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38Y1 -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138Y1 KR200477138Y1 KR2020130009340U KR20130009340U KR200477138Y1 KR 200477138 Y1 KR200477138 Y1 KR 200477138Y1 KR 2020130009340 U KR2020130009340 U KR 2020130009340U KR 20130009340 U KR20130009340 U KR 20130009340U KR 200477138 Y1 KR200477138 Y1 KR 20047713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armrest
- handle
- hole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손잡이부에 부착되어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게 되는 충전패드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설치되어 손잡이부 방향으로 진출되며 손잡이부에 수용된 전자기기의 유동을 억제함과 동시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홀딩부재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내장되어 상기 홀딩부재의 진출입을 가이드 하게 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서 상 방향으로 노출되어 손잡이부 방향으로 진출된 상기 홀딩부재의 락킹을 해제시키게 되는 락킹해제부재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내장된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해제부재를 삽입하게 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장착되어 있는 암레스트부의 손잡이 부위에 전자기기를 수용한 상태로 무선에 의한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도록 한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 충전방식은 콘솔에 적용된 연결커넥터를 휴대폰의 연결단자에 삽입하는 방식이며, 이는 운전 중 사용에 다소 불편함을 초래하고, 콘솔은 사용자의 행동 반경 내에서 약간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휴대폰을 조작할 때 사용자가 머리나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는 운전 중 커넥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운전시야를 방해하게 되며, 안전 상에 큰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충전하는 조작의 불편성도 함께 초래하게 되는데, 이는 휴대폰의 장착 위치가 일반적으로 운전자 전방의 대시보드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휴대폰이 사용자(운전자)의 전방에 위치하여 휴대폰 충전 시 운전자의 운전 시야를 방해하는 점이 있고, 실지로 운전자의 손이 뻗을 수 있는 위치로부터 휴대폰이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조작 행동에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한편, 충전기술과 관련된 기술로서, 출원번호 제1996-0011891호(특허문헌 1), 출원번호 제1997-0045326호(특허문헌 2), 출원번호 제2004-382494호(특허문헌 3)의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배터리 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힌지가 형성되고, 타단에 걸림턱이 돌출되며, 내측면에 홀더부가 형성되고, 외측일면에 손잡이가 돌출되는 홀더 커버와, 상기 홀더 커버의 힌지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턱을 삽입하게 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중앙에 홀더 안착부를 내측으로 형성한 도어트림부와, 상기 홀더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차량용 핸드프리킷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표면을 충격흡수재로 커버링한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에 부착되며 재질을 고단력재이고 중앙에 십자형구멍을 형성한 상부덮개와, 상기 십자형구멍과 일치하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저면 지점에 부착되며 직교하는 십자형막대상에 4 또는 5개의 핀으로 돌출접속단자를 형성한 십자형충전단자와, 상기 십자형충전단자에 결합되어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시거라이터 잭과의 연결수단으로써의 단자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3의 기술은 휴대 전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화구로부터 소리를 흡음하는 마이크로폰 및 스키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한 확음 장치와, 휴대전화기를 꽂을 수 있는 보유자 케이스로 구성되고, 마이크로폰에 휴대폰의 수화구가 세트되어 핸즈 프리 통화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갖는 특허문헌 1, 2, 3의 기술들은 휴대폰 충전을 유선으로구현하는 기술이다. 물론, 특허문헌 3의 경우 무선으로 결합한 확음 장치를 제시하고 있지만, 상기 확음 장치로만은 휴대폰의 무선 충전을 구현할 수 없다.
아울러, 이들 기술들은 휴대폰 충전을 수행함에 있어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휴대폰을 충전하는 작업성이 까다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행동 반경 내에 전자기기의 수납 가능한 위치에 충전장치를 적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암레스트의 손잡이부에서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구현시킬 수 있음에 따라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운전 환경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손잡이부에 부착되어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게 되는 충전패드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설치되어 손잡이부 방향으로 진출되며 손잡이부에 수용된 전자기기의 유동을 억제함과 동시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홀딩부재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내장되어 상기 홀딩부재의 진출입을 가이드 하게 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서 상 방향으로 노출되어 손잡이부 방향으로 진출된 상기 홀딩부재의 락킹을 해제시키게 되는 락킹해제부재와,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내장된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해제부재를 삽입하게 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패드는, 커버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기장을 무선으로 발생시키는 코일을 형성한 전류발신부와, 커버 외부에 구비되거나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상기 전류발신부로부터 발생한 유도전류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코일을 형성한 전류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트림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재는, 선단에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의 후단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의 간격을 이루며 중앙과 좌우 각각에 형성되는 출입대와, 상기 출입대 중 중앙에 위치한 출입대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홀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락킹대와, 상기 중앙에 위치한 출입대와 상기 락킹대가 합치되는 지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대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안내부재 내의 중앙 후단에 고정되어 홀딩부재의 진출 시에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는, 전자기기와 접촉 또는 충돌 시 유연한 흡수와 아울러 전자기기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그 표면에 탄성부가 접착되되, 상기 탄성부는 라텍스 재질로 이용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대는, 그 끝단에 락킹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그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딩부재의 각 출입대를 가이드 하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 중 중앙에 위치한 안내공 상부 방향으로 연통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해제부재는, 수용부재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 시에 락킹대의 걸림돌기를 가압하여 락킹을 해제한 후 원상태로 복귀되는 누름구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구는, 중앙 부근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압에 의한 하방향 이동 및 가압 이후의 상방향 복귀 이동 시 누름구의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제1 단턱과, 하단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압 이후의 상방향 복귀 이동 시 누름구의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제2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단턱 사이로 삽입되어 일단은 제1 단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수용부재의 제2 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누름구의 자동 복귀를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재는, 락킹해제부재의 누름구를 삽입하는 홀을 형성하되, 상기 홀은, 그 내부에 누름구의 제1 단턱 및 스프링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형성된 확장공간부와, 상기 확장공간부의 상부에 상기 확장공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홀에 의해 누름구의 제1 단턱과 걸림되는 제1 돌기와, 상기 확장공간부의 하부에 상기 확장공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홀에 의해 누름구의 제2 단턱과 걸림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게 되는 제2 돌기를 연속된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콘솔에 적용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충전 방식을 사용자의 행동 반경 내로 이동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선충전방식이 아닌 무선충전방식을 도입하여 전자기기의 단순 수납과정만으로 충전이 되도록 함에 따라 상품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해, 운전자가 연결커넥터와 전자기기를 연결해야 하는 작업의 불편을 줄임에 따라 손쉬운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전자기기 조작 반경 내로 충전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도어트림의 암레스트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충전패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근접 부위에 설치되는 홀딩부재, 안내부재, 락킹해제부재, 수용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딩부재, 안내부재, 락킹해제부재, 수용부재의 체결 상태를 종단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손잡이부의 내부로 수용된 전자기기를 고정하는 홀딩부의 인출 및 락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도면을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충전패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근접 부위에 설치되는 홀딩부재, 안내부재, 락킹해제부재, 수용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딩부재, 안내부재, 락킹해제부재, 수용부재의 체결 상태를 종단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손잡이부의 내부로 수용된 전자기기를 고정하는 홀딩부의 인출 및 락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도면을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본 고안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에 구비된 암레스트(10)는 손잡이부(11)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손잡이부(11)는 그 내부 공간에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1)의 내부 공간에 무선으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패드(20)가 부착되고, 상기 충전패드(20)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를 수신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 전류수신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MP3 등의 소형전자제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자기기 중 스마트폰을 일례로 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70)이 손잡이부(11)의 공간에 수용되면, 상술된 상기 충전패드(20)와 전류수신부(24)를 통하여 무선으로 스마트폰(70)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무선으로 한 스마트폰(70)의 배터리 충전 중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이나 커브 길을 주행할 때 스마트폰(70)의 요동이 심하고, 심지어 노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지날 경우에 손잡이부(11)의 공간에서 탈거되는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손잡이부(11) 부근의 도어트림 내에 스마트폰(70)을 고정하는 홀딩부재(30)와, 상기 홀딩부재(30)를 가이드 하는 안내부재(40)와, 상기 안내부재(40)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홀딩부재(30)의 락킹을 해제하는 락킹해제부재(50)와, 상기 락킹해제부재(50)를 수용하는 수용부재(60)를 설치하여 해결하게 된다.
스마트폰(70)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상기 충전패드(20) 및 전류수신부(24)에 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패드(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21)과, 외관을 이루는 커버(22)와, 상기 커버(22) 내에서 전원케이블(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신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22)는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류발신부(23)는 커버(22)에 내장되는 굽힘성과 전도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전류발신부(23)의 표면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코일(23a)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코일(23a)의 형태를 사각 및 원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코일(23a)의 형태는 사각 및 원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충전패드(20)로부터 유도 전류를 수신하게 되는 전류수신부(24)는 스마트폰(70) 내에 장착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70)을 수용하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류수신부(24)는 상기 충전패드(20)로부터 발생된 유도 전류를 수신하기 위하여 코일(24a)을 구비하게 된다. 즉 전류수신부(24)가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때에는 부재의 내부에 코일(24a)을 구비하게 되고, 스마트폰(70) 내에 장착될 경우에는 스마트폰(70) 내에 장착될 수 있는 소형화된 부재와 아울러 상기 부재에 코일(24a)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처럼, 무선 충전은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서, 전기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만들어지고, 이 도선을 코일모양으로 감게 되면 전류가 코일을 따라 둥글게 돌면서 자력이 발생한다.
전자기 유도는 코일에 자석을 넣었다가 빼서 자기장의 변화가 생기면 코일에 전류가 생성된다. 넓은 판 속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생기면 바로 위에 있는 코일에 자기장의 변화가 가해진다. 이로 인해 위의 코일에도 전류가 흘러 충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70)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스마트폰(70)을 별도의 부재에 넣은 후, 암레스트(10)의 손잡이부(11) 공간으로 별도의 부재와 함께 스마트폰(70)을 넣어 놓은 채로 시간 경과에 따라 스마트폰(70)의 배터리 충전을 무선으로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폰(70)의 배터리 충전 중일 때, 차량이 거친 노면이나 커브 길을 주행하게 되면, 스마트폰(70)은 손잡이부(11)의 공간 내에서 심한 요동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심지어 손잡이부(11)에서 탈거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손잡이부(11)에 수용된 스마트폰(70)을 고정시키는 홀딩부재(30), 안내부재(40), 락킹해제부재(50), 수용부재(60)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로 도 3에서와 같이, 암레스트(10) 부근의 도어트림 내에 상기 안내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재(40)에서 홀딩부재(30)는 진출 진입하는 작동을 구현하며, 상기 안내부재(40) 상부에 설치되는 수용부재(60)는 도어트림에서 노출된 형태이고, 상기 수용부재(60) 내에 설치되는 락킹해제부재(50) 중 누름구(51)는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이다.
상기 안내부재(40)는 그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의 안내공(41,42,43)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공(41,42,43) 중 안내공(41,43)은 좌우에 형성되고, 안내공(42)은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42)에는 어느 한 지점에서 상 방향으로 연통된 걸림공(44)을 형성하고, 안내공(42) 내부 끝단의 벽면에 걸림편(45)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걸림편(45)은 인장스프링(37)의 타측단을 걸림 고정하기 위해서다.
한편, 상기 홀딩부재(30)는 선단에 만곡 형상의 홀딩부(31)를 형성하고, 상기 홀딩부(31)의 전면에 탄성부(31a)가 부착되며, 상기 홀딩부(31)의 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의 출입대(32,33,3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출입대(32,33,34) 중 출입대(33)에는 어느 한 지점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홀딩부(31) 방향으로 절곡된 락킹대(35)를 형성하되, 상기 락킹대(35)의 끝단에는 걸림돌기(35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출입대(33)의 후방 끝단에는 연장대(36)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대(36)는 인장스프링(37)의 일측단을 걸림 고정하기 위해서다.
한편, 상기 락킹해제부재(50)는 손으로 가압할 수 있는 누름구(51)를 형성하되, 상기 누름구(51)의 어느 한 지점에서 누름구(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단턱(51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턱(51a) 아래인 누름구(51)의 끝단에 사각형상의 제2 단턱(51b)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단턱(51a)은 스프링(52)의 일측단을 걸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재(60)는 상기 누름구(51)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름구(51)를 삽입하는 홀(61)을 중앙에 형성하되, 상기 홀(61)은 수용부재(60)의 상면 중앙에서부터 하면 중앙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홀(61)은 중앙 부근에 상부와 하부의 직경보다 큰 확장공간부(61b)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공간부(61b)의 상하부는 상기 확장공간부(61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되어 상부에는 제1 돌기(61a)를 하부에는 제2 돌기(61c)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돌기(61c)는 상기 스프링(52)의 타측단을 걸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30), 안내부재(40), 락킹해제부재(50), 수용부재(60)의 조립한 상태를 후술하기로 한다.
홀딩부재(30)의 각 출입대(32,33,34)는, 안내부재(40)의 각 안내공(41,42,43)에 삽입 상태에 있고, 이때 상기 출입대(32,33,34) 중 출입대(33)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36)에 인장스프링(37)의 일측단이 걸림 고정되고, 인장스프링(37)의 타측단은 상기 출입대(33)를 삽입한 안내공(42)의 후방 벽면에 형성된 걸림편(45)에 걸림 고정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출입대(33)에 구비된 락킹대(35)는 압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탄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안내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공(44) 주변에 설치되는 수용부재(60)는 락킹해제부재(50)를 삽입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락킹해제부재(50)의 누름구(51) 중 상부는 수용부재(60)의 홀(61)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누름구(51)의 제1 단턱(51a)은 상기 홀(61)의 제1 돌기(61a) 하부면과 접촉되며, 상기 누름구(51)의 제2 단턱(51b)은 상기 홀(61)의 제2 돌기(61c)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재(40)의 걸림공(44) 내부로 일부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홀(61)의 제1,2 돌기(61a,61c) 사이에 형성된 확장공간부(61b)는 상기 누름구(51)의 제1 단턱(51a) 및 제2 단턱(51b)의 상하 움직임에 대한 자유로움을 두기 위한 공간으로서, 스프링(52) 또한 상기 확장공간부(61b)에 위치하여 압축과 이완에 대한 움직임이 자유롭다. 이때, 상기 스프링(52)의 일측단은 누름구(51)의 제1 단턱(51a)에 걸림되고, 스프링(52)의 타측단은 홀(61)의 제2 돌기(61c)에 걸리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작동을 후술하기로 한다.
전자기기의 일례로, 스마트폰(70)을 전류수신부(24)에 넣은 후, 상기 스마트폰(70)과 함께 전류수신부(24)를 암레스트(10)에 구비된 손잡이부(11)의 공간에 수용시킨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1)의 공간에 부착된 충전패드(20)는 전원케이블(21)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아 커버(22) 내에 구비된 전류발신부(23)의 코일(23a)로부터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때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전류수신부(24)의 코일(24a)이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스마트폰(7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스마트폰(70)의 배터리는 무선에 의해 충전이 완료된다.
한편, 스마트폰(70)의 배터리 충전 중, 차량이 거친 노면이나 커브 길을 주행할 때, 손잡이부(11)의 공간 내에서 스마트폰(70)의 유동이나 탈거되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부(11)와 근접된 도어트림에서 홀딩부(31)를 손잡이부(11)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때, 홀딩부(31)는 잡아당김에 의해 안내부재(40)로부터 인출되어 스마트폰(70)을 가압한 상태로 걸림되어 손잡이부(11)의 공간에 수용된 스마트폰(70)의 유동 및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홀딩부(31)의 인출에서 걸림에 이르는 일렬의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홀딩부(31)가 인출될 때, 홀딩부(31) 후방에 위치한 각 출입대(32,33,34)는 안내부재(40)의 각 안내공(41,42,43)을 따라 인출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출입대(32,33,34) 중 출입대(33) 후방에 위치한 연장대(36)는 인장스프링(37)을 잡아당겨 인장스프링(37)을 이완시킨다.
이때, 홀딩부(31)의 전면에 부착된 탄성부(31a)가 스마트폰(70)을 가압할 시점에 상기 출입대(33)에 구비된 락킹대(35)는 탄성을 지닌 채로 안내공(42)의 안내를 받으며 진행되다가 상기 안내공(42)과 연통된 걸림공(44) 방향으로 벌어진다.
이때, 락킹대(35)의 걸림돌기(35a)는 상기 걸림공(44)으로 삽입되면서 락킹되어, 인출된 홀딩부(31)는 고정된 상태로 스마트폰(70)을 가압한 상태에 있게 된다.
스마트폰(70)이 상기 홀딩부(31)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차량은 주행하게 되고, 주행 중 거친 노면이나 커브 길을 차량이 통과하더라도, 스마트폰(70)은 손잡이부(11)의 공간 내에서 유동이나 탈거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70)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스마트폰(70)을 손잡이부(11)의 공간에서 꺼내기 위하여 홀딩부(31)의 락킹을 해제시켜 홀딩부(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홀딩부(31)의 락킹 해제에 대한 작동을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누름구(51)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누름구(51)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누름구(51)의 제2 단턱(51b)이 걸림공(44)에 락킹된 상태의 걸림돌기(35a)를 하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1 단턱(51a)에 의해 스프링(52)은 홀(61)의 확장공간부(61b) 내에서 압축된다.
이때, 제2 단턱(51b)의 가압에 의해, 걸림공(44)에 걸림된 걸림돌기(35a)의 락킹이 해제되고, 이로 인하여 인장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하여 각 출입대(32,33,34)가 각 안내공(41,42,43)을 따라 진입되면서 홀딩부(31)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걸림돌기(35a)의 락킹 해제 시점에서, 누름구(51)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스프링(52)은 탄성력에 의해 제1 단턱(51a)을 제1 돌기(61a)에 이르기까지 이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제1 단턱(51a)은 제1 돌기(61a)와 걸림되며, 가압된 상태의 누름구(51)는 상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10 : 암레스트 11 : 손잡이부
20 : 충전패드 21 : 전원케이블
22 : 커버 23 : 전류발신부
23a : 코일 24 : 전류수신부
24a : 코일
30 : 홀딩부재 31 : 홀딩부
31a : 탄성부 32,33,34 : 출입대
35 : 락킹대 35a : 걸림돌기
36 : 연장대 37 : 인장스프링
40 : 안내부재 41,42,43 : 안내공
44 : 걸림공 45 : 걸림편
50 : 락킹해제부재 51 : 누름구
51a : 제1 단턱 51b : 가압부
51ba : 제2 단턱 52 : 스프링
60 : 수용부재 61 : 홀
61a : 제1 돌기 61b : 확장공간부
61c : 제2 돌기
20 : 충전패드 21 : 전원케이블
22 : 커버 23 : 전류발신부
23a : 코일 24 : 전류수신부
24a : 코일
30 : 홀딩부재 31 : 홀딩부
31a : 탄성부 32,33,34 : 출입대
35 : 락킹대 35a : 걸림돌기
36 : 연장대 37 : 인장스프링
40 : 안내부재 41,42,43 : 안내공
44 : 걸림공 45 : 걸림편
50 : 락킹해제부재 51 : 누름구
51a : 제1 단턱 51b : 가압부
51ba : 제2 단턱 52 : 스프링
60 : 수용부재 61 : 홀
61a : 제1 돌기 61b : 확장공간부
61c : 제2 돌기
Claims (8)
-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손잡이부에 부착되어 전자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게 되는 충전패드;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설치되어 손잡이부 방향으로 진출되며 손잡이부에 수용된 전자기기의 유동을 억제함과 동시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홀딩부재;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내장되어 상기 홀딩부재의 진출입을 가이드 하게 되는 안내부재;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서 상 방향으로 노출되어 손잡이부 방향으로 진출된 상기 홀딩부재의 락킹을 해제시키게 되는 락킹해제부재;
상기 손잡이부가 위치한 암레스트 부근에 내장된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해제부재를 삽입하게 되는 수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패드는,
커버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기장을 무선으로 발생시키는 코일을 형성한 전류발신부;
커버 외부에 구비되거나 전자기기에 내장되어 상기 전류발신부로부터 발생한 유도전류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코일을 형성한 전류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 무선충전 암레스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선단에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의 후단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의 간격을 이루며 중앙과 좌우 각각에 형성되는 출입대;
상기 출입대 중 중앙에 위치한 출입대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홀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락킹대;
상기 중앙에 위치한 출입대와 상기 락킹대가 합치되는 지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대;
를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안내부재 내의 중앙 후단에 고정되어 홀딩부재의 진출 시에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인장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전자기기와 접촉 또는 충돌 시 유연한 흡수와 아울러 전자기기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그 표면에 탄성부를 접착하되,
상기 탄성부는 라텍스 재질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대는,
그 끝단에 락킹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그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딩부재의 각 출입대를 가이드 하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 중 중앙에 위치한 안내공 상부 방향으로 연통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부재는,
수용부재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 시에 락킹대의 걸림돌기를 가압하여 락킹을 해제한 후 원상태로 복귀되는 누름구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구는, 중앙 부근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압에 의한 하방향 이동 및 가압 이후의 상방향 복귀 이동 시 누름구의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제1 단턱; 및,
하단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압 이후의 상방향 복귀 이동 시 누름구의 탈거를 방지하게 되는 제2 단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단턱 사이로 삽입되어 일단은 제1 단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수용부재의 제2 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누름구의 자동 복귀를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락킹해제부재의 누름구를 삽입하는 홀을 형성하되,
상기 홀은, 그 내부에 누름구의 제1 단턱 및 스프링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형성된 확장공간부;
상기 확장공간부의 상부에 상기 확장공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홀에 의해 누름구의 제1 단턱과 걸림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확장공간부의 하부에 상기 확장공간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홀에 의해 누름구의 제2 단턱과 걸림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게 되는 제2 돌기;
를 연속된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340U KR200477138Y1 (ko) | 2013-11-13 | 2013-11-13 |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340U KR200477138Y1 (ko) | 2013-11-13 | 2013-11-13 |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138Y1 true KR200477138Y1 (ko) | 2015-05-11 |
Family
ID=5343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340U KR200477138Y1 (ko) | 2013-11-13 | 2013-11-13 |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13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87273A (zh) * | 2016-07-11 | 2017-12-19 |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及车辆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3941A (ko) * | 2010-02-11 | 2010-03-04 | 최세중 | 휴대폰 무선충전기 겸용 휴대폰 수납함 |
KR20120078940A (ko) * | 2011-01-03 | 2012-07-11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의 맵 포켓 구조 |
-
2013
- 2013-11-13 KR KR2020130009340U patent/KR20047713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3941A (ko) * | 2010-02-11 | 2010-03-04 | 최세중 | 휴대폰 무선충전기 겸용 휴대폰 수납함 |
KR20120078940A (ko) * | 2011-01-03 | 2012-07-11 | 한일이화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의 맵 포켓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87273A (zh) * | 2016-07-11 | 2017-12-19 |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及车辆 |
CN107487273B (zh) * | 2016-07-11 | 2020-06-02 |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及车辆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22354B2 (en) |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1443007B1 (ko)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 |
US8816636B2 (en) |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 |
KR200477762Y1 (ko) |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 |
JP6056651B2 (ja) | 携帯端末アダプタ | |
KR200474200Y1 (ko)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 |
US20050151422A1 (en) |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in a vehicle | |
KR101209950B1 (ko) |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 |
US7672701B2 (en) | Telephone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lephone | |
KR20080010631A (ko)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
KR101483149B1 (ko) |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 |
KR102045078B1 (ko) |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 |
GB2403942A (en) | Device for recharging a mobile telephone in a vehicle or like public place | |
KR20150063821A (ko) |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 |
KR20160042657A (ko) |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 |
KR20140146854A (ko) |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 |
KR20150033305A (ko) |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시스템 | |
JP2016107686A (ja) | アームレスト | |
KR101858179B1 (ko) | 차량용 무선충전기 | |
KR200477138Y1 (ko) |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 |
CN205565826U (zh) | 一种磁吸定位蓝牙耳机一体车充 | |
KR101693986B1 (ko) | 자동차의 휴대기기 수납형 무선충전장치 | |
US20030032461A1 (en) | Earpiec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 |
KR200477035Y1 (ko) |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 |
US10608448B2 (en) | Power bank system for a mot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