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126A -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126A
KR20140126126A KR1020130044271A KR20130044271A KR20140126126A KR 20140126126 A KR20140126126 A KR 20140126126A KR 1020130044271 A KR1020130044271 A KR 1020130044271A KR 20130044271 A KR20130044271 A KR 20130044271A KR 20140126126 A KR20140126126 A KR 2014012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vehicle
unit
storag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04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126A/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4012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및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1 조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에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으로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및 양이온, 향기, 수증기 등을 에어 출구로 배출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차량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조명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조명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의 충전 시, 무선 충전 모듈 또는 충전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켜 줌으로써, 휴대 기기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와 링크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차체가 흔들리더라도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휴대 기기 수납부에서 제2 조명부 및 위치 고정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윈도우가 형성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에서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홈이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형태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휴대 기기 수납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제1 조명부(114), 및 표시부(116)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2)는 차량용 보관 장치(50) 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는 콘솔 박스, 암레스트, 글로브 박스 등과 같은 차량용 보관 장치(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수납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인입되어 다시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내부에는 휴대 기기(19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S)이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휴대 기기 안착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안착 수단(미도시)으로는 예를 들어, 안착홈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1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 MP3, 태블릿 PC, PM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03)이 형성되어 수납 공간(S)을 복수 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복수 개의 휴대 기기(19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격벽(103)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벽(103)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격벽(103)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서 상호 크로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하우징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의해 탄성 부재(미도시)가 수축된 상태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을 누르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미도시)가 원래의 상태로 늘어나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을 눌러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탄성 부재(미도시)가 다시 수축하면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어떤 구조물을 누름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기술은 예를 들어, CD 또는 DVD 플레이어 등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자세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서랍과 같이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4)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와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 부분을 잡아 당겨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 부분을 밀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하우징부(102) 내로 다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는 별도의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 구비된 별도의 제어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거나 기 설정된 음성을 말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휴대 기기(190)가 충전 또는 살균되는 동안 하우징부(102) 내로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 하우징부(102)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에서 노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직선 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일측으로 휘어지면서(즉, 곡선을 그리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102) 내에 2개의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수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고, 다른 하나의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에 장착된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 또는 공진 방식으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교류 형태의 에너지를 공기 중으로 방사하는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공기 중으로 방사된 교류 형태의 에너지를 수신한 후 정류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19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190)의 위치 정보를 참고하여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무선 충전 모듈(106)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때, 차량 내의 탑승자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형성된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8)는 격벽(1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8)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일측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힌지를 회전축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때, 자외선 조사부(108)가 조사하는 자외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차량 내의 탑승자들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벽에 자외선 차단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자외선 조사부(108)의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08)가 온(ON)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닫혀져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108)가 오프(OFF)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열려져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8)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이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거나 기 설정된 음성을 말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08)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도중 전화(또는 메시지)가 걸려오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108)는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190)가 자외선 조사부(108)를 통해 살균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에 의해 외부와 단절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링크되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휴대 기기(190)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통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위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별도의 터치 스크린을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아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PDA 등)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발생된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인근에 위치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시작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사용자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해당 동작에 따른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다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수신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도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108)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도중에도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190)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190)를 통해 휴대 기기(190)와 연동된 다른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커넥터부(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커넥터부(112)가 격벽(103)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커넥터부(112)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부(112)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12)에는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별도의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미도시)은 커넥터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저장 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112)에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휴대용 저장 장치를 연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와 회로 기판(미도시)의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미도시)의 저장 매체와 휴대 기기(190)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휴대 기기(19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미도시)의 충전 회로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도 있고, 커넥터부(112)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유선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한 무선 충전과 커넥터부(112)를 통한 유선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은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되고, 커넥터부(112)는 유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겸용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회로 기판(미도시)은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제1 조명부(114), 및 표시부(116)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명부(114)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조명부(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2)가 설치된 차량용 보관 장치(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조명부(114)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조명부(114)를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에 형성하는 경우, 제1 조명부(114)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하면, 자외선 조사부(108)와 함께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제1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5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명부(1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사 각도가 상하 좌우로 조절될 수 있다.
제1 조명부(114)의 동작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될 때 제1 조명부(114)가 온(ON) 되도록 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내로 인입될 때 제1 조명부(114)가 오프(OFF)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색상, 및 표시 단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1 조명부(11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1 조명부(11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1 조명부(11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제1 조명부(114)의 표시 단계가 1단계(예를 들어, 표시바가 1개 점등됨), 2단계(예를 들어, 표시바가 2개 점등됨), 및 3 단계(예를 들어, 표시바가 3개 점등됨)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1 조명부(114)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명부(114)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기 설정된 모션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예를 들어, 온 또는 오프 동작, 밝기 레벨 조절, 색 온도 레벨 조절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조명부(114)는 사용자가 제1 조명부(114)의 동작과 관련된 음성을 발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조명부(114)를 온 또는 오프시키라는 음성을 발하거나 제1 조명부(114)의 밝기 레벨을 조절하라는 음성을 발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표시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16)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또는 유선 충전 중인 경우, 표시부(116)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경우, 표시부(116)는 휴대 기기(190)의 살균 시간 및 살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 또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와 힌지(119)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상하 좌우로 회전시켜 자신이 바라보기에 편한 각도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될 때 하부로 경사지게 인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2)는 차량용 보관 장치(50) 내에 세로로 설치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은 힌지(125)를 통해 하우징부(102)의 내측과 힌지 결합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25)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도 4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25)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내부에 다시 수납되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이온 발생기(118), 송풍팬(120), 터치펜(122), 및 배터리 모듈(124)을 더 포함한다.
이온 발생기(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118)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온 발생기(118)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온 발생기(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8)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120)은 이온 발생기(118)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20)은 이온 발생기(11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을 전방으로 불어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방에서 하우징부(10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는 에어 출구(131)가 형성된다. 여기서는, 에어 출구(131)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출구(131)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온 발생기(11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송풍팬(120)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내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정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온 발생기(11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지나 에어 출구(131)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출구(131)로 빠져나간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즉, 이온 발생기(118)에서 발생시킨 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살균하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은 차량 내 오염 정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은 차량 내 오염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온 발생기(118)가 형성된 위치에 방향기가 형성되어 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내에 좋은 향기를 발생시켜 차량 내 나쁜 냄새를 제거하고, 차량 내 탑승자의 기분을 돋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기(118)가 형성된 위치에 가습기가 형성되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습기를 통해 차량 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118), 방향기, 및 가습기가 택일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단에 이온 발생기(118), 방향기, 및 가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터치 펜(12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형성된 터치 펜 결합부(1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펜 결합부(123)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벽 또는 격벽(103)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펜(12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될 수도 있다. 터치 펜(122)은 휴대 기기(190)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124)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24)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124)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124)은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전동 칫솔, 미니 선풍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는 무선 충전 모듈(106)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124)은 상기 회로 기판(미도시)의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모듈(124)은 케이블(충전 케이블 또는 충전 및 데이터 겸용 케이블)을 통해 커넥터부(112)에 접속되거나 USB 형태로 형성되어 커넥터부(112)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는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은 광 전지셀(127), 후레쉬부(128), 및 레이저 포인터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전지셀(127)은 배터리 모듈(124)의 표면에 형성된다. 광 전지셀(127)은 광원(예를 들어, 태양 또는 전등)으로부터 광을 수집하고, 수집한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광 전지셀(127)은 변환시킨 전기 에너지를 통해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즉, 배터리 모듈(124)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된 경우, 광 전지셀(127)을 통해 자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에는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128)는 배터리 모듈(12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12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밝은 빛을 방사하여 주변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124)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124)을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포인터부(129)는 배터리 모듈(12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부(12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특정 사물(또는 대상)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124)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124)을 레이저 포인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124)은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24)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124)은 휴대용 USB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에는 제2 조명부(17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명부(171)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방사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는 제2 조명부(171)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되게 된다. 제2 조명부(171)가 사각형 형태의 라인으로 구성된 경우, 제2 조명부(171)는 그 자체로 휴대 기기(190)가 수납될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는, 제2 조명부(171)를 연속적인 라인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조명부(171)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명부(171)는 휴대 기기(190)가 수납된 경우,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이때, 제2 조명부(171)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발생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190)와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는 휴대 기기(190)의 수납 위치 및 휴대 기기(190)과 무선 충전 모듈(106) 간의 간격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모듈(106)의 방사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일정 범위를 벗어나 수납된 경우 또는 휴대 기기(190)와 무선 충전 모듈(106) 간의 간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와 무선 충전 모듈(106) 간에 이물질이 끼어있거나 휴대 기기(190)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등)에는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조명부(171)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모듈(106)의 방사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납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경우(즉,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2 조명부(171)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모듈(106)의 방사체가 형성된 위치에서 벗어나 있어 무선 충전이 어려운 경우(즉, 무선 충전 불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2 조명부(171)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제2 조명부(171)는 반복적으로 점멸하여 무선 충전 가부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는 휴대 기기(190)의 수납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미도시)는 휴대 기기(190)의 위치 정보를 무선 충전 모듈(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명부(171)는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무선 충전 중인 경우, 점등되어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제2 조명부(171-1, 171-2, 171-3)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는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조명부(171-1, 171-2, 17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1 조명부(171-1)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되고,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2 조명부(171-2)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되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3 조명부(171-3)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에는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조명부(171-1, 171-2, 171-3)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2 조명부(171-1, 171-2, 17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173-1, 173-2, 173-3)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173-1, 173-2, 173-3)는 복수 개의 제2 조명부(171-1, 171-2, 17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크기 내지 제3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서 제2 조명부(171) 및 위치 고정 돌기(17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190)는 위치 고정 돌기(17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돌기(173)가 휴대 기기(190)의 좌우 상하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190)의 좌우로 형성되거나 휴대 기기(190)의 상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위치 고정 돌기(173)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제2 조명부(17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고정 돌기(173)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에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의 압박이 있는 경우 하부로 눌려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고정 돌기(173)를 다시 눌렀을 때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173-1, 173-2, 173-3)를 통해 제1 크기 내지 제3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1 조명부(171-1) 내에서 제1 위치 고정 돌기(173-1)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의 경우,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제2-2 조명부(171-2)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압박하여 누르면, 제1 위치 고정 돌기(173-1)가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해 눌려지게 되며, 그로 인해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제2-2 조명부(171-2) 내에서 제2 위치 고정 돌기(173-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의 경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제2-3 조명부(171-3)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압박하여 누르면, 제1 위치 고정 돌기(173-1) 및 제2 위치 고정 돌기(173-2)가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해 눌려지게 되며, 그로 인해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제2-3 조명부(171-3) 내에서 제3 위치 고정 돌기(173-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는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홈(175)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홈(175)은 제1 위치 고정 홈(175-1) 및 제2 위치 고정 홈(175-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홈(175)이 제1 위치 고정 홈(175-1) 및 제2 위치 고정 홈(175-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홈(175)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 홈(175-1)은 제2 위치 고정 홈(175-2) 내에 형성되며, 그로 인해 제1 위치 고정 홈(175-1)과 제2 위치 고정 홈(175-2)의 경계 및 제2 위치 고정 홈(175-2)과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104-a)의 경계에는 각각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위치 고정 홈(175-1), 제2 위치 고정 홈(175-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104-a)은 각각 휴대 기기(190)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1 위치 고정 홈(175-1)에 안착되어 제1 위치 고정 홈(175-1)에 의해 고정되고,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 위치 고정 홈(175-2)에 안착되어 제2 위치 고정 홈(175-2)에 의해 고정되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104-a)에 안착되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서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킴으로써, 차체가 흔들리더라도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안착홈(177)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안착홈(177)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안착홈(177)이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안착홈(177)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은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며,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과 단차를 갖는다.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에 안착되고,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에 안착되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104-a)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제1 크기 내지 제3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77-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104-a)에 의해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는 고정될 수 있지만, 폭 방향으로는 고정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면에 위치 고정 조절부(179)를 형성할 수 있다. 위치 고정 조절부(179)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178)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조절부(179)는 제1 크기 내지 제3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타측면으로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위치 고정 조절부(179)의 일측에는 위치 고정 조절부(179)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77-1)에 안착된 경우, 탄성 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측면에서 압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한 탄성 부재(미도시)의 수축 정도가 작게 되고, 그로 인해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부로 많이 돌출된 상태에서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게 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면(104-a)에 안착된 경우, 탄성 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측면에서 압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큰 크기를 가지므로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한 탄성 부재(미도시)의 수축 정도가 크게 되고, 그로 인해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부로 적게 돌출된 상태에서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안착홈(177)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형성되는 위치도 그에 맞게 조절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관통홀(178)에 삽입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외부에서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조절부(179)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면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보관 장치(50) 내에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는 에어 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보관 장치(50)에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을 일부 개방시킨 윈도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윈도우(111)를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보관 장치(50)에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수납하는 커버 수납홈(10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커버 수납홈(109)에서 인출되면서 윈도우(111)를 폐쇄시키고, 커버 수납홈(109)으로 인입되면서 윈도우(111)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커버 수납홈(109)과 슬라이드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차량용 보관 장치(50) 내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휴대 기기(190)를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윈도우(111)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윈도우(11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윈도우(111)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윈도우(111)가 형성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윈도우(111)가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윈도우(111)에는 윈도우(111)를 개폐하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에서 힌지(7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51)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에서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5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51)를 통해 이중 커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51)는 동일한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함께 열리고 닫힐 수 있으나, 서로 다른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별개로 열리고 닫힐 수도 있다. 여기서, 윈도우(111)는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5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에서 힌지(7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101)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힌지(75)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커버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111)는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10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에서 힌지(7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51)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에서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5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51)를 통해 이중 커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51)는 동일한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함께 열리고 닫힐 수 있으나, 서로 다른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별개로 열리고 닫힐 수도 있다. 여기서, 윈도우(111)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개방되어 윈도우(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d)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에서 힌지(7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101)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커버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111)는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10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케이스 수납홈(104-1) 및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수납홈(104-1)은 차량용 보관 장치(50)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는 케이스 수납홈(104-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는 케이스 수납홈(104-1)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에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5)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5) 내에 안착된 휴대 기기(19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손잡이홈(105-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여러 개의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에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 수납홈(105)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에 제1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휴대 기기 수납홈(105)을 형성할 수 있고(도 13의 (a)), 다른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에는 제2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휴대 기기 수납홈(105)을 형성할 수 있으며(도 13의 (b)), 또 다른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에는 제3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휴대 기기 수납홈(105)을 형성할 수 있다(도 13의 (c)). 이 경우,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105)이 구비된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104-2)를 선택하여 케이스 수납홈(104-1)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제1 조명부(114), 표시부(116), 이온 발생기(118), 송풍팬(120), 배터리 모듈(124), 사용자 인터페이스(142), 전원 공급부(144), 신호 증폭부(146), 충전 회로(148), 저장 매체(150), 오염 감지 센서(152), 모션 감지부(154), 음성 감지부(156),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 통신부(160), 휴대 기기 링크부(162), 위치 감지 센서(164), 제2 조명부(171), 및 제어부(166)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제1 조명부(114), 표시부(116), 이온 발생기(118), 송풍팬(120), 및 배터리 모듈(124)에 대해서는 위에서 살펴보았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는 차량 내 탑승자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작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44)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144)는 전력 공급원(예를 들어, 별도의 배터리 또는 차량 내의 배터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44)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용 전원의 전압(예를 들어, 220V 또는 110V)보다 낮은 전압(예를 들어, 12V 또는 24V 등)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144)가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가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을 충전할 때,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충전 속도가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느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호 증폭부(146)를 구비한다.
신호 증폭부(146)는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가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을 충전할 때, 전원 공급부(14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켜 줌으로써,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신호 증폭부(146)는 전원 공급부(14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상용 전원의 전압 수준으로 증폭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회로(148)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휴대 기기(190)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충전 회로(148)는 배터리 모듈(124)이 커넥터부(112)에 접속된 경우,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때, 충전 회로(148)는 전원 공급부(14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저장 매체(150)는 커넥터부(11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매체(150)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부(104), 자외선 차단 커버(110), 및 제1 조명부(114)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0)는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부(104), 자외선 차단 커버(110), 및 제1 조명부(114)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차량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차량 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예를 들어, 차량 내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악취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차량 내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를 제어부(166)로 발생시킬 수 있다.
모션 감지부(154)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모션 감지부(154)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손 또는 손가락 등)를 인식하여 특정 부위만을 촬영할 수도 있다. 모션 감지부(154)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해당 모션에 따른 모션 감지 신호를 제어부(166)로 발생시킨다. 또한, 모션 감지부(154)는 촬영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차량 내 탑승자의 얼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제어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문이 열리거나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감지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음성 감지부(156)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음성 감지부(156)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감지부(156)는 사용자가 특정 내용의 음성(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인입 또는 인출하라는 음성,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개폐하라는 음성, 제1 조명부(114)를 온 또는 오프 하라는 음성 등)을 발하는 경우, 해당 음성에 따른 음성 감지 신호를 제어부(166)로 발생시킨다. 모션 감지부(154) 및 음성 감지부(15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 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설치될 수 있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예를 들어, 전화 착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는 휴대 기기(190)의 진동 또는 신호음 등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는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를 제어부(166)로 발생시킨다.
통신부(160)는 모션 감지부(154)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탑승자의 얼굴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탑승자의 얼굴 영상을 차량 소유자의 휴대 기기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모션 감지부(154)의 카메라로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카메라로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와 링크(Link)된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인근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와도 링크될 수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19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휴대 기기(190)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해주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42)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해준다. 다음으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다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보면서 휴대 기기(1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하며, 휴대 기기(190)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는 해당 동작(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인터넷 실행, 동영상 콘텐츠 실행, 음향 콘텐츠 실행 등)에 따른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62)로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휴대 기기(190) 및 다른 디지털 기기와 각각 링크되어 휴대 기기(190)와 다른 디지털 기기를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190)를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190)를 조작하여 다른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164)는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수납된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6)의 방사체를 기준으로 한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감지하여 휴대 기기 위치 정보를 제어부(166)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위치 감지 센서(164)는 휴대 기기 위치 정보를 무선 충전 모듈(106)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66)는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하여 제1 조명부(114)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모션 감지부(154)의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부(156)의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동작 매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매뉴얼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16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6)을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6)는 전원 공급부(14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14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자외선 조사부(108)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6)는 자외선 조사부(108)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로부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자외선 조사부(108)를 오프(OFF)시키고,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열 수 있다. 제어부(166)는 모션 감지부(154)의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부(156)의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동작 매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매뉴얼에 따라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커넥터부(112)에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150)와 휴대용 저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150)와 휴대 기기(19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충전 회로(148)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유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6)는 전원 공급부(144)에서 충전 회로(14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14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제1 조명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모션 감지부(154)로부터 모션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114)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제1 조명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음성 감지부(156)로부터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114)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제1 조명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살균 시간 및 살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을 제어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오염 감지 센서(152)로부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촬영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모션 감지부(154)의 카메라 또는 별도의 카메라로 촬영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차량 내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한다. 제어부(166)는 촬영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차량 소유자의 휴대 기기(190)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소유자는 예를 들어, 자신의 차량을 일정 기간 이용하지 않게 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를 통해 촬영 시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후에 차량 소유자가 아닌 타인이 해당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을 자신의 휴대 기기(190)로 전송 받음으로써, 무단 탑승에 대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6)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는 것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기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6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 또는 휴대 기기 링크부(162)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도록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6)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제2 조명부(17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166)는 제2 조명부(171)가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무선 충전 불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166)는 제2 조명부(171)가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6)은 위치 감지 센서(164)의 휴대 기기 위치 정보를 참고하여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하우징부
103 : 격벽 104 : 휴대 기기 수납부
104-1 : 케이스 수납홈 104-2 :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
105 : 휴대 기기 수납홈 105-1 : 손잡이홈
106 : 무선 충전 모듈 108 : 자외선 조사부
109 : 커버 수납홈 111 : 윈도우
110 : 자외선 차단 커버 112 : 커넥터부
114 : 제1 조명부 116 : 표시부
118 : 이온 발생기 120 : 송풍팬
119 : 힌지 122 : 터치펜
123 : 터치펜 결합부 125 : 힌지
124 : 배터리 모듈 127 : 광 전지셀
128 : 후레쉬부 129 : 레이저 포인터부
131 : 에어 출구 14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4 : 전원 공급부 146 : 신호 증폭부
148 : 충전 회로 150 : 저장 매체
152 : 오염 감지 센서 154 : 모션 감지부
156 : 음성 감지부 158 :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
160 : 통신부 162 : 휴대 기기 링크부
164 : 위치 감지 센서 166 : 제어부
171 : 제2 조명부 173 : 위치 고정 돌기
175 : 위치 고정 홈 177 : 휴대 기기 안착홈
178 : 관통홀 179 : 위치 고정 조절부
190 : 휴대 기기

Claims (24)

  1.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 발생기가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로 불어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불어오는 상기 이온을 차량 실내로 배출하는 에어 출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실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오염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 실내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이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형성되는 하우징부에 수납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고,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7.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기기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1 조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색상, 및 표시 단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1.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제1항 또는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시 상기 충전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충전 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제1항 또는 제7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 기기와 링크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6. 제1항 또는 제7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링크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7. 제7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 장치에 형성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고, 상기 자외선을 차단시키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를 수납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커버 수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는, 상기 커버 수납홈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는,
    상기 윈도우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 장치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용 보관 장치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 또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 장치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힌지 결합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에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2. 제1항 또는 제7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차량용 보관 장치에 형성되는 케이스 수납홈; 및
    상기 케이스 수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을 구비하는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수납홈에는,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휴대 기기 수납홈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4. 제7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044271A 2013-03-20 2013-04-22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126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71A KR20140126126A (ko) 2013-04-22 2013-04-22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71A KR20140126126A (ko) 2013-04-22 2013-04-22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126A true KR20140126126A (ko) 2014-10-30

Family

ID=5199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271A KR20140126126A (ko) 2013-03-20 2013-04-22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1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33B1 (ko) * 2015-03-24 2015-07-29 조성일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98293B1 (ko) * 2016-04-14 2017-01-19 정종석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KR20180122877A (ko) * 2017-05-04 2018-11-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의 범용 유도 충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33B1 (ko) * 2015-03-24 2015-07-29 조성일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98293B1 (ko) * 2016-04-14 2017-01-19 정종석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KR20180122877A (ko) * 2017-05-04 2018-11-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의 범용 유도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264560B1 (ko) 냉장고 및 카메라 장치
US93395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US8816636B2 (en)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KR20140100381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200488801Y1 (ko) 모듈 장착형 반려동물 이동가방
CN111065565A (zh) 物品搬送机器人
KR20140126126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1315159B1 (ko) 안치실 삽탈형 휴대폰살균충전기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105667246A (zh) Avn终端、具有该终端的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KR102158599B1 (ko) 휴대폰 무선충전 살균기
KR20150109613A (ko) 무선 충전기의 살균 제어 장치
KR20140091266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KR2014012868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154023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09798A (ko) 사용자 인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N109662419A (zh) 自驱动行李箱及运行状态显示机制
KR20180027961A (ko) 스마트 화장품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관리 시스템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1020096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JP6843702B2 (ja) 充電口構造
CN109572463B (zh) 一种智能电池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