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764A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764A
KR20160028764A KR1020140117706A KR20140117706A KR20160028764A KR 20160028764 A KR20160028764 A KR 20160028764A KR 1020140117706 A KR1020140117706 A KR 1020140117706A KR 20140117706 A KR20140117706 A KR 20140117706A KR 20160028764 A KR20160028764 A KR 2016002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unit
housing
indicato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4011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764A/ko
Publication of KR2016002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내부에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 주변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및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수납 장치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는 휴대 기기가 수납된 위치를 찾기 위해 차량 실내 조명등을 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826호(2013.06.05)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수납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내부에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주변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조명,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차량 내부의 조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검출하는 착신 상태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하우징부 내로 다시 수납되기까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무선 충전부가 수신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응답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의 응답 신호는,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로 감지하거나 상기 휴대 기기의 응답 신호에 따른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동작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되고 오프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부의 일면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휴대 기기와 대향하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타면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타면의 열을 방열하는 금속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며, 스크래치 방지 코팅층이 마련되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내면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휴대 기기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 포켓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입구 측으로 상기 내부 포켓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 포켓이 걸림되어 고정되거나 걸림 해제되어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시 인디케이터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가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 실내 조명등을 켜지 않아도 휴대 기기의 수납된 위치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가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기기가 수납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하우징부의 외측에 무선 충전부와 밀착 또는 접촉되도록 금속 케이스를 마련함으로써,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부 또는 금속 케이스에 전자파 차폐부를 마련함으로써,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의 수납 시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부 내에서 휴대 기기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가 무선 충전부의 전력 송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여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부의 내부에 별도의 내부 포켓을 마련하고, 내부 포켓을 하우징부의 입구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하우징부의 내부(즉, 내부 포켓)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물질을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고, 상태 알림부를 통해 휴대 기기의 충전 및 착신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 기기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위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하우징부 내부에 내부 포켓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의 센터 터널에 장착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휴대 기기 수납홈(104), 자외선 조사부(106), 입구 커버(108), 위치 고정부(110), 보호 부재(112), 무선 충전부(114), 조명부(116), 알림부(118) 및 유선 접속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부 구조물, 예를 들어 센터 콘솔, 센터페시아,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탁자, 식탁, 테이블, 책상 등과 같은 실내 구조물 등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휴대 기기(5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울림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휴대 기기(50)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증대시킬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휴대 기기(50)의 크기보다 두 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화 착신 알림음, 문자 착신 알림음 등의 소리를 증폭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재질은 예를 들어, 나무,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상술한 차량 내부의 구조물(또는 하우징부(102)) 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화면 일부를 볼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에는 입구 커버(108)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및 인출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에는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에 탄성 부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은 솜, 고무, 실리콘, 스프링, 용수철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흔들리거나 급정거하는 등의 경우에도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에 충격이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휴대 기기(50)를 수납 및 충전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 내면은 쿠션 역할을 수행한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한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예를 들어,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무선 충전부(114)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6)는 무선 충전부(114)와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자외선 조사부(106)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에 반응하여 살균 물질을 발생시키는 광 촉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촉매부는 광 촉매(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산화텅스텐 등) 물질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물질이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가 생성된다.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오염 물질을 산화 분해시켜 휴대 기기(50)를 살균하게 된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즉,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개방된 전단)에 형성된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108)의 일측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측 하우징부(102)에서 힌지(108-1)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50)의 수납 시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서 인출되는 경우,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닫게 된다. 여기서, 힌지(108-1)는 휴대 기기(5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입구 커버(108)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108-1)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의 전부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는 입구 커버(108)에 의해 닫힐 수 있다.
한편, 입구 커버(108)는 자외선 차단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한다. 이때, 입구 커버(108)의 자외선 차단 물질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의 자외선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은 예를 들어,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위치 고정부(110)는 예를 들어, 입구 커버(108)의 면들 중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가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부(110)는 힌지(108-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고정부(110)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바닥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에 형성되어 휴대 기기(50)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로 삽입되어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부재(112)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 등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어느 곳이나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112)는 패드 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부재(112) 또는 돌기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112) 또는 돌기는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면에 도포 또는 코팅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한다. 무선 충전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또는 하우징부(10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4)는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4)는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력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114)는 전력 송신부의 전력 방사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16)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명부(11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명부(116)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의 변화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14) 또는 유선 충전부(12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16)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16)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6)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부(116)는 무선 충전부(114) 또는 유선 충전부(12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조명부(116)는 후술할 안테나(130)와 연동하여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표시하도록 동작 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부(116)는 차량의 도어(door) 개방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휴대 기기(50)의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의 수납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가 차량 내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차량 내에 놓고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명부(116)는 무선 충전부(114)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114)의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50)로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조명부(116)는 무선 충전부(114)의 전력 송신부가 수신하는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16)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도 있다. 조명부(116)는 후술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일부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알림부(118)는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휴대 기기(50)의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의 수납 여부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부(116)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조명부(116)와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고,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유선 접속부(120)는 휴대 기기(50)와 유선 접속되어 휴대 기기(50)를 충전시킨다. 유선 접속부(120)는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선 접속부(120)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접속부(12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인근의 차량 내부 구조물(미도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120)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20)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형성되므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116) 및 알림부(11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자외선 조사부(106)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50)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되거나 또는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에어 홀(122), 이온 발생기(124), 송풍팬(126), 전자파 차폐부(128), 및 안테나(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 내에 송풍팬(126)이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의 에어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홀(122)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송풍팬(126)은 바람을 발생시키며, 에어홀(122)은 송풍팬(126)이 발생시킨 바람을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배출한다. 즉, 송풍팬(126)은 에어홀(122)을 통해 휴대 기기(50)로 바람을 배출함으로써 휴대 기기(50)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내 송풍팬(126) 근처에는 이온 발생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24)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이온 발생기(12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과 송풍팬(1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24)에서 발생된 이온은 에어 홀(122)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온 발생기(124)에서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24) 이외에 오존 발생기(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살균부는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자외선 조사부(106), 광 촉매 물질, 이온 발생기(124), 및 오존 발생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살균부는 자외선, 광 촉매 물질, 이온, 및 오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내에는 전자파 차폐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28)는 무선 충전부(114)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면서 무선 충전부(114)에서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무선 충전부(114)의 일면 측에 휴대 기기(50)가 위치하는 경우, 전자파 차폐부(128)는 하우징부(102)에서 무선 충전부(114)의 타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 내에는 전자파 차폐부(128-1, 128-2)가 여러 개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자파 차폐부(128-1, 128-2)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파 차폐부(128)라는 별도의 구성 없이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자체(일부 또는 전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는 전자파 차단 섬유 또는 전자파 차단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물질은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전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안테나(130)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하거나 휴대 기기(50)와 무선 통신한다. 안테나(130)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30)는 예를 들어, 2G 통신의 경우 800MHz 또는 18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3G 통신의 경우 21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130)는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가 전화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와이파이(2.4 GHz) 등)의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위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깊이 방향(즉,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실리콘 부재, 우레탄 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일측에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타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의 종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타측에서 이격되어 마련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탄성 재질의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종단부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가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의 종단부는 하부로 절곡(즉,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가압하기 때문에, 휴대 기기(50)가 바깥으로 빠지지 않고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3개의 위치 고정부(11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 내측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위치 고정부(110)의 개수 및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양 내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모션 감지부(142), 인디케이터(144), 착신 상태 감지부(146), 수납 감지부(148), 전원 공급부(150), 전원 스위칭부(152), 및 전원 차단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감지부(142)는 하우징부(102) 또는 하우징부(102) 인근의 차량 내부 구조물에 마련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142)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감지부(142)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인디케이터(144)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인디케이터(144)는 모션 감지부(142)에 의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144)는 모션 감지부(142)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 실내가 어두우면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찾기 어려워지게 되는 바, 인디케이터(144)를 통해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인디케이터(144)는 조명부(144-1), 알림부(144-2), 및 진동부(144-3)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44-1)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시 동작되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조명부(144-1)는 하우징부(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향하여 빛을 조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144-1)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인근의 차량 내부 구조물에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측으로 빛을 조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조명부(144-1)는 차량 내부의 조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어 동작될 수 있다. 조명부(144-1)는 앞에서 설명한 조명부(116)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16)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알림부(144-2)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시 동작되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를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알림부(144-2)는 하우징부(102) 또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알림부(144-2)는 앞에서 설명한 알림부(118)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림부(118)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진동부(144-3)는 조명부(144-1)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시 동작되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를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다. 진동부(144-3)는 하우징부(102)에 마련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44)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즉,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조명,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인디케이터(144)는 모션 감지부(142)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수납 여부에 따라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움직임 감지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경우에만 동작하여 휴대 기기(50)의 수납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휴대 기기(50)가 수납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50)의 수납 여부는 수납 감지부(148)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착신 상태 감지부(146)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착신 상태 감지부(146)는 앞에서 설명한 안테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착신 상태 감지부(146)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예를 들어, 전화 착신 신호, 문자 메시지 수신, SNS 수신, 이메일 수신 등)가 감지되는 경우, 착신 감지 신호를 인디케이터(144)로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인디케이터(144)는 조명,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144)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수납 감지부(148)는 하우징부(102)의 휴대 기기(50) 수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에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경우, 수납 감지부(148)는 휴대 기기 수납 신호를 인디케이터(144)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에서 휴대 기기(50)가 이탈된 경우, 수납 감지부(148)는 휴대 기기 이탈 신호를 인디케이터(144)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인디케이터(144)는 휴대 기기의 수납 상태를 조명,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수납 감지부(148)는 무선 충전부(114)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114)의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50)로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수납 감지부(148)는 무선 충전부(114)의 전력 송신부가 수신하는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는 무선 충전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선 케이블로 감지할 수도 있고,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에 따른 전자기파를 검출함으로써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 감지부(148)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무게 센서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50)가 하우징부(102)에서 이탈되는 경우, 인디케이터(144)의 조명부(144-1)는 휴대 기기(50)가 하우징부(102) 내로 다시 수납될때까지 점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144-1)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측으로 빛을 조명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차량 실내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휴대 기기(50)를 다시 하우징부(102)로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디케이터(144)는 차량의 시동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때, 인디케이터(144)는 차량 ECU(Engine Control Unit)(10)으로부터 차량의 시동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경우, 인디케이터(144)가 동작되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인디케이터(144)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된 후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리기 전에 휴대 기기(50)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여 휴대 기기(50)를 잊지 않고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전원 공급부(150)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차량 배터리(50)와는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이다. 즉, 전원 공급부(150)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자체 전원 공급 수단이다. 전원 공급부(150)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지(미도시) 및 광전지에 의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태양광 또는 차량 내부의 전등에서 발생되는 빛 등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부(150) 및 차량 배터리(2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의 시동이 온(ON) 된 경우, 차량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부(150)는 충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된 경우, 전원 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자체 전원으로 동작하게 된다.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 ECU(10)의 차량 시동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의 시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54)는 차량 배터리(2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시동이 온(ON) 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칭부(152)가 차량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전원 차단부(154)가 차량 배터리(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차량 배터리(20)의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이하가 되는 경우, 차량 배터리(2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차량 배터리(2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 실내가 어두운 경우, 탑승자는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곳의 대략적인 방향은 알 수 있으나, 그 정확한 위치를 알기는 어렵게 된다(도 6의 (a)). 이때, 탑승자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인근에서 손을 움직이면, 모션 감지부(142)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인디케이터(144)로 움직임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인디케이터(144)는 조명부(144-1)를 동작시켜 하우징부(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도 6의 (b)). 이 경우, 사용자는 간단한 손 움직임만으로도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조명부(144-1)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동작한 후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휴대 기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수평하게 놓여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자세에 따라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휴대 기기 수납홈(104), 자외선 조사부(106), 입구 커버(108), 위치 고정부(110), 보호 부재(112), 무선 충전부(114), 및 금속 케이스(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서 휴대 기기(50)가 안착되는 면(도 6에서는 하우징부(102)의 내부 바닥면)에는 걸림 돌기(161)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161)는 하우징부(102)의 후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하우징부(102)의 내부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후단이 걸림 돌기(161)에 걸림되면서 안착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 바닥면에는 제1 관통부(163) 및 제2 관통부(16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관통부(163) 및 제2 관통부(165)는 하우징부(102)를 관통하며 마련된다.
무선 충전부(114)는 하우징부(102)에 마련된다. 무선 충전부(114)는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114)는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력 송신부(114a)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114a)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4)는 전력 송신부(114a)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114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력 송신부(114a)는 제1 관통부(16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송신부(114a)의 일면은 하우징부(102)의 내면에서 휴대 기기(50)와 대면하게 된다. 그리고, 전력 송신부(114a)의 타면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전력 송신부(114a)의 타면에는 제1 걸림부(167)가 양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67)는 하우징부(102)의 외면에 걸림된다.
충전 제어부(114b)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메인 보드(170)에 마련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14a) 및 충전 제어부(114b)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보드(170)에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전자 부품 및 회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메인 보드(170)는 제2 관통부(16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보드(170)의 일면은 하우징부(102)의 내면에서 휴대 기기(50)와 대면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보드(170)의 타면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메인 보드(170)의 타면에는 제2 걸림부(169)가 양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69)는 하우징부(102)의 외면에 걸림된다.
금속 케이스(160)는 하우징부(102)의 외측에 마련된다. 금속 케이스(160)는 하우징부(102)의 외면에 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160)는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금속 케이스(160)는 하우징부(102)의 외측에서 하우징부(102)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160)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케이스(160)는 외부로 노출된 전력 송신부(114a)의 타면 및 메인 보드(170)의 타면과 접촉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102)에 제1 관통부(163) 및 제2 관통부(165)를 마련하고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를 각각 제1 관통부(163) 및 제2 관통부(165)에 삽입하여 장착시킴으로써,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가 금속 케이스(160)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게 된다.
금속 케이스(160)는 결합 부재(161)를 통해 하우징부(102)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61)는 하우징부(102)의 상측 및 하우징부(102)의 하측에서 각각 금속 케이스(160)와 하우징부(102)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161)는 하우징부(102)의 하측의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와 인접한 위치에서 금속 케이스(160)와 하우징부(10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는 각각 제1 걸림부(167) 및 제2 걸림부(169)에 의해 하우징부(102)의 외면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와 인접한 위치에서 결합 부재(161)를 통해 금속 케이스(160)와 하우징부(102)를 결합시키면, 전력 송신부(114a)의 타면 및 메인 보드(170)의 타면을 금속 케이스(160)와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와 더불어, 별도의 고정 수단(또는 결합 수단) 없이도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를 하우징부(102)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 부재(161)는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의 각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보드(170)는 메탈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메인 보드(170)는 메탈 재질의 베이스, 베이스의 상면에 마련되는 절연층, 및 절연층 상에 마련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 재질의 베이스의 하면이 메인 보드(170)의 타면일 수 있다. 메탈 재질의 베이스의 하면이 금속 케이스(160)와 접촉하게 된다.
송풍팬(126)은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126)은 무선 충전부(114)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송풍팬(126)은 무선 충전부(114)의 동작과 함께 동작되어 하우징부(102)의 내부 공간으로 바람을 불어 보낼 수 있다. 이때, 송풍팬(126)은 전력 송신부(114a) 및 메인 보드(17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는, 송풍팬(126)이 무선 충전부(114)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팬(126)은 무선 충전부(114)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메인 보드(17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별도의 내부 포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부 포켓(미도시)은 하우징부(102)의 입구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하우징부 내부에 내부 포켓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내부 포켓 및 내부 포켓의 인출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내부 포켓(172)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 포켓(172)의 일측(즉,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향하는 측)은 개방되어 마련된다. 내부 포켓(172)은 하우징부(102)의 내부 수납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입구로 삽입되는 휴대 기기(50)는 그 일부가 내부 포켓(172)에 수납되게 된다. 내부 포켓(172)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이 마련된다.
내부 포켓(172)은 하우징부(102)의 입구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통해 동전 또는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이물질은 내부 포켓(172)의 수납 공간(S)에 수납되게 된다. 이때, 이물질은 대부분 내부 포켓(172)의 내측 깊숙한 곳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구조물(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내부 포켓(172) 내부의 이물질을 꺼내기가 쉽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별도의 내부 포켓(172)을 마련하고, 내부 포켓(172)을 하우징부(102)의 입구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내부 포켓(172)의 내부에 이물질이 수납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꺼내도록 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74)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서 내부 포켓(172)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74)는 하우징부(102)의 입구 측(즉, 내부 포켓(172)의 일측 방향)으로 내부 포켓(17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 부재(174)로는 예를 들어,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부(176)는 하우징부(102)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부(176)는 하우징부(102)의 내벽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부(176)는 스토퍼(176-1), 제2 탄성 부재(176-2), 및 수납홈(17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홈(176-3)은 하우징부(102)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76-1)는 수납홈(176-3)에서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76-1)의 인출 및 인입 방향은 내부 포켓(172)의 인출 및 인입 방향과 수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76-2)는 수납홈(176-3) 내에서 스토퍼(176-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76-2)는 하우징부(102)의 내부 방향(즉, 스토퍼(176-1)의 인출 방향)으로 스토퍼(176-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76-1)의 일단에는 스토퍼(176-1)가 수납홈(176-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176a)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76-1)가 하우징부(102)의 내벽에서 인출되는 경우, 내부 포켓(172)의 일단(즉, 내부 포켓(172)의 개방된 단부)이 스토퍼(176-1)에 걸림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내부 포켓(172)의 타측에 마련된 제1 탄성 부재(174)는 수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내부 포켓(172)의 내부에 이물질(미도시)이 유입된 경우, 사용자는 스토퍼(176-1)를 눌러 스토퍼(176-1)를 하우징부(102)의 내벽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76-1)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조작할 수 있는 위치(즉, 하우징부(102)의 입구와 인접한 하우징부(102)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스토퍼(176-1)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면서 제1 탄성 부재(174)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 포켓(172)이 하우징부(102)의 입구 측으로 인출되게 된다. 내부 포켓(172)은 일단부가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토퍼(176-1)는 내부 포켓(172)에 의해 눌러져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내부 포켓(172)을 다시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 제2 탄성 부재(176-2)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176-1)가 하우징부(102)의 내벽에서 인출되면서 내부 포켓(172)의 일단이 스토퍼(176-1)에 의해 다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스토퍼(176-1)에 의해 걸림되지 않는 내부 포켓(172)의 일단부는 하우징부(102)의 입구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내부 포켓(172)의 연장된 일단부를 통해 내부 포켓(172)을 스토퍼(176-1)에 의해 걸림되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별도의 내부 포켓(172)을 마련하고, 내부 포켓(172)을 하우징부(102)의 입구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하우징부(102)의 내부(즉, 내부 포켓(172))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물질을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하우징부
104 : 휴대 기기 수납홈
106 : 자외선 조사부
108 : 입구 커버
110 : 위치 고정부
112 : 보호 부재
114 : 무선 충전부
116 : 조명부
118 : 알림부
120 : 유선 접속부
122 : 에어 홀
124 : 이온 발생기
126 : 송풍팬
128 : 전자파 차폐 부
130 : 안테나
142 : 모션 감지부
144 : 인디케이터
146 : 착신 상태 감지부
148 : 수납 감지부
150 : 전원 공급부
152 : 전원 스위칭부
154 : 전원 차단부
160 : 금속 케이스
161 : 걸림 돌기
163 : 제1 관통부
165 : 제2 관통부
167 : 제1 걸림부
169 : 제2 걸림부
170 : 메인 보드
172 : 내부 포켓
174 : 제1 탄성 부재
176 : 스토퍼부

Claims (20)

  1. 내부에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주변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조명,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위치를 알려주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차량 내부의 조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어 동작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검출하는 착신 상태 감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하우징부 내로 다시 수납되기까지 점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무선 충전부가 수신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응답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의 응답 신호는,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로 감지하거나 상기 휴대 기기의 응답 신호에 따른 전자기파를 검출하여 감지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동작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위치를 알려주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되고 오프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의 일면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휴대 기기와 대향하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타면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타면의 열을 방열하는 금속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며, 스크래치 방지 코팅층이 마련되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 내면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휴대 기기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 포켓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 포켓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입구 측으로 상기 내부 포켓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내부 포켓이 걸림되어 고정되거나 걸림 해제되어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40117706A 2014-09-04 2014-09-04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028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06A KR20160028764A (ko) 2014-09-04 2014-09-04 휴대 기기 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06A KR20160028764A (ko) 2014-09-04 2014-09-04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64A true KR20160028764A (ko) 2016-03-14

Family

ID=5554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706A KR20160028764A (ko) 2014-09-04 2014-09-04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7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093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시스템
KR20210055352A (ko) * 2019-11-07 2021-05-17 데니스 아나톨예비치 필라트 배터리 충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886U (ko) 2012-04-26 2012-08-21 한국과학기술원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
KR20130058826A (ko) 2011-11-28 2013-06-05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센터 콘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826A (ko) 2011-11-28 2013-06-05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센터 콘솔
KR20120005886U (ko) 2012-04-26 2012-08-21 한국과학기술원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093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시스템
KR20210055352A (ko) * 2019-11-07 2021-05-17 데니스 아나톨예비치 필라트 배터리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427B2 (en) Privacy and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US9984844B2 (en) Switch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KR20160028764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102168950B1 (ko) 무선 충전기 및 무선 충전기를 포함하는 가구
KR101455343B1 (ko)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60039327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20160010972A (ko) 무선 충전 장치
KR101538036B1 (ko) 살균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트렁크용 수납함 어셈블리
KR2016000715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6000717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1739226B1 (ko) Uv살균램프가 구비되는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160010971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94961A (ko)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
KR102158366B1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036452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KR20140126126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12822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1965172B1 (ko) 살균소독기가 부착된 수납가구
KR20160118789A (ko) 단말기 수납 장치
WO2012035738A1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KR20150069392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