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683A -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683A
KR20140128683A KR1020130047403A KR20130047403A KR20140128683A KR 20140128683 A KR20140128683 A KR 20140128683A KR 1020130047403 A KR1020130047403 A KR 1020130047403A KR 20130047403 A KR20130047403 A KR 20130047403A KR 20140128683 A KR20140128683 A KR 20140128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vehicle
unit
housing part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04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683A/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4012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휴대 기기 수납부 또는 하우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모듈이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으로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및 양이온, 향기, 수증기 등을 에어 출구로 배출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차량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조명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의 충전 시, 무선 충전 모듈 또는 충전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켜 줌으로써, 휴대 기기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와 링크되는 휴대 기기 링크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형태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휴대 기기 수납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조명부(114), 및 표시부(116)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수납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인입되어 다시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내부에는 휴대 기기(19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S)이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휴대 기기 안착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안착 수단(미도시)으로는 예를 들어, 안착홈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1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 MP3, 태블릿 PC, PM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03)이 형성되어 수납 공간(S)을 복수 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복수 개의 휴대 기기(19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격벽(103)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벽(103)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격벽(103)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서 상호 크로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하우징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의해 탄성 부재(미도시)가 수축된 상태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을 누르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미도시)가 원래의 상태로 늘어나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을 눌러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탄성 부재(미도시)가 다시 수축하면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어떤 구조물을 누름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기술은 예를 들어, CD 또는 DVD 플레이어 등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자세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서랍과 같이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4)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와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 부분을 잡아 당겨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 부분을 밀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하우징부(102) 내로 다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는 별도의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 구비된 별도의 제어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거나 기 설정된 음성을 말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휴대 기기(190)가 충전 또는 살균되는 동안 하우징부(102) 내로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 하우징부(102)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직선 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일측으로 휘어지면서(즉, 곡선을 그리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102) 내에 2개의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수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고, 다른 하나의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 또는 공진 방식으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교류 형태의 에너지를 공기 중으로 방사하는 방사체(예를 들어, 충전 코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무선 충전 모듈(106)에서 공기 중으로 방사된 교류 형태의 에너지를 수신한 후 정류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6)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바닥 플레이트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시키면서 사용자가 휴대 기기(19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체 구성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106) 중 전력 송신부(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만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게 된다. 이때,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하우징부(102) 또는 후술하는 별도의 회로 기판(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106)의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가 모두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6)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6)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때, 차량 내의 탑승자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8)는 격벽(1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08)는 하우징부(1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108)는 하우징부(10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8)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즉,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8)는 무선 충전 모듈(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입되면 자외선 조사부(108)가 온(ON) 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출되면 자외선 조사부(108)가 오프(OFF) 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8)가 온(ON) 되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108)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한 후 자동으로 오프(OFF)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또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일측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힌지를 회전축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때, 자외선 조사부(108)가 조사하는 자외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차량 내의 탑승자들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벽에 자외선 차단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자외선 조사부(108)의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08)가 온(ON)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닫혀져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108)가 오프(OFF)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열려져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8)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이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거나 기 설정된 음성을 말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08)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도중 전화(또는 메시지)가 걸려오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108)는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190)가 자외선 조사부(108)를 통해 살균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에 의해 외부와 단절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링크되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휴대 기기(190)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통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위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별도의 터치 스크린을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아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PDA 등)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발생된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인근에 위치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제어를 시작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사용자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해당 동작에 따른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다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수신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도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108)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도중에도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190)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190)를 통해 휴대 기기(190)와 연동된 다른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커넥터부(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커넥터부(112)가 격벽(103)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커넥터부(112)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부(112)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12)에는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별도의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미도시)은 커넥터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저장 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112)에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휴대용 저장 장치를 연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와 회로 기판(미도시)의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미도시)의 저장 매체와 휴대 기기(190)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휴대 기기(19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미도시)의 충전 회로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도 있고, 커넥터부(112)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유선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106)을 통한 무선 충전과 커넥터부(112)를 통한 유선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6)은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되고, 커넥터부(112)는 유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겸용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회로 기판(미도시)은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조명부(114), 및 표시부(116)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14)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부(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2)가 설치된 차량 내부 구조물(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114)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114)를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에 형성하는 경우, 조명부(114)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하면, 자외선 조사부(108)와 함께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5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사 각도가 상하 좌우로 조절될 수 있다.
조명부(114)의 동작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될 때 조명부(114)가 온(ON) 되도록 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내로 인입될 때 조명부(114)가 오프(OFF)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될 때, 조명부(114)가 온(ON) 되고,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될 때 조명부(114)가 오프(OFF) 될 수 있다.
조명부(114)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색상, 및 표시 단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4)의 표시 단계가 1단계(예를 들어, 표시바가 1개 점등됨), 2단계(예를 들어, 표시바가 2개 점등됨), 및 3 단계(예를 들어, 표시바가 3개 점등됨)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114)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4)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기 설정된 모션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예를 들어, 온 또는 오프 동작, 밝기 레벨 조절, 색 온도 레벨 조절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14)는 사용자가 조명부(114)의 동작과 관련된 음성을 발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명부(114)을 온 또는 오프시키라는 음성을 발하거나 조명부(114)의 밝기 레벨을 조절하라는 음성을 발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표시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16)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또는 유선 충전 중인 경우, 표시부(116)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경우, 표시부(116)는 휴대 기기(190)의 살균 시간 및 살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 또는 차량 내부 구조물(50)과 힌지(119)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상하 좌우로 회전시켜 자신이 바라보기에 편한 각도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될 때 하부로 경사지게 인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세로로 설치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측은 힌지(125)를 통해 하우징부(102)의 내측과 힌지 결합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25)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도 4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25)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내부에 다시 수납되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이온 발생기(118), 송풍팬(120), 터치펜(122), 및 배터리 모듈(124)을 더 포함한다.
이온 발생기(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118)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온 발생기(118)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온 발생기(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또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8)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120)은 이온 발생기(118)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20)은 이온 발생기(11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을 전방으로 불어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방에서 하우징부(10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는 에어 출구(131)가 형성된다. 여기서는, 에어 출구(131)가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출구(131)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온 발생기(11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송풍팬(120)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내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정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온 발생기(11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지나 에어 출구(131)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출구(131)로 빠져나간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즉, 이온 발생기(118)에서 발생시킨 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살균하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은 차량 내 오염 정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은 차량 내 오염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온 발생기(118)가 형성된 위치에 방향기가 형성되어 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내에 좋은 향기를 발생시켜 차량 내 나쁜 냄새를 제거하고, 차량 내 탑승자의 기분을 돋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기(118)가 형성된 위치에 가습기가 형성되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습기를 통해 차량 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118), 방향기, 및 가습기가 택일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단에 이온 발생기(118), 방향기, 및 가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별도의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에 설치된 이오나이저(Ionizer)로부터 발생된 음이온 및 양이온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후단은 차량 내에 설치된 이오나이저와 연결된 송풍 덕트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이오나이저로부터 발생된 음이온 및 양이온이 송풍 덕트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터치 펜(12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형성된 터치 펜 결합부(1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펜 결합부(123)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내측벽 또는 격벽(103)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펜(12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될 수도 있다. 터치 펜(122)은 휴대 기기(190)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124)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24)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124)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124)은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전동 칫솔, 미니 선풍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는 무선 충전 모듈(106)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124)은 상기 회로 기판(미도시)의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모듈(124)은 케이블(충전 케이블 또는 충전 및 데이터 겸용 케이블)을 통해 커넥터부(112)에 접속되거나 USB 형태로 형성되어 커넥터부(112)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는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은 광 전지셀(127), 후레쉬부(128), 및 레이저 포인터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전지셀(127)은 배터리 모듈(124)의 표면에 형성된다. 광 전지셀(127)은 광원(예를 들어, 태양 또는 전등)으로부터 광을 수집하고, 수집한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광 전지셀(127)은 변환시킨 전기 에너지를 통해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즉, 배터리 모듈(124)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된 경우, 광 전지셀(127)을 통해 자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4)에는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128)는 배터리 모듈(12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12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밝은 빛을 방사하여 주변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124)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124)을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포인터부(129)는 배터리 모듈(12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부(12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특정 사물(또는 대상)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124)을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124)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124)을 레이저 포인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124)은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24)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124)은 휴대용 USB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보관 장치(50)는 예를 들어, 암레스트,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 내에 인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4)는 차량용 보관 장치(50) 내에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에는 에어 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보관 장치(50)에는 차량용 보관 장치(50)의 일측을 일부 개방시킨 윈도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윈도우(111)는 차량용 보관 장치(50)(휴대 기기 수납부(104)도 포함됨)의 개방된 부분을 말한다. 윈도우(111)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키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윈도우(111)를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보관 장치(50)에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수납하는 커버 수납홈(10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커버 수납홈(109)에서 인출되면서 윈도우(111)를 폐쇄시키고, 커버 수납홈(109)으로 인입되면서 윈도우(111)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커버 수납홈(109)과 슬라이드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4)가 인입된 상태에서도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열어 휴대 기기(19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11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닫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휴대 기기(190)를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윈도우(111)를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윈도우 커버가 윈도우(111)를 개폐할 수도 있다. 이때, 윈도우 커버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커버에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 필름이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커버가 자외선 차단 커버의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윈도우 커버와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윈도우 커버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각각 윈도우(111)를 개폐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윈도우 커버의 하부에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형성되거나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하부에 윈도우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커버 및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이중 커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윈도우(111)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차단 커버(110)가 윈도우(11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윈도우(111)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일측이 하우징부(102)에 형성된 전원 공급 단자(181)에 연결되고, 타측이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케이블(184)을 포함한다(도 7의 (a)). 이때, 플렉서블 케이블(184)의 타측은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하우징부(102)에서 인출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도 7의 (b)). 여기서는, 플렉서블 케이블(184)이 일측이 하우징부(102)에 형성된 전원 공급 단자(181)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케이블(184)이 일측은 하우징부(102) 외부에 형성된 전원 공급부(예를 들어, 차량 메인 보드 또는 배터리 등)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는 플렉서블 케이블(184)이 무선 충전 모듈(106)의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케이블(184)은 무선 충전 모듈(106) 자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케이블(184)은 후술하는 충전 회로(148)에 연결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184)은 무선 충전 모듈(106) 및 충전 회로(148)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플렉서블 케이블(184)이 사용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식 케이블(즉, 케이블 선이 몸체에 감겨 있어 잡아 당기면 인출할 수 있는 형태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조명부(114), 표시부(116), 이온 발생기(118), 송풍팬(120), 배터리 모듈(124), 사용자 인터페이스(142), 전원 공급부(144), 신호 증폭부(146), 충전 회로(148), 저장 매체(150), 오염 감지 센서(152), 모션 감지부(154), 음성 감지부(156),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 통신부(160), 휴대 기기 링크부(162), 및 제어부(164)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104), 무선 충전 모듈(106), 자외선 조사부(108), 자외선 차단 커버(110), 커넥터부(112), 조명부(114), 표시부(116), 이온 발생기(118), 송풍팬(120), 및 배터리 모듈(124)에 대해서는 위에서 살펴보았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는 차량 내 탑승자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작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44)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144)는 전력 공급원(예를 들어, 별도의 배터리 또는 차량 내의 배터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44)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용 전원의 전압(예를 들어, 220V 또는 110V)보다 낮은 전압(예를 들어, 12V 또는 24V 등)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144)가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가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을 충전할 때,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충전 속도가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느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호 증폭부(146)를 구비한다.
신호 증폭부(146)는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가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을 충전할 때, 전원 공급부(14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켜 줌으로써,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신호 증폭부(146)는 전원 공급부(14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 또는 충전 회로(14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상용 전원의 전압 수준으로 증폭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회로(148)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휴대 기기(190)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충전 회로(148)는 배터리 모듈(124)이 커넥터부(112)에 접속된 경우,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때, 충전 회로(148)는 전원 공급부(14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기기(190) 또는 배터리 모듈(124)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저장 매체(150)는 커넥터부(11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매체(150)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부(104), 자외선 차단 커버(110), 및 조명부(114)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0)는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부(104), 자외선 차단 커버(110), 및 조명부(114)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차량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차량 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예를 들어, 차량 내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악취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152)는 차량 내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를 제어부(164)로 발생시킬 수 있다.
모션 감지부(154)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모션 감지부(154)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손 또는 손가락 등)를 인식하여 특정 부위만을 촬영할 수도 있다. 모션 감지부(154)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해당 모션에 따른 모션 감지 신호를 제어부(164)로 발생시킨다. 또한, 모션 감지부(154)는 촬영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차량 내 탑승자의 얼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제어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문이 열리거나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감지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음성 감지부(156)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음성 감지부(156)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감지부(156)는 사용자가 특정 내용의 음성(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인입 또는 인출하라는 음성,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개폐하라는 음성, 조명부(114)를 온 또는 오프 하라는 음성 등)을 발하는 경우, 해당 음성에 따른 음성 감지 신호를 제어부(164)로 발생시킨다. 모션 감지부(154) 및 음성 감지부(15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전단 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설치될 수 있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예를 들어, 전화 착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는 휴대 기기(190)의 진동 또는 신호음 등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는 휴대 기기(19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를 제어부(164)로 발생시킨다.
통신부(160)는 모션 감지부(154)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탑승자의 얼굴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탑승자의 얼굴 영상을 차량 소유자의 휴대 기기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모션 감지부(154)의 카메라로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카메라로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와 링크(Link)된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인근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와도 링크될 수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19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휴대 기기(190)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해주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42)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해준다. 다음으로,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다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을 보면서 휴대 기기(1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19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달하며, 휴대 기기(190)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는 해당 동작(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인터넷 실행, 동영상 콘텐츠 실행, 음향 콘텐츠 실행 등)에 따른 휴대 기기(190)의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162)로 전달하여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162)는 휴대 기기(190) 및 다른 디지털 기기와 각각 링크되어 휴대 기기(190)와 다른 디지털 기기를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190)를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190)를 조작하여 다른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64)는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하여 조명부(114)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모션 감지부(154)의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부(156)의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4)의 동작 매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매뉴얼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104)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16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6)을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4)는 전원 공급부(144)에서 무선 충전 모듈(106)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14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자외선 조사부(108)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4)는 자외선 조사부(108)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158)로부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자외선 조사부(108)를 오프(OFF)시키고, 자외선 차단 커버(110)를 열 수 있다. 제어부(164)는 모션 감지부(154)의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부(156)의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동작 매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매뉴얼에 따라 자외선 차단 커버(1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커넥터부(112)에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150)와 휴대용 저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150)와 휴대 기기(19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커넥터부(112)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190)에 연결된 경우, 충전 회로(148)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를 유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4)는 전원 공급부(144)에서 충전 회로(148)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14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조명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모션 감지부(154)로부터 모션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조명부(114)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조명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음성 감지부(156)로부터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150)에서 해당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조명부(114)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조명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휴대 기기(19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경우, 휴대 기기(190)의 살균 시간 및 살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을 제어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오염 감지 센서(152)로부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이온 발생기(118) 및 송풍팬(120)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4) 및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4)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로부터 촬영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모션 감지부(154)의 카메라 또는 별도의 카메라로 촬영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차량 내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한다. 제어부(164)는 촬영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차량 소유자의 휴대 기기(190)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소유자는 예를 들어, 자신의 차량을 일정 기간 이용하지 않게 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42)를 통해 촬영 시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후에 차량 소유자가 아닌 타인이 해당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을 자신의 휴대 기기(190)로 전송 받음으로써, 무단 탑승에 대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4)는 자외선 조사부(108)가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제어하는 것이 휴대 기기(190)를 살균하는 기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6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2) 또는 휴대 기기 링크부(162)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190)로 전송하도록 휴대 기기 링크부(16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대시 보드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①, ②, ③, ④).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센터 페시아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⑤, ⑥).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콘솔 박스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⑦).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앞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⑧).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뒷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⑨).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앞 좌석의 시트 백에 설치될 수 있다(⑩).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암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다(⑪). 그러나,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하우징부
103 : 격벽 104 : 휴대 기기 수납부
106 : 무선 충전 모듈 108 : 자외선 조사부
110 : 자외선 차단 커버 112 : 커넥터부
114 : 조명부 116 : 표시부
118 : 이온 발생기 120 : 송풍팬
119 : 힌지 122 : 터치펜
123 : 터치펜 결합부 125 : 힌지
124 : 배터리 모듈 127 : 광 전지셀
128 : 후레쉬부 129 : 레이저 포인터부
131 : 에어 출구 14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4 : 전원 공급부 146 : 신호 증폭부
148 : 충전 회로 150 : 저장 매체
152 : 오염 감지 센서 154 : 모션 감지부
156 : 음성 감지부 158 :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
160 : 통신부 162 : 휴대 기기 링크부
164 : 제어부 181 : 전원 공급 단자
184 : 플렉서블 케이블 190 : 휴대 기기

Claims (27)

  1.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충전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송신부와 함께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이 발생시킨 이온을 차량 실내로 배출하는 에어 출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 실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오염 감지 센서; 및
    상기 오염 감지 센서가 측정한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이온 발생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충전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송신부와 함께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과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 동작은 상호 연동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 및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온(ON) 및 오프(OFF) 동작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1.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충전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송신부와 함께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색상, 및 표시 단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출 및 인입과 연동되어 온(ON) 및 오프(OFF) 동작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동작과 연동되어 온(ON) 및 오프(OFF) 동작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8.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9.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키며 형성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커버는,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 필름이 코팅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윈도우 커버를 수납하고, 상기 윈도우 커버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커버 수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커버는, 상기 커버 수납홈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커버는,
    상기 윈도우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키며 형성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고, 상기 자외선을 차단시키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4.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은,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된 이오나이저와 연결된 송풍 덕트 내에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5.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수단;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6.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충전 수단; 및
    일측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충전 수단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케이블 또는 개폐식 케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7.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설치된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047403A 2013-03-20 2013-04-29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128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03A KR20140128683A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03A KR20140128683A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683A true KR20140128683A (ko) 2014-11-06

Family

ID=5245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403A KR20140128683A (ko) 2013-03-20 2013-04-29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6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59A1 (ko) * 2017-09-21 2019-03-28 민승기 카트 및 카트의 제어 방법
KR101940984B1 (ko) * 2017-09-21 2019-04-12 민승기 카트 및 카트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59A1 (ko) * 2017-09-21 2019-03-28 민승기 카트 및 카트의 제어 방법
KR101940984B1 (ko) * 2017-09-21 2019-04-12 민승기 카트 및 카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US103397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 trainable transceiver to a vehicle
RU151162U1 (ru) Система для указания состояния заряда во время беспроводной зарядки
KR20140100381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81718B1 (ko) 컵 홀더 장치
KR101315159B1 (ko) 안치실 삽탈형 휴대폰살균충전기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JP2012514961A (ja) 誘導結合コンソール
KR20140091266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JP2012236477A (ja) スマートフォンのホールド装置
KR20140126126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N108119003A (zh) 用于增强车库门开启器远程控制的系统和方法
KR20150109613A (ko) 무선 충전기의 살균 제어 장치
CN104228627A (zh) 一种商务车后座扶手
KR2014012868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154023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109798A (ko) 사용자 인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15007152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066139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KR1020096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2079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036452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KR20210127230A (ko) 스마트 세이프 콘솔 시스템 및 방법(smart safe console system and method)
CN110428834A (zh) 一种操作车辆部件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