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527A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527A
KR20150030527A KR20130109915A KR20130109915A KR20150030527A KR 20150030527 A KR20150030527 A KR 20150030527A KR 20130109915 A KR20130109915 A KR 20130109915A KR 20130109915 A KR20130109915 A KR 20130109915A KR 20150030527 A KR20150030527 A KR 20150030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groove
wireless charging
seat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2013010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527A/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5003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및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수납 장치{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및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에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으로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크기 별로 안착홈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이 센터페시아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부 구조물(50)로는 예를 들어,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안착홈(104),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기(108), 입구 커버(110), 자외선 조사부(112), 및 충전 상태 알림부(114)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휴대 기기(90)에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S)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9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으로 삽입되어 수납되게 된다. 휴대 기기(9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삽입된 경우, 휴대 기기(90)를 용이하게 빼내기 위해 휴대 기기(9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9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90)는 안착홈(104)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90)가 안착홈(104)에 안착되면서 휴대 기기(90)의 측면이 안착홈(104)의 내벽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9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안착홈(104)에는 보호 패드(116)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6)는 휴대 기기(90)가 안착홈(104)에 안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9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1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서 휴대 기기(9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16)는 안착홈(104) 중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 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116)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116)는 안착홈(104) 중 무선 충전 모듈(106)이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06)은 안착홈(10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 중 전력 송신부만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신부 및 충전 제어 회로가 모두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108)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발생기(108)는 휴대 기기(90)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발생시킨 이온을 휴대 기기(90)로 불어보내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홈(102)을 빠져나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입구 커버(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에 형성된다. 입구 커버(110)는 힌지(110-1)를 통해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휴대 기기(9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으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내벽에 밀착하게 된다. 휴대 기기(9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서 인출되는 경우, 입구 커버(1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를 닫게 된다.
자외선 조사부(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2)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2)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2)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이 형성된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서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 근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된 정도에 따라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단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90)의 충전 완료 사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소리로도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홈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착홈(104)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104)은 제1 안착홈(104-1), 제2 안착홈(104-2), 및 제3 안착홈(10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안착홈(104)이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04)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90)들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1 안착홈(104-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2 안착홈(104-2)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3 안착홈(104-3)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입구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휴대 기기(90)가 안착홈(104)에 안착될 때 휴대 기기(90)의 세 측면이 안착홈(104)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은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의 하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04)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6)은 복수 개의 안착홈(104)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안착홈(104)에는 조명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1)는 안착홈(104)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21)는 안착홈(104)의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9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21)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121)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1)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1)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1)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안착홈(104)이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조명부(121)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104)이 제1 안착홈(104-1) 내지 제3 안착홈(104-3)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부(121)는 제1 안착홈(104-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조명부(121-1), 제2 안착홈(104-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조명부(121-2), 및 제3 안착홈(104-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조명부(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조명부(121-1, 121-2, 121-3)는 각 안착홈(104-1, 104-2, 104-3)들의 경계 부분(즉,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21)는 안착홈(104) 내에서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21)가 안착홈(104)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21)는 안착홈(10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21)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그 자체로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조명부(121)는 무선 충전 가능 영역(무선 충전 모듈(106)과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해주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1)는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발생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 가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거나 응답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1)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무선 충전 불가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1)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 내에서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휴대 기기(9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내측에서 입구로 갈수록 수납 공간(S)의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에는 반사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118)는 빛을 반사시켜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표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휴대 기기(9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에 수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상태(예를 들어, 메시지가 오거나 진동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온 경우 등)을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에 반사부(118)를 형성하면, 휴대 기기(90)와 반사부(118) 사이에서 빛이 반사되어 나오기 때문에 휴대 기기(90)의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반사부(118)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부(11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부(11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의 일부(예를 들어, 안착홈(10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 및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은 각각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상부면의 경사진 각도가 휴대 기기 수납홈(102)의 바닥면의 경사진 각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2)은 내측에서 입구로 갈수록 수납 공간(S)의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90)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으로 휴대 기기(90)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90)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90) 크기 별로 안착홈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121)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휴대 기기 수납홈 104 : 안착홈
106 : 무선 충전 모듈 108 : 이온 발생기
110 : 입구 커버 110-1 : 힌지
112 : 자외선 조사부 114 : 충전 상태 알림부
116 : 보호 패드 118 : 반사부
121 : 조명부

Claims (15)

  1.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 및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은,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안착홈은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충전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의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및 인출에 따라 회전되어 개폐되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상부면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바닥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30109915A 2013-03-20 2013-09-12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0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915A KR20150030527A (ko) 2013-09-12 2013-09-12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915A KR20150030527A (ko) 2013-09-12 2013-09-12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527A true KR20150030527A (ko) 2015-03-20

Family

ID=5302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915A KR20150030527A (ko) 2013-03-20 2013-09-12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05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8282A1 (de) * 2020-07-06 2022-01-13 Daimler Ag Ablagefach für ein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8282A1 (de) * 2020-07-06 2022-01-13 Daimler Ag Ablagefach für ein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US93395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US10128890B2 (en) Privacy and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03972947A (zh) 无线充电过程中指示充电状态的系统和方法
US896440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KR101619594B1 (ko) 차량 도어 포켓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
JP6074744B2 (ja) 車載用充電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車両
EP3626037B1 (en) Electronic device with heat radiation structure using audio device
TW201507573A (zh) 保護盒
CN103907335A (zh) 发光手机壳
US20180283624A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lighting devices
KR2015007152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30527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100381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158366B1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200088986A (ko) 무선 충전기 및 무선 충전기를 포함하는 가구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40126126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JP6843702B2 (ja) 充電口構造
KR20210127230A (ko) 스마트 세이프 콘솔 시스템 및 방법(smart safe console system and method)
CN207233109U (zh) 一种智能移动电源租凭柜
KR20160028764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008487A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US11316379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power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