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366B1 -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366B1
KR102158366B1 KR1020130162055A KR20130162055A KR102158366B1 KR 102158366 B1 KR102158366 B1 KR 102158366B1 KR 1020130162055 A KR1020130162055 A KR 1020130162055A KR 20130162055 A KR20130162055 A KR 20130162055A KR 102158366 B1 KR102158366 B1 KR 10215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vehicle
device storage
storage devi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359A (ko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오명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16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366B1/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5007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
삭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알림부는,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 알림부는,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알림부는, 상기 조명부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유무를 알려주는 수납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상태 알림부는, 상기 전력 송신부가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안착홈은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 알림부로 전달하는 착신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 상태 감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시 발생하는 전파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서 빛을 반사시켜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표시해주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유무를 알려주는 수납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상태 알림부는, 상기 전력 송신부가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에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형성함으로써,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태 알림부를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를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기를 통해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휴대 기기의 수납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기기를 차량 내에 놓고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알림부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안착홈(104),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기(108), 자외선 조사부(110), 상태 알림부(112), 조명부(114), 및 유선 접속부(116)를 포함한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이 센터페시아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부 구조물(50)로는 예를 들어,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 하우징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하우징부(101) 없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휴대 기기(60)에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6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6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으로 삽입되어 수납되게 된다. 휴대 기기(6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된 경우, 휴대 기기(60)를 용이하게 빼내기 위해 휴대 기기(6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6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60)는 안착홈(104)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60)가 안착홈(104)에 안착되면서 휴대 기기(60)의 측면이 안착홈(104)의 내벽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6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안착홈(104)에는 보호 패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60)가 안착홈(104)에 안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6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서 휴대 기기(6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안착홈(104) 중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60)의 무선 충전 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118)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118)는 안착홈(104) 중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06)은 안착홈(10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6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6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 중 전력 송신부만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신부 및 충전 제어 회로가 모두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108)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발생기(108)는 휴대 기기(60)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발생시킨 이온을 휴대 기기(60)로 불어보내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6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홈(102)을 빠져나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서 깊은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6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6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6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태 알림부(112)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전원 상태, 무선 충전 모듈(106)의 동작 상태(즉, 휴대 기기(60)의 충전 상태),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상태,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 상태, 조명부(114)의 동작 상태, 및 유선 접속부(116)의 접속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각 구성들(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기(108), 자외선 조사부(110), 조명부(114) 등)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의 동작 지속 시간 및 진행 정도(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유선 접속부(116)를 통한 휴대 기기(60)의 충전 시 충전 진행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는 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및 SNS 메시지 수신(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12)는 하우징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태 알림부(11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중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인근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태 알림부(112)는 표시 알림부(112-1) 및 음성 출력 알림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1)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1)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들이 도안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1)에는 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전원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60)의 충전 상태 표시부(ⓑ)(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 상태 표시부(ⓒ),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 표시부(ⓔ) 등이 도안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1)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에 대응하는 도안화된 부분에 조명이 켜지는 것을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1)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에 대해 조명부(114)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알림부(112-2)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즉, 소리로 알려줌)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알림부(112)는 표시 알림부(112-1) 및 음성 출력 알림부(1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14)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명부(114)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명부(114)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114)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60)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6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1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6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1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6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114)는 표시 알림부(112-1)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4)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에 따라 표시 알림부(112-1)의 조명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변할 수 있다. 조명부(114)와 표시 알림부(112-1)는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14)와 표시 알림부(112-1)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동작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116)는 하우징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 인근의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116)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6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60)는 유선 접속부(116)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6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휴대 기기(6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6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형성함으로써,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태 알림부(112)를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및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6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기(108)를 통해 휴대 기기(60)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10)를 통해 휴대 기기(60)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60)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홈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104)은 제1 안착홈(104-1), 제2 안착홈(104-2), 및 제3 안착홈(10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안착홈(104)이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04)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60)들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60)는 제1 안착홈(104-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60)는 제2 안착홈(104-2)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60)는 제3 안착홈(104-3)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휴대 기기(60)가 안착홈(104)에 안착될 때 휴대 기기(60)의 세 측면이 안착홈(104)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은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의 하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04)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6)은 복수 개의 안착홈(104)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6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서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휴대 기기(6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별도의 하우징부 없이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내측에서 입구로 갈수록 수납 공간의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에는 반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120)는 빛을 반사시켜 사용자가 휴대 기기(60)의 표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휴대 기기(6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예를 들어, 메시지가 오거나 진동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온 경우 등)을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에 반사부(120)를 형성하면, 휴대 기기(60)와 반사부(120) 사이에서 빛이 반사되어 나오기 때문에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사부(120)가 형성된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태 알림부(112) 없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전단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커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반사부(12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부(12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부(12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의 일부(예를 들어, 안착홈(10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알림부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거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킨 경우), 표시 알림부(112-1)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전원 상태 표시부(ⓐ)에 조명이 켜지면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온(ON)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전원 상태 변화에 따라 조명부(114)가 온(ON) 동작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알림부(112-1) 및 조명부(114)는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12-1)의 조명 색상 및 조명부(114)의 조명 색상은 동일 색상(예를 들어, 빨간색)일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6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서 충전 중인 경우,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60)의 충전 중인 상태에 따라 조명 색상이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알림부(112-1)는 조명부(114)의 동작과 연동하여 조명부(114)와 동일한 색상(즉, 노란색)의 조명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알림부(112-1)의 휴대 기기(60)의 충전 상태 표시부(ⓑ)에 조명이 켜지면서 휴대 기기(60)의 충전 중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60)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60)의 충전 상태 변화(즉, 충전 완료)에 따라 조명 색상이 노란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알림부(112-1)의 조명 색상이 노란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되어 휴대 기기(60)의 충전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부(114)는 표시 알림부(112-1)와 연동하여 휴대 기기(60)의 충전 상태 표시부(ⓑ)와 동일한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60)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부(110)가 동작하여 휴대 기기(60)를 살균하는 경우, 조명부(114)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 변화(즉,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됨)에 따라 조명 색상이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알림부(112-1)는 조명부(114)의 동작과 연동하여 조명부(114)와 동일한 색상(즉, 파란색)의 조명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 상태 표시부(ⓒ)에 조명이 켜지면서 자외선 살균 중인 상태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기(108), 자외선 조사부(110), 상태 알림부(112), 조명부(114), 유선 접속부(116), 착신 상태 감지부(132), 배터리 방전 방지부(134), 및 수납 상태 알림부(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기(108), 자외선 조사부(110), 상태 알림부(112), 조명부(114), 및 유선 접속부(116)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착신 상태 감지부(132)는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SNS 메시지 수신 등)를 감지하여 상태 알림부(112)로 전달한다. 착신 상태 감지부(132)는 휴대 기기(60)가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발생하는 전파를 검출하여 휴대 기기(60)의 착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착신 상태 감지부(132)는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2G 통신의 경우 800MHz 또는 18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3G 통신의 경우 21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테나는 그 이외에 휴대 기기(60)가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와이파이(2.4 GHz) 등)의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착신 상태 감지부(132)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메인 보드 상에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방전 방지부(134)는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미도시)의 방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배터리(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 내 다른 기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때, 배터리 방전 방지부(134)는 상기 배터리(미도시)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방전 방지부(134)는 상기 배터리(미도시)의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미도시)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배터리(미도시)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 상태 알림부(136)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 휴대 기기(60)의 수납 유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60)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수납 상태 알림부(136)는 휴대 기기(60)가 차량 내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60)를 차량 내에 놓고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납 상태 알림부(136)는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휴대 기기(6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60)로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기기(6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수납 상태 알림부(136)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가 수신하는 휴대 기기(60)의 응답 신호를 통해 휴대 기기(6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 상태 알림부(136)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휴대 기기(60)의 수납 유무를 알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대시 보드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①, ②, ③, ④).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센터 페시아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⑤, ⑥).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콘솔 박스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⑦).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앞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⑧).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뒷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⑨).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앞 좌석의 시트 백에 설치될 수 있다(⑩).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암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다(⑪). 그러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수납홈
104 : 안착홈
106 : 무선 충전 모듈
108 : 이온 발생기
110 : 자외선 조사부
112 : 상태 알림부
112-1 : 표시 알림부
112-2 : 음성 출력 알림부
114 : 조명부
116 : 유선 접속부
118 : 보호 패드
120 : 반사부
132 : 착신 상태 감지부
134 : 배터리 방전 방지부
136 : 수납 상태 알림부

Claims (24)

  1.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유무를 알려주는 수납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알림부는,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음성으로 출력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태 알림부는,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알림부는, 상기 조명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태 알림부는,
    상기 전력 송신부가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안착홈은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 알림부로 전달하는 착신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착신 상태 감지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시 발생하는 전파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6.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서 빛을 반사시켜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를 표시해주는 반사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유무를 알려주는 수납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8. 삭제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태 알림부는,
    상기 전력 송신부가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응답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4.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유무를 알려주는 수납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162055A 2013-03-20 2013-12-24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15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55A KR102158366B1 (ko) 2013-12-24 2013-12-24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55A KR102158366B1 (ko) 2013-12-24 2013-12-24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59A KR20150074359A (ko) 2015-07-02
KR102158366B1 true KR102158366B1 (ko) 2020-09-21

Family

ID=5378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55A KR102158366B1 (ko) 2013-03-20 2013-12-24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4058B3 (de) * 2020-07-06 2021-12-02 Daimler Ag Ablagefach für ein Fahrzeug
FR3126940B1 (fr) * 2021-09-16 2023-12-15 Renault Sas dispositif de rangement d’un appareil multiméd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000A (ja) * 2001-11-27 2003-06-03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216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패널
KR100606389B1 (ko) * 2004-08-23 2006-08-02 백효정 이동통신 단말기용 살균/충전 장치
KR20070031002A (ko) 2005-09-14 2007-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KR20130000246A (ko) * 2011-06-22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무선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000A (ja) * 2001-11-27 2003-06-03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59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0919B (zh) 用于减少无线充电时的干扰的系统和方法
CN104145471B (zh) 用于动态地启用并控制通信设备上的通信链路优化的方法和装置
US9294601B2 (en) Illuminated cell phone case
KR101619594B1 (ko) 차량 도어 포켓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JPWO2012144222A1 (ja) 車載用充電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車両
CN103609094A (zh) 适于供模块附接的用于便携式设备的盖
KR102158366B1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103907335A (zh) 发光手机壳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154023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JP2013191960A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EP3186975A2 (en) Loudspeaker audio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device
CN109450020A (zh) 多功能充电宝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210127230A (ko) 스마트 세이프 콘솔 시스템 및 방법(smart safe console system and method)
US20090286144A1 (en) Battery case for carrying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AU2010202178A1 (en) Hands-free device in a vehicle
EP4272768A2 (en) Electronic device
KR20160028764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0527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104333917A (zh) 防丢4g无线路由器
KR20160036452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KR2016000717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