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81A - 휴대 기기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81A
KR20140100381A KR1020130044270A KR20130044270A KR20140100381A KR 20140100381 A KR20140100381 A KR 20140100381A KR 1020130044270 A KR1020130044270 A KR 1020130044270A KR 20130044270 A KR20130044270 A KR 20130044270A KR 20140100381 A KR20140100381 A KR 2014010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unit
charging
portable
ultraviolet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4010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휴대 기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수단,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며,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이온 발생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이온 발생부, 및 이온 발생부가 발생시킨 이온을 하우징부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출구를 포함하는 이온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충전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기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이용하기 때문에 손에 묻은 세균 또는 이물질 등이 휴대 기기로 전달되어 휴대 기기가 오염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휴대 기기를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휴대 기기를 통해 병균을 옮길 수 있으므로, 휴대 기기를 살균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를 살균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휴대 기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수단;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며,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이온 발생부; 및 상기 이온 발생부가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출구를 포함하는 이온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휴대 기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수단;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자외선 조사부 주위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휴대 기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수단; 및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를 충전하면서 동시에 휴대 기기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주변 공간으로 음이온 및 양이온을 배출하여 주변 공간의 세균, 악취, 곰팡이 등을 살균 및 탈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조명부를 설치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의 밝기 레벨 또는 색 온도 레벨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의 충전 시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연결된 전력 공급원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모듈 또는 충전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켜 줌으로써, 휴대 기기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와 링크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중에도 휴대 기기 충전 장치 또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자동차 내부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형태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여기서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형태 및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휴대 기기 지지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부(108), 조명부(110), 커넥터부(112), 및 표시부(11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의 일측에 형성된다.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와 함께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는 이온 발생부(108) 및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보드(150)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4)는 하우징부(102)의 전면에서 하우징부(102)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지지부(104)는 하우징부(10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휴대 기기 지지부(104)는 하우징부(102)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4)의 하단에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는 안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04)는 후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1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 MP3, 태블릿 PC, PM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지지부(104) 내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안착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 또는 공진 방식으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교류 형태의 에너지를 공기 중으로 방사하는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공기 중으로 방사된 교류 형태의 에너지를 수신한 후 정류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온 발생부(108)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온 발생부(108)는 이온 발생기(108-1) 및 송풍팬(108-2)을 포함한다. 이온 발생기(108-1)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108-2)은 이온 발생기(108-1)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온 발생기(108-1)의 타측에는 이온 가이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온 가이드부(123)는 이온 발생기(108-1)의 타측에서 하우징부(102) 내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08-2)은 이온 발생기(108-1)가 발생시킨 이온을 이온 가이드부(123)로 불어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휴대 기기 지지부(104)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출구(125)가 휴대 기기 지지부(104) 및 하우징부(102)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출구(125)는 이온 가이드부(123)와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이온 발생기(108-1)가 발생시킨 이온은 이온 가이드부(123)를 따라 하우징부(102) 내의 상부로 이동하다가 에어 출구(125)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에어 출구(125)로 배출된 이온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에어 출구(125)로 배출된 이온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주변 공간의 세균, 악취, 곰팡이 등을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주변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온 발생부(108)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주변 공간의 오염 정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주변 공간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온 발생부(108)가 동작하여 이온을 에어 출구(125)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부(108)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충전되기 시작하면 이온 발생부(108)가 온(ON) 되어 이온을 발생시키고, 휴대 기기(190)의 충전이 완료되면 이온 발생부(108)가 오프(OFF)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온 발생기(108-1)가 형성된 위치에 방향기가 형성되어 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방향기에서 발생한 향이 에어 출구(125)로 배출되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주변 공간에 좋은 향기를 발하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기(108-1)가 형성된 위치에 가습기가 형성되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습기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에어 출구(125)로 배출되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주변 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 방향기, 및 가습기가 택일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부(102) 내에는 이온 발생기, 방향기, 및 가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110)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10)는 하우징부(1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110)는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지지부(104) 또는 하우징부(102)의 테두리를 따라 라인(Lin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11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명부(110)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0)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0)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110)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기 설정된 모션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예를 들어, 온 또는 오프 동작, 밝기 레벨 조절, 색 온도 레벨 조절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10)는 사용자가 조명부(110)의 동작과 관련된 음성을 발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명부(110)을 온 또는 오프시키라는 음성을 발하거나 조명부(110)의 밝기 레벨을 조절하라는 음성을 발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부(112)는 하우징부(10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부(112)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부(112)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12)에는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12)는 하우징부(102) 내에 형성되는 메인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메인 보드(150)에는 저장 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112)에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를 연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와 메인 보드(150)의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안착된 휴대 기기(190)에 연결하면, 메인 보드(150)의 저장 매체와 휴대 기기(190)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인 보드(150)에는 휴대 기기(19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안착된 휴대 기기(190)에 연결하면, 메인 보드(150)의 충전 회로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도 있고, 커넥터부(112)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유선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한 무선 충전과 커넥터부(112)를 통한 유선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은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되고, 커넥터부(112)는 유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겸용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114)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16)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또는 유선 충전 중인 경우, 표시부(114)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온 발생부(108)가 동작 중인 경우, 표시부(114)는 이온 발생부(108)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이온 배출부(141)를 포함한다. 이온 배출부(141)는 힌지(144)를 통해 하우징부(102)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온 배출부(141)는 하우징부(102)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온 배출부(141)는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온의 배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온 배출부(141)에는 이온 발생기(108-1)가 발생시킨 이온을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출구(125)가 형성된다.
이온 발생기(108-1)의 일측에는 송풍팬(108-2)이 형성되고, 이온 발생기(108-1)의 타측에는 이온 가이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온 가이드부(123)는 이온 발생기(108-1)의 타측에서 힌지(144)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144)에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온 발생기(108-1)가 발생시킨 이온은 이온 가이드부(123), 힌지(144), 및 이온 배출부(141)를 경유하여 에어 출구(125)로 배출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자외선 조사부(116)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8)를 포함한다.
자외선 조사부(116)는 결합부(131)를 통해 하우징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31)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6)는 하우징부(102) 내의 메인 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자외선 조사부(116)는 휴대 기기(190)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6)는 예를 들어, LED 램프 또는 형광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6)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6)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결합부(131)에 결합된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자외선 조사부(116)의 상부에서 자외선 조사부(116)의 주위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결합부(131)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 결합부(131)와 함께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118)가 닫히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안착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를 통해 외부와 단절된다.
이와 같이, 자외선 차단 커버(118)가 닫힌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부(116)가 온(ON) 동작하여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116)가 조사하는 자외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표면에는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살균할 때,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가 자외선 및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각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결합부(131)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 결합부(131)와 함께 회전하면서 열리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118)가 열리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116)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즉, 자외선 조사부(116)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기 설정된 모션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사용자가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개폐 와 관련된 음성을 발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116)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커버(118)가 닫힌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부(116)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도중 휴대 기기(190)에 전화가 걸려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8)가 열리면서 자외선 조사부(116)가 오프(OFF)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110)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현하면, 조명부(110)는 자외선 조사부(116)와 함께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부(110)는 평상시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하고, 휴대 기기(190)의 살균 시에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가 상하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개폐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폐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118)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190)가 자외선 조사부(116)를 통해 살균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에 의해 외부와 단절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링크되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를 통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위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가 별도의 터치 스크린을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구비된 조작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아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등)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발생된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시작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 전달하여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사용자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해당 동작에 따른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다시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수신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도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116)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도중에도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190)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부(102) 내에 형성되는 메인 보드(150)는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부(108), 조명부(110), 커넥터부(112), 표시부(114), 자외선 조사부(116),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8)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보드(150)에는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휴대 기기 충전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터치 펜(149) 및 배터리 모듈(152)을 포함한다. 터치 펜(149)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된 터치 펜 결합부(147)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펜(149)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될 수도 있다. 터치 펜(149)은 휴대 기기(190)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152)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일측에는 배터리 모듈(152)이 안착되는 배터리 모듈 안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52)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장착되면서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152)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장착되면서 배터리 모듈(152)의 접속 단자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접속 단자가 상호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52)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52)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152)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52)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가 별도의 전력 공급원(예를 들어, 상용 전원, 차량 전원, PC 등)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배터리 모듈(152)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152)은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전동 칫솔, 미니 선풍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152)은 광 전지셀(154), 후레쉬부(156), 및 레이저 포인터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전지셀(154)은 배터리 모듈(152)의 표면에 형성된다. 광 전지셀(154)은 광원(예를 들어, 태양 또는 전등)으로부터 광을 수집하고, 수집한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광 전지셀(154)은 변환시킨 전기 에너지를 통해 배터리 모듈(152)을 충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152)은 별도의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 없이 광 전지셀(154)을 통해 자체 충전된다. 배터리 모듈(152)에는 배터리 모듈(152)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156)는 배터리 모듈(15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15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밝은 빛을 방사하여 주변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152)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152)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152)을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포인터부(158)는 배터리 모듈(15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부(15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특정 사물(또는 대상)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152)을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152)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152)을 레이저 포인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152)은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52)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152)은 휴대용 USB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구성은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부(108), 조명부(110), 커넥터부(112), 표시부(114), 자외선 조사부(116), 자외선 차단 커버(118), 사용자 인터페이스(162), 전원 공급부(164), 신호 증폭부(166), 충전 회로(168), 저장 매체(170), 오염 감지 센서(172), 모션 감지부(174), 음성 감지부(176),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78), 휴대 기기 링크부(180), 및 제어부(182)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 이온 발생부(108), 조명부(110), 커넥터부(112), 표시부(114), 자외선 조사부(116),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8)에 대해서는 위에서 살펴보았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는 사용자가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작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64)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64)는 메인 보드(1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64)는 예를 들어, 연결 코드를 통해 건물 내에 설치된 콘센트와 연결되어 상용 전원(220V 또는 110V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공급부(164)는 USB 케이블을 통해 PC(Personal Computer)와 연결되어 PC의 USB 포트로부터 전원(예를 들어, 5V)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64)는 차량 전원과 연결되어 차량 전원으로부터 전원(예를 들어, 12V 또는 24V)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64)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에 결합된 배터리 모듈(152)을 통해 전원(예를 들어, 12V)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64)는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할 때, 무선 충전 모듈(106)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64)는 충전 회로(168)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유선 충전할 때, 충전 회로(168)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64)가 어떤 전력 공급원(예를 들어, 상용 전원, PC, 차량 전원, 배터리 등)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느냐에 따라 휴대 기기(190)의 충전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64)가 PC 또는 배터리와 같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해당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5V 또는 12V 등의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전원 공급부(164)가 상용 전원으로부터 220V 또는 110V 등의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보다 휴대 기기(190)의 충전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호 증폭부(166)를 구비한다.
신호 증폭부(166)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시 전원 공급부(164)와 연결된 전력 공급원에 따라 전원 공급부(16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6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증폭부(166)는 휴대 기기(190)를 충전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164)와 연결된 전력 공급원을 감지하여 해당 전력 공급원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예를 들어, 110V) 미만인 경우, 전원 공급부(16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6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켜 줌으로써, 휴대 기기(190)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신호 증폭부(166)는 전원 공급부(16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6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상용 전원의 전압 수준으로 증폭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회로(168)는 메인 보드(150)에 형성된다. 충전 회로(168)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182)의 제어에 따라 휴대 기기(190)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충전 회로(168)는 전원 공급부(16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저장 매체(170)는 메인 보드(150)에 장착될 수 있다. 저장 매체(170)는 커넥터부(11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매체(170)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에 따른 조명부(110)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8)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70)는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따른 조명부(110)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8)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172)는 하우징부(10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염 감지 센서(172)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오염 감지 센서(172)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주변 공간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오염 감지 센서(172)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주변 공간의 공기 오염도, 악취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172)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주변 공간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를 제어부(182)로 발생시킬 수 있다.
모션 감지부(174)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모션 감지부(174)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손 또는 손가락 등)를 인식하여 특정 부위만을 촬영할 수도 있다. 모션 감지부(174)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해당 모션에 따른 모션 감지 신호를 제어부(182)로 발생시킨다.
음성 감지부(176)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음성 감지부(176)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감지부(176)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내용의 음성을 발하는 경우, 해당 음성에 따른 음성 감지 신호를 제어부(182)로 발생시킨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78)는 휴대 기기 지지부(104)에 안착된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예를 들어, 전화 착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78)는 휴대 기기(190)의 진동 또는 신호음 등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78)는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를 제어부(182)로 발생시킨다.
휴대 기기 링크부(18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휴대 기기(190)와 링크(Link)된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18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인근에 위치한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등)와도 링크될 수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1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180)는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19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80)를 통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휴대 기기(190)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해주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62)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180)는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80)를 통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해준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다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보면서 휴대 기기(1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180)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하며, 휴대 기기(190)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는 해당 동작(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인터넷 실행, 동영상 콘텐츠 실행, 음향 콘텐츠 실행 등)에 따른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80)로 전달하여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6)을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64)와 연결된 전력 공급원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제어부(182)는 전원 공급부(16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16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온 발생부(108)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2)는 오염 감지 센서(172)로부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이온 발생부(108)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온 발생부(108)에서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을 통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함과 동시에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주변 공간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82)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이온 발생부(108)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조명부(1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82)는 모션 감지부(174)로부터 모션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17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조명부(110)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음성 감지부(176)로부터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170)에서 해당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조명부(110)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2)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커넥터부(112)에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170)와 휴대용 저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170)와 휴대 기기(19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충전 회로(168)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유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64)와 연결된 전력 공급원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제어부(182)는 전원 공급부(164)에서 충전 회로(16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16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이온 발생부(108)가 이온을 발생시키는 경우, 이온 발생부(108)의 동작 시간 및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자외선 조사부(116)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살균 시간 및 살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자외선 조사부(116)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8)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2)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를 닫은 후, 자외선 조사부(116)를 온(ON) 시켜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모션 감지부(174)의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부(176)의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17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2)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자외선 조사부(116)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자외선 차단 커버(118)가 닫힌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부(116)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78)로부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자외선 조사부(116)를 오프(OFF)시키고, 자외선 차단 커버(118)를 열 수 있다.
제어부(182)는 자외선 조사부(116)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링크부(180)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 링크부(180)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는 것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기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2) 또는 휴대 기기 링크부(180)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도록 휴대 기기 링크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충전 장치가 자동차 내부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기어 박스(19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의 상부에 휴대 기기(190)를 올려 놓으면, 휴대 기기(19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190) 및 차량 내의 디지털 기기(197)(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등)과 각각 링크될 수 있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197)을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고, 휴대 기기(190)에 표시되는 화면을 네비게이션(197)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가 기어 박스(195)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충전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서 그 이외의 위치(예를 들어, 콘솔 박스, 센터페시아,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백, 및 대시 보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02 : 하우징부
104 : 휴대 기기 지지부 106 : 무선 충전 모듈
108 : 이온 발생부 108-1 : 이온 발생기
108-2 : 송풍팬 110 : 조명부
112 : 커넥터부 114 : 표시부
116 : 자외선 조사부 118 : 자외선 차단 커버
121 : 안착부 123 : 이온 가이드부
125 : 에어 출구 131 : 결합부
141 : 이온 배출부 144 : 힌지
147 : 터치 펜 결합부 149 : 터치 펜
150 : 메인 보드 151 : 배터리 모듈 안착부
152 : 배터리 모듈 154 : 광 전지셀
156 : 후레쉬부 158 : 레이저 포인터부
16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64 : 전원 공급부
166 : 신호 증폭부 168 : 충전 회로
170 : 저장 매체 172 : 오염 감지 센서
174 : 모션 감지부 176 : 음성 감지부
178 :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 180 : 휴대 기기 링크부
182 : 제어부 190 : 휴대 기기

Claims (22)

  1.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휴대 기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수단;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며,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이온 발생부; 및
    상기 이온 발생부가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출구를 포함하는 이온 배출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주변 공간의 오염 정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에어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이온의 배출 각도가 조절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5.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휴대 기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수단;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자외선 조사부 주위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에 안착된 상기 휴대 기기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여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중에 상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를 열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는,
    사용자의 기 설정된 모션 또는 사용자의 기 설정된 음성에 따라 개폐 동작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 및
    상기 이온을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배출하는 이온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0.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휴대 기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수단; 및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자외선 조사부 주위를 둘러싸며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사용자의 기 설정된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션 감지부;
    사용자의 기 설정된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성 감지부;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상기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메뉴얼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동작 및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지지부에 안착된 상기 휴대 기기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여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중에 상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를 열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5.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시 상기 충전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전력 공급원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충전 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6.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광 전지셀을 구비하여 자체 충전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측에 형성되는 후레쉬부;
    상기 후레쉬부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레이저 포인터부; 및
    상기 배터리 모듈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에 설치되는 USB 커넥터와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8.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 기기와 링크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19.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인근에 위치하는 다른 디지털 기기와 각각 링크되고,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0.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링크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1.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의 인근에 위치하는 다른 디지털 기기와 각각 링크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22.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충전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터치 펜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130044270A 2013-02-05 2013-04-22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140100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853 2013-02-05
KR1020130012853 2013-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81A true KR20140100381A (ko) 2014-08-14

Family

ID=5174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270A KR20140100381A (ko) 2013-02-05 2013-04-22 휴대 기기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38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886B1 (ko) * 2013-10-14 2014-12-01 차경환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KR101491378B1 (ko) * 2013-12-20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장치의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 장치 및 방법
KR101653187B1 (ko) * 2016-01-14 2016-09-01 주식회사 제일기획 스마트폰용 자외선살균 무선충전모듈
WO2018030670A1 (ko) * 2016-08-10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101968108B1 (ko) * 2018-02-02 2019-04-11 이준성 휴대용 단말의 충전 장치
KR102218867B1 (ko) * 2020-09-10 2021-02-23 주식회사 코즈테크 모니터용 다기능 받침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886B1 (ko) * 2013-10-14 2014-12-01 차경환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KR101491378B1 (ko) * 2013-12-20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장치의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 장치 및 방법
US9671884B2 (en) 2013-12-20 2017-06-0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media apparatus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for portable apparatus
KR101653187B1 (ko) * 2016-01-14 2016-09-01 주식회사 제일기획 스마트폰용 자외선살균 무선충전모듈
WO2018030670A1 (ko) * 2016-08-10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US11503745B2 (en) 2016-08-10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US11735936B2 (en) 2016-08-10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968108B1 (ko) * 2018-02-02 2019-04-11 이준성 휴대용 단말의 충전 장치
KR102218867B1 (ko) * 2020-09-10 2021-02-23 주식회사 코즈테크 모니터용 다기능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0381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US896440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KR20150109613A (ko) 무선 충전기의 살균 제어 장치
KR102158599B1 (ko) 휴대폰 무선충전 살균기
KR101466886B1 (ko)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KR102131593B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KR101315159B1 (ko) 안치실 삽탈형 휴대폰살균충전기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206896536U (zh) 一种便携式紫外线消毒设备
KR101275879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6843702B2 (ja) 充電口構造
KR20140126126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206004971U (zh) 照明装置
KR20170032011A (ko) 휴대폰용 살균장치
KR2014012868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202736245U (zh) 距离感应台灯
KR20150003596U (ko) 인체감지센서와 전자식 타이머가 내장된 충전식 자외선 살균장치
CN208710562U (zh) Led紫外线消毒橱柜灯系统
CN211797858U (zh) 一种带触摸屏结构的消毒除味包
CN110811257A (zh) 智能杯
CN205494461U (zh) 一种紫外线杀菌器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212913927U (zh) 一种消毒设备及附件
CN208639897U (zh) 智能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