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718B1 - 컵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컵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718B1
KR102081718B1 KR1020130112107A KR20130112107A KR102081718B1 KR 102081718 B1 KR102081718 B1 KR 102081718B1 KR 1020130112107 A KR1020130112107 A KR 1020130112107A KR 20130112107 A KR20130112107 A KR 20130112107A KR 102081718 B1 KR102081718 B1 KR 10208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over
portable device
wireless charg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080A (ko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오명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11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718B1/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5003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컵 홀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컵 홀더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컵 홀더 장치{CUP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의 수납 및 충전이 가능한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탑승자가 마시던 컵, 음료캔, 음료수병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차량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따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만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를 수납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 커버에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 내에 자외선 조사부를 형성하여 휴대 기기를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커버를 차량 내부 구조물 내로 인입시키면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 수납부 내의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에 휴대 기기 크기 별로 안착홈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의 휴대 기기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에서,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의 상부에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에서, 제1 안착홈의 상부에 제1 커버가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컵 홀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장치는 그 이외의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컵 홀더 장치(100)는 컵 홀더(102), 컵 홀더 커버(104), 휴대 기기 수납부(106), 무선 충전 모듈(108), 자외선 조사부(110), 이온 발생기(112), 및 충전 상태 알림부(114)를 포함한다.
컵 홀더(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장착된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50)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하부,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이 될 수 있다. 컵 홀더(102)는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102-1)를 포함한다.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상부에서 컵 홀더(102)와 결합된다.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컵 홀더(102)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커버(10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어 컵 홀더(102)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되어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에는 손잡이 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홈(117)을 잡고 컵 홀더 커버(104)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컵 홀더 커버(104)가 수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및 기어 등과 같은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컵 홀더 커버(104)가 컵 홀더(102)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커버(104)는 그 이외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컵 홀더(102)와 결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컵 홀더 커버(104)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내부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부는 컵 홀더 커버(104)를 인출하였을 때 컵 홀더(102)의 상부를 차폐하는 부분을 말한다. 컵 홀더 커버(104)를 인출한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6)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컵 홀더 커버(104)의 후단부에는 보조 수납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에는 보호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에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9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에서 휴대 기기(9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에서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8)이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 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미도시)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8) 중 전력 송신부만이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다른 위치(예를 들어, 보조 수납부(119))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신부 및 충전 제어 회로가 모두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90)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컵 홀더 커버(10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10)는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되는 경우 온(ON) 동작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즉,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의해 차폐되므로, 자외선 조사부(110)를 온(ON) 동작시켜도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되었을 때,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에서 인출되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110)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이 컵 홀더 커버(10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커버(104)의 개폐 동작이 자외선 조사부(1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과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상부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컵 홀더 커버(104)를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시키지 않고도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로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상부를 차폐하여 자외선 조사부(11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1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의 개폐 동작과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112)는 보조 수납부(119)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내부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조 수납부(119)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와 연통하는 에어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2)에서 발생시킨 이온은 에어 홀(미도시)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6)로 유입되게 된다. 이온 발생기(112)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수납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6)를 빠져나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컵 홀더 커버(104)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컵 홀더 커버(104)가 인입되더라도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된 정도에 따라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단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90)의 충전 완료 사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소리로도 알려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의 휴대 기기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휴대 기기 수납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I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에는 안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휴대 기기(9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서 안착홈(121)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안착홈(121)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제1 안착홈(121-1), 제2 안착홈(121-2), 및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안착홈(121)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21)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90)들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1 안착홈(12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2 안착홈(121-2)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3 안착홈(121-3)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8)은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의 하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21)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8)은 복수 개의 안착홈(12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안착홈(121)에는 조명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9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24)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12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안착홈(121)이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조명부(124)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121)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부(124)는 제1 안착홈(12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조명부(124-1), 제2 안착홈(12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조명부(124-2), 및 제3 안착홈(121-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조명부(1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조명부(124-1, 124-2, 124-3)는 각 안착홈(121-1, 121-2, 121-3)들의 경계 부분(즉,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24)는 안착홈(121) 내에서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24)가 안착홈(12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그 자체로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가능 영역(무선 충전 모듈(108)과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해주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모듈(108)에서 발생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 가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거나 응답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4)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8)에서 무선 충전 불가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4)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 커버(104)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 내에 자외선 조사부(110)를 형성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커버(104)를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시키면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의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휴대 기기 크기 별로 안착홈(121)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124)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일측에 힌지(14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는 힌지(141)를 축으로 회전하여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폐하게 된다. 컵 홀더 커버(104)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될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에는 휴대 기기(90)를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안착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 커버(104)의 하부면에는 제1 안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의 상부면에는 제2 안착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컵 홀더 커버(104)의 내부에 한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무선 충전 모듈(108)이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과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 커버(104)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는 휴대 기기(90)의 크기에 따라 각각 복수 개의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컵 홀더 커버(104)가 컵 홀더(10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커버(10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힌지 결합되어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 커버(104)를 제1 방향(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경우, 컵 홀더 커버(104)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131)에 휴대 기기(9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8)을 통해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경우 소정 각도를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31)의 하부에는 안착 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돌기(137)는 제1 안착홈(131)에 안착된 휴대 기기(9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 커버(104)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컵 홀더(102)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경우, 컵 홀더 커버(104)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 안착홈(134)에 휴대 기기(9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8)을 통해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 커버(104)의 제1 안착홈(131)의 상부에는 제1 안착홈(131)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제1 커버(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51)는 제1 안착홈(131)의 일측에서 힌지(151-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의 제2 안착홈(134)의 상부에는 제2 안착홈(134)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제2 커버(1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154)는 제2 안착홈(134)의 일측에서 힌지(154-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에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의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가 닫혀 있어도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의 일부(예를 들어, 휴대 기기(90)가 수납된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만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는 자외선 차단 커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의 개폐 동작과 자외선 조사부(1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의 상부에 각각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만 커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110)는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 중 커버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가 컵 홀더 커버(104)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커버(151)는 제1 안착홈(131)의 상부에서 컵 홀더 커버(104)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제1 안착홈(131)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154) 역시 컵 홀더 커버(104)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커버(154)는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 커버(104)의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되고, 컵 홀더 커버(10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이 형성됨으로써, 컵 홀더 커버(104)가 열린 상태에 있거나 닫힌 상태에 있든지 상관 없이 휴대 기기(90)를 수납하여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컵 홀더 장치
102 : 컵 홀더 102-1 : 컵 수납부
104 : 컵 홀더 커버 106 : 휴대 기기 수납부
108 : 무선 충전 모듈 110 : 자외선 조사부
112 : 이온 발생기 114 : 충전 상태 알림부
117 : 손잡이 홈 119 : 보조 수납부
121 : 안착홈 124 : 조명부
131 : 제1 안착홈 134 : 제2 안착홈
137 : 안착 돌기 141 : 힌지
151 : 제1 커버 154 : 제2 커버

Claims (21)

  1.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커버는,
    상기 컵 홀더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동작 시 차량 내부 구조물 내로 인입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상부를 차폐시키는, 컵 홀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온(ON) 동작 및 오프(OFF) 동작은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 동작과 상호 연동되는, 컵 홀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에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은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는, 컵 홀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는, 컵 홀더 장치.
  9.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의 일측 또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힌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휴대 기기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컵 홀더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안착부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는, 컵 홀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안착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휴대 기기 안착부;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휴대 기기 안착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안착부에 안착된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외선 차단 커버인, 컵 홀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상호 연동되는, 컵 홀더 장치.
  17.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충전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8.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컵 홀더 장치.
  2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2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KR1020130112107A 2013-03-20 2013-09-17 컵 홀더 장치 KR10208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07A KR102081718B1 (ko) 2013-09-17 2013-09-17 컵 홀더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07A KR102081718B1 (ko) 2013-09-17 2013-09-17 컵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80A KR20150032080A (ko) 2015-03-25
KR102081718B1 true KR102081718B1 (ko) 2020-02-26

Family

ID=5302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107A KR102081718B1 (ko) 2013-03-20 2013-09-17 컵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5611B2 (en) 2015-05-15 2017-08-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709869B1 (ko) * 2015-05-15 2017-0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09868B1 (ko) * 2015-05-15 2017-0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US10069325B2 (en) 2015-06-12 2018-09-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ceiver wireless charging and support device
KR101701054B1 (ko) * 2015-06-12 2017-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698293B1 (ko) * 2016-04-14 2017-01-19 정종석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DE102020214529A1 (de) * 2020-11-18 2022-05-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esinfektion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mit wenigstens einer Desinfektions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70A (ja) * 2001-08-28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給電機器
CN103171477A (zh) * 2012-12-20 2013-06-26 浙江大学 车载无线加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002A (ko) 2005-09-14 2007-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KR101013869B1 (ko) * 2009-06-26 2011-02-14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전기자동차용 비접촉식 충전장치
KR20120085980A (ko) * 2011-01-25 2012-08-02 이승택 보청기용 무접점 충전기
KR20130000246A (ko) * 2011-06-22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무선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70A (ja) * 2001-08-28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給電機器
CN103171477A (zh) * 2012-12-20 2013-06-26 浙江大学 车载无线加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80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US10186884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984621B2 (en) Access control apparatus
US9960800B2 (en) Cradle assembly for vehic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mobile terminal
JP6074744B2 (ja) 車載用充電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車両
KR102045078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CN107534111A (zh) 电池包
KR101701054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50084210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US20220123568A1 (en) Wireless char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1502943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고정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센터 콘솔 조립체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208956093U (zh) 移动终端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JP3169528U (ja) 電気自動車用充電器収納ボックス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7152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200088986A (ko) 무선 충전기 및 무선 충전기를 포함하는 가구
KR20140126126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0527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0474359Y1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230009543A (ko) 물품 보관과 자외선 소독 기능 및 음료 온도조절 기능이 있는 복합 편리장치
KR20150069392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CN209855444U (zh) 智能锁及行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