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657A -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657A
KR20160042657A KR1020140136860A KR20140136860A KR20160042657A KR 20160042657 A KR20160042657 A KR 20160042657A KR 1020140136860 A KR1020140136860 A KR 1020140136860A KR 20140136860 A KR20140136860 A KR 20140136860A KR 20160042657 A KR20160042657 A KR 2016004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ver housing
panel
cab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690B1 (ko
Inventor
신정은
김승만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90B1/ko
Priority to CN201510474652.3A priority patent/CN105501133B/zh
Priority to PCT/KR2015/010440 priority patent/WO2016056792A1/ko
Publication of KR2016004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하우징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부와 연동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무빙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은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무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Cradle Assembly available to connect with Portable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스마트 시스템을 이동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연동시켜 차량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동 단말기의 거치 및 수납이 용이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멀티 기능이 자동차의 영역으로도 영향을 미쳐, 자동차의 고유 기능인 주행 기능을 넘어서서, 승객(운전자 포함)들에게 보다 편안하게 안전 주행주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다양한 기능 동작부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크래들 어셈블리를 구비하여야 하는 바, 기존 네비게이션 장치나 블랙박스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이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 대쉬보드 패널 주변에 설치되어 차실 전방부가 혼잡하여 안전 주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다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착 동작이 용이함은 물론, 차실 전방부의 미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는,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하우징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부와 연동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무빙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은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무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는, 무선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와 함께 수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부는, 전단부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수용 공간을 점진적으로 개방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폐쇄 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 시 수직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단부가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내부면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밀착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지지패널에 대하여 상하 무빙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상기 지지패널의 배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소정의 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상단 좌우 양단에는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내부면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단 연결 로드가 상기 지지패널의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부에는 상기 상단 연결 로드가 삽입되는 한 쌍의 궤도 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궤도 링은, 상기 지지패널의 하방 무빙 시 상기 상단 연결 로드가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이동되되, 상기 커버 하우징부가 회동 동작의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한 곡면 궤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 좌우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하단 연결 로드가 상기 지지패널의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단 연결 로드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무빙에 따라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의 무빙이 가이드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는 동일 원주를 가지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상사점까지 무빙된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을 중력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하단 연결 로드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는 스토핑 블록과, 상기 스토핑 블록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핑 블록을 상기 무빙 경로에서 이탈시키는 릴리즈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에 소정의 탄성체가 개재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개방 방향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도록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가스 쇼바로 이루어진 업소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된 제1홀더부가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 배치된 제2홀더부에 의하여 정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제1홀더부 및 제2홀더부는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 군 중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나머지 자성체 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을 가진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 및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충전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핀 타입 단자에 의하여 유선 충전되도록 적어도 3 이상의 핀 타입 단자를 가진 멀티 케이블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는, 상기 멀티 케이블부가 배치되도록 함몰되게 형성된 케이블 수용홈과, 상기 멀티 케이블부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함몰되게 형성된 케이블 인출홈이 구비되고, 상기 멀티 케이블부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블 수용홈 및 상기 케이블 인출홈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풀리고, 상기 케이블을 놓으면 자동으로 감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대쉬보드 패널 내부의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이 필요할 때에는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은닉되어 있다가 외부로 노출되고,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의 연동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대쉬보드 내부로 은닉됨으로써 차실 전방부의 미관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대쉬보드 패널 내부로 은닉될 때 이동 단말기와 함께 수납 가능하므로 이동 단말기 전용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를 장착 및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유선 충전 시에도 전력 공급 와이어의 정리가 간명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팝업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폐쇄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참조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팝업 시 및 폐쇄 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구성 중 락킹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구성 중 커버 하우징부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가이드부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간 정위치 홀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1의 구성 중 멀티 케이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차량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간 전원 연결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2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3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4는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팝업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폐쇄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참조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팝업 시 및 폐쇄 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1)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 공간(10)을 개폐하는 커버 하우징부(110)와, 커버 하우징부(110)와 연동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수용 공간(10)으로 수용되도록 무빙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와, 수용 공간(10)에 은닉되도록 배치되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쉬보드 패널(1)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운전석 및 조수석(미도시)의 전방과 차량의 전방 윈드쉴드글라스(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부재로써,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의 설치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하우징부(110)는, 평상시에는 대쉬보드 패널(1) 외관 일부를 구성하면서 은닉되어 있다가 회동되는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1)로부터 팝업 모드로 무빙되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G)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커버 하우징부(110)는, 차체를 기준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 방향을 '후단부'라 하고, 전방 윈드쉴드글라스 측을 '전단부'라고 정의할 때, 전단부인 힌지 연결부(111)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수용 공간(10)을 점진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대쉬보드 패널(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가 구비된 위치는, 대략 커버 하우징부(110)의 상하 회동 거리가 짧더라도 이동 단말기(G)가 충분히 부착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으로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G)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타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 이동통신망이나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통신 가능한 무선통신 기기라면 모두 해당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는, 상술한 무선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G)가 거치되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수용 공간(10)으로 수용될 때 이동 단말기(G)와 함께 대쉬보드 패널(1) 내부로 수용되어 커버 하우징부(110)에 의하여 은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수용 공간(10)의 폐쇄 시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수용 공간(10) 내부에 수용되고, 수용 공간(10)의 개방 시에는 수직되게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G)가 거치되면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들이 이동 단말기(G)의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빛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무빙된다.
특히,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수용 공간(10)에 수용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상향 경상지게 수용됨으로써 협소한 대쉬보드 패널(1)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수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G)의 부착 및 거치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이동 단말기(G)의 배면이 밀착되는 지지패널(121)과, 지지패널(12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이동 단말기(G)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122)과, 지지패널(121)의 상단부에 상하 무빙되게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G)의 상단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닝 패널(123)은, 크기가 다양한 이동 단말기(G)가 안착홈(122)에 간섭 없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하여 먼저 상측으로 무빙되어 있다가, 안착홈(122)에 이동 단말기(G)가 안착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패널(121)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안착홈(122)이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2)은 지지패널(121)의 하단부에 전면부 상측으로 개구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테이닝 패널(123)은, 지지패널(121)의 배면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무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착홈(122)은 다양한 두께의 이동 단말기(G)가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미도시 되었으나 전후 방향으로의 홈 크기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리테이닝 패널(123)은,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21)의 배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4)와, 결합부(124)의 상단에서 이동 단말기(G)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5)와, 절곡부(125)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구성 중 락킹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결합부(124)는, 지지패널(121)에 대한 리테이닝 패널(123)의 결합을 매개하는 부분으로써,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결합부(124)의 전면부에 가이드 패널(129)이 전면에 대하여 지지패널(12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지지패널(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리테이닝 패널(12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패널(121)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패널(129)이 상하 무빙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홀(132a)이 상하로 개구되게 구비되고, 삽입 홀(132a)로 삽입된 가이드 패널(129)은,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21)의 내부 공간 중 배면부 측 내벽면을 접하면서 리테이닝 패널(12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 패널(129)의 하단부에는,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가이드 로드(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31)는 지지패널(12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되, 외주에 탄성체(135)가 개재되어 리테이닝 패널(123)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여기서의 탄성체(135)는, 가이드 로드(131)의 외주에 개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테이닝 패널(123)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탄성체(135)의 채용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탄성체(135)에 의한 리테이닝 패널(123)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129 내지 13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는,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패널(123)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130)와, 랙 기어(130)를 구성하는 랙 기어치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133a)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133)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스토핑 피니언(133)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토핑 피니언(133)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 피니언 기어치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한다)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134)와, 회동 걸림부(134)의 기어 걸림단(134a)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랙 기어(130)는, 가이드 패널(129)의 전면부에 복수개의 랙 기어치가 상하로 길게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랙 기어치는 가이드 패널(129)의 전면부에 홈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 패널(129)의 전면부에 돌출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스토핑 피니언(133)은,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핑 피니언(133)을 이루는 피니언 기어치(133a)는, 회동 걸림부(134)의 기어 걸림단(134c)이 랙 기어(130)가 탄성 무빙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핑 피니언(133)의 피니언 기어치(133a)가 회전되는 방향으로는 걸림되고, 그 반대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는 걸림되기는 하나 소정의 슬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스토핑 피니언(133)의 피니언 기어치(133a)가 회동 걸림부(134)에 일방향으로 걸림되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동 걸림부(134)에 의하여 한쪽 방향의 걸림이 용이한 구성이라면 여하한 형상의 채용도 가능하다.
회동 걸림부(134)는, 가운데의 회전 중심점(134a)을 기준으로 상단부인 기어 걸림단(134c)가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134b)는 미도시의 가이드부(140)에 의하여 회동 안내될 수 있다. 회전 중심점(134a)에는 미도시의 탄성체에 의하여 항상 피니언 기어치(133a)와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안착홈(122)에 안착시키기 전에 리테이닝 패널(123)을 상측으로 무빙시키기 위하여 지지패널(121)의 일측에 구비된 언락 버튼부(136)를 푸쉬 작동시키면,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134)가 스토핑 피니언(133)의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탄성체(135)의 리테이닝 패널(123)에 대한 상측 방향으로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리테이닝 패널(123)이 상측 방향으로 자동 이동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G)가 안착홈(122)과 리테이닝 패널(123)의 걸림부(12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진다.
안착홈(122)과 걸림부(126) 사이가 벌어지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안착홈(122)에 삽입 거치한 후, 리테이닝 패널(123)을 하방으로 밀어서 이동 단말기(G)의 상하 크기에 맞춤되어 걸림부(126)가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134)의 기어 걸림단(134c)은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에 대하여 슬립 현상이 일어나는 바, 사용자는 적당한 조작감을 느끼면서 자신의 이동 단말기(G)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언락 버튼부(136)는,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작동되면 회동 걸림부(134)를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로부터 이격시키고, 사용자의 푸쉬 작동력이 해제되면 회동 걸림부(13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동 걸림부(1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소정의 탄성체(135)에 의하여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에 대해 상시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바, 언락 버튼부(136)는 일시적으로 탄성체(133a)의 탄성지지력을 해제시키거나 탄성지지력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걸림부(134)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구성 중 커버 하우징부(11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커버 하우징부(110)와 연동하여 무빙된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상단부가 커버 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패널(123)의 구성 중 결합부(124)의 상단 좌우 양단에는 커버 하우징부(110)의 내부면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단 연결 로드(127a)가 지지패널(121)의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연결 로드(127a)는 결합부(124)의 상단 좌우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커버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27a)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궤도 링(1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27a)가 한 쌍의 궤도 링(113)에 각각 삽입되는 동작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상단부가 커버 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궤도 링(113)은, 지지패널(121)의 하방 무빙 시 상단 연결 로드(127a)가 커버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이동되되, 커버 하우징부(110)가 회동 동작의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111)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한 곡면 궤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상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 대하여 개방 시에는 상하 수직되게 배치되어 있다가 커버 하우징부(110)의 폐쇄 시에는 수용 공간(10) 내부에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게 수용된다. 이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커버 하우징부(110)에 대하여 연동되는데, 커버 하우징부(110)는 전단부인 힌지 연결부(111)를 기준으로 후단부의 어느 일점은 반드시 동일한 반경으로 회동되게 되고, 특히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상단 연결 로드(127a) 부분은 상술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무빙 상태와 연동되어 커버 하우징부(110)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을 것을 그 전제 조건으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한 쌍의 궤도 링(113)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무빙 상태와 연동하여 커버 하우징부(110)가 보다 자연스럽게 회동되는 곡면 궤도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전제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27a)는, 커버 하우징부(110)의 개방 동작 시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궤도링의 내부 중 후단부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커버 하우징부(110)의 폐쇄 동작 시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궤도 링(113)의 내부 중 전단부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한 쌍의 궤도 링(113)의 내부에서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27a)는, 커버 하우징부(11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지지패널(121)의 전면부에 밀착되도록 거치하고,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따라 리테이닝 패널(123)을 하방으로 무빙시켜 걸림부(126)가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걸림시키도록 조절하면, 커버 하우징부(110)도 연동하여 하방으로 회동되므로, 이동 단말기(G)의 상이한 크기에 관계 없이 어떠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G)가 설치된 경우에도 커버 하우징부(110)와 설치된 이동 단말기(G)의 상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 하우징부(110)와 설치된 이동 단말기(G)의 상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하여 부착된 이동 단말기(G)의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된 제품의 미관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와 가이드부(140)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가이드부(140)와 연결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무빙 시 가이드부(140)의 안내를 받게 된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특히 그 하단부가 가이드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 및 도 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구성 중 지지패널(121)의 하단부 좌우 양단에는 가이드부(140)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하단 연결 로드(127b)가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연결 로드(127b)는 지지패널(121)의 상단 좌우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단 연결 로드(127b)는 각각이 인접하게 구비된 가이드부(14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하단부를 가이드부(140)에 연결시킨다.
한편, 가이드부(140)는, 도 8a 및 도 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무빙에 따라 지지패널(121)의 하단의 무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롯(1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 슬롯(141)은, 커버 하우징부(110)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111)를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가이드 슬롯(141)이, 커버 하우징부(110)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111)를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를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술한 한 쌍의 궤도 링(113)의 전후 방향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 하우징부(11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상단부가 한 쌍의 궤도 링(113) 내에서 간섭이 일어나 무빙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도,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하단부가 커버 하우징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는 바, 별도의 간섭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무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 슬롯(141)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가이드부(140)는, 가이드 슬롯(141)의 상사점까지 무빙된 지지패널(121)의 하단을 중력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퍼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143, 147, 150, 15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는, 도 8a 및 도 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21) 하단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하단 연결 로드(127b)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는, 지지패널(121)의 무빙을 간섭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오로지 한 쌍의 하단 연결 로드(127b)의 무빙이 간섭되는 위치로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는, 하단 연결 로드(127b)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는 스토핑 블록(143)과, 스토핑 블록(143)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하여 스토핑 블록(143)을 무빙 경로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5)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스토핑 블록(143)을 무빙 경로에서 이탈시키는 릴리즈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5)는 수용 공간(10) 내측에 구비된 지지판(147)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핑 블록(143)은, 커버 하우징부(110)가 개방되면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를 가이드부(140)의 상사점으로 무빙시킬 때 무빙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가 하단 연결 로드(127b)와 접촉되는 동작으로 탄성부재(145)의 탄성 지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하단 연결 로드(127b)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단 연결 로드(127b)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가이드 슬롯(141)의 상사점으로 무빙 시 라운드진 스토핑 블록(143) 부분과 가이드 슬롯(141)의 일측 내벽면 사이로 들어가면서 스토핑 블록(143)을 탄성 지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 무빙 경로부터 강제 이탈시킨 후 상사점에 도달하고, 상사점에 하단 연결 로드(127b)가 도달되면, 하단 연결 로드(127b)와의 간섭이 해제된 스토핑 블록(143)이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가이드 슬롯(141)의 무빙 경로로 원상 복원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를 중력 방향에 대하여 지지한다.
한편, 릴리즈 버튼부(150)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를 중력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핑 블록(143)을 무빙 경로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가이드 슬롯(141)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짐 무빙되고, 커버 하우징부(11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일종의 폐쇄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릴리즈 버튼부(150)와 스토핑 블록(143) 사이에는 릴리즈 버튼부(150)의 푸쉬 조작에 따라 스토핑 블록(143)이 무빙 경로에서 이탈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15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구조(151)는 기구적인 링크 구조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릴리즈 버튼부(150)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해 스토핑 블록(143)을 움직이는 솔레노이드 구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부(140)에 따른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가이드 모습을 살펴보면, 도 8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부(110)의 개방 시 지지패널(121)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연결 로드(127b)가 스토퍼부의 스토핑 블록(143)에 의하여 가이드 슬롯(141)의 상사점에 지지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부(150)을 푸쉬 조작하면 연결 구조에 의하여 도 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핑 블록(143)이 무빙 경로로부터 이탈되는 동작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가이드 슬롯(141)의 안내를 받아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커버 하우징부(110)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111)에는 미도시의 탄성부재(145)가 개재되고, 미도시의 탄성부재는 커버 하우징부(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미도시 되었으나, 커버 하우징부(110)의 개방 방향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업소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소버 부재는, 커버 하우징부(110)가 상술한 탄성부재(145)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될 때 커버 하우징부(110)의 개방 방향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동작으로 개방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업소버 부재는, 유압식으로 커버 하우징부(110)의 회동력을 완충시킬 수 있고, 나아가 가스 쇼바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쇼바는, 내부에 구비된 액체 상태의 유체와 기체 상태의 유체가 각각 압력에 저항하는 대항력에 따른 형상 변화를 이용하여 지지하고는 운동 물체의 각각의 힘을 완충시키는 기구인 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서는 일측이 커버 하우징부(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대쉬보드 패널(1)의 수용 공간(10) 측에 연결되어 커버 하우징부(110)의 개폐 시 발생하는 회동력을 완충시키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커버 하우징부(11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작동력을 초기 작동력으로서 커버 하우징부(11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작동력은 폐쇄된 상태의 커버 하우징부(110)를 푸쉬하였다가 놓는 동작일 수 있다. 커버 하우징부(110)는 사용자가 초기 작동력을 입력하기 위하여 푸쉬 동작으로 소정의 푸쉬력을 가하면 대쉬보드 패널(1)과의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쉬보드 패널(1)에 대한 커버 하우징부(110)의 잠금 상태의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업소버 부재는, 커버 하우징부(110)가 대쉬보드 패널(1)과의 잠금이 해제되어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111)에 개재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커버 하우징부(110)가 급격하게 회동될 때 커버 하우징부(110)가 완전히 개방되는 순간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점점 낮은 속도로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이동 단말기(G)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 간 정위치 홀더부(160,17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커버 하우징의 개폐 메커니즘에 의하여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팝업 모드로 무빙되어 노출되면,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장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의 주행 중 승객이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장착할 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정위치에 이동단말기(G)가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정위치 홀더부(160,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위치 홀더부(160,170)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의 배면에 구비된 제1홀더부(16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구비된 제2홀더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부(160) 및 제2홀더부(170)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으로 이루어지되, 부착되는 이동 단말기(G)가 좌우 양측에서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좌측에 1군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이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에 1군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의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부(160) 및 제2홀더부(1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61-165,171-175) 중 적어도 하나(163,173)는 나머지 자성체 군의 자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체, 즉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163,173)는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대한 이동 단말기(G)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1홀더부(160)에 구비된 강자성체(163) 및 제2홀더부(170)에 구비된 강자성체(173)는 나머지 자성체보다 강한 인력의 부착력을 생성하는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자성체가 영구 자석일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이동 단말기(G)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술한 자성체 군 중 상술한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을 다른 자성체 군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보다 더 강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접근시키면, 사용자의 실수로 정위치가 아닌 곳에 임의 부착되더라도 상술한 제1홀더부(160) 및 제2홀더부(1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에 의하여 정위치로 부착되도록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 주행 중 이동 단말기(G)의 연동 거치 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홀더부(160)는, 이동 단말기(G)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대한 장착 전용 홀더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도 1의 구성 중 멀티 케이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차량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 간 전원 연결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G)에 대응한 다양한 종류의 핀 타입 전원 연결선(W)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핀 타입 전원 연결선(W)은, 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단자부가 몇 개의 핀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시중의 적어도 3가지 핀 타입의 단자(128Ⅰ,128Ⅱ,128Ⅲ)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 케이블부(128)로 구비될 수 있다.
멀티 케이블부(128)는,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케이블 수용홈(128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는, 케이블 수용홈(128가)으로부터 케이블(W)이 기장착된 이동 단말기(G)와 간섭되지 않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케이블 인출홈(12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홈(128가)과 케이블 인출홈(128')은 동일한 깊이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홈(128가)에는, 제1핀 타입 케이블 감김부(128a), 제2핀 타입 케이블 감김부(128b) 및 제3핀 타입 케이블 감김부(128c)(이하, '복수개의 감김부'라 칭한다)가 각각의 핀 타입의 단자(128Ⅰ,128Ⅱ,128Ⅲ)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케이블 커버부(도면부호 미표기)가 각각의 단자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폐시키도록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감김부(128a-c)는, 사용자가 각 케이블(W)을 외부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인출되고,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케이블(W)이 감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개의 감김부(128a-c)로부터 인출된 각 케이블(W)은 케이블 수용홈(128가) 및 케이블 인출홈(128')을 따라 이동 단말기(G)의 배면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인출되어 이동 단말기(G)에 구비된 단자 홀(도면부호 미표기)에 삽입되어 이동 단말기(G)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감김부(128a-c)는, 케이블 커버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블 커버부를 회전시켜 해당 이동 단말기(G)의 단자 홀에 맞는 핀 타입 단자(128Ⅰ,128Ⅱ,128Ⅲ)가 구비된 감김부(128a-c)가 케이블 인출홈(128')에 인접되도록 배치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케이블(W)을 인출하여 이동 단말기(G)와 통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체에 구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커넥터(190A,190B)와 전원선(W)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측부에 구비된 전원 연결홀(18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연결 로드(127b)를 매개로 단자 결합되어 상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G)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경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함으로써 유선 충전이 아닌 무선 충전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G)를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이 채택되되, 표준 무선 충전 규약에 준하는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여하한 충전 방식의 채택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장착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고유의 이동 단말기(G)의 모드에서 차량 모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G)를 매개로 한 스마트 기능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경우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3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4는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동 단말기(G)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이동 단말기(G)의 일반 모드를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이동 단말기(G) 내의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맞도록 이동 단말기(G)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는 의미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차량 규제와 상관없이 다양한 콘텐츠들(응용 프로그램들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들을 실행한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내비게이션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차량 내비게이션 정보가 아닌 보행자 내비게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일 때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차량 정보와 서버의 개인 정보, 모바일 정보를 동기화하고, 그 동기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G)는 크래들 어셈블리(100)로부터 탈착되면 차량 모드를 일반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차량의 주행 기록 등의 정보를 기록(recoding)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었는지를 결정(판단)한다(S11). 예를 들면, 제어부는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연결되면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는 차량의 ECU 또는 차량의 ECU의 포트에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G)가 차량과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발생하고, 그 알림 신호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차량과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이동 단말기(G)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데이터(지도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예를 들면,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ECU로부터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한다(S12). 예를 들면, 제어부는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이동 단말기(G)와 차량의 ECU 간의 정보 교환을 허용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 서버에 미리 등록된 개인 정보(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인증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S13). 차량 정보는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차량의 현재 속도 정보, 차량의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 차량의 조향각도 정보,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검출한다(S14).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스케줄 응용 프로그램(Scheduler),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응용 프로그램(페이스 북, 카카오 톡, 트위터, 유튜브 등),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폰 북(Phone Book)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구성하고, 그 차량 모드를 표시부에 표시한다(S15).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서버 및/또는 사용자의 셀룰러 폰과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과,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과;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8-3)을 포함한다.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영화, 뮤직 비디오, 드라마 등)를 표시하는 제4 영역(8-4)과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5 영역(8-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이메일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이메일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을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스케줄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스케줄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이 선택되면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2 영역(8-2) 또는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의 모드를 차량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고 빠르게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함으로써, 개인화된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하고, 차량이 주행중일 때 차량 모드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출력받음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대쉬보드 패널 10: 수용 공간
100: 크래들 어셈블리 110: 커버 하우징부
120: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140: 가이드부
150: 릴리즈 버튼부 160,170: 정위치 홀더부

Claims (20)

  1.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하우징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부와 연동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무빙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은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무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는, 무선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와 함께 수용 가능한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부는,
    전단부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수용 공간을 점진적으로 개방시키는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폐쇄 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 시 수직되게 구비되는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단부가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내부면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크래들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밀착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지지패널에 대하여 상하 무빙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상기 지지패널의 배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소정의 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 좌우 양단에는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내부면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단 연결 로드가 상기 지지패널의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부에는 상기 상단 연결 로드가 삽입되는 한 쌍의 궤도 링이 형성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궤도 링은,
    상기 지지패널의 하방 무빙 시 상기 상단 연결 로드가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이동되되, 상기 커버 하우징부가 회동 동작의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한 곡면 궤도를 가지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 좌우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하단 연결 로드가 상기 지지패널의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단 연결 로드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무빙에 따라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의 무빙이 가이드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는 동일 원주를 가지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상사점까지 무빙된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을 중력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하단 연결 로드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는 스토핑 블록과;
    상기 스토핑 블록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핑 블록을 상기 무빙 경로에서 이탈시키는 릴리즈 버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중심점인 힌지 연결부에 소정의 탄성체가 개재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부의 개방 방향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도록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가스 쇼바로 이루어진 업소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된 제1홀더부가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 배치된 제2홀더부에 의하여 정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제1홀더부 및 제2홀더부는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 군 중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나머지 자성체 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을 가진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 및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충전 시키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핀 타입 단자에 의하여 유선 충전되도록 적어도 3 이상의 핀 타입 단자를 가진 멀티 케이블부가 구비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는, 상기 멀티 케이블부가 배치되도록 함몰되게 형성된 케이블 수용홈과, 상기 멀티 케이블부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함몰되게 형성된 케이블 인출홈이 구비되고,
    상기 멀티 케이블부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블 수용홈 및 상기 케이블 인출홈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풀리고, 상기 케이블을 놓으면 자동으로 감김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20140136860A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70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60A KR101708690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N201510474652.3A CN105501133B (zh) 2014-10-10 2015-08-05 车辆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PCT/KR2015/010440 WO2016056792A1 (ko) 2014-10-10 2015-10-02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60A KR101708690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57A true KR20160042657A (ko) 2016-04-20
KR101708690B1 KR101708690B1 (ko) 2017-02-21

Family

ID=5565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860A KR101708690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08690B1 (ko)
CN (1) CN105501133B (ko)
WO (1) WO20160567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237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7137B (zh) * 2016-08-30 2020-04-10 纬创资通(中山)有限公司 电子装置及托盘
CN107364403A (zh) * 2017-09-27 2017-11-21 镇江市海格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袖珍式汽车导航座
CN108045270B (zh) * 2017-12-11 2021-07-16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充电装置
CN109435862B (zh) * 2018-10-18 2022-02-18 深圳得到运通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汽车雷达导航辅助装置
CN110762346B (zh) * 2018-12-29 2020-10-2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夹持装置及车辆
US10843634B2 (en) 2019-03-25 2020-11-24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Operator console
CN110027484B (zh) * 2019-04-22 2020-04-07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电动手机支架,汽车仪表板及汽车
CN110654285B (zh) * 2019-10-16 2022-10-04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的组件
DE202022101376U1 (de) * 2022-03-15 2023-07-13 AL-KO Geräte GmbH Mobile Instrumentenvorrichtung für Aufsitzmäh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375A (ja) * 1998-05-25 1999-12-10 Nhk Spring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の支持装置
KR20140019665A (ko) * 2012-08-07 2014-02-17 강인식 휴대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95B1 (ko) * 2008-06-27 2010-03-04 강영숙 차량용 네비게이션 자동 틸팅 장치
KR100895585B1 (ko) * 2009-01-13 2009-04-29 강영숙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 수납 장치
KR20120028726A (ko) * 2010-09-15 2012-03-23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375A (ja) * 1998-05-25 1999-12-10 Nhk Spring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の支持装置
KR20140019665A (ko) * 2012-08-07 2014-02-17 강인식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237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01133A (zh) 2016-04-20
CN105501133B (zh) 2018-05-18
WO2016056792A1 (ko) 2016-04-14
KR101708690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90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685351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880483B1 (ko)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US10110049B2 (en) Cellular telephone charger
US9473607B2 (en)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EP2883751B1 (en) Hold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20160110148A1 (en) Motor vehicle infotainment system having a separate display unit
KR101209950B1 (ko)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WO2014020917A1 (ja) 無接点充電器及び自動車
GB2518523B (en) Retaining device for fasten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motor vehicle
US9902338B2 (en) Retaining apparatus for a mobile device
KR20140146854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US20130193706A1 (en) Overhead console with storage unit insert
EP2833501A1 (en) Vehicle-mounted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automobile
KR101502943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고정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센터 콘솔 조립체
KR101807155B1 (ko)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20140146853A (ko)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KR20180039354A (ko) 차량용 무선충전기
KR20130071606A (ko) 슬라이드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08173A (ko) 자동차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리모콘 수납구조
KR200484567Y1 (ko) 무선충전겸용 차량용 콘솔 박스
JP2021027613A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
KR20140123830A (ko)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6934A (ko) 차량용 휴대 기기 거치 장치
JP2011231532A (ja) 携帯情報端末機より個人認証情報を取得し、車両の盗難防止に役立て、携帯用情報端末機の機能と車両情報端末機の機能及び車両管理機能を合わせ持つ仕組みを提供す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