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656B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656B1
KR102009656B1 KR1020130012068A KR20130012068A KR102009656B1 KR 102009656 B1 KR102009656 B1 KR 102009656B1 KR 1020130012068 A KR1020130012068 A KR 1020130012068A KR 20130012068 A KR20130012068 A KR 20130012068A KR 102009656 B1 KR102009656 B1 KR 10200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user interface
cover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153A (ko
Inventor
이수정
현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6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일부를 커버링하고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 커버에 의해 커버링된 영역에 배치되고 몸체에 장착되되 몸체에서 커버 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모듈;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판단하고 조작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모듈이 커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노출되도록 조작모듈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버튼부를 숨기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조작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기존의 버튼보다 사용이 쉽고 흥미로운 조작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er interface, electr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작 명령 입력 및 동작 정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전기기기 및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텔레비전,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오디오, 조리 기기, 공기 조화기, 통신 기기 등의 기기를 포함한다.
전기기기는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서 전기적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 제어 장치에 입력된다. 그리고 전기기기는 제어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즉 전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달하고, 전기기기의 제어장치는 전달된 전기적인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함으로써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고유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전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기기기의 본체와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 가능하며,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버튼은 많이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노출되어 있어 외관을 해치거나, 버튼의 노출로 인해 본체의 외관을 심플하게 디자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경우, 본체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시청에 방해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버튼으로 인해 텔레비전의 외관을 심플하게 디자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오디오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피커 조절 버튼이 스피커의 본체로부터 항상 노출되어 있고 이로 인해 스피커의 외관을 해치고, 스피커의 외관을 심플하게 디자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세탁기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운전 조작을 위한 복수의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이로 인해 세탁기의 외관을 심플하게 디자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 측면은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인식되면 몸체에 마련된 버튼부를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고자 할 때 버튼부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기기 및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버튼부 돌출 시 버튼부의 돌출에 의해 커버가 가압되어 커버의 기준면이 버튼부와 함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기기 및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복수의 버튼부 중 일부의 버튼부를 돌출 및 점등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선택되면 선택된 버튼부의 하위 버튼을 돌출 및 점등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기기 및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몸체; 몸체에 결합되어 몸체의 일부를 커버링하고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 커버에 의해 커버링된 영역에 배치되고 몸체에 장착되되 몸체에서 커버 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모듈;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판단하고 조작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모듈이 커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노출되도록 조작모듈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돌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갖는 조작모듈;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가 배치되는 버튼 플레이트를 갖는 몸체; 버튼 플레이트를 커버링하고 조작모듈의 돌출에 의해 기준 면이 변형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몸체; 몸체에 장착되되 몸체에서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모듈;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 인체가 검출되면 조작 모듈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은 인체를 검출하고, 인체가 검출되면 몸체에 설치된 조작모듈을 몸체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조작모듈의 조명부를 점등시킨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기기는 영상 및 사운드 출력을 위한 부하가 마련된 본체; 본체에 장착되고 영상 및 사운드 출력에 대한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커버에 형상이 노출되도록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의 버튼부와,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인체가 검출되면 복수의 버튼부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기기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부하가 마련된 본체; 본체에 장착되고 오디오 출력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커버에 형상이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버튼부와,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인체가 검출되면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기기는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부하가 마련된 본체; 본체에 장착되고 세탁 운전에 대한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커버에 형상이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버튼부와,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인체가 검출되면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버튼부를 숨기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조작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기존의 버튼보다 사용이 쉽고 흥미로운 조작성을 가진다.
아울러 버튼부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도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 내부에 숨기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커버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부 및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숨김으로써 전기기기의 외관을 심플하게 디자인할 수 있고 미적 아름다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기기의 동작 상태에서 따라 활성화 가능한 동작에 대한 버튼부, 즉 조작 가능한 버튼부만을 노출시킴으로써 조작 가능한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작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부에 대한 하위 버튼부만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하위 버튼부에 대한 선택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전기기기의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모듈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조작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조작 모듈 및 디자인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자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디자인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홈 시어터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홈 시터어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홈 시터어의 스피커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5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세탁기의 예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세탁기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전기기기와 전기적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전기기기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적어도 한 면을 커버링하는 커버(120)와, 몸체(110)에 장착되되 몸체(110)로부터 커버(120)를 향해 돌출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모듈(130)과, 사용자의 근접을 검출하는 검출부(140)와, 사용자의 근접 검출 여부에 따라 조작 의도를 판단하여 조작모듈(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모듈(150,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작 모듈(130)은 몸체(110)와 커버(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돌출 시 커버(120)에 면 접촉된 상태에서 커버(120)를 가압하여 커버(120)와 함께 외부로 돌출되되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커버(120)는 조작 모듈(130)의 돌출로 인해 플랫 상태에서 입체 상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모듈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에 장착되어 하우징(111)의 삽입 공간을 커버링하고 버튼부의 돌출 및 삽입을 안내하는 버튼 플레이트(112)와, 버튼 플레이트(112)에 형성되고 버튼부가 삽입되는 안내 홀(113)과, 버튼 플레이트(112)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110)를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몸체의 하우징(111)에는 조작 모듈(130) 및 구동 모듈(150)이 배치된다. 이때, 구동 모듈(150)에는 조작 모듈(130) 및 검출부(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튼 플레이트(112)는 안내 홀(113)에 삽입된 버튼부(131)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버튼부(131)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 플레이트(112)에는 검출부(140)가 배치된다. 이때 검출부(140)는 하우징 내부의 구동 모듈(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버튼 플레이트(112)는 하우징(111)에 배치된 조작 모듈(130) 및 구동 모듈(15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안내 홀(113)은 조작 모듈(130)의 버튼부(131)의 돌출 및 삽입 시 버튼부(131)의 이동을 안내한다.
지지부재(114)는 커버의 기준면(121)이 유지되도록 커버(121)를 지지하고, 또한 커버의 기준면(121)과 버튼 플레이트(112)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는 몸체(110) 및 조작 모듈(130)을 커버링하는 기준면(121)과, 몸체(110)에 결합되는 결합면(122)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모듈(130)은 몸체(110)에 배치되고 사용자 근접 시에 외부로 돌출되며, 또한 점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 모듈(130)의 위치 및 활성화 여부에 대해 인식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120)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버튼부의 돌출에 의해 가압되면 신장되어 버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준면(121)으로부터 사용자 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커버(120)의 기준면(121)은 플랫 상태에서 입체 상태로 변형된다.
커버(120)는 조작 모듈(130)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패브릭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모듈(130)은 몸체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때 커버의 기준면(121)에 의해 커버링된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작 모듈은 동작 명령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없을 때에는 커버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조작 모듈(130)은 숨김 상태가 된다.
여기서 버튼부(131)의 조작 방식은 터치식 또는 푸쉬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조작 모듈의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조작 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모듈(130)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지시체(131a)를 가지되 빛 투과가 가능한 지시체를 가지고 돌출 및 삽입을 수행하는 버튼부(131)와, 버튼부(131)에 이동력을 인가하여 버튼부(131)이 돌출 및 삽입되도록 하는 이동부(132)와, 버튼부(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버튼부(131)의 조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주기 위해 버튼부(131)의 지시체(131a)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133)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의 동작을 통해 조명부에서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이 지시체를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버튼부가 가진 조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조명부를 이용하여 지시체를 간접 점등시켰으나, 지시체를 조명부로 형성시켜 직접 점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 모듈의 버튼부는 복수 개로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터치식인 경우, 버튼부를 하나로 구현하고 조작 정보를 가진 지시체를 복수 개 형성시킨다.
검출부(140)는 버튼 플레이트(112)의 표면에 배치되고 하우징 내부의 구동 모듈(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람, 즉 사용자가 근접되면 인체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검출부(140)는 사람의 움직임, 사람의 적외선, 손에 의한 정전용량 등 인체에 대해 반응하는 모든 센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검출부(140)는 하우징 내부, 하우징 외부 또는 구동 모듈(15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모듈(150)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조작 모듈 및 검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 모듈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구동 모듈(150)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검출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주변에 근접하여 위치한 인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체 검출 신호를 제어부(152)에 출력한다.
검출부(140)는 복수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복수의 검출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검출부는 제1영역의 조작 모듈만이 구동되도록 제1위치에 인체가 근접하였을 때 인체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제2검출부는 제2영역의 조작 모듈만이 구동되도록 제2위치에 인체가 근접하였을 때 인체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모듈(150)은 조작 모듈을 구동시키고 조작 모듈의 조작에 따른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기기의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것으로, 조작 신호 입력부(151), 제어부(152), 저장부(153), 복수의 구동부(154, 155) 및 동작 신호 출력부(156)를 포함한다.
조작 신호 입력부(15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부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푸쉬 방식인 경우, 버튼부의 푸쉬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입력받고,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터치 방식인 경우 버튼부의 터치에 따른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52)는 검출부(140)에서 전송된 인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 모듈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모듈(130)이 커버(130)를 통해 간접적으로 노출되도록 이동부(132)를 구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조작모듈(130)을 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52)는 조작 모듈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 모듈의 조명부(133)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조작모듈의 버튼부(131)에 형성된 지시체가 간접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부가 가진 작동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명부(133) 및 이동부(132)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2)는 조작모듈의 버튼부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 신호를 전기기기의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152)는 버튼부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때 생성된 동작 신호는 전기기기의 부하의 동작 명령에 해당한다.
제어부(152)는 인체가 검출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버튼부가 조작되지 않으면 버튼부의 삽입을 제어한다. 이때 버튼부의 소등도 제어한다.
제어부(152)는 버튼부가 조작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버튼부가 재조작되지 않으면 버튼부의 삽입을 제어한다. 이때 버튼부의 소등도 제어한다.
검출부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52)는 제1검출부를 통해 인체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제1영역에 배치된 조작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2검출부를 통해 인체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제2영역에 배치된 조작 모듈의 구동을 제어한다.
저장부(153)는 복수의 버튼부에 각각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저장한다.
저장부(153)는 복수의 버튼부 중 1차적으로 돌출 및 점등 구동될 버튼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각 버튼부에 대한 하위 버튼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버튼부가 선택되면 선택된 버튼부의 하위 버튼부가 돌출 및 점등될 수 있다.
제1구동부(154)는 버튼부를 돌출 및 삽입시키기 위한 이동부(132)를 구동시키고, 제2구동부(155)는 버튼부의 지시체가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조명부(133)를 구동시킨다.
동작 신호 출력부(156)는 전기기기의 제어 장치와 전기적 및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선택된 버튼부에 대한 동작 신호를 전기기기의 제어 장치에 출력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순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정상 작동이 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복수의 버튼부 중 일부의 버튼부(예를 들어 전원 버튼)를 돌출시킨다. 이때 돌출된 버튼부를 통해 지시체가 발광되도록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원 인가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돌출 및 점등된 버튼부를 원위치로 복귀, 즉 몸체 측으로 삽입시키고 소등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부가 삽입 및 점등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주변에 근접하여 위치한 인체를 검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검출부(140)를 통해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판단(161)한다. 여기서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은, 조작 모듈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동부(132)의 구동을 제어하여 조작모듈(130)의 버튼부가 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162)시킨다.
이를 통해 버튼부(131)가 커버(120)를 외측으로 가압하고, 이때 플랫 상태의 커버의 기준면이 외측으로 신장되면서 버튼부와 함께 사용자 측으로 돌출된다
즉 조작 모듈의 버튼부(131)가 커버(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노출되며 이때 조작 모듈의 커버의 기준 면이 플랫 상태에서 입체 상태로 변화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작 모듈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 모듈의 조명부(133)를 온 동작(163)시킨다.
이를 통해 조작모듈의 버튼부(131)에 형성된 지시체(131a)가 간접적으로 발광된다. 이때 사용자는 발광된 버튼부(131)의 지시체를 보고 버튼부가 가진 작동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명부(133)를 온 동작시키는 것은 이동부(132)의 동작과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부(131)의 조작 여부를 판단(164)한다.
여기서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푸쉬 방식인 경우, 버튼부의 푸쉬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터치 방식인 경우 버튼부에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함으로써 버튼부가 조작되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체가 검출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165)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버튼부의 삽입을 제어한다. 이때 조작 모듈의 조명부를 오프 구동(165)시켜 소등시킨다.
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부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조작모듈의 버튼부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 신호를 전기기기의 제어 장치에 출력(167)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부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때 생성된 동작 신호는 전기기기의 부하의 동작 명령에 해당한다.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부(152)는 버튼부가 조작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168)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버튼부가 재조작되지 않으면 버튼부의 삽입을 제어하고 조명부를 오프 동작(166)시켜 소등시킨다.
이때 버튼부가 외부에서 몸체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커버의 가압이 해제되고 이를 통해 커버의 기준 면은 입체 상태에서 플랫 상태로 바뀐다. 또한 조작모듈의 버튼부(131)에 형성된 지시체(131a)가 소등된다.
이때 사용자에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커버에 의해 조작 모듈이 보이지 않는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조작 모듈 및 디자인 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자인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디자인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작 모듈(130) 이외에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부(170)를 더 포함한다.
조작 모듈(130)은 지시체를 갖는 버튼부, 이동부, 조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작모듈의 지시체, 이동부 및 조명부와 디자인 모듈의 지시체, 이동부 및 조명부와의 구별을 위해 조작 모듈의 지시체, 이동부 및 조명부를 제1지시체, 제1이동부, 제1조명부로 기재한다. 아울러 본 예에서의 제1지시체, 버튼부, 제1이동부, 제1조명부는 일 예의 조작 모듈의 지시체, 버튼부, 이동부, 조명부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디자인부(170)는 몸체의 버튼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모듈(170)은 미관을 위한 디자인 정보를 표현하는 제2지시체(171a)를 가지되 빛 투과가 가능한 제2지시체를 가지고 돌출 및 삽입을 수행하는 디자인부(171)와, 디자인부(171)에 이동력을 인가하여 디자인부(171)이 돌출 및 삽입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172)와, 디자인부(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디자인부(171)의 디자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주기 위해 디자인부(171)의 지시체(171a)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2조명부(173)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명부의 동작을 통해 제2조명부에서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이 지시체(171a)를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자인부(171)가 가진 디자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에서 제2조명부를 이용하여 지시체(171a)를 간접 점등시켰으나, 지시체(171a)를 조명부로 형성시켜 직접 점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지시체(171a) 및 지시체에 빛을 조사하는 제2조명부는 디자인부(171) 상에 형성되지만, 디자인부(171) 주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자인부는 버튼부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동부 없이 조명부만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 모듈은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제어부는 조작 모듈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 모듈의 버튼부와 디자인 모듈의 디자인부가 돌출되도록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제1조명부 및 제2조명부가 점등되도록 제1조명부 및 제2조명부를 온 제어한다.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상 작동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기 위해 디자인 모듈(170)의 돌출 및 점등 구동만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구동부(154)는 버튼부(131)를 돌출 및 삽입시키는 제1이동부(132)와, 디자인부(171)를 돌출 및 삽입시키는 제2이동부(172)를 구동시키고, 제2구동부(155)는 버튼부(171)를 간접적으로 점등시키는 제1조명부(133)와, 디자인부(171)를 간접적으로 점등시키는 제2조명부(173)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전기기기를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기기기 중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가진 홈 시어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0)가 적용된 예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시어터(200)는 AV소스(210), 디스플레이(220), AV리시버(230) 및 스피커(240)를 포함한다.
AV소스 (210)은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DVD(Digital Video Disc)플레이어 또는 셋탑 박스(STB: Set-Top Box) 등과 같은 기기로, 각종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스트림들을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A/V 소스(210)는 압축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220)에 전송하고, 또한 압축된 오디오신호를 AV 리시버(23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220)는 AV소스(210)으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된 비디오 신호(즉, 영상신호)를 복호화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200)는 외부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20)는 본체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포함한다.
AV리시버(230)는 AV소스(210)으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여 각각의 채널 스피커(241 내지 246)로 전송한다.
스피커(240)는 5.1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는 디스플레이(22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센터(center) 스피커(241), 디스플레이(220)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는 프런트(front) 스피커(242, 243), 사용자의 뒤쪽에 설치되는 리어(rear) 스피커(244, 245), 그리고 우퍼(woofer) 스피커(246)를 포함한다.
센터 스피커(241)는 영화 상에서 선명한 대사 를 출력하는 것으로 센터 스피커(241)는 프런트 스피커(242, 243) 사이에서 깔끔한 대사를 출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제 2 스피커인 좌우 프런트 스피커(242, 243)는 대부분 뮤지컬 스코어나 약간의 대사 전달과 다양한 음향효과를 출력하며 자연스럽고 넓은 무대감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 2 스피커인 좌우 리어 스피커(243, 244)는 프런트 스피커(242, 243)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추가적인 효과음, 입체음, 배경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생생한 감동을 준다. 그리고 우퍼 스피커(246)는 중저음을 출력하고 프런트 스피커(242, 243)와 서로 조화를 이루어 박진감과 생동감 넘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음량 조절 및 채널 선택 등의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2)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220)인 텔레비전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21)과, 디스플레이 패널(221)의 테두리를 감싸는 베젤(222)을 포함하며, 베젤(222)의 일부분에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푸쉬 방식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는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 면(121)이 베젤과 유사한 플랫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는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면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인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자인 모듈(170)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디자인부(170)가 발광되도록 한다. 여기서 디자인 모듈은 발광만을 수행하는 디자인부를 갖는다.
도 13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는 커버의 기준면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디자인 모듈의 조명부(173)의 점등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조작 모듈의 복수의 버튼부(131)를 돌출시키고 또한 조작 모듈의 조명부(133)를 온 동작시킴으로써 버튼부가 발광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버튼부의 위치 및 각 버튼부의 조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스피커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2)에 대해 설명한다.
오디오 출력 기기인 스피커는, 파워 앰프에서 증폭된 전기 신호를 받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향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필요한 진동판, 보이스 코일, 마그네트, 음판, 요크, 댐퍼, 센터캡 등이 배치된 몸체(310)와, 몸체(310)의 전면을 커버링하는 커버(320)와, 몸체에 배치되고 오디오 출력 정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2)는 조작 모듈을 배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몸체를 갖지 않고 스피커의 몸체(310)에 직접 삽입되어 배치되며, 또한 몸체와 조작 모듈을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스피커의 몸체를 커버링하기 위한 스피커의 커버(320)를 이용한다.
아울러,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터치 방식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2)는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의 기준 면(121)이 플랫 상태로 유지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2)는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면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인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디자인 모듈(170)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디자인부(170)가 발광되도록 한다. 여기서 디자인 모듈(170)은 조작 모듈(130)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14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2)는 커버(310)의 기준면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디자인 모듈의 조명부(173)의 점등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조작 모듈의 복수의 버튼부(131)를 돌출시키고 또한 조작 모듈의 조명부(133)를 온 동작시킴으로써 버튼부(131)가 발광되도록 한다. 이때 디자인부(170)는 발광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로써 사용자가 버튼부의 위치 및 각 버튼부의 조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조작 모듈의 버튼부에는 복수의 지시체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시체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시체는 음량 조정을 위한 상/하 지시체 및 복수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 선택을 위한 지시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검출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치점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는 터치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 정보를 판단하고,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미도시)에 출력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세탁기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터브, 회전 가능한 드럼, 드럼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 등이 배치된 본체(310)와, 본체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320)를 포함하고, 본체(310)에 설치되고 운전 정보를 입력받고 운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검출부(141) 및 제2검출부(142)를 포함하고, 버튼부의 조작 방식이 터치 방식인 예를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는 몸체에 설치된 표시창(180)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표시창(180)가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세탁기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를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는 제1검출부(141) 및 제2검출부(142)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를 통해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버튼부를 정지 구동 상태로 유지시켜 커버(120)의 기준면이 플랫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검출부(141)를 통해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면 제1영역(A1)에 배치된 제1조작모듈(130-1)을 돌출시키고, 또한 제1조작모듈의 조명부를 점등시킨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디자인용 지시체인 제2지시체가 형성된 경우 디자인 모듈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미관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기능적으로 조작 정보가 상위 기능인 버튼부가 배치된 제1영역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검출부(141)를 통해 인체 검출 신호가 검출되면 제2영역(A2)에 배치된 제2조작모듈(130-2)을 돌출시키고, 또한 제2조작모듈의 조명부를 점등시킨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영역에 디자인용 지시체인 제2지시체가 형성된 경우 디자인 모듈의 조명부를 점등시켜 미관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기능적으로 조작 정보가 하위 기능인 버튼부가 배치된 제2영역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전 모드에 따라 제1조작모듈 및 제2조작모듈 모두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조작 모듈 및 제2조작모듈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는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선택되면 선택된 버튼부에 대응하는 하위 기능의 버튼부만을 자동으로 표시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작 모듈이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을 선택하면, 표시창(180)을 통해 세탁 시간 설정을 요청하는 세탁 시간 설정 정보를 출력하고, 제2조작 모듈의 제2조작 모듈을 구동시킴으로서 조작 가능한 버튼부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제2조작 모듈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부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창(180)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세탁 행정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헹굼 횟수, 탈수 강도 등의 선택 시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운전 모드 선택, 추가 옵션 선택 시에는 선택된 모드 또는 옵션에 대응하는 하위 버튼부만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세탁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 운전을 수행하고, 세탁 운전 시 동작 정보를 표시창(180)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제1조작 모듈 및 제2조작모듈은 비활성화 상태이다.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110: 몸체
120: 커버 130: 조작 모듈
140: 검출부 150: 구동모듈

Claims (34)

  1.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일부를 커버링하고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에 의해 커버링된 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버튼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커버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조작모듈;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조작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가 상기 커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조작모듈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조작된 어느 하나의 버튼부의 조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작 정보의 하위 기능을 가지는 버튼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버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조작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는, 빛을 투과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지시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의 지시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조명부의 동작과 상기 이동부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가 조작되면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의 동작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는,
    터치 인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조작모듈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인체가 미검출되면 플랫 상태이고,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에 의해 입체 상태로 변형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검출부 및 제2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검출부 및 제2검출부 중 인체가 검출된 검출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검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버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조작 모듈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인체를 검출하고,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몸체에 설치된 조작모듈의 복수 개의 버튼부를 상기 몸체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조작모듈에 마련된 조명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 중 어느 하나의 버튼부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조작된 어느 하나의 버튼부의 조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작 정보의 하위 기능을 가지는 버튼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버튼부를 돌출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모듈의 복수 개의 버튼부를 돌출시키는 것은,
    상기 인체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버튼부를 돌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모듈의 복수 개의 버튼부를 돌출시키는 것은,
    상기 몸체와 상기 조작모듈의 복수 개의 버튼부를 커버링하는 커버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가 상기 커버와 동시에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
  23. 삭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모듈의 복수 개의 버튼부를 돌출시키는 것은,
    상기 조작모듈에 마련된 조명부의 점등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
  25. 영상 및 사운드 출력을 위한 부하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영상 및 사운드 출력에 대한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형상이 노출되도록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 개의 버튼부와,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버튼부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조작된 어느 하나의 버튼부의 조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작 정보의 하위 기능을 가지는 버튼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전기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지시체를 발광시키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기기.
  27. 오디오 출력을 위한 부하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형상이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복수 개의 버튼부와,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조작된 어느 하나의 버튼부의 조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작 정보의 하위 기능을 가지는 버튼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전기기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 각각은,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1지시체와, 디자인을 위한 제2지시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시체와 제2지시체를 발광시키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기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는,
    터치 방식인 전기기기.
  30.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부하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세탁 운전에 대한 조작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형상이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복수 개의 버튼부와,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튼부가 조작되면 상기 조작된 어느 하나의 버튼부의 조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조작 정보의 하위 기능을 가지는 버튼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전기기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가 검출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가 모두 비조작되면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가 상기 커버 내 숨겨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의 삽입을 제어하는 전기기기.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커버에 형상이 노출되도록 돌출 가능한 디자인부;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와 디자인부를 각각 돌출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기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는, 빛을 투과하고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1지시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부는, 빛을 투과하는 제2지시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지시체 및 상기 제2지시체에 각각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기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인체가 검출되면 상기 디자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의 돌출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기기.
KR1020130012068A 2013-02-01 2013-02-0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9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68A KR102009656B1 (ko) 2013-02-01 2013-02-0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68A KR102009656B1 (ko) 2013-02-01 2013-02-0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153A KR20140099153A (ko) 2014-08-11
KR102009656B1 true KR102009656B1 (ko) 2019-08-12

Family

ID=5174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068A KR102009656B1 (ko) 2013-02-01 2013-02-0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210155495A (ko) 2020-06-16 2021-12-23 김정현 다중 내진형 통신장비함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54B1 (ko) * 2018-10-31 2020-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스위치장치
KR102421697B1 (ko) * 2020-10-27 2022-07-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수족관용 스위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8836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hydraulic control
US20100162109A1 (en) 2008-12-22 2010-06-24 Shuvo Chatterjee User interface having changeable topograph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984B1 (ko) * 2003-12-15 2006-05-11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콘트롤 패널용 버튼 제조방법
KR20110091232A (ko) * 2010-02-05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돌출 가능 부재를 가진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8836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hydraulic control
US20100162109A1 (en) 2008-12-22 2010-06-24 Shuvo Chatterjee User interface having changeable topograph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2276019B1 (ko) * 2019-10-31 2021-07-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210155495A (ko) 2020-06-16 2021-12-23 김정현 다중 내진형 통신장비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153A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6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040756A1 (en) Flameless Candle with Multimedia Capabilities
KR100712719B1 (ko) 엘리베이터의 lcd 운전반
WO201713493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06280A (ja) マルチチャンネル音響再生システム
US20130301224A1 (en) Intelligent wall-mounted switch module
JP2004511969A (ja) 動的に制御される外観を有する装置キャビネット
JP5966887B2 (ja) 祭壇装置
EP3733946A1 (en)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US10368182B2 (en) Device and method of modifying an audio output of the device
CN107923582A (zh) 照明装置
WO2011040514A1 (ja) 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462835B1 (ko) 영상장치를 갖는 모형 건축물
US20220229629A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out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40133181A (ko) 빌트인 오디오장치
CN207867301U (zh) 一种智能家居演示系统展示柜
JP4740819B2 (ja) 表示装置収容構造体の開閉扉構造及び表示装置収容構造体
KR102260947B1 (ko)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장치의 위치 인식 방법
KR20220119799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노래반주기
WO2015129151A1 (ja) 人感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TW201833886A (zh) 顯示裝置及電視收訊機
KR100370174B1 (ko) 화면연동형 입체조명 시스템
KR102640325B1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JP4372792B2 (ja) 設置状態検出装置
KR101518820B1 (ko) 휴대단말기 모션 제어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