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434B1 -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434B1
KR102088434B1 KR1020190134350A KR20190134350A KR102088434B1 KR 102088434 B1 KR102088434 B1 KR 102088434B1 KR 1020190134350 A KR1020190134350 A KR 1020190134350A KR 20190134350 A KR20190134350 A KR 20190134350A KR 102088434 B1 KR102088434 B1 KR 10208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livery
temperature
ta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벤
Priority to KR102019013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위치 추적이 가능한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송 물품의 저온 보관을 위한 배송용 냉장 용기에 설치되며, 온도 측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온도 측정 태그;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온도 측정 태그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의 측정을 요청하거나, 상기 온도 측정 태그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 자체적으로 측정한 냉장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온도를 측정한 시각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수신 받아 시간에 따른 냉장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 서버; 및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배송자가 배송을 위해 등에 메는 가방의 멜빵 또는 배송자가 타는 오토바이의 핸들에 설치되는 단말기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PARCEL TRACKING SYSTEM USING RFID PASSIVE TEMPERATURE TAG}
본 발명은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위치 추적이 가능한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온 유통 박스는 얼음과 함께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은 넣어서,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부패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항상 차갑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의 냉장 용기이다.
일반적으로, 저온 유통 박스는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소정의 체적으로 성형/제조되거나 중간에 진공 공간을 형성하는 등 외부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단열 구조를 갖는다.
백화점, 마트 등에서 냉장 또는 냉동이 필요한 식품을 소비자에게 배달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플라스틱 저온 유통 박스가 사용되는데, 식품을 배달 중에 현재 배달 상황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 및 소비자가 얻기 힘들다.
또한, 판매자는 배송을 담당하는 기사와 유선 통화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현재 상품이 어느 지점까지 배송 되었는지 등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판매자는 배달을 개시하였다는 정보는 소비자에게 줄 수 있으나, 현재 배송 상황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해 줄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5183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475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배터리가 필요 없는 패시브 타입(Passive Type)의 RFID 온도 센서 태그를 이용하며, 실시간으로 배송 물품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배송자 단말기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송자 단말기가 내부 공간에 수납되면 자동으로 덮개를 덮을 수 있도록 구현한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 파우치를 이용하여 배송자 단말기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은, 배송 물품의 저온 보관을 위한 배송용 냉장 용기에 설치되며, 온도 측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온도 측정 태그;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온도 측정 태그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의 측정을 요청하거나, 상기 온도 측정 태그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 자체적으로 측정한 냉장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온도를 측정한 시각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수신 받아 시간에 따른 냉장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 서버; 및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배송자가 배송을 위해 등에 메는 가방의 멜빵 또는 배송자가 타는 오토바이의 핸들에 설치되는 단말기 거치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거치대의 측면 벽체를 형성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의 전면 벽체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각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의 하면 벽체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상측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덮개를 회동시켜 주고, 상기 덮개를 개구부로부터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승강시켜 주는 덮개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개폐부는,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바아;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에서 다른 연장 바아와의 대향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레크 기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박스;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박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라이딩홈; 상기 연장 바아가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레크 기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 박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피니언 기어;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두 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개폐 프레임; 상기 두 개의 제1 피니언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개폐 프레임의 상기 두 개의 수직 프레임에서 다른 수직 프레임과의 대향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피니언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두 개의 제2 레크 기어; 상기 개폐 프레임의 상기 두 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제3 레크 기어; 및 상기 덮개의 회동축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두 개의 제3 레크 기어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 레크 기어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덮개의 회동축을 회동시켜 주는 두 개의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흔들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체결하는 단말기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박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 바아가 관통하기 위한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파우치; 상기 유체 공급 파우치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체 공급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하는 두 개의 유체 공급관; 및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며, 단면이 "ㄷ" 형태로 형성되어 각 개구부를 따라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삽입되며,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되어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하며, 저온 유통 박스의 추적을 용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저온 유통 박스 내의 내용물에 대한 배송 상황을 판매자 또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송자 단말기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송자 단말기가 내부 공간에 수납되면 자동으로 덮개를 덮어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배송자 단말기가 분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 파우치를 이용하여 배송자 단말기를 체결함으로써, 내부 공간에 수납된 배송자 단말기가 내부 공간에서 움직여 벽체와의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단말기 거치대의 장착 예시도들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덮개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덮개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 스캐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배송자 단말기 또는 주문자 단말기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송 경로의 추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10)은, 온도 측정 태그(100), 배송자 단말기(200) 및 배송 서버(300)를 포함한다.
온도 측정 태그(100)는, 배송 물품의 저온 보관을 위한 배송용 냉장 용기에 설치되며,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해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온도 측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 후, 역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배송자 단말기(200)로 측정한 온도를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송자가 배송을 위해 등에 메는 가방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는 신선식품(예를 들어, 생선, 와인, 아이스크림 또는 냉장이 필요한 약품 등)을 배송하기 위한 냉장 용기에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측정부(110)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방의 멜빵 부분에는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120)가 설치되며, 별도로 구비된 유선 라인을 통해 온도 측정부(110)와 데이터 및 전력을 교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라 함은, 무선인식이라고도 하며,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Tag), 라벨(Label), 카드(Card)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시스템으로서, 여기서 RFID 태그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액티브 타입(Active Type)과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패시브 타입(Passiv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RFID 방식은 패시브 타입으로서, 리더기에 해당하는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온도 측정 태그(100)가 구동하게 된다.
RFID 태그는, 전원 공급의 유무에 따라 전원을 필요로 하는 액티브 타입(Active Type)과, 내부나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전원의 공급 없이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패시브 타입(Passiv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액티브 타입은, 리더기의 필요 전력을 줄이고 리더기와의 인식 거리를 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원공급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동 시간의 제한을 받으며, 패시브 타입에 비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반면에, 패시브 타입은 액티브 타입에 비해 매우 가볍고 가격도 저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인식 거리가 짧고 리더기에서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시브 타입 RFID 태그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한다.
온도 측정부(110)는, 냉장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구동되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측정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를 무선 통신부(120)로 전달한다.
이때, 온도 측정부(110)는, 무선 통신부(12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 또는 각종 데이터를 해당 유선망을 통해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온도 측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온도 측정부(110)로 전달하며,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배송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온도 측정부(110)에서의 온도 측정이 완료되면, 온도 측정부(110)에서 무선 통신부(120)로 전달된 온도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배송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10)은, 배터리가 필요 없는 패시브 타입의 RFID 온도 센서 태그인 온도 측정 태그(100)의 온도 측정부(110)를 가방이나 박스 내측에 내장하고, 안테나와 회로부에 해당하는 온도 측정 태그(100)의 무선 통신부(120)를 멜빵이나 박스 윗면에 부착하며, RFID 리더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인 배송자 단말기(200)를 통해 온도 측정 태그(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부(120) 부위에 배송자 단말기(2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보조의 거치 수단인 단말기 거치대(400)를 둠으로써, RFID 리더기가 내장된 배송자 단말기(200)에서 온도 측정 태그(100)로 전력을 공급하여 실시간으로 박스 내부의 온도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거치대(400)는, 배송자 단말기(200)를 흔들리지 않도록 거치하며, 거치된 배송자 단말기(20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무선 통신부(120)를 설치한다.
배송자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온도 측정 태그(100)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의 측정을 요청하거나, 온도 측정 태그(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GPS 모듈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측정한 냉장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온도를 측정한 시각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생성시켜 배송 서버(300)로 전송한다.
RFID 리더기로서의 배송자 단말기(200)는, 온도 측정 태그(100)를 향하여 전파를 주고받는 전자회로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리더기 내에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기억장치인 메모리에 저장하며, 온도 측정 태그(100)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변환시키거나 그 데이터의 신호를 검증하며 송신 기능도 갖는다.
배송자 단말기(200)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전파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자회로 부분과 함께 케이스에 포함되어 있거나, 단독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온도 측정 태그(100)에는, 반도체 칩과 연결된 안테나와 전파 동조를 위한 콘덴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온도 측정 태그(100)의 크기는 배터리 내장 여부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말기 거치대(400)는, 배송자 단말기(2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배송자가 배송을 위해 등에 메는 가방의 멜빵 또는 배송자가 타는 오토바이의 핸들에 설치된다.
단말기 거치대(400)의 설치예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의 멜빵 부분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자가 타는 오토바이의 핸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배송자의 필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송자 단말기(200)를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단말기 거치대(400)의 설치 위치는 멜빵 또는 오토바이의 핸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송자의 편의에 따라 기타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간은 구성을 가지는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10)은,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하며, 저온 유통 박스의 추적을 용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저온 유통 박스 내의 내용물에 대한 배송 상황을 판매자 또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덮개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거치대(400)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 전면 프레임(420), 하부 프레임(430) 및 덮개(440)를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410)은,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단말기 거치대(400)의 측면 벽체를 형성되고, 전단에 전면 프레임(420)이 설치되고, 하단에 하부 프레임(430)이 설치된다.
전면 프레임(420)은,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의 전면 벽체를 형성한다.
하부 프레임(430)은,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각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의 하면 벽체를 형성한다.
덮개(440)는, 전면 프레임(42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 거치대(400)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 전면 프레임(420), 하부 프레임(430), 덮개(440) 및 덮개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개폐부(500)는, 하부 프레임(430)의 상측에 설치되며, 배송자 단말기(200)가 수납됨에 따라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상측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440)를 회동시켜 주고, 덮개(440)를 개구부로부터 들어올림에 따라 배송자 단말기(200)를 승강시켜 준다.
이때, 단말기 거치대(400)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후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 멜빵 등과 같은 벽체에 부착되어 후면이 밀폐되도록 할 것이며, 오토바이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 거치대(400)는, 배송자 단말기(200)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송자 단말기(200)가 내부 공간에 수납되면 자동으로 덮개(440)를 덮어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배송자 단말기(200)가 분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4의 덮개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덮개 개폐부(500)는, 안착 플레이트(510), 두 개의 연장 바아(520), 두 개의 제1 레크 기어(530), 지지 박스(540), 두 개의 슬라이딩홈(550), 두 개의 제1 피니언 기어(560), 개폐 프레임(570), 두 개의 제2 레크 기어(580), 두 개의 제3 레크 기어(590) 및 두 개의 제2 피니언 기어(595)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510)는, 상측면에 배송자 단말기(200)가 안착되며, 하측에 두 개의 연장 바아(520)가 형성된다.
연장 바아(520)는, 안착 플레이트(510)의 하측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홈(55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연장 바아(520)와의 대향면을 따라 제1 레크 기어(530)가 형성된다.
제1 레크 기어(530)는, 두 개의 연장 바아(520)에서 다른 연장 바아(520)와의 대향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1 피니언 기어(56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피니언 기어(560)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어 연장 바아(520)를 슬라이딩홈(550)에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지지 박스(540)는, 안착 플레이트(510)와 하부 프레임(430) 사이에 설치되어 안착 플레이트(510)를 지지하며, 슬라이딩홈(550)상부에 슬라이딩홈(550)가 형성되고, 내측 공간에 제1 피니언 기어(5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홈(550)은, 두 개의 연장 바아(520)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 박스(54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제1 피니언 기어(560)의 일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1 레크 기어(5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피니언 기어(560)는, 연장 바아(520)가 슬라이딩홈(55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레크 기어(53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이 지지 박스(54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전면 프레임(4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피니언 기어(560)은, 일단이 제1 레크 기어(5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크 기어(58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레크 기어(530)의 이동에 따른 구동력을 제2 레크 기어(580)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을 위한 구성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개폐 프레임(570)은,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571), 및 두 개의 수직 프레임(571)의 각 상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572)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프레임(4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421)에 안착되어 전면 프레임(42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레크 기어(580)는, 두 개의 제1 피니언 기어(560)에 맞물릴 수 있도록 개폐 프레임(570)의 두 개의 수직 프레임(571)에서 다른 수직 프레임(571)과의 대향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1 피니언 기어(56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되어 수직 프레임(571)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제3 레크 기어(590)는, 개폐 프레임(570)의 두 개의 수직 프레임(571)의 각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피니언 기어(595)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피니언 기어(595)를 회전시켜 준다.
제2 피니언 기어(595)는, 덮개(440)의 회동축에서 서로 이격되어 두 개의 제3 레크 기어(590)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3 레크 기어(59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덮개(440)의 회동축(441)을 회동시킴에 따라 덮개(440)을 회동시켜 준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400a)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 전면 프레임(420), 하부 프레임(430), 덮개(440), 덮개 개폐부(500) 및 단말기 체결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 전면 프레임(420), 하부 프레임(430), 덮개(440) 및 덮개 개폐부(500)는,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체결부(600)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배송자 단말기(200)가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내측 공간에서 흔들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송자 단말기(200)가 수납됨에 따라 배송자 단말기(200)를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 체결부(600)는, 유체 공급 파우치(610), 두 개의 유체 공급관(620) 및 체결 파우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 파우치(610)는, 안착 플레이트(510)와 지지 박스(540) 사이에 설치되며, 연장 바아(520)가 관통하기 위한 두 개의 관통홀(611)이 형성되며, 안착 플레이트(510)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관(620)을 통해 체결 파우치(63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공급 파우치(610)는, 고무 재질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여 둔다.
유체 공급관(620)은, 유체 공급 파우치(610)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유체 공급 파우치(6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체결 파우치(630)로 전달한다.
체결 파우치(630)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410)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며, 단면이 "ㄷ" 형태로 형성되어 각 개구부(631)를 따라 배송자 단말기(200)가 삽입되며, 유체 공급관(620)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되어 개구부 체결 파우치(630)에 삽입된 배송자 단말기(2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즉, 체결 파우치(6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자 단말기(200)가 단말기 거치대(400)의 내부 공간으로 수납됨에 따라 유체 공급 파우치(6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개구부(631)를 형성하는 각 벽체의 두께가 도 9의 (a)의 t1에서 도 9 (b)의 t2와 같이 두꺼워짐에 따라 개구부(631)가 좁아져 배송자 단말기(200)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400a)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 파우치(630)를 이용하여 배송자 단말기(200)을 체결함으로써, 내부 공간에 수납된 배송자 단말기(200)가 내부 공간에서 움직여 벽체와의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송자 가방의 멜빵 부분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120)(도 10(a))에 배송자 단말기(200)를 근접시켜 태그 하면(도 10(b)),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온도 측정부(110) 및 무선 통신부(120)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부(120)으로 공급하게 되며, 배송자 단말기(200)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온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온도가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역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배송자 단말기(200)로 전송(도 10(c))된다.
배송 서버(300)는, 배송자 단말기(200)로부터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수신 받아 시간에 따른 냉장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서버(300)는, 출발지에서부터 고객까지 배송되는 동안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를 배송자 단말기(200)를 통해 계속해서 수신 받으며, 해당 온도를 자동적으로 저장하여 현재 물품의 위치와 시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벌 타임 마다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서버(300)는, 생성시킨 배송 경로 정보를 통해 배송 중인 냉장 용기의 배송 시간에 따른 배송 경로를 지도에 맵핑(mapping)한 배송 지도 정보를 생성시켜 물품을 주문한 주문자의 주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문자 단말기는, 배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해 두며, 배송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배송 경로 정보 또는 배송 지도 정보 등을 표시 수단(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 등)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송 경로 정보 및 배송 지도 정보 등은, 후술하는 도 12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 또는 배송자 단말기(200)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로서, 현재 시간, 내용물, 현재 온도, 운동 시간 또는 현재 위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서버(300)는, 배송자 단말기(200)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이동통신망과 같은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불문)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송 서버(300)는, 물품을 구매한 고객 정보(예를 들어, 고객 성명, 나이, 주소, 날짜별 구매물품 및 구매한 물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의정보를 포함함)를 백업할 수 있다.
Figure 112019109799717-pat00001
표 1는, 기존의 DHL사의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냉장 배송 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표이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용 리더기 사용 여부, 데이터 업로드 방식, 별도의 센서 전원 공급원의 필요 여부, 세서 가격 등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월등한 효율성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물류창고에서 온도 유지를 필요로 하는 물품을 냉장 용기에 담고, 밀봉 후 개봉 금지 표시를 외부에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송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온도 측정 태그(100)로부터 현재 온도를 수신 받아 배송 서버(300)로 전송한 후, 별도의 냉장 시설이 없는 이동 수단(예를 들어, 배송자의 가방, 냉장 박스가 없는 오토바이 또는 배송 트럭 등)을 통해 배송이 시작된다.
물품이 고객에게 도착하게 되면, 배송자는 온도 측정 태그(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냉장 박스 내부의 온도를 배송자 단말기(200)를 통해 배송 서버(300)로 전송한 후, 냉장 박스 내부의 온도가 적정 온도일 경우 해당 물품을 고객에게 전달한 후 고객이 직접 개봉하도록 하며, 온도가 적정 온도를 벗어난 경우 해당 물품을 수거한 후 새로운 물품을 고객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할 경우,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위치 추적을 가능하게 하며, 저온 유통 박스의 추적을 용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저온 유통 박스 내의 내용물에 대한 배송상황을 판매자 또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서버(300)는, 냉장 용기에 보관될 수 있는 물품의 적정 보관 온도 및 해당 적정 보관 온도에서의 보관 가능 기간을 각 물품 별로 데이터베이스화 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또한, 물품의 적정 보관 온도를 벗어난 경우, 해당 차이 값에 의할 경우의 보관 가능 기간 역시 각 물품에 따른 차이 값 별로 데이터베이스화 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이 와인이고 적정 보관 온도가 10도씨일 경우, 배송 기간 중 와인이 적정 보관 온도인 10도씨로 유지된 경우 보관 가능 기간인 30일 동안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을 것이나, 배송 기간 중 와인이 적정 보관 온도를 벗어나 25도씨로 7일 유지된 경우 보관 가능 기간은 20일 정도에 그칠 것이고, 35도씨로 7일 유지된 경우에는 보관 가능 기간이 25도씨의 경우보다 짧은 기간인 10일에 그칠 것이다.
따라서, 배송 서버(300)는, 보관 가능 기간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적정 보관 온도로부터 오차 값이 커질수록 보관 가능 기간을 이에 대응하여 감소시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서버(300)는, 오차 값으로 인정될 수 있는 한계치를 벗어나는 값을 보관 한계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물품이 해당 신선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리는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이 우유인 경우, 보관 온도가 잠시에 불과할 지라도 140도씨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영양소의 파괴 등으로 인해 시음에 부적합하게 될 것인바, 보관 한계 온도를 60도씨 등으로 설정하여 둘 수 있다.
또한, 배송 서버(300)는, 포탈 서비스 등으로부터 날씨 정보를 불러들여, 배송 기간 중에 해당하는 기간의 온도 정보를 고려한 보관 가능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기간이 8월인 경우에는 온도가 30도씨를 넘는 날이 많을 것인바 보관 가능 기간이 줄어들 것이고, 배송 기간이 1월인 경우에는 온도가 영하인 날이 많을 것인바 보관 가능 기간이 늘어날 것이다.
배송 서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보관 가능 기간 예측을 통해 산출한 기간을 배송자 및 주문자에게 통지함으로써, 배송자에게는 부패하기 쉬운 물품의 조속한 배송을 독려하고, 주문자에게는 부패가 예상된 물품의 반품을 요청함으로써 신선 식품의 신선한 유통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송 경로의 추적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송 경로를 추적 서비스는, 배송 서버(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배송자 단말기(200) 또는 주문자 단말기 등에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배송 경로의 추적 서비스의 최초 구동 화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전체에 지도를 보여주며, 확인하고 싶은 내용이나 각종 조회 화면들을 별도의 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화면 상단에 별도의 창으로 구현되는 팝업창은, 해당 팝업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에는 배송자의 방문 내역, 즉 배송자가 방문한 지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지도 상에 방문처가 표시되는데, 해당 표시에는 방문 위치가 표시되며, 방문 위치의 오차 범위를 설정할 경우 오차 범위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팝업창으로 영업사원 선택창 및 방문상세내역창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영업사원 선택창에는, 배송자에 해당하는 영업사원의 사원 조회 및 날짜 조회 기능을 제공하며, 방문상세내역창에는 방문처, 날짜/시간 및 방문 순서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방문상세내역창에서 특정 배송자 또는 특정 날짜를 선택한 후, 방문처명 리스트에서 방문처를 클릭할 경우, 해당 클릭한 방문처를 지도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지도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방문처를 기준으로 지도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문처를 의미하는 화살표 옆에 해당 방문처를 방문한 순서를 별도로 병기함으로써, 방문자의 방문 동선을 유추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송자의 행동 반경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특정 배송자와 날짜를 지정하여 해당 배송자의 일일별 이동 영역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도 상에 보여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날짜별 배송자의 총 방문처를 원형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송자의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특정 배송자와 날짜를 지정하여 해당 배송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배송자의 예상 이동 경로를 지도 상에 화살표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별도의 팝업창을 이용하여 주요 지점을 표시하거나, 배송자의 총 이동 거리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내용을 부패 여부를 주문자 스스로 예측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배송 경로의 추적 서비스에 의할 경우,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온도 스캐닝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동 시 배송자 단말기(200)의 GPS 모듈을 통해 물품의 배달 위치/시간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하나의 배달 지도를 완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100: 온도 측정 태그
200: 배송자 단말기
300: 배송 서버
400: 단말기 거치대
500: 덮개 개폐부
600: 단말기 체결부

Claims (1)

  1. 배송 물품의 저온 보관을 위한 배송용 냉장 용기에 설치되며, 온도 측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온도 측정 태그;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온도 측정 태그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의 측정을 요청하거나, 상기 온도 측정 태그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냉장 용기의 내부 온도, 자체적으로 측정한 냉장 용기의 위치 정보 및 온도를 측정한 시각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부터 냉장 용기 상태 정보를 수신 받아 시간에 따른 냉장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 서버; 및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배송자가 배송을 위해 등에 메는 가방의 멜빵 또는 배송자가 타는 오토바이의 핸들에 설치되는 단말기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거치대의 측면 벽체를 형성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의 전면 벽체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각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의 하면 벽체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상측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덮개를 회동시켜 주고, 상기 덮개를 개구부로부터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승강시켜 주는 덮개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 개폐부는,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바아;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에서 다른 연장 바아와의 대향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레크 기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박스;
    상기 두 개의 연장 바아가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박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라이딩홈;
    상기 연장 바아가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레크 기어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 박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피니언 기어;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두 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개폐 프레임;
    상기 두 개의 제1 피니언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개폐 프레임의 상기 두 개의 수직 프레임에서 다른 수직 프레임과의 대향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피니언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두 개의 제2 레크 기어;
    상기 개폐 프레임의 상기 두 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제3 레크 기어; 및
    상기 덮개의 회동축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두 개의 제3 레크 기어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 레크 기어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덮개의 회동축을 회동시켜 주는 두 개의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흔들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체결하는 단말기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박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 바아가 관통하기 위한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파우치; 상기 유체 공급 파우치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체 공급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하는 두 개의 유체 공급관; 및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며, 단면이 "ㄷ" 형태로 형성되어 각 개구부를 따라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삽입되며,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되어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배송자 단말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파우치;를 포함하는,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KR1020190134350A 2019-10-28 2019-10-28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KR10208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50A KR102088434B1 (ko) 2019-10-28 2019-10-28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50A KR102088434B1 (ko) 2019-10-28 2019-10-28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434B1 true KR102088434B1 (ko) 2020-03-12

Family

ID=6980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50A KR102088434B1 (ko) 2019-10-28 2019-10-28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4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37B1 (ko) * 2020-05-13 2020-10-13 이춘화 배송 상품 온도 모니터링용 배송 박스를 이용한 배송 상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36992B1 (ko) * 2021-05-11 2021-12-09 주식회사 테넷 콜드체인용 보냉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콜드체인 재고관리 시스템
KR20220069426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20220069411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데이터 로거 및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839A (ko) 2000-12-21 2002-06-29 시마가 데츠오 저온물류시스템, 경매시장에서의 품질유지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28726A (ko) * 2010-09-15 2012-03-23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KR20170014752A (ko) 2015-07-31 2017-02-08 애드게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신선상품 택배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0155A (ko) * 2015-08-14 2017-02-22 주식회사 티케이에스세미콘 배송 환경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리더 로거 장치 및 배송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974882B1 (ko) * 2018-08-20 2019-05-07 전광규 물류 배송 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839A (ko) 2000-12-21 2002-06-29 시마가 데츠오 저온물류시스템, 경매시장에서의 품질유지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28726A (ko) * 2010-09-15 2012-03-23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KR20170014752A (ko) 2015-07-31 2017-02-08 애드게이트홀딩스 주식회사 신선상품 택배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0155A (ko) * 2015-08-14 2017-02-22 주식회사 티케이에스세미콘 배송 환경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리더 로거 장치 및 배송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974882B1 (ko) * 2018-08-20 2019-05-07 전광규 물류 배송 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37B1 (ko) * 2020-05-13 2020-10-13 이춘화 배송 상품 온도 모니터링용 배송 박스를 이용한 배송 상품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69426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20220069411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데이터 로거 및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102556912B1 (ko) * 2020-11-20 2023-07-18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데이터 로거 및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102556915B1 (ko) * 2020-11-20 2023-07-19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102336992B1 (ko) * 2021-05-11 2021-12-09 주식회사 테넷 콜드체인용 보냉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콜드체인 재고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434B1 (ko) Rfid 패시브 온도 태그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KR102645078B1 (ko) 용기를 통해 소비자에게 배달되는 액체 음료 제품의 흐름을 모니터링, 제어 및 최적화를 위한 배급 네트워크
US20050061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delivery
JP4774631B2 (ja) 生鮮食料品の管理システム
CA2909643C (en) Sensing device and method to monitor perishable goods
US200500291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delivering a temperature-sensitive item
ES2965023T3 (es) Procedimiento de comunicación de información espacialmente localizada a un terminal móvil
CN105338865A (zh) 加热或冷却式餐具及饮具
CN107430799A (zh) 用于维护零售单元的方法
JP2019138493A (ja) 冷蔵庫、商品発注方法及び商品発注システム
KR20200043316A (ko) 음식자재기능이 있는 스마트 냉장고
CN100537359C (zh) 容器装置
KR200492210Y1 (ko) 배송용 보냉 가방
CN211354523U (zh) 酒柜、用于对酒柜进行管理的云端服务器及终端
US20180165628A1 (en) Flexible wi-fi smart base
CN108482881A (zh) 一种铁路冷链集装器
CN208217517U (zh) 一种铁路冷链集装器
KR20160074892A (ko) 배달함에서 판매자의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US20200051006A1 (en) Automated Beverage Monitoring System
US20210358256A1 (en) Storage and dispensing of consumer goods
KR20220079020A (ko) 높은 신뢰성 및 스마트물류 비용절감 구현을 위한 패시브 식별센싱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선물류 관리 시스템
WO2024018446A1 (en) A portable storage apparatus and a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predefined temperature therein
NZ788511A (en) A distribution network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flow of liquid beverage products delivered to customers via containers
NZ788190A (en) A distribution network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flow of liquid beverage products delivered to customers via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