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392A - 휴대 기기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392A
KR20150069392A KR1020130155736A KR20130155736A KR20150069392A KR 20150069392 A KR20150069392 A KR 20150069392A KR 1020130155736 A KR1020130155736 A KR 1020130155736A KR 20130155736 A KR20130155736 A KR 20130155736A KR 20150069392 A KR20150069392 A KR 20150069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charging
receiving groove
port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15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392A/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5006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충전 장치{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휴대 기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들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여부가 결정되나, 최근의 휴대 기기들은 그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휴대 기기까지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를 고려하지 않아 휴대 기기가 제대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였을 때 휴대 기기가 제 위치를 벗어나 무선 충전이 안되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 수납홈에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힌지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휴대 기기 지지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을 개폐시키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에 의해 압력을 받아 일측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수납홈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부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가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1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유선 충전 포트에 상기 휴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2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가능 여부를 소리로 알려주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을 개폐시키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에 의해 압력을 받아 일측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홈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힌지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휴대 기기 지지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부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가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1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유선 충전 포트에 상기 휴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2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가능 여부를 소리로 알려주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기기 수납홈에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휴대 기기가 휴대 기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위치 고정 수단을 통해 휴대 기기의 위치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휴대 기기 수납홈 입구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서, 수납홈 커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홈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충전 모듈(104),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 삽입 깊이 조절부(108), 자외선 조사부(110), 이온 발생부(112), 소음 방지 패드(114), 제 1 조명부(116), 스피커(118), 제 2 조명부(120) 및 수납홈 커버(122)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300)란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구조물(미도시)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된 경우, 휴대 기기(300)를 용이하게 빼내기 위해 휴대 기기(30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단에는 수납홈 커버(122)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홈 커버(122) 없이 일단이 항상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수납홈 커버(122)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충전 모듈(104)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300)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충전 모듈(104)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충전 모듈(104)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 수납된 휴대 기기(3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모듈(104)에는 예를 들어, 1차 코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기기(300)에는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충전 모듈(104)의 1차 코일과 휴대 기기(300)의 2차 코일은 유도 결합에 의해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전 모듈(104)은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휴대 기기(300)를 무선 충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충전 모듈(104)의 충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공진 방식 등)으로 휴대 기기(30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휴대 기기(300)가 충전 모듈(104)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고정부(106a) 및 가압부(106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6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가압부(106b)의 일단과 연결된다. 고정부(106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300)를 사이에 두고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양 내측벽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06a)는 일측에 힌지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압부(106b)가 고정부(106a)의 힌지 스프링과 연결되어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가압부(106b)는 고정부(106a)와 결합되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여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가압부(106b)는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106b)는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106b)는 고정부(106a)의 힌지 스프링과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06b)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등의 스프링이 될 수 있다. 가압부(106b)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가압부(106b)의 일측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300)들은 그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충전 모듈(104)의 위치가 고정된 경우 각 휴대 기기(30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충전 모듈(104)로부터의 휴대 기기(300)까지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300)의 2차 코일의 위치가 충전 모듈(104)의 1차 코일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휴대 기기(300)가 제대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의 가압부(106b)가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휴대 기기(300)는 충전 모듈(104)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300)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휴대 기기(300)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가 휴대 기기(30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정중앙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휴대 기기(300)의 가이드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코일(104)의 위치 및 휴대 기기(30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300)를 충전 모듈(104)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정중앙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휴대 기기(300)를 사이에 두고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양 내측벽 각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휴대 기기(300)의 양측에 좀 더 많은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휴대 기기(30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측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즉,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충전 모듈(104)의 위치 및 휴대 기기(30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휴대 기기(30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정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타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의 위치 및 개수는 실시예들에 불과하며, 충전 코일(104)의 위치, 휴대 기기(300)의 종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의 가압부(106b)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 깊이 조절부(108)는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는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300)들의 종류에 따라 휴대 기기(300)의 길이 또한 다양하므로,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휴대 기기(300)의 위치 또한 가이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삽입 깊이 조절부(108)를 통해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휴대 기기(300)의 길이 방향에서 휴대 기기(300)가 충전 모듈(104)에서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삽입 깊이 조절부(108)는 휴대 기기 지지부(108a) 및 탄성 부재(108b)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8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부에서 휴대 기기(300)의 하단을 지지하며, 휴대 기기(30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휴대 기기(300)의 하단이란 휴대 기기(300)를 길이 방향으로 세웠을 때 하측 부분을 의미한다. 휴대 기기 지지부(108a)는 편평한 판 형상으로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300)의 하단을 지지한다. 휴대 기기 지지부(108a)에는 충격 방지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 방지 패드를 통해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지지부(108a)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방지 패드는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부재(108b)는 휴대 기기 지지부(108a)의 하단을 탄성 지지한다. 탄성 부재(108b)는 휴대 기기 지지부(108a)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08b)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108b)가 휴대 기기 지지부(108b)를 하단에서 탄성 지지하므로, 휴대 기기 지지부(108b)는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 및 탄성 부재(108b)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30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탄성 부재(108b)가 압축되면서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삽입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압축된 탄성 부재(108b)가 이완되면서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인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08a)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부의 일측에는 걸림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08a)는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게 되어 고정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압축된 탄성 부재(108b)가 이완되면서 휴대 기기 지지부(108b)의 상기 걸림 돌기에서의 고정이 해제되어 휴대 기기(30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기기(300)의 길이가 비교적 긴 경우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30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휴대 기기(300)의 삽입 깊이를 깊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기기(300)와 충전 모듈(104)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휴대 기기(300)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휴대 기기(300)에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휴대 기기(300)를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300)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지지부(108a)는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휴대 기기(300)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부는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휴대 기기 지지부(108a)의 일면에 삽입되거나 돌출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부는 내부에 힌지(미도시), 레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아 휴대 기기(300)의 삽입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08a)의 일면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부가 돌출되어 휴대 기기(30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지지부(108a)가 휴대 기기(300)의 하단으로부터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아 휴대 기기(300)의 인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08a)의 일면에 돌출되어 있던 잠금부가 다시 휴대 기기 지지부(108a)의 일면으로 삽입하여 휴대 기기(3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잠금부가 휴대 기기(30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하는 방식 및 삽입 깊이 조절부(108)의 작동 방식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볼펜의 상단 부분을 누름에 따라 볼펜심이 외부로 돌출되고 다시 한번 볼펜 상단을 누를 경우 볼펜심이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기어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잠금부가 휴대 기기(300)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킴으로써 휴대 기기(30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수납홈 커버(12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을 개폐시키는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단에는 수납홈 커버(122)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 커버(12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에 압력을 받아 일측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의 (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이 수납홈 커버(122)에 의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휴대 기기(300)의 삽입에 따라 수납홈 커버(122)의 일측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 커버(122)는 고정부(122a) 및 가압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2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122b)의 일단과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122a)는 가압부(122b)의 일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122b)는 고정부(122a)와 결합되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300)의 일면을 가압하여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부(122b)가 휴대 기기(300)로부터 압력을 받는 과정에서, 가압부(122b) 일측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휴대 기기(300)의 일면과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면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가압부(122b)가 휴대 기기(300)로부터 압력을 받는 과정에서 가압부(122b)의 일측이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부(122a)는 가압부(122b)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할 수 없도록 일측에 걸림 돌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압부(122b)는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30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300)를 살균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30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온 발생부(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부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이온 발생부(112)는 이온 발생기(112a) 및 송풍팬(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2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이온 및 음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112b)은 이온 발생기(112a)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12b)은 이온 발생기(112a)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을 전방, 즉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300)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를 통해 빠져나간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즉, 이온 발생기(112a)에서 발생시킨 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살균하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온 발생기(112a) 및 송풍팬(112b)은 차량 내 오염 정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112a) 및 송풍팬(112b)은 차량 내 오염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음 방지 패드(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기기(300)의 삽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소음 방지 패드(114)는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벽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소음 방지 패드(114)는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2) 입구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제 1 조명부(116)는 충전 모듈(104)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300)의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충전 모듈(104)은 휴대 기기(3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 기기(30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30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는 휴대 기기(300)의 위치, 즉 휴대 기기(300)가 충전 모듈(104)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휴대 기기(300)와 충전 모듈(104) 간의 간격 또는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휴대 기기(300)의 무선 충전이 어려울 수 있다.
제 1 조명부(116)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300)가 충전 모듈(104)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경우(즉,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 1 조명부(116)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300)가 충전 모듈(104)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를 벗어나 있어 무선 충전이 어려운 경우(즉, 충전 불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 1 조명부(116)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제 1 조명부(116)는 반복적으로 점멸하여 충전 가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30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또는 색 온도 레벨이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300)의 착신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300)의 착신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휴대 기기(300)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의 변화를 통해 휴대 기기(300)의 착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300)의 착신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휴대 기기(300)의 착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300)가 문자, 전화 등을 수신하여 착신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 1 조명부(116)는 노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300)의 착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만, 제 1 조명부(116)가 휴대 기기(300)의 착신 여부를 표시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300)의 착신 신호에 따라 밝기 레벨 또는 색 온도 레벨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기기(300)의 착신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스피커(118)는 충전 모듈(104)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스피커(118)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음을 출력하여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조명부(116) 및 스피커(118)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조명부(116) 또는 스피커(118)만 동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스피커(118)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구비되는 유선 충전 포트(미도시)에 휴대 기기(30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음을 출력하여 휴대 기기(300)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조명부(120) 및 스피커(118)는 유선 충전 포트(미도시)에 휴대 기기(30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조명부(120) 또는 스피커(118)만 동작할 수도 있다.
제 2 조명부(120)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구비되는 유선 충전 포트(미도시)에 휴대 기기(30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휴대 기기(300)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충전 포트는 예를 들어, USB 포트일 수 있다. 제 2 조명부(120)는 예를 들어, 유선 충전 포트에 휴대 기기(300)가 연결되는 경우 주황색의 빛을 발생시켜 유선 충전이 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유선 충전 포트에서 휴대 기기(300)가 분리되는 경우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유선 충전이 되고 있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 2 조명부(120)는 휴대 기기(300)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또는 색 온도 레벨이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2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와 비교하여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구성만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수납홈 커버(206)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수납홈 커버(2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가이드부(106)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납홈 커버(2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로부터 압력을 받아 일측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수납홈 커버(206)는 휴대 기기(300)가 충전 모듈(104)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 커버(206)는 고정부(206a) 및 가압부(206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06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압부(206b)의 일단과 연결된다. 고정부(206a)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300)를 사이에 두고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06a)는 가압부(206b)의 일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206b)는 고정부(206a)와 결합되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여 휴대 기기(30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30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부(206b)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후,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경우 가압부(206b)는 휴대 기기(300)로부터 압력을 받아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206b)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206b)는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압부(206b)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등의 스프링이 될 수 있다. 가압부(206b)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가압부(206b)의 일측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수납홈 커버(20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휴대 기기(300)가 충전 모듈(104)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여기서는 수납홈 커버(206)가 휴대 기기(30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정중앙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휴대 기기(300)의 가이드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코일(104)의 위치 및 휴대 기기(30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수납홈 커버(20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양측에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납홈 커버(206)의 위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200)에서, 수납홈 커버(206)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납홈 커버(206)는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휴대 기기(30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측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즉, 수납홈 커버(206)는 충전 모듈(104)의 위치 및 휴대 기기(30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정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휴대 기기(300)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홈 커버(2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수납홈 커버(206)의 위치 및 개수는 실시예들에 불과하며, 충전 코일(104)의 위치, 휴대 기기(300)의 종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수납홈 커버(206)의 가압부(206b)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홈(102)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의 대시 보드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①, ②, ③, ④).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의 센터 페시아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⑤, ⑥).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콘솔 박스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⑦).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앞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⑧).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뒷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⑨).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앞 좌석의 시트 백에 설치될 수 있다(⑩). 그러나, 휴대 기기 수납홈(102)이 설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02 : 휴대 기기 수납홈
104 : 충전 모듈
106 : 휴대 기기 가이드부
106a, 122a, 206a: 고정부
106b, 122b, 206b: 가압부
108 : 삽입 깊이 조절부
108a : 휴대 기기 지지부
108b : 탄성 부재
110 : 자외선 조사부
112 : 이온 발생부
112a : 이온 발생기
112b : 송풍팬
114 : 소음 방지 패드
116 : 제 1 조명부
118 : 스피커
120 : 제 2 조명부
122, 206 : 수납홈 커버
200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00 : 휴대 기기

Claims (37)

  1.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힌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휴대 기기 지지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휴대 기기 충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을 개폐시키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에 의해 압력을 받아 일측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수납홈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가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1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유선 충전 포트에 상기 휴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2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가능 여부를 소리로 알려주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0.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을 개폐시키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에 의해 압력을 받아 일측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홈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충전 모듈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힌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휴대 기기 지지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가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듈의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1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가능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유선 충전 포트에 상기 휴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해주는 제 2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가능 여부를 소리로 알려주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7. 제20항에 있어서,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130155736A 2013-03-20 2013-12-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150069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736A KR20150069392A (ko) 2013-12-13 2013-12-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736A KR20150069392A (ko) 2013-12-13 2013-12-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92A true KR20150069392A (ko) 2015-06-23

Family

ID=5351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736A KR20150069392A (ko) 2013-03-20 2013-12-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3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78A (ko) * 2017-09-14 2019-03-22 (주)에스와이폴리텍 멀티탭용 케이스
EP4142103A1 (en) * 2021-08-24 2023-03-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holder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78A (ko) * 2017-09-14 2019-03-22 (주)에스와이폴리텍 멀티탭용 케이스
EP4142103A1 (en) * 2021-08-24 2023-03-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hold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7113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KR20190115962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JP2014131472A (ja) 誘導結合コンソール
US12046937B2 (en) Wireless char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160043199A (ko) 블루투스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50069392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US11240584B2 (en) Earphone systems
KR20150050334A (ko)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50094961A (ko)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
CN105191264B (zh) 具有配件接口的便携式无线电设备
KR20150076517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TW200709716A (en) Earphone and speaker module for earphone
KR2016000717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7152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80129186A (ko) 휴대폰의 거치위치를 조정하는 무선 충전 거치대
KR2015012822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126126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028764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131587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118444B1 (ko)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