더
CN106959733A (zh) * 2017-04-13 2017-07-18 重庆天胜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显示器
CN106959733B (zh) * 2017-04-13 2024-02-02 重庆天胜电子有限公司 一种可调节显示器
RU175725U1 (ru) * 2017-07-18 2017-12-15 Рафаэль Хабибович Зайнуллин 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KR20190000709U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월드툴 스마트 장치 거치대
KR20190051459A (ko) * 2017-11-07 2019-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장치
CN108418932A (zh) * 2018-04-26 2018-08-17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手机支撑装置
CN108418932B (zh) * 2018-04-26 2024-05-28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手机支撑装置
CN108685452A (zh) * 2018-07-31 2018-10-23 易通汽车部件如皋有限公司 挂钩及其置物袋挂架
CN109040392A (zh) * 2018-09-13 2018-12-18 陈可钗 一种宽度可调节的手机支架
CN109050427A (zh) * 2018-10-22 2018-12-21 丹阳永凌车业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载手机安装支架
CN109050427B (zh) * 2018-10-22 2024-05-03 丹阳海成车业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载手机安装支架
CN109348028A (zh) * 2018-12-17 2019-02-15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手机支架
CN109348028B (zh) * 2018-12-17 2024-02-27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手机支架
EP4190641A1 (en) * 2021-12-03 2023-06-07 Shenzhen City Qicaiguohong Technology Co., Ltd. Magnetic vehicle bracket
CN116526686A (zh) * 2023-05-16 2023-08-01 深圳市洛沃克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无线充电器及其调节方法
CN116526686B (zh) * 2023-05-16 2024-02-20 深圳市洛沃克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无线充电器及其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648B1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648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120120626A1 (en)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US10512322B2 (en) Portable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406733B1 (ko)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US9821729B2 (en) Jack-positioning device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CN102900922A (zh) 显示器支撑装置
KR20160001328A (ko)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20130225249A1 (en) Flip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208522816U (zh) 一种基于卡接限位的手机支架结构
US20170166140A1 (en) Smartphone holding device of vehicle
KR20120134232A (ko)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US8967566B2 (en) Seatback-mountable clamp assembly
KR20160045366A (ko) 휴대용 테이블
KR101591831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N205136971U (zh) 平板电子设备支架
KR101321014B1 (ko) 휴대용 태블릿 pc 거치대
KR20120124742A (ko) 흡착구
US20160297375A1 (en) Stable Mounting System for Seatback Shelving
US9173499B2 (en) Adjustable armrest apparatus
CN207855375U (zh) 多功能移动办公车
KR20160065664A (ko)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101562920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04443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8894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차량거치대용 가변형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