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726A -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726A
KR20120028726A KR1020100090738A KR20100090738A KR20120028726A KR 20120028726 A KR20120028726 A KR 20120028726A KR 1020100090738 A KR1020100090738 A KR 1020100090738A KR 20100090738 A KR20100090738 A KR 20100090738A KR 20120028726 A KR20120028726 A KR 2012002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erminal
support plate
vehic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726A/ko
Publication of KR2012002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컴퓨터, 네비게이션, PMP, MP3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차량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가 거치되는 트레이가 박스형의 케이스에 서랍식으로 내장되어 인출되므로 단말기의 거치시에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판에 의해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함은 물론, 지지판에 부착된 겔패드에 의해 단말기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HOLDER FOR MULTIMEDIA TERMINAL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컴퓨터, 네비게이션, PMP, MP3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차량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과거에 휴대전화에 국한되었던 휴대용 단말기에서 벗어나, 휴대폰은 물론 DMB수신기, 네비게이션, PMP, MP3플레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있는바, 현대인들은 이러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을 휴대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즐기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이나, 테플릿컴퓨터와 같이 여러 기능을 통합하여 즐길 수 있는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개발되어 기존의 단말기를 대체하고 있다.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음악감상이나 DMB TV 시청, 무선인터넷, 네비게이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차량에 설치되는 거치장치를 통해 거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차량용 거치장치는 흡착판을 갖는 일직선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어 주로 차량의 앞유리나 대시보드에 수직상태로 흡착고정되는 방식이므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며, 흡착이 쉽게 분리되어 낙하함으로써 거치된 단말기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차량용 거치장치는 암수결합형의 레일식 플라스틱 고정구를 통해 단말기를 고정하는데, 이러한 고정구는 단말기의 외형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단말기를 고정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기를 교체할 경우 교체된 단말기에 대응하는 고정구가 마련된 거치장치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 기존의 차량용 거치장치는 단말기가 차량의 음향시스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음향시스템을 통해 전화를 통화할 수 있으나 무선으로는 통화할 수 없게 구성되었으므로 단말기 및 음향시스템을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유선 연결이 불편한 운전자의 경우 무선통화를 위해 이어폰 형태의 블루투스 세트를 귀에 착용하고 운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말기가 거치되는 서랍식 거치부재를 차량의 대시보드나 센터페시아에 설치하여 거치부재를 필요에 따라 인출한 후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되는 단말기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재가 마련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지지부재가 단말기에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단말기를 점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차량의 AV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이 마련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지지부재가 서랍식 거치부재의 인출에 의해 거치부재에서 직립하여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단말기를 지지부재의 표면에 접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출된 거치부재의 인출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전술한 거치부재를 원터치식으로 자동 인출할 수 있고, 더욱이 거치부재를 운전자 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인출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출되는 거치부재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거치되는 단말기를 별개의 접속없이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점착식으로 고정하는 지지부재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확장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덧붙여, 거치된 단말기 및 차량의 음향시스템이 통화에 필요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핸즈프리 방식으로 무선통화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대시보드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방구를 갖는 박스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에 내장되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단말기가 거치되는 트레이;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고, 케이스에 내장된 상기 트레이를 슬라이드시켜 인출시키는 이젝터; 및 상기 트레이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젝터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직립하여, 트레이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예컨대,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이 결합되고,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걸려서 거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을 편축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판을 회전시켜 직립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상기 커버와 측벽의 연결길이를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퍼는 예컨대, 상기 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제각기 형성된 링크; 및 상기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이동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측벽과 상기 커버의 연결길이를 신축하는 장공형태의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예컨대, 상기 트레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트레이가 상기 개방구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인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편축회전하는 절곡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절곡핀이 삽입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된 절곡핀을 일방향으로 통행시키며, 일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를 직선으로 인출시키는 통행트랙; 및 상기 통행트랙의 단부에 하트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핀이 통행하고, 통행하는 절곡핀이 편축회전하면서 걸림에 의해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를 로킹거나 언로킹하는 홈형태의 로킹트랙;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젝터는 예컨대, 상기 트레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트레이가 상기 개방구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인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편축회전하는 절곡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절곡핀이 삽입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된 절곡핀을 일방향으로 통행시키며, 호(弧)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를 경사지게 인출시키는 통행트랙; 및 상기 안내트랙의 단부에 하트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핀이 통행하고, 통행하는 절곡핀이 편축회전하면서 걸림에 의해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를 로킹거나 언로킹하는 홈형태의 로킹트랙;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통행트랙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레크기어; 및 상기 레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인출되는 트레이를 레크기어와 함께 가이드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어 지지판에 지지된 상기 단말기를 점착식으로 고정하는 겔패드; 및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어 단말기의 데이터신호를 차량에 설치된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포트;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지지판의 상단부에 기립되어 지지판을 확장시키며, 상기 단말기가 점착되는 겔패드를 갖는 확장판;을 더 포함할 필요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충전부재;를 더 포함할 필요도 있다.
상기 충전부재는 예컨대,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매트형태의 무선충전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이나 음향 데이터신호를 출력가능하게 변환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스피커로 출력되는 차량에 설치된 AV시스템의 음향을 제어하는 앰프; 상기 앰프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의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되어 음성데이터신호를 단말기나 앰프에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칩; 상기 블루투스 통신칩의 작동을 제어하는 핸즈프리버튼; 및 상기 핸즈프리버튼에 의해 작동하고, 음성을 음성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칩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필요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가 거치되는 트레이가 박스형의 케이스에 서랍식으로 내장되어 인출되므로 단말기의 거치시에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지지판이 트레이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기립하거나 트레이에 절첩되므로 지지판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지지판이 직립되므로 지지판에 의해 단말기를 세워진 상태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에 단말기가 걸리므로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지지판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기립되거나 절첩되므로 지지판을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 트레이가 텔레스코퍼에 의해 신축되므로 트레이 전방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텔레스코퍼가 링크 및 레일로 구성되므로 텔레스코퍼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가 이젝터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이젝터가 탄성부재와 절곡핀, 통행트랙 및 로킹트랙으로 구성될 경우, 통행트랙 및 로킹트랙에 의해 트레이를 원터치로 로킹 또는 언로킹할 수 있으며, 트레이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자동 인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통행트랙이 호형태로 형성될 경우 트레이가 운전자를 향해 방향전환되면서 인출되므로 단말기의 시야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조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이젝터에 레크기어 및 피니언기어가 마련될 경우 인출되는 트레이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서서히 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판에 겔패드가 마련될 경우 단말기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단말기를 지지판에 고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트레이에 단자포트를 마련할 경우 단말기의 데이터를 차량의 AV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단말기로 인가하여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지지판에 확장판이 절첩식으로 고정되므로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지지면적을 가변시켜서 지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확장판에 겔패드가 마련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매트형태의 무선충전기가 마련되므로, 별개의 접속없이 단말기의 거치만으로 단말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덧붙여, 핸즈프리버튼 및 마이크가 마련된 앰프에 블루투스 통신칩이 장착될 경우, 단말기 및 앰프가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차량의 AV시스템을 통해 핸즈프리 방식으로 통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젝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100)는 케이스(10) 및 트레이(20), 그리고 후술되는 이젝터 및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페시아(CF)에 빌트인 형태로 내장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접착테이프나 흡착판 또는 나사에 의해 대시보드(DB)상에 온보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트레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인출가능한 서랍식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멀티미디어 단말기(200)가 거치된다.
케이스(10)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차량에 설치된 AV시스템의 음향을 제어하는 앰프(70)에 인접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앰프(70)는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이나 음향 데이터신호를 출력가능하게 변환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는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방구(11)가 마련된다.
트레이(20)는 개방구(11)에 내장되어 서랍식으로 인출되고, 상부에 단말기(200)가 거치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트레이(20)는 하판(21), 측벽(23), 회전축(25), 탄성체(27) 및 커버(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1)과 하판(21)의 양측방 및 전방에 각각 마련되는 측벽(23) 및 커버(29)에 의해 서랍형태로 형성된다.
하판(21)은 개방구(11)에 삽입되어 후술되는 이젝터(30)에 의해 슬라이드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된다.
측벽(23)은 하판(21)의 양측에 형성되며, 일측에 걸림턱(23a)이 마련된다. 걸림턱(23a)은 단턱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200)의 단부가 걸려서 거치된다. 즉, 단말기(200)는 측벽(23)의 걸림턱(23a)에 의해 트레이(20)에 거치된다. 이러한 측벽(23)은 하판(21)과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팅이나 리벳팅에 의해 하판(21)에 부착될 수도 있다.
회전축(27) 및 탄성체(27)는 후술되는 지지판(40)을 고정시키고 직립시키는 부재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커버(29)는 측벽(23)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개방구(11)를 차폐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커버(29)는 측벽(23)과 동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측벽(23)과 분리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트레이(20)는 단말기(200)를 지지하는 지지판(40)이 결합된다. 지지판(40)은 트레이(20)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어 인출된 트레이(20)의 상부에 직립하며, 측벽(23)에 거치된 단말기(200)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지지판(40)은 측벽(23)에 마련되는 회전축(25)에 결합되어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즉, 전술한 회전축(25)은 지지판(40)이 편축회전되는 축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탄성체(27)는 회전축(25)에 결합된 지지판(40)을 회전시켜 직립시키는 부재이다. 탄성체(2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체(27)는 일단부가 하판(21)을 지지하고, 타단부가 지지판(40)을 지지하여 지지판(40)이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탄성체(27)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판(40)을 회전시켜 트레이(20)로부터 직립시킨다.
한편, 지지판(40)은 단말기(200)를 고정하는 기구물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물은 탄성력에 의해 단말기(200)의 양측을 파지하여 단말기(200)를 지지판(200)에 고정하는 통상적인 홀더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지지판(40)은 슬림화가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결합된 겔패드(50)에 의해 단말기(2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겔패드(50)는 점착력을 갖는 겔이 일면에 마련되어 지지판(40)에 지지된 단말기(200)의 후면을 점착시켜서 고정한다.
결국, 단말기(200)는 트레이(20)의 측벽(23)에 하부가 지지되고, 지지판(40)에 후면이 지지되면서 겔패드(50)에 의해 고정되어 거치된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차량의 운행에 의한 흔들림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또 한편, 트레이(20)는 내측에 단자포트(60)가 마련될 수 있다. 단자포트(60)는 트레이(20)에 거치되는 단말기(200)가 직접 또는 미도시된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단자포트(60)는 미도시된 케이블에 의해 전술한 앰프(70)나 미도시된 AV시스템에 연결된다. 즉, 단자포트(60)는 단말기(200)와 앰프(70) 및 AV시스템을 연결하고, 단말기(200)의 데이터신호를 앰프(70)나 AV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화면이나 음향을 AV시스템 및 앰프(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자포트(60)는 미도시된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단말기(200)로 인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자포트(60)는 단말기(200)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여 단말기(200)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지지판(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충전부재(80)는 트레이(20)에 거치된 단말기(20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단말기(200)를 충전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충전부재(80)는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공급된 전원을 무선으로 단말기에 제공하여 충전시키는 일명 파워매트로 불리우는 매트형태의 무선충전기로 구성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0)과 겔패드(50) 사이에 부착되어 겔패드(50)에 고정된 단말기를 충전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20)는 이젝터(20)에 의해 케이스(10)의 개방구(11)로부터 인출된다. 이러한 이젝터(30)는 탄성부재(31), 절곡핀(33), 통행트랙(35) 및 로킹트랙(3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31)는 트레이(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트레이(20)가 개방구(11)로부터 인출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태엽과 같은 나선형의 클럭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몸체(31a)가 트레이(20)의 후방에 고정되며, 선단(31b)이 개방구(11)의 전방에 고정핀과 같은 고정부재(31c)로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1)는 몸체(31a)와 선단(31b)이 서로 멀어지면서 탄성을 가지므로, 몸체(31a)가 후방에 고정된 트레이(20)가 개방구(11)의 인입되었을 때 최대의 탄성력을 가진다.
절곡핀(33)은 개방구(11)의 전방에 설치되어 편축회전한다. 이러한 절곡핀(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가 개방구(11)에 설치되는 핀축(33a)에 고정되어 핀축(33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통행트랙(35)은 트레이(20)의 하판(21)에 일직선의 형태로 마련되고, 홈형태로 형성되어 절곡핀(33)이 삽입된 상태로 일방향 즉, 전방 또는 후방으로 통행한다.
로킹트랙(37)은 통행트랙(35)에 연장형성되어 절곡핀(33)이 통행하며, 절곡핀(33)이 편축회전하면서 걸려서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요소이다. 로킹트랙(3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통행트랙(35)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로킹트랙(37)은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로(37a), 진출로(37b) 및 걸림홈(37c)으로 구성된다.
진입로(37a)는 절곡핀(33)이 통행트랙(35)으로부터 진입되는 통로이다. 진출로(37b)는 절곡핀(33)이 통행트랙(35)으로 다시 진출하는 통로이다. 걸림홈(37c)은 진입로(37a)를 통해 진입된 절곡핀(33)이 걸려서 고정되는 통로이다. 이러한 진입로(37a), 진출로(37b) 및 걸림홈(37c)은 후술되는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젝터(30)는 레크기어(38) 및 피니언기어(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크기어(38) 및 피니언기어(39)는 인출되는 트레이(20)를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레크기어(38)는 개방구(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통행트랙(35)의 형성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레크기어(38)는 통행트랙(35)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피니언기어(39)는 트레이(20)에 설치되어 레크기어(38)와 맞물려 회전하고, 트레이(20)와 함께 이동하면서 인출되는 트레이(20)를 가이드한다. 따라서, 트레이(20)는 케이스(10)에서 서서히 인출되거나 서서히 수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행트랙(35)은 호(弧)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는 인출되면서 호형태의 통행트랙(35)에 의해 호의 중심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면서 인출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는 호형태의 통행트랙(35)에 의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측으로 호형태의 경사(곡선)를 형성하면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20) 및 개방구(11)는 통행트랙(35)이 호형태로 형성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가 개방구(11)로부터 호형태로 인출될 수 있게 곡선형태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레크기어(38)는 호형태의 통행트랙(35)에 대응하도록, 통행트랙(35)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교합된 피니언기어(39)과 함께 트레이(20)를 가이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20)는 텔레스코퍼(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텔레스코퍼(22)는 인출된 트레이(20)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요소이며, 커버(29)의 양단부에 마련되고 돌출된 이동돌기(22b)를 갖는 링크(22a) 및 측벽(23)에 마련되어 링크(22a)의 이동돌기(22b)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장공형태의 레일(22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9)는 링크(22a)가 레일(22c)을 따라 이동하면서 길이가 신축된다.
지지판(40)은 일측에 확장판(45)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판(45)은 지지판(40)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판(40)의 상부로 기립하면서 지지판(40)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확장판(45)은 지지판(40)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축(45a)에 결합되어 연결축(45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지지판(40)의 상부로 기립한다.
확장판(45)은 지지판(40)에 지지되는 단말기를 고정하는 겔패드(50)가 부착될 수 있다. 확장판(45)은 지지판(40)보다 큰 형태의 단말기 예컨대, 테블릿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를 고정시켜 거치할 경우 사용된다. 따라서, 트레이(20)는 지지판(40) 및 확장판(45)에 의해 단말기를 크기에 맞게 거치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앰프(7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말기(200)의 핸즈프리 방식 무선통화가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가 설치된 케이스(10)의 하부에 인접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달리 약간 떨어져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앰프(70)는 핸즈프리 방식의 무선통화를 위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칩(90)이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블루투스 통신칩(90)은 샌디스크 형태로 구성되며, 앰프(70)와 단말기(200)를 무선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칩(90)은 무선통화에 필요한 음성데이터신호를 단말기(200)나 앰프(70)에 무선으로 전달한다. 즉, 앰프(70)와 단말기(200)는 전술한 단자포트(60)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도 블루투스 통신칩(90)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칩(90)은 착탈식으로 앰프(70)에 결합되므로, 업그레이드나 교환이 용이하다. 즉, 블루투스 통신칩(90)은 블루투스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경우 앰프(7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업그레이된 후 다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칩(90)은 매우 용이하게 업그레이드된다.
한편, 앰프(70)는 핸즈프리버튼(73) 및 마이크(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핸즈프리버튼(73)은 블루투스 통신칩(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그리고, 마이크(75)는 운전자의 음성을 음성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통신칩(90)을 통해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즉, 블루투스 통신칩(90)은 마이크(75)의 음성데이터신호를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단말기(200)의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칩(90), 핸즈프리버튼(73) 및 마이크(75)에 의해 무선으로 핸즈프리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즈프리버트(73)은 운전자에 의해 가압될 경우 블루투스 통신칩(90)을 작동시켜서 단말기(200)로 수신된 음성데이터신호를 앰프(70)로 전달한다. 즉, 블루투스 통신칩(90)은 음성데이터신호를 단말기(2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여 앰프(70)로 전달한다. 앰프(70)는 수신된 음성데이터신호를 출력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스피커를 통해 통화내용을 청취할 수 있다.
마이크(75)는 운전자의 음성을 음성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통신칩(9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칩(90)은 수신된 음성데이터신호를 무선으로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운전자의 통화내용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20)는 가압력에 의해 도면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개방구(11)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된다. 이때, 이젝터(30)의 절곡핀(33)은 통행트랙(35)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압력에 의해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트레이(20)에 의해 로킹트랙(37)의 진입로(37a)로 진입된 후,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37c)에 걸린다. 따라서, 트레이(20)는 수납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트레이(20)는 수납된 상태로 로킹된다.
탄성부재(31)는 트레이(20)가 수납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펼쳐진다. 따라서, 탄성부재(31)는 탄성력이 확보된다.
한편, 절곡핀(33)은 트레이(20)의 인출을 위하여 트레이(20)를 재 가압할 때, 핀축(33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걸림홈(37c)에서 이탈된 후 진출로(37b)로 진출되어 통행트랙(35)으로 다시 삽입된다. 이때, 탄성부재(31)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돌돌 말리면서 트레이(20)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트레이(20)는 로킹상태가 해제되면서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트레이(20)는 이젝터(30)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인출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지지판(40)은 도면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가 수납될 경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여 트레이(20)의 하판에 절첩되면서 트레이(20)와 함께 케이스(10)에 내장된다. 이때,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체(27)는 접히면서 탄성력을 확보한다.
이와 달리, 지지판(40)은 도면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가 인출될 경우, 탄성체(27)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20)의 상부로 기립한다. 이러한 지지판(40)은 기립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단말기(200)가 거치된다. 이때, 측벽(23)은 걸림턱(23a)을 통해 단말기의 하단을 지지하고, 겔패드(50)를 통해 단말기(200)의 후면에 일체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100)는, 단말기(200)가 거치되는 트레이(20)가 박스형의 케이스(10)에 서랍식으로 내장되어 인출되므로 단말기(200)의 거치시에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지지판(40)이 트레이(20)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기립하거나 트레이(20)에 절첩되므로 지지판(40)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지지판(40)이 직립되므로 지지판(40)에 의해 단말기(200)를 세워진 상태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의 측벽(23)에 형성된 걸림턱(23a)에 단말기(200)가 걸리므로 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지지판(40)이 탄성체(27)의 탄성력에 의해 기립되거나 절첩되므로 지지판(40)을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 트레이(20)가 텔레스코퍼에 의해 신축되므로 트레이(20) 전방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텔레스코퍼가 링크(22a) 및 레일(22c)로 구성되므로 텔레스코퍼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가 이젝터(30)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이젝터(30)가 탄성부재(31)와 절곡핀(33), 통행트랙(35) 및 로킹트랙(37)으로 구성될 경우, 통행트랙(35) 및 로킹트랙(37)에 의해 트레이(20)를 원터치로 로킹 또는 언로킹할 수 있으며, 트레이(20)를 탄성부재(31)의 탄성력으로 자동 인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통행트랙(35)이 호형태로 형성될 경우 트레이(20)가 운전자를 향해 방향전환되면서 인출되므로 단말기(200)의 시야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200)의 조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이젝터(30)에 레크기어(38) 및 피니언기어(39)가 마련될 경우 인출되는 트레이(2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서서히 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판(40)에 겔패드(50)가 마련될 경우 단말기(200)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단말기(200)를 지지판(40)에 고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트레이(20 ) 에 단자포트(06)를 마련할 경우 단말기(200)의 데이터를 차량의 AV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단말기(200)로 인가하여 단말기(200)를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지지판(40)에 확장판(45)이 절첩식으로 고정되므로 단말기(200)의 크기에 따라 지지면적을 가변시켜서 지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확장판(45)에 겔패드(50)가 마련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단말기(200)를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충전이 가능한 매트형태의 충전부재(80)가 마련되므로, 별개의 접속없이 단말기(200)의 거치만으로 단말기(20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덧붙여, 핸즈프리버튼(73) 및 마이크(75)가 마련된 앰프(70)에 블루투스 통신칩(90)이 장착될 경우, 단말기(200) 및 앰프(70)가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차량의 AV시스템을 통해 핸즈프리 방식으로 통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200 : 멀티미디어 단말기
10 : 케이스 20 : 트레이
21 : 하판 23 : 측벽
25 : 회전축 27 : 탄성체
29 : 커버 30 : 이젝터
31 : 탄성부재 33 : 절곡핀
35 : 통행트랙 37 : 로킹트랙
38 : 레크기어 39 : 피니언기어
40 : 지지판 45 : 확장판
50 : 겔패드 60 : 단자포트
70 : 앰프 73 : 핸즈프리버튼
75 : 마이크 80 : 충전부재
90 : 블루투스 통신칩

Claims (10)

  1. 차량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대시보드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방구를 갖는 박스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에 내장되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단말기가 거치되는 트레이;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고, 케이스에 내장된 상기 트레이를 슬라이드시켜 인출시키는 이젝터; 및
    상기 트레이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젝터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직립하여, 트레이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이 결합되고,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걸려서 거치되는 측벽;
    상기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을 편축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판을 회전시켜 직립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상기 커버와 측벽의 연결길이를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텔레스코퍼는,
    상기 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제각기 형성된 링크; 및
    상기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이동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측벽과 상기 커버의 연결길이를 신축하는 장공형태의 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트레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트레이가 상기 개방구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인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편축회전하는 절곡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절곡핀이 삽입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된 절곡핀을 일방향으로 통행시키며, 일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를 직선으로 인출시키는 통행트랙; 및
    상기 통행트랙의 단부에 하트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핀이 통행하고, 통행하는 절곡핀이 편축회전하면서 걸림에 의해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를 로킹거나 언로킹하는 홈형태의 로킹트랙;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트레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트레이가 상기 개방구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인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구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편축회전하는 절곡핀;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절곡핀이 삽입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된 절곡핀을 일방향으로 통행시키며, 호(弧)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를 경사지게 인출시키는 통행트랙; 및
    상기 안내트랙의 단부에 하트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핀이 통행하고, 통행하는 절곡핀이 편축회전하면서 걸림에 의해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를 로킹거나 언로킹하는 홈형태의 로킹트랙;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통행트랙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레크기어; 및
    상기 레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어 인출되는 트레이를 레크기어와 함께 가이드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어 지지판에 지지된 상기 단말기를 점착식으로 고정하는 겔패드; 및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어 단말기의 데이터신호를 차량에 설치된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포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지지판의 상단부에 기립되어 지지판을 확장시키며, 상기 단말기가 점착되는 겔패드를 갖는 확장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충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매트형태의 무선충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이나 음향 데이터신호를 출력가능하게 변환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스피커로 출력되는 차량에 설치된 AV시스템의 음향을 제어하는 앰프;
    상기 앰프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의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되어 음성데이터신호를 단말기나 앰프에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칩;
    상기 블루투스 통신칩의 작동을 제어하는 핸즈프리버튼; 및
    상기 핸즈프리버튼에 의해 작동하고, 음성을 음성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칩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KR1020100090738A 2010-09-15 2010-09-15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KR20120028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38A KR20120028726A (ko) 2010-09-15 2010-09-15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38A KR20120028726A (ko) 2010-09-15 2010-09-15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26A true KR20120028726A (ko) 2012-03-23

Family

ID=4613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38A KR20120028726A (ko) 2010-09-15 2010-09-15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872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266A (ko)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대창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KR20150008778A (ko) * 2013-07-15 2015-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4730819A (zh) * 2013-12-18 2015-06-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曲面显示设备及方法
KR20150093526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
KR20160028663A (ko) 2014-09-04 2016-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패널 어셈블리
WO2016056792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20160085607A (ko)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대창 무선충전기
KR20170004188A (ko) 2015-07-01 2017-0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4292Y1 (ko) * 2016-03-22 2017-08-22 이효선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2088434B1 (ko) * 2019-10-28 2020-03-12 주식회사 하벤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266A (ko)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대창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KR20150008778A (ko) * 2013-07-15 2015-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527386B2 (en) 2013-12-18 2016-12-27 Hyundai Motor Company Curv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N104730819A (zh) * 2013-12-18 2015-06-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曲面显示设备及方法
CN104730819B (zh) * 2013-12-18 2018-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曲面显示设备及方法
KR20150093526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
KR20160028663A (ko) 2014-09-04 2016-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패널 어셈블리
CN105501133A (zh) * 2014-10-10 2016-04-20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WO2016056792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N105501133B (zh) * 2014-10-10 2018-05-18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KR20160085607A (ko) 2015-01-08 2016-07-18 주식회사 대창 무선충전기
KR20170004188A (ko) 2015-07-01 2017-0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4292Y1 (ko) * 2016-03-22 2017-08-22 이효선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2088434B1 (ko) * 2019-10-28 2020-03-12 주식회사 하벤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726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CN103935303B (zh) 车辆便携装置固定系统
US9319766B2 (en) Wireless speaker and retractable ear bud
CN104369696B (zh) 车载支架及车载支架音响
US8923527B2 (en) Compact wireless microphone
US20140006669A1 (en) Retractable device dock
US20130108069A1 (en) Hands-free apparatus
KR101239002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1239024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EP2007120A1 (en) Universal electronic device with a hands-free module and/or a GPS navigation system and a Bluetooth module, especially for automobile vehicles
KR100916573B1 (ko)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
KR100925715B1 (ko) 차량용 휴대기기 크래들
KR101239044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200372059Y1 (ko) 착탈형 텔레메틱스 피엠피
JP2006186926A (ja) 自動車用音声通信装置
KR20070060436A (ko) 팝업식 핸드폰 거치대
KR20070060191A (ko) 차량용 홀더 수납형 휴대폰 거치장치
JP2006237767A (ja) 自動車用音声通信装置
KR20040658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 항법 시스템
CN219728061U (zh) 支持手机嵌入的汽车多媒体主机
CN102642505B (zh) 一种车用多媒体终端安装装置
JP4833166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システム
JP2006123901A (ja) ミニコンピュータ、携帯電話及び同様な装置を支持するための多目的中間支持部材を有するモジューラ型装置ホルダー
KR100650572B1 (ko) 휴대폰과 에프엠트랜스미터 어셈블리
KR100776833B1 (ko) 차량의 카팩 및 핸즈프리용 케이블 정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