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607A -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607A
KR20160085607A KR1020150002822A KR20150002822A KR20160085607A KR 20160085607 A KR20160085607 A KR 20160085607A KR 1020150002822 A KR1020150002822 A KR 1020150002822A KR 20150002822 A KR20150002822 A KR 20150002822A KR 20160085607 A KR20160085607 A KR 2016008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wireless charger
wireless
cradle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5000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607A/ko
Publication of KR2016008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전 중인 충전 대상 기기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선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지게 배치되며, 충전 대상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거치대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하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충전기{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에는 2차 배터리가 이용되며, 이와 같은 전자 기기들은 내장된 2차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자 기기의 외부로 노출된 접촉 단자와 유선의 전원 공급 접촉 단자를 연결하여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였으나, 이와 같이 충전을 위한 접촉 단자가 전자 기기의 외부에 노출되면, 접촉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전원 공급 접촉 단자와의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거나,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충전 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충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접촉 단자로 연결하지 않는 비접촉 방식의 무선충전기(또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가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충전기는 크게 3 가지 방식, 즉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기는 가정, 사무실, 다중시설 공간뿐만 아니라, 승용차 등과 같은 운송 수단의 내부 공간에도 마련되어, 휴대용 전자 기기 이용자들의 편리를 증진시키고 있다. 일례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종래의 무선충전기(10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1의 (a)는 충전 대상 기기(50)가 수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충전 대상 기기(50)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충전 대상 기기(5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힌지(13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입구 커버(112)를 개방시키면서 수납부(102)의 내부 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충전 대상 기기(50)는 입구 커버(112)의 위치 고정부(114)에 의해서 아래로 눌려지며, 걸림부(109)에 의해 충전 대상 기기(50)의 선단이 걸린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바닥부에 배치되어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를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부(106),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부(104), 내부 공간(S)에 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이온 발생기(108), 내부 공간(S)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110), 및 개구부(116)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충전기(100)는 충전 대상 기기(50)를 충전하는 동안에 충전 대상 기기(50)의 대부분을 덮고 있어, 충전 중에 충전 대상 기기(50)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충전 중에 충전 대상 기기(50)가 무선 충전부(106)에 대면하고 있어 무선충전기(100) 이외의 다른 전자 기기와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에 의한 통신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무선충전기(100)의 경우, 다양한 사이즈의 충전 대상 기기(50)에 대한 충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8726호 (2012. 03. 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7669호 (2012. 10. 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부 제10-2013-0047722호 (2013. 05. 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O1O1795호 (2014. 08. 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전 중인 충전 대상 기기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선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전 중에 충전 대상 기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크기가 다른 충전 대상 기기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사지게 배치되며, 충전 대상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거치대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하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거치대의 상측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미끄러짐을 억제하기 위한 난슬립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탄성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거치대를 덮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측에 자외선 조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투명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기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와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는 미러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깊이는 20 mm 이하일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센타페이시아에 장착될 수 있는 종래의 무선충전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다이어그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1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무선충전기(10)는 무선충전기(10)의 외형을 이루는 몸체(11)를 포함한다. 이 몸체(11)는 거치대인 제 1 경사부(12), 제 2 경사부(13), 제 1 상부(18) 및 제 2 상부(19)를 포함하며, 이 몸체(11)의 중앙부에는 제 1 경사부(12) 및 제 2 경사부(13)에 의해서 'V' 자 형상의 조작홈(E)이 형성된다. 제 1 경사부(12)의 하단부, 즉 제 1 경사부(12)와 제 2 경사부(13)가 만나는 부분에는 조작홈(E)과 연통되며 충전 대상 기기(5)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I)이 형성된다. 삽입홈(I)의 형성을 위해서, 제 2 경사부(13)의 하단부에는 제 2 경사부(13)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이어지는 단차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는 수지 등에 의해서 사출되어 일체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1)는 별개로 구성되나, 차량의 암레스트, 센터페이사, 콘솔박스, 대시보드 등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송 수단의 내부 구성 부품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경사부(12)는 수평선, 예를 들어 제 1 상부(18)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 예를 들어 20 내지 60도 만큼 경사지도록 마련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충전 대상 기기(5)를 아래로부터 비스듬하게 지지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한다. 제 1 경사부(12)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무선충전기(10)가 장착되는 위치와 이용자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 1 경사부(12)의 경사 방향이나 경사 각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는데, 충전 중인,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충전 대상 기기(5)의 디스플레이부가 이용자에게 잘 보일 수 있는 방향 및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이용자는 제 2 상부(19)의 위쪽에서 제 1 상부(18)의 아래쪽으로 시선을 두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 무선충전기(10)가 승용차의 후석 암레스트의 전단부에 장착될 수 있어 후석에 앉아 있는 이용자의 시야에 편하게 노출되는 방향과 각도로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충전 대상 기기(5)의 디스플레이부가 이용자의 시선에 거의 전부 노출될 수 있어, 충전 대상 기기(5)의 충전 중에도 충전 대상 기기(5)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제 1 경사부(12)의 상측 표면에는 제 1 경사부(12)에 의해서 지지되는 충전 대상 기기(5)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난슬립 패드(20)가 부착될 수 있다. 난슬립 패드(20)의 표면에는 요철이 마련될 수 있으며, 충전 대상 기기(5)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무 재질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12) 또는 난슬립 패드(20)에는 후술되는 깊이 조절부와 연계되어 충전 대상 기기(5)의 삽입 깊이를 결정할 때 필요한 눈금 또는 마크 등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경사부(12)에는, 예를 들어, 제 1 경사부(12)의 내부에는 충전 대상 기기(5)에 전자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모듈(14)이 제공된다. 무선 충전 모듈(14)은 충전 대상 기기(5)를 무선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 모듈(14)은 제 1 경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또는 삽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4)을 제 1 경사부(12)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경사부(12)에 마련된 무선 충전 모듈(14)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충전 대상 기기(5)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공명 방식인 경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4)을 제 1 경사부(12)에서 제거한 후,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4)을 제 1 경사부(12)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12)에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14)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 기기(5)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인 경우, WPC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4)을 제 1 경사부(12)에서 제거한 후, PMA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4)을 제 1 경사부(12)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4)의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WPC 방식 및 PMA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14)의 무선 충전 방식은 그 이외에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앞으로 개발될 무선 충전 방식도 포함)일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12)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15)가 마련될 수 있다. NFC는 두 기기가 대략 10cm 이하의 단거리에 걸쳐 무선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기술이며, NFC 장치(15)는 도시되지 않은 NFC 칩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충전 대상 기기(5)의 충전중에도 충전 대상 기기(5)의 대응하는 NFC 장치(7)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NFC 장치(15)는 충전 대상 기기(5)로부터 받은 정보를 후술되는 미러링 모듈(16)에 전달하기 위해서 미러링 모듈(16)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무선충전기(10)는 충전 대상 기기(5)의 충전 중에도 NFC 장치(15, 7) 및 미러링 모듈(16)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5)에서 실행되는 화면 또는 충전 대상 기기(5)에 저장된 콘텐츠를 무선충전기(10) 외부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NFC 장치는 다른 근거리 통신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근거리 통신 모듈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무선 충전 모듈(14)의 전력 송신부의 무선 전력과 전자파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경사부(13)는 수평, 예를 들어 수평으로 형성된 제 2 상부(19)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예를 들어 20 ~ 60도 만큼 경사진다. 제 2 경사부(13)의 하단부에는 삽입홈(I)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131)가 제공된다. 단차부(131)의 하단은 제 1 경사부(12)의 하단과 연결되어 제 1 경사부(12)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부(13)는 전술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어, 몸체(11)의 중앙부에 조작홈(E)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 충전 대상 기기(5) 이용자의 손이 충전 대상 기기(5)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될 수 있다.
제 1 경사부(12)와 제 2 경사부(13)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삽입홈(I)은 충전 대상 기기(5)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삽입될 수 있는 깊이는 예를 들어, 15 mm ~ 25 mm 정도이다. 이 범위 미만의 깊이가 되면, 충전 대상 기기(5)의 유지가 어려우며, 이 범위를 초과하는 깊이가 되면, 충전 대상 기기(5)의 디스플레이부를 과도하게 가릴 수 있다.
또한, 삽입홈(I)에는 복수의 고정용 탄성 돌기(17)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용 탄성 돌기(17)는 제 2 경사부(13)의 단차부(131)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단차부(131)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용 탄성 돌기(17)는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용 탄성 돌기(17)는 충전 대상 기기(5)가 삽입홈(I)에 삽입될 때, 약간 압축될 수 있어 충전 대상 기기(5)의 삽입된 하단부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삽입홈(I)에 삽입된 충전 대상 기기(5)가 몸체(11)에 전달되는 외부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용 탄성 돌기(17)가 일측면에만 제공되나, 반대측면 또는 측면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돌기(17)의 형상은 압축되어 충전 대상 기기(5)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으면 여러가지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돌기 형상이 아닌 클립 형상 등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홈(I)에는 삽입홈(I)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깊이 조절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I)의 바닥에 해당하는 단차부(131)가 가이드 부재 내에서 가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단차부(131)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사이즈의 충전 대상 기기(5)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이즈가 큰 충전 대상 기기(5)는 더 깊게 삽입시켜 제 1 경사부(12)의 무선 충전 모듈(14)과 충전 대상 기기(5)의 수신 코일(6)의 위치 정렬을 달성할 수 있어, 충전 효과를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몸체(11)에는, 예를 들어 제 1 상부(18)에는 미러링 모듈(16)이 마련된다. 미러링 모듈(16)은 NFC 장치(15)로부터 전달받은 미러링 데이터를, 예를 들어 차량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 도 3 참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30)로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예를 들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마련되는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차량 뒷좌석의 탑승자가 볼 수 있도록 차량에 마련되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 또는 차량 내 탑승자의 다른 휴대 기기 등 일 수 있다.
미러링 모듈(16)은 도시되지 않은 미러링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링 처리부는 상기 미러링 데이터의 해상도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해상도에 맞게 영상 스케일링(예를 들어, 업 스케일링 또는 다운 스케일링)한 후 통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 처리부는 통신부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30)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미리 요청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30)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미러링 처리부는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통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통신부(31; 도 4 참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가 디스플레이 장치(30)와 유선 통신을 하는 경우, 통신부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통신부(31)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통신부(31)와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를 들어, NFC, 블루투스, UWB, 와이파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NFC 장치(15)를 통신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NFC 장치(15)가 미러링 모듈(16)의 일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복수인 경우에 통신부는 어느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선충전기(10)가 미러링 모듈(16)을 구비함으로써, 무선충전기(10)를 통해 무선 충전 기기(5)를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기기(5)에서 실행되는 화면 또는 무선 충전 기기(5)에 저장된 컨텐츠를, 예를 들어 차량 내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충전기(10)는, 조작홈(E)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서 몸체(1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되록 제공되는 커버(도시 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몸체(11)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홈과 같은 가이드부에 의해서 안내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상부(19)에서 제 1 상부(18)로 슬라이딩되면서 조작홈(E)을 폐쇄할 수 있고, 반대로 이동되면서 조작홈(E)을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로 조작홈(E)을 폐쇄함으로써 이물체가 조작홈(E)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에는 무선 충전 모듈(14)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커버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표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기(10)는 자외선 조사부(도시 안됨)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는 무선충전기(10)에 거치된 충전 대상 기기(5)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충전 대상 기기(5)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는 커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경사부(13)의 표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는 무선 충전 모듈(14)과 연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대상 기기(5)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충전 대상 기기(5)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는 무선 충전 모듈(14)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는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는 커버가 닫히는 경우 온(ON) 동작하고, 커버가 열리는 경우 오프(OFF)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1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무선충전기(10)의 무선 충전 모듈(14)에서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자기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전력 수신 코일(6) 및 무선충전기(10)의 근거리 통신 모듈, 즉 NFC 장치(15)와 통신할 수 있는 NFC 장치(7)를 포함하는 충전 대상 기기(5)가 무선충전기(10)의 조작홈(E)을 통해서 삽입홈(I)에 삽입된다. 무선충전기(10)의 무선 충전 모듈(14)은 전자기 에너지를 충전 대상 기기(5)의 수신 코일(6)에 전달하고, NFC 장치(15)는 충전 대상 기기(5)의 NFC 장치(7)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무선충전기(10)의 NFC 장치(15)는 미러링 모듈(16)로 전송받은 정보를 전달하고, 미러링 모듈(16)은 전달 받은 정보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통신부(31)에 가공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을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이는 구성요소들을 공지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요소로 치환하거나 변형하는 것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보이는 사상 및 그 균등범위까지 미친다.
5: 충전 대상 기기
10: 무선충전기
11: 몸체
12: 제 1 경사부(거치대)
13: 제 2 경사부
131: 단차부
14: 무선 충전 모듈
15: NFC 장치
16: 미러링 모듈
17: 고정용 탄성 돌기
18: 제 1 상부
19: 제 2 상부
20: 난슬립 패드

Claims (10)

  1. 경사지게 배치되며, 충전 대상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거치대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하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거치대의 상측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미끄러짐을 억제하기 위한 난슬립 패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탄성 돌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거치대를 덮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측에 자외선 조사부를 구비하는, 무선충전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무선충전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와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는 미러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깊이는 20 mm 이하인, 무선충전기.
KR1020150002822A 2015-01-08 2015-01-08 무선충전기 KR20160085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22A KR20160085607A (ko) 2015-01-08 2015-01-08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22A KR20160085607A (ko) 2015-01-08 2015-01-08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07A true KR20160085607A (ko) 2016-07-18

Family

ID=5667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822A KR20160085607A (ko) 2015-01-08 2015-01-08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60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59B1 (ko) * 2019-12-10 2020-09-11 허동현 휴대폰용 충전 및 살균 거치대
KR102201843B1 (ko) 2019-09-06 2021-01-11 장현진 다용도 무선충전기
WO2021075624A1 (ko) * 2019-10-15 2021-04-22 주식회사 팝폰 Uv램프가 구비된 휴대폰 충전기
KR20210088028A (ko) * 2020-01-03 2021-07-1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무선 충전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및 동작 방법
WO2021149866A1 (ko) * 2020-01-20 2021-07-29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KR20220127034A (ko) * 2021-03-10 2022-09-19 (주)청운 전자기기 무선 충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726A (ko) 2010-09-15 2012-03-23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KR20120107669A (ko) 2011-03-22 2012-10-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20130047722A (ko) 2013-04-19 2013-05-08 이상윤 스마트폰을 위한 차량용 무선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726A (ko) 2010-09-15 2012-03-23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KR20120107669A (ko) 2011-03-22 2012-10-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20130047722A (ko) 2013-04-19 2013-05-08 이상윤 스마트폰을 위한 차량용 무선충전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43B1 (ko) 2019-09-06 2021-01-11 장현진 다용도 무선충전기
WO2021075624A1 (ko) * 2019-10-15 2021-04-22 주식회사 팝폰 Uv램프가 구비된 휴대폰 충전기
KR102155459B1 (ko) * 2019-12-10 2020-09-11 허동현 휴대폰용 충전 및 살균 거치대
KR20210088028A (ko) * 2020-01-03 2021-07-1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무선 충전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및 동작 방법
WO2021149866A1 (ko) * 2020-01-20 2021-07-29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KR20220127034A (ko) * 2021-03-10 2022-09-19 (주)청운 전자기기 무선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5607A (ko) 무선충전기
CN107580774B (zh) 移动终端
KR102410217B1 (ko) 이동 단말기
US10321229B2 (en) Wireless sound equipment
CN108512954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8816636B2 (en)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CN10605508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509466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6210178B (zh) 移动终端
JP5166773B2 (ja) 無接点電力伝送装置
CN110249482B (zh) 移动终端
KR2022015031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090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ynamic Charging Attributes Of A Charging Station
KR2022012838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5078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1227516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40191713A1 (en) Mobile terminal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KR10227143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2215A (ko) 무선충전 송수신기와 이동식 디스크를 구비한 보조배터리 및 그의 전력과 데이터 전송 방법
CN104620440A (zh) 启用ehf的显示系统
WO2014020917A1 (ja) 無接点充電器及び自動車
US20050059344A1 (en) Accommodation device for bluetooth earphone
US10003384B2 (en) Docking station for a wireless energy and data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