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351B1 -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351B1
KR101685351B1 KR1020140136862A KR20140136862A KR101685351B1 KR 101685351 B1 KR101685351 B1 KR 101685351B1 KR 1020140136862 A KR1020140136862 A KR 1020140136862A KR 20140136862 A KR20140136862 A KR 20140136862A KR 101685351 B1 KR101685351 B1 KR 10168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attachment
vehicle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659A (ko
Inventor
신정은
김승만
안성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51B1/ko
Priority to CN201510475201.1A priority patent/CN105501135B/zh
Priority to PCT/KR2015/010441 priority patent/WO2016056793A1/ko
Publication of KR2016004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쉬보드 패널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 중 일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1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은닉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상기 수용 공간 중 타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개방 및 폐쇄 회동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회동 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팝업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은닉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커버하는 커버 겸용 지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Cradle Assembly available to connect with Portable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스마트 시스템을 이동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연동시켜 차량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동 단말기의 거치 및 수납이 용이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멀티 기능이 자동차의 영역으로도 영향을 미쳐, 자동차의 고유 기능인 주행 기능을 넘어서서, 승객(운전자 포함)들에게 보다 편안하게 안전 주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다양한 기능 동작부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크래들 어셈블리를 구비하여야 하는 바, 기존 네비게이션 장치나 블랙박스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이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 대쉬보드 패널 주변에 설치되어 차실 전방부을 혼잡을 초래하고, 이로써 운전자의 안전 주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다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착 동작이 용이함은 물론, 차실 전방부의 미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는, 대쉬보드 패널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 중 일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1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은닉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상기 수용 공간 중 타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개방 및 폐쇄 회동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회동 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팝업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은닉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커버하는 커버 겸용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의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는 외주면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부에 매칭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외주면이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 상단 높이에 매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부에는 이동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기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은, 상기 제1힌지부를 기준으로 전단부가 전후 방향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팝업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에 은닉되는 회동이고,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의 상기 개방 회동 및 폐쇄 회동은, 상기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후단부가 전후 방향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거나 상기 수용 공간을 폐쇄시키는 회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는, 선단이 팝업 회동된 상태의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에 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가 팝업 회동되어 정지하고,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팝업 회동된 후 은닉 회동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부가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제1힌지부에 결합된 제1스탭 모터 및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의 제2힌지부에 결합된 제2스탭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팝업 회동 시, 상기 제2스탭 모터를 개방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스탭 모터를 팝업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다음 상기 제2스탭 모터를 폐쇄 회동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은닉 회동 시, 상기 제2스탭 모터를 개방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스탭 모터를 은닉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다음 상기 제2스탭 모터를 폐쇄 회동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부가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작동 온(ON) 시키는 작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힌지부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작동 버튼의 작동 온(ON)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힌지부에 일방향 회전력을 인가하되, 적어도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자력으로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자성체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수용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대응 물체와의 사이에 상기 자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지지패널의 상단부에 상하 무빙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소정의 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된 제1홀더부가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 배치된 제2홀더부에 의하여 정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제1홀더부 및 제2홀더부는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 군 중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나머지 자성체 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을 가진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 및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충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는, 전원 측과 연결시키는 전원측 단자와 이동단말기 측과 연결시키는 단말기측 단자 및 전원측 단자와 단말기측 단자를 연결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된 케이블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부는, 사용자가 상기 전원측 단자 또는 상기 단말기측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로 잡아당기면 상기 케이블이 풀리고, 잡아당긴 상기 전원측 단자 또는 상기 단말기측 단자를 놓으면 상기 케이블이 자동으로 감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대쉬보드 패널 내부의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이 필요할 때에는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은닉되어 있다가 외부로 노출되고,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의 연동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대쉬보드 내부로 은닉됨으로써 차실 전방부의 미관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대쉬보드 패널 내부로 은닉될 때 필요 시 이동 단말기와 함께 수납 가능하므로 이동 단말기 전용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를 장착 및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유선 충전 시에도 전력 공급 와이어의 정리가 간명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이동 단말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폐쇄 회동 모드 시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팝업 회동 모드 시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구성 중 락킹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도이며,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이동 단말기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간 정위치 홀더부 및 케이블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2는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이동 단말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폐쇄 회동 모드 시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팝업 회동 모드 시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 공간(10)과, 수용 공간(10) 중 일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1힌지부(127)을 기준으로 타단부가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되어 수용 공간(1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수용 공간(10)으로 은닉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와, 수용 공간(10) 중 타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2힌지부(111)을 기준으로 타단부가 개방 및 폐쇄 회동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회동 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팝업 회동 후에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배면을 지지하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은닉 회동 후에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을 커버하는 커버 겸용 지지부(110)을 포함한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G)를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대쉬보드 패널(1)로부터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외부로 출현하였다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탈거시킨 경우에는 대쉬보드 패널(1)이 구비된 차실 내부 전방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쉬보드 패널(1) 내부로 은닉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커버 겸용 지지부(110)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수용 공간(10) 내부에 은닉 회동되어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관찰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팝업 회동된 경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대신에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배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겸용 지지부(110)에 의하여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커버된다는 의미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부를 가리는 개념이 아니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제1힌지부(127)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에서 쉽게 관찰되지 않도록 가리되, 대쉬보드 패널(1)의 외관 재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져 평상시 대쉬보드 패널(1)의 외관과 매칭시킴으로써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팝업 회동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다이나믹한 느낌을 받도록 하는 감성적 개념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수용 공간(10)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충분히 수용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과, 커버 겸용 지지부(110)의 개방 회동 및 폐쇄 회동이 간섭받지 않을 정도의 형상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제1힌지부(127)는 수용 공간(10)의 후방부(여기서의 '후방부'라 함은 대쉬보드 패널(1)을 기준으로 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이 구비된 방향을 말한다)에 배치되고, 커버 겸용 지지부(110)의 제2힌지부(111)는 수용 공간(10)의 전방부(여기서의 '전방부'라 함은 대쉬보드 패널(1)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 윈드쉴드글라스(20)가 구비된 방향을 말한다)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 시에는 후단부에 해당하는 제1힌지부(127)를 기준으로 전단부가 상하로 회동되는 것이고, 커버 겸용 지지부(110)는, 개방 회동 및 폐쇄 회동 시에는 전단부에 해당하는 제2힌지부(111)를 기준으로 후단부가 상하로 회동되는 것이다.
제1힌지부(127)는, 외주면 일부가 수용 공간(10)의 후방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부에 매칭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힌지부(111)는, 외주면이 수용 공간(10)의 전방부 상단 높이에 매칭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힌지부(127)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회동 중심점이 되는 바,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되, 수용 공간(10)의 후방부 내측면은 제1힌지부(127)의 외주면에 매칭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제1힌지부(127)가 라운드진 수용 공간(10)의 후방부 내측면에 매칭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 시 별도의 가이드 부재 없이 자연스럽게 회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후술하겠지만, 제1힌지부(127)에는 차량 내부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하여 부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22)이 일체로 가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부(111)는, 그 외주면이 수용 공간(10)의 전방부 상단, 즉, 대쉬보드 패널(1)의 외관면의 높이 매칭되게 결합됨으로써 커버 겸용 지지부(110)의 폐쇄 회동 시 대쉬보드 패널(1)과 더욱 일체감을 가지도록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겸용 지지부(110)는, 폐쇄 회동 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배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적어도 회동되는 선단이 팝업 회동된 상태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배면에 접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5d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커버 겸용 지지부(110)가 개방 회동된 후 팝업 회동되어 정지하고, 커버 겸용 지지부(110)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팝업 회동된 후 폐쇄 회동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각각이 회동 작동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 및 커버 겸용 지지부(110)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부가하는 구동부(M1,M2) 및 구동부(M1,M2)를 작동 온(ON)시키는 작동 버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M1,M2)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제1힌지부(127)에 결합된 제1스탭 모터(M1) 및 커버 겸용 지지부(110)의 제2힌지부(111)에 결합된 제2스탭 모터(M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M1,M2)가 반드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스탭 모터로 구비될 필요는 없다. 구동부(M1,M2)가 스탭 모터로 구비될 경우에는 각각의 스탭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의 배선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고, 정확한 구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므로, 구동부(M1,M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힌지부(127) 및 제2힌지부(111)에 각각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동 지지하면서도 그 탄성력이 가변되거나 조절될 수 있는 탄성체가 개재되고, 각 탄성체의 탄성력을 가변시키거나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 및 커버 겸용 지지부(110)의 회동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탄성체는, 작동 버튼(150)의 작동 온(ON) 동작에 의하여 제1힌지부(127)에 일방향 회전력을 인가하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원활한 팝업 회동을 위하여 적어도 커버 겸용 지지부(110)를 개방 회동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정도로 가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탄성체는, 개방 회동된 커버 겸용 지지부(110)를 팝업 회동된 상태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역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여 폐쇄 회동시키도록 탄성력을 가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탄성체의 구체적인 탄성력의 가변 및 조절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의 제공 방향 및 탄성력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동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M1,M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탭 모터(M1) 및 제2스탭 모터(M2)로 구비된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작동 버튼(150)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후방에 해당하는 대쉬보드 패널(1)에 푸쉬 타입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M1,M2)가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탭 모터(M1) 및 제2스탭 모터(M2)로 구비된 것으로 전제할 경우, 작동 버튼(150)은 제1스탭 모터(M1) 및 제2스탭 모터(M2)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푸쉬 타입 스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동부(M1,M2)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은닉 회동 시, 커버 겸용 지지부(110)의 회동 중심점에 해당하는 제2힌지부(111)에 연결된 제2스탭 모터(M2)를 개방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후,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회동 중심점에 해당하는 제1힌지부(127)에 연결된 제1스탭 모터(M1)를 은닉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다음, 다시 제2스탭 모터(M2)를 폐쇄 회동 모드로 동작시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를 커버 겸용 지지부(110)에 의하여 커버하도록 구동된다.
반대로, 구동부(M1,M2)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팝업 회동 시, 제2스탭 모터(M2)를 개방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후, 제1스탭 모터(M1)를 팝업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다음, 제2스탭 모터(M2)를 폐쇄 회동 모드로 동작시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배면을 커버 겸용 지지부(110)가 지지하도록 구동된다.
한편, 커버 겸용 지지부(110)에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수용 공간(10) 내부에 수용되어 은닉되어 있는 경우,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차체의 진동에 의하여 흔들려 외관미가 저하되지 않도록, 고정 자성체(19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자성체(190)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 및 수용 공간(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대응 물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자력(바람직하게는 상호 끌어당기는 힘인 인력)을 생성함으로써 차체 진동에 따른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자성체(190)와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대응 물체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수용 공간(10) 중 임의의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전방 윈드쉴드글라스(20)가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협소한 공간이라도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 및 커버 겸용 지지부(110)의 각 회동 동작을 간섭하지 않는 한도에서는 배치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수용 공간(10)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만이 온전하게 수용되면 족하는 공간만이 요구되는 바, 대쉬보드 패널(1)의 어느 부위에라도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대한 이동 단말기(G)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팝업 회동 된 상태에서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G)를 차량 내부의 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를 팝업 회동시킨 다음, 사용자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일측에 구비된 언락 버튼부(136)를 눌러 후술하는 리테이닝 패널(123)을 무빙시켜 장착될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맞춤시키고, 도 6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를 이동시켜 안착홈(122)에 안착시킨 다음, 도 6의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패널(123)을 무빙시켜 안착홈(122)에 안착된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도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의 배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121)과, 지지패널(12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이동 단말기(G)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122)과, 지지패널(121)의 상단부에 상하 무빙되게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G)의 상단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G)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타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 이동통신망이나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통신 가능한 무선통신 기기라면 모두 해당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G)는 각 제조사마다 그 크기 및 두께가 상이한 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G)가 범용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구성을 채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닝 패널(123)은, 크기가 다양한 이동 단말기(G)가 안착홈(122)에 간섭 없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하여 먼저 상측으로 무빙되어 있다가, 안착홈(122)에 이동 단말기(G)가 안착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지지패널(121)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안착홈(122)가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2)는 지지패널(121)의 하단부에 전면부 상측으로 개구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테이닝 패널(123)은, 지지패널(121)의 배면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무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착홈(122)는 다양한 두께의 이동 단말기(G)가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미도시 되었으나 전후 방향으로의 홈 크기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리테이닝 패널(123)은,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21)의 배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4)와, 결합부(124)의 상단에서 이동 단말기(G)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5)와, 절곡부(125)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4)는, 지지패널(121)에 대한 리테이닝 패널(123)의 결합을 매개하는 부분으로써,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결합부(124)의 전면부에 가이드 패널(129)이 전면에 대하여 지지패널(12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지지패널(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리테이닝 패널(12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패널(121)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패널(129)이 상하 무빙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홀(미도시)이 상하로 개구되게 구비되고, 삽입 홀로 삽입된 가이드 패널(129)은,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21)의 내부 공간 중 배면부 측 내벽면을 접하면서 리테이닝 패널(12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 패널(129)의 하단부에는,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가이드 로드(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31)는 지지패널(12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되, 외주에 탄성체(135)가 개재되어 리테이닝 패널(123)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여기서의 탄성체(135)는, 가이드 로드(131)의 외주에 개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테이닝 패널(123)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탄성체(135)의 채용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는, 탄성체(135)에 의한 리테이닝 패널(123)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129 내지 13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는,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패널(123)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130)와, 랙 기어(130)를 구성하는 랙 기어치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133a)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133)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스토핑 피니언(133)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토핑 피니언(133)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 피니언 기어치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한다)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134)와, 회동 걸림부(134)의 기어 걸림단(134a)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랙 기어(130)는, 가이드 패널(129)의 전면부에 복수개의 랙 기어치가 상하로 길게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랙 기어치는 가이드 패널(129)의 전면부에 홈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 패널(129)의 전면부에 돌출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스토핑 피니언(133)은, 도 7a 및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핑 피니언(133)을 이루는 피니언 기어치(133a)는, 회동 걸림부(134)의 기어 걸림단(134c)이 랙 기어(130)가 탄성 무빙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핑 피니언(133)의 피니언 기어치(133a)가 회전되는 방향으로는 걸림되고, 그 반대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는 걸림되기는 하나 소정의 슬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스토핑 피니언(133)의 피니언 기어치(133a)가 회동 걸림부(134)에 일방향으로 걸림되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동 걸림부(134)에 의하여 한쪽 방향의 걸림이 용이한 구성이라면 여하한 형상의 채용도 가능하다.
회동 걸림부(134)는, 가운데의 회전 중심점(134a)을 기준으로 상단부인 기어 걸림단(134c)가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134b)는 미도시의 가이드부(140)에 의하여 회동 안내될 수 있다. 회전 중심점(134a)에는 미도시의 탄성체에 의하여 항상 피니언 기어치(133a)와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안착홈(122)에 안착시키기 전에 리테이닝 패널(123)을 상측으로 무빙시키기 위하여 지지패널(121)의 일측에 구비된 언락 버튼부(136)를 푸쉬 작동시키면, 도 6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134)가 스토핑 피니언(133)의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탄성체(135)의 리테이닝 패널(123)에 대한 상측 방향으로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리테이닝 패널(123)이 상측 방향으로 자동 이동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G)가 안착홈(122)와 리테이닝 패널(123)의 걸림부(12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진다.
안착홈(122)와 걸림부(126) 사이가 벌어지면, 도 6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안착홈(122)에 삽입 거치한 후, 도 6의 (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패널(123)을 하방으로 밀어서 이동 단말기(G)의 상하 크기에 맞춤되어 걸림부(126)가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회동 걸림부(134)의 기어 걸림단(134c)은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에 대하여 슬립 현상이 일어나는 바, 사용자는 적당한 조작감을 느끼면서 자신의 이동 단말기(G)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언락 버튼부(136)는,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작동되면 회동 걸림부(134)를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로부터 이격시키고, 사용자의 푸쉬 작동력이 해제되면 회동 걸림부(13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동 걸림부(1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소정의 탄성체(135)에 의하여 원웨이 걸림 기어치(133a)에 대해 상시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바, 언락 버튼부(136)는 일시적으로 탄성체(133a)의 탄성지지력을 해제시키거나 탄성지지력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걸림부(134)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이동 단말기(G)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 간 정위치 홀더부 및 케이블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가 커버 겸용 지지부(110)와 함께 연동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폐 메커니즘에 의하여 팝업 회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장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의 주행 중 승객이 이동단말기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장착할 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정위치에 이동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정위치 홀더부(160,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위치 홀더부(160,17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의 배면에 구비된 제1홀더부(16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구비된 제2홀더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부(160) 및 제2홀더부(170)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으로 이루어지되, 부착되는 이동 단말기(G)가 좌우 양측에서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좌측에 1군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이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에 1군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의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부(160) 및 제2홀더부(1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61-165,171-175) 중 적어도 하나(163,173)는 나머지 자성체 군의 자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체, 즉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163,173)는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대한 이동 단말기(G)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1홀더부(160)에 구비된 강자성체(163) 및 제2홀더부(170)에 구비된 강자성체(173)는 나머지 자성체보다 강한 인력의 부착력을 생성하는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자성체가 영구 자석일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은 이동 단말기(G)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술한 자성체 군 중 상술한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을 다른 자성체 군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보다 더 강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 접근시키면, 사용자의 실수로 정위치가 아닌 곳에 임의 부착되더라도 상술한 제1홀더부(160) 및 제2홀더부(1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61-165,171-175)에 의하여 정위치로 부착되도록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 주행 중 이동 단말기(G)의 연동 거치 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홀더부(160)는, 이동 단말기(G)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대한 장착 전용 홀더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에는, 전원 측과 연결시키는 전원측 단자(128a')와 이동단말기 측과 연결시키는 단말기측 단자(128a") 및 전원측 단자(128a')와 단말기측 단자(128a")를 연결시키는 케이블(W)로 구성된 케이블부(128)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부(128)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전면 중 일측에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개구되되 대략 "T"자 형상으로 개구된 케이블 수용홈(128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부(128)는, 케이블 감김부(128b)의 외주에 케이블(W)이 감김되도록 구비되되, 케이블 감김부(128b)는 회전 중심(128c)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사용자가 전원측 단자(128a') 또는 단말기측 단자(128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로 잡아당기면 케이블(W)이 풀리고, 잡아당긴 전원측 단자(128a') 또는 단말기측 단자(128a")를 놓으면 케이블(W)이 자동으로 감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감김부(128b)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원측 단자(128a') 및 단말기측 단자(128a")와 연결시키는 케이블(W)을 동시에 감김시키거나 풀리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바, 둘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W)의 감김 및 풀림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전 유도 리브(128d)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유도 리브(128d)는 상술한 케이블(W)의 감김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하나의 케이블 감김부(128b)의 일방향 회전 시에는 두 케이블(W)이 전부 감김되고, 타방향 회전 시에는 두 케이블(W)이 전부 풀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케이블 수용홈(128가)은, 이동 단말기(G)의 유선 충전을 위하여 전원측 단자(128a') 및 단말기측 단자(128a")를 외부로 인출할 때, 이동 단말기(G)의 배면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G)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경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함으로써 유선 충전이 아닌 무선 충전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G)를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이 채택되되, 표준 무선 충전 규약에 준하는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여하한 충전 방식의 채택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의 전원과 이동단말기 어태치간 전원 연결을 위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의 측부에는 전원 연결 단자홀(18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 연결 단자홀(180)에는 미도시의 차체 전원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의 전원 단자(미도시)가 접속되어 통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제1스탭 모터(M1)의 모터 축을 통해서도 상시 전원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20)에 장착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고유의 이동 단말기(G)의 모드에서 차량 모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G)를 매개로 한 스마트 기능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경우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1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동 단말기(G)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이동 단말기(G)의 일반 모드를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이동 단말기(G) 내의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맞도록 이동 단말기(G)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는 의미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차량 규제와 상관없이 다양한 콘텐츠들(응용 프로그램들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들을 실행한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내비게이션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차량 내비게이션 정보가 아닌 보행자 내비게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일 때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차량 정보와 서버의 개인 정보, 모바일 정보를 동기화하고, 그 동기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G)는 크래들 어셈블리(100)로부터 탈착되면 차량 모드를 일반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차량의 주행 기록 등의 정보를 기록(recoding)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었는지를 결정(판단)한다(S11). 예를 들면, 제어부는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연결되면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는 차량의 ECU 또는 차량의 ECU의 포트에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G)가 차량과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발생하고, 그 알림 신호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차량과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이동 단말기(G)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데이터(지도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예를 들면,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ECU로부터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한다(S12). 예를 들면, 제어부는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이동 단말기(G)와 차량의 ECU 간의 정보 교환을 허용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 서버에 미리 등록된 개인 정보(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인증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S13). 차량 정보는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차량의 현재 속도 정보, 차량의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 차량의 조향각도 정보,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검출한다(S14).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스케줄 응용 프로그램(Scheduler),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응용 프로그램(페이스 북, 카카오 톡, 트위터, 유튜브 등),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폰 북(Phone Book)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구성하고, 그 차량 모드를 표시부에 표시한다(S15).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서버 및/또는 사용자의 셀룰러 폰과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과,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과;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8-3)을 포함한다.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영화, 뮤직 비디오, 드라마 등)를 표시하는 제4 영역(8-4)과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5 영역(8-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이메일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이메일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을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스케줄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스케줄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이 선택되면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2 영역(8-2) 또는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의 모드를 차량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고 빠르게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함으로써, 개인화된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하고, 차량이 주행중일 때 차량 모드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출력받음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대쉬보드 패널 10: 수용 공간
100: 크래들 어셈블리 110: 커버 겸용 지지부
120: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150: 릴리즈 버튼부
160,170: 정위치 홀더부 180: 전원 연결 단자홀
190: 고정 자성체

Claims (20)

  1. 대쉬보드 패널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 중 일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1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은닉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상기 수용 공간 중 타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개방 및 폐쇄 회동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회동 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팝업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은닉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커버하는 커버 겸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이동 단말기가 장착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며,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기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은, 상기 제1힌지부를 기준으로 전단부가 전후 방향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팝업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에 은닉되는 회동이고,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의 상기 개방 회동 및 폐쇄 회동은, 상기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후단부가 전후 방향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거나 상기 수용 공간을 폐쇄시키는 회동이며,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는, 선단이 팝업 회동된 상태의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에 접하는 길이로 형성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 대쉬보드 패널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 중 일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1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팝업 회동 및 은닉 회동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은닉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와;
    상기 수용 공간 중 타측에 일단부 회전 중심점을 갖는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타단부가 개방 및 폐쇄 회동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회동 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팝업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은닉 회동 후에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커버하는 커버 겸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이동 단말기가 장착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며,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자력으로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자성체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수용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대응 물체와의 사이에 상기 자력을 생성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의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외주면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면부에 매칭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외주면이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 상단 높이에 매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부에는 이동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가 팝업 회동되어 정지하고,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팝업 회동된 후 은닉 회동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배면을 지지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부가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제1힌지부에 결합된 제1스탭 모터 및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의 제2힌지부에 결합된 제2스탭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팝업 회동 시, 상기 제2스탭 모터를 개방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스탭 모터를 팝업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다음 상기 제2스탭 모터를 폐쇄 회동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은닉 회동 시, 상기 제2스탭 모터를 개방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후 상기 제1스탭 모터를 은닉 회동 모드로 동작시킨 다음 상기 제2스탭 모터를 폐쇄 회동 모드로 동작시키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부가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작동 온(ON) 시키는 작동 버튼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힌지부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체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작동 버튼의 작동 온(ON)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힌지부에 일방향 회전력을 인가하되, 적어도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자력으로 상기 커버 겸용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자성체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수용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대응 물체와의 사이에 상기 자력을 생성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지지패널의 상단부에 상하 무빙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소정의 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된 제1홀더부가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 배치된 제2홀더부에 의하여 정위치에 장착되되,
    상기 제1홀더부 및 제2홀더부는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 군 중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나머지 자성체 군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을 가진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 및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충전 시키는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에는, 전원 측과 연결시키는 전원측 단자와 이동단말기 측과 연결시키는 단말기측 단자 및 전원측 단자와 단말기측 단자를 연결시키는 케이블로 구성된 케이블부가 구비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는,
    사용자가 상기 전원측 단자 또는 상기 단말기측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로 잡아당기면 상기 케이블이 풀리고, 잡아당긴 상기 전원측 단자 또는 상기 단말기측 단자를 놓으면 상기 케이블이 자동으로 감김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20140136862A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68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62A KR101685351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N201510475201.1A CN105501135B (zh) 2014-10-10 2015-08-05 车辆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PCT/KR2015/010441 WO2016056793A1 (ko) 2014-10-10 2015-10-02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62A KR101685351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59A KR20160042659A (ko) 2016-04-20
KR101685351B1 true KR101685351B1 (ko) 2016-12-20

Family

ID=5565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862A KR101685351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85351B1 (ko)
CN (1) CN105501135B (ko)
WO (1) WO20160567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166A (zh) * 2019-07-22 2019-10-15 衢州东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导航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9608B (zh) * 2016-11-24 2019-11-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载显示屏及出风组件和车辆
CN108099803B (zh) * 2016-11-24 2020-02-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载显示屏及出风组件和车辆
CN108121135A (zh) * 2016-11-29 2018-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投影仪
CN108725332B (zh) * 2017-04-19 2023-06-02 福特环球技术公司 可安装在a柱上的设备保持器
CN107226035A (zh) * 2017-07-10 2017-10-03 深圳市路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内移动平板设备的固定装置
KR101875778B1 (ko) * 2017-09-21 2018-07-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콘솔의 스마트폰 무선 충전 수납장치
KR102239310B1 (ko) 2018-07-20 2021-04-1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WO2020017933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20200010002A (ko)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구비한 컵 홀더
CN109515192B (zh) * 2018-10-31 2020-09-29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仪表板和汽车
CN110027484B (zh) * 2019-04-22 2020-04-07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电动手机支架,汽车仪表板及汽车
FR3100406B1 (fr) * 2019-08-30 2022-12-09 Psa Automobiles Sa Support de maintien d’un appareil multimedia nomade integre dans un vehicule et vehicule correspond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4136A1 (en) * 2006-02-23 2008-07-24 Leopold Kostal Gmbh & Co. Kg Device holder for fitting in a motor vehicle
US20110259789A1 (en) 2010-04-23 2011-10-27 Eagle Fa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008A (ja) * 2007-12-28 2009-07-23 Clarion Co Ltd スタンド装置
DE102008019867B4 (de) * 2008-04-16 2012-12-2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taufach
KR101239024B1 (ko) * 2010-10-12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20140019665A (ko) * 2012-08-07 2014-02-17 강인식 휴대폰 거치대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4136A1 (en) * 2006-02-23 2008-07-24 Leopold Kostal Gmbh & Co. Kg Device holder for fitting in a motor vehicle
US20110259789A1 (en) 2010-04-23 2011-10-27 Eagle Fa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166A (zh) * 2019-07-22 2019-10-15 衢州东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导航设备
CN110329166B (zh) * 2019-07-22 2021-07-23 湖北岩沛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导航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6793A1 (ko) 2016-04-14
KR20160042659A (ko) 2016-04-20
CN105501135B (zh) 2018-11-06
CN105501135A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51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708690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880483B1 (ko)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US10155482B2 (en) Combination cup and cellular phone holder assembly for effectively holding, mounting, and retaining a cellular phone within a cup holder of an automotive vehicle
US10521179B2 (en)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8827341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holding system
US20150145272A1 (en) Rear pass through power outlet
US20160110148A1 (en) Motor vehicle infotainment system having a separate display unit
GB2518523B (en) Retaining device for fasten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motor vehicle
US20130193706A1 (en) Overhead console with storage unit insert
CN105324910B (zh) 车辆用无线供电系统、车辆侧无线供电系统及便携机器
WO2014020917A1 (ja) 無接点充電器及び自動車
KR101807155B1 (ko)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JP5299537B1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JP3235852U (ja) 携帯制御装置を含む自動車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KR20090034637A (ko) 차량용 거치대
JP6513013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6759499B2 (ja) 車両における携帯情報端末の設置装置
KR20100103278A (ko) 카 오디오 장치
JP2021027613A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
JP3245179U (ja) 車両用ワイヤレス充電器
KR20050008173A (ko) 자동차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리모콘 수납구조
KR200484567Y1 (ko) 무선충전겸용 차량용 콘솔 박스
CN216355150U (zh) 一种车载伸缩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