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48853A1 -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48853A1
WO2014148853A1 PCT/KR2014/002372 KR2014002372W WO2014148853A1 WO 2014148853 A1 WO2014148853 A1 WO 2014148853A1 KR 2014002372 W KR2014002372 W KR 2014002372W WO 2014148853 A1 WO2014148853 A1 WO 20141488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portable device
unit
mobile devi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23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오명지
이진희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2963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9593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4427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0038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442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2612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4740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2868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5141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2196A/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0991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30527A/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1210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3207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121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8171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5131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6613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5573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6939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5865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7152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6205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836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647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7651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039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8421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1591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9496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2614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04421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ublication of WO20141488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488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수납되는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휴대 기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들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 기술은 전자파(또는 전자기파)를 공기 중으로 전송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 바, 전자파에 인체가 노출될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에 적용되는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가족들이 사용하는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이 서로 다른 경우, 각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장치들을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여부가 결정되는데, 최근의 휴대 기기들은 그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휴대 기기까지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반면,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모듈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휴대 기기를 충전하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가 제대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였을 때 휴대 기기가 제 위치를 벗어나 무선 충전이 안되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부의 위치와 휴대 기기의 위치를 대응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수납되는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입구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입구 커버일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적어도 한 면은 전자파 차폐 수단을 포함하거나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수납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교환 장착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납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차폐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 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통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키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불어보내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가 수납되어 무선 충전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자파 차폐 기능을 마련함으로써,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무선 충전 장치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동안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를 살균 및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삽입시 위치 고정부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서 휴대 기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있더라도 휴대 기기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가 삽입될 때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부의 위치로 가이드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부를 통해 다양한 크기 및 기종의 휴대 기기들을 무선 충전시킬 수 있고,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의 휴대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개구부가 무선 충전 장치의 후단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입구 커버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 및 삽입 깊이 조절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벽 일측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가이드 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의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휴대 기기 수납부의 입구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여러 개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력 송신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 측으로 가이드 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인입 및 인출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이온 발생기 및 배터리 모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윈도우(349)가 형성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차량용 보관 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 각각에 서로 다른 크기의 휴대 기기 수납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플렉서블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5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자외선 차단 커버가 열리는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차량용 보관 장치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의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조명부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를 고정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를 고정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7 및 도 4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프레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휴대 기기가 안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4는 도 53에서 제2 압박부의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6 및 도 5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다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자외선 조사부 및 자외선 차단 커버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이온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살균 제어를 위한 구성을 추가로 나타낸 도면
도 6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살균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살균 제어기(797)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실제 적용된 무선 충전기의 내부 구조 및 휴대 기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7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휴대 기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가 수평하게 놓여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의 자세에 따라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전자파 차폐부(104), 무선 충전부(106), 이온 발생기(108), 자외선 조사부(110), 입구 커버(112), 위치 고정부(114), 및 개구부(116)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S)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이 개방되어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휴대 기기를 수납한다는 것은 휴대 기기의 전체 또는 일부가 휴대 기기 수납부로 삽입되어 수납되거나 휴대 기기가 휴대 기기 수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바닥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에는 보호 패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삽입되어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부(106)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106)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118)는 무선 충전부(106)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패드(118)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 등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 어느 곳이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보호 패드(118)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패드(118) 또는 돌기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 또는 돌기는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걸림부(109)가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후단이 걸림부(109)에 걸림되면서 안착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04)는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파 차폐부(104)는 전자파 차폐 시트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 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 내에서 무선 충전부(106)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상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 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전자파 차폐부(104)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 및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측면 및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자파 차폐 시트 형태의 전자파 차폐부(104)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매립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 시트 형태의 전자파 차폐부(104)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외면 및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자파 차폐부(104)가 전자파 차폐 시트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막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물질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에 인쇄(Printing)될 수도 있고, 증착 또는 스퍼터링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파 차폐부(104)라는 별도의 구성 없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 자체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체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부만이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전자파 차단 섬유 또는 전자파 차단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물질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외측에 전자파 차폐 케이스(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전자파 차폐 케이스(미도시)는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노출되어 형성되거나 바닥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106)와 휴대 기기(50) 사이에는 전자파 차폐부(104) 또는 전자파 차폐 물질 등이 개재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파 차폐 기능은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면서 무선 충전부(106)에서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06)의 일면 측에 휴대 기기(50)가 위치하는 경우,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서 무선 충전부(106)의 타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소정 면(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안착면 또는 휴대 기기(50)의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에서 전자파 차폐부(104)는 여러 개가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자파 차폐부(104)는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온 발생기(108)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발생기(108)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발생시킨 이온을 휴대 기기(50) 측으로 불어보내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에서 발생된 이온은 에어 홀(120)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에어 홀(120)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에 수납 공간(S)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온 발생기(1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예를 들어,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부(106)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부(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표면에는 광촉매(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산화텅스텐 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물질이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가 생성된다.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오염 물질을 산화 분해시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를 살균하게 된다.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개방된 전단)에 형성된다.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에서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에서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입구 커버(112)는 힌지(136)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136)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힌지(136)는 휴대 기기(5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입구 커버(11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회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서 인출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측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닫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의 전부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는 입구 커버(112)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입구 커버(112)에는 전자파 차폐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입구 커버(112)에는 전자파 차폐 시트 또는 전자파 차폐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입구 커버(112)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입구 커버(11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 커버(112)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개폐할 수도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 중 외부로 노출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114)가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부(114)는 힌지(136)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고정부(114)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입구 이외에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타측에서 바닥면의 일부 또는 측면의 일부 또는 후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116)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는 수납 공간(S)을 포함하고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되므로,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쓰레기 또는 동전 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로 인해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하여 수납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부(106)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일부를 개방하여 형성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106)이 작동하는 경우,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개구부(116)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즉, 개구부(116)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무선 충전부(106)과 열 교환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별도의 송풍팬(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송풍팬(미도시)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바람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되는 동안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동안 휴대 기기(50)를 살균 및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있더라도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조물(10)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대시 보드, 좌석 시트 쿠션 하부, 및 앞 좌석 시트 백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조물(10)이 차량의 내부 구조물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100)는 그 이외의 다양한 종류 및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실내 벽면 또는 가구 또는 전자 제품(예를 들어, 텔레비젼, 냉장고, 오디오, 세탁기 등)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만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되고, 무선 충전부(106)의 충전 제어부는 구조물(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10)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부에 이물질 수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124)는 개구부(116)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 장치(100)와 이물질 수납부(124) 사이에는 연통부(122)가 형성된다. 연통부(12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개구부(116)와 이물질 수납부(124) 내의 공간을 연통하며 형성된다. 이물질 수납부(124)는 구조물(10)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124)에 이물질이 가득 차는 경우, 이물질 수납부(124)를 인출하여 이물질을 수거한 후 이물질 수납부(124)를 인입시킬 수 있다.
한편, 구조물(10)에는 상태 알림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입구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줄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무선 충전부(106)의 동작 상태(즉,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상태, 및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각 구성들(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06), 이온 발생기(108), 및 자외선 조사부(110) 등)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의 동작 지속 시간 및 진행 정도(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06)를 통한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진행 정도,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시간, 자외선 조사부(110)의 살균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는 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및 SNS 메시지 수신(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 표시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로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SNS 메시지 수신 등)를 감지하여 상태 알림부(126)로 전달하는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는 휴대 기기(50)가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발생하는 전파를 검출하여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2G 통신의 경우 800MHz 또는 18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3G 통신의 경우 21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테나는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가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와이파이(2.4 GHz) 등)의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메인 보드 상에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가 차량 내에 장착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꺼졌을 때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휴대 기기(50)가 차량 내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차량 내에 놓고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106)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50)로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가 수신하는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개구부가 무선 충전 장치의 후단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11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입구와 대향하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00)의 양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단(전단)에는 입구 커버(112)가 형성되고, 무선 충전 장치(100)의 타단(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리브(128)가 형성된다. 지지 리브(128)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리브(128)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양측면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50)의 폭 및 무선 충전 장치(100)의 폭 등을 고려하여 그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지지 리브(128)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 걸림부(109)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 전체가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배면)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부(116)를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유선 접속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접속부(13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접속부(130)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30)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입구 커버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 입구 커버(112)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112)는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를 포함한다. 제1 입구 커버(112-1)는 제1 힌지(136-1)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구 커버(112-2)는 제2 힌지(136-2)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 타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구 커버(112-1)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1 위치 고정부(1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부(114-1)는 제1 입구 커버(112-1)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구 커버(112-2)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 고정부(114-2)는 제2 입구 커버(112-2)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는 각각 휴대 기기(50)에 밀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는 각각 제1 힌지(136-1) 및 제2 힌지(136-2)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로 가이드되면서 고정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에 의해 고정되는 휴대 기기(50)의 위치가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와 대응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되며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휴대 기기(5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 및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는 기능(또는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는 기능은 입구 커버(112)와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는 구성을 휴대 기기 가이드부라고 한다. 입구 커버(112)가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에 포함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와 대향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는 제1 탄성 부재(132-1) 및 제1 탄성 부재(132-1)와 힌지 결합되는 제1 압박 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제2 탄성 부재(134-1) 및 제2 탄성 부재(13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압박 부재(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32-1) 및 제2 탄성 부재(134-1)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압박 부재(132-2) 및 제2 압박 부재(134-2)는 각각 휴대 기기(5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박 부재(132-2) 및 제2 압박 부재(134-2)는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고정되는 위치는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압박 부재(132-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압박 부재(134-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압박 부재(132-2)가 제1 탄성 부재(132-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고, 제2 압박 부재(134-2)가 제2 탄성 부재(134-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타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즉, 무선 충전부(106)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부(106)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무선 충전부(106)(보다 자세하게는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이 어려울 뿐더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해도 무선 충전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휴대 기기(50)는 기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예를 들어, 갤럭시 노트 시리즈, 갤럭시 S 시리즈, 아이폰 시리즈 등)를 가지는데,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의 상대적 위치도 달라지므로, 하나의 무선 충전부(106)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로 유도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충전부(106)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양측 내벽에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어느 하나에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토션 스프링 및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 및 삽입 깊이 조절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양측 내벽에 각각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는 삽입 깊이 조절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깊이 조절부(108)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134)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50)들의 종류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길이 또한 다양하므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삽입되는 방향에서의 휴대 기기(50)의 위치 또한 가이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삽입 깊이 조절부(138)를 통해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길이 방향에서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부(106)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삽입 깊이 조절부(138)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1) 및 탄성 부재(138-2)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1)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에서 휴대 기기(50)의 하단을 지지하며,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의 하단이란 휴대 기기(50)를 길이 방향(또는 폭 방향)으로 세웠을 때 하측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1)는 편평한 판 형상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하단을 지지한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1)에는 보호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8-2)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하단을 탄성 지지한다. 탄성 부재(138-2)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8-2)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138-2)가 휴대 기기 지지부(138-1)를 하단에서 탄성 지지하므로, 휴대 기기 지지부(138-1)는 휴대 기기(50)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 및 탄성 부재(138-2)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탄성 부재(138-2)가 압축되면서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의 일측에는 걸림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1)는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게 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하단으로부터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상기 걸림 돌기에서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압축된 탄성 부재(138-2)가 이완되면서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기기(50)의 길이가 비교적 긴 경우, 휴대 기기(5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부(106)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휴대 기기(50)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휴대 기기(50)에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휴대 기기(50)를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켜 휴대 기기(50)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지지부(138-1)는 휴대 기기(50)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부(미도시)는 휴대 기기(50)의 하단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일면에 삽입되거나 돌출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부(미도시)는 내부에 힌지(미도시), 레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아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일면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부(미도시)가 돌출되어 휴대 기기(5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휴대 기기(50)의 하단으로부터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아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일면에 돌출되어 있던 잠금부(미도시)가 다시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일면으로 삽입하여 휴대 기기(5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잠금부(미도시)가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하는 방식 및 삽입 깊이 조절부(108)의 작동 방식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볼펜의 상단 부분을 누름에 따라 볼펜심이 외부로 돌출되고 다시 한번 볼펜 상단을 누를 경우 볼펜심이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기어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잠금부(미도시)가 휴대 기기(50)의 일단을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킴으로써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벽 일측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는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 일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의 위치 및 개수는 실시예들에 불과하며,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 휴대 기기(50)의 종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의 압박 부재(132-2)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가이드 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양측에는 각각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가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구 커버(112-1)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일측에 마련된 제1 힌지(136-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구 커버(112-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타측에 마련된 제2 힌지(136-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에는 삽입 깊이 조절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는 휴대 기기(50)의 측면을 압박하도록 그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는 제1 힌지(136-1) 및 제2 힌지(136-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중앙(즉, 무선 충전부(106)가 마련된 부분)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양측에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가 형성되어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중앙으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일측에 입구 커버(11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휴대 기기(50) 삽입 시 입구 커버(112)가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으로 가이드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50)가 가이드 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전력 송신부(106-1) 및 받침부(1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06-1)는 받침부(106-2) 상에 형성된다. 전력 송신부(106-1)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안테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 형성되는 이동 조정부(119)와 연결된다. 무선 충전부(106)와 이동 조정부(119) 사이에 이동 레버(119-1)가 마련되어 무선 충전부(106)와 이동 조정부(119)를 연결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따라 가이드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조정부(119)는 가이드 슬릿(미도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이동 레버(119-1)를 통해 이동 조정부(119)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 레버(119-1)가 이동할 때 이동 레버(119-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 조정부(119)가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는 이동 조정부(119)의 이동 거리에 따른 눈금(미도시)이 예를 들어 cm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는 크기가 서로 다른 휴대 기기(50)들의 식별자(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기종 등)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 표시된 눈금 또는 식별자를 참조하여 이동 조정부(119)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는 사용자에 의해 푸시(push) 가능한 버튼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조정부(119)는 푸시 가능한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버튼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 개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푸시하는 경우, 무선 충전부(106)는 푸시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이동 거리를 달리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는 무선 충전부(106)와 연결되어 무선 충전부(106)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푸시에 의해 모터가 작동되며, 모터는 푸시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무선 충전부(106)의 이동 거리를 달리하여 무선 충전부(106)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각 버튼의 일면에는 크기가 다른 휴대 기기(50)들의 식별자,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기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면에 표시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이동 조정부(119)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푸시함으로써 무선 충전부(106)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이동 조정부(119)의 작동 방식은 실시예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조정부(119)는 회전 가능한 다이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복수 개의 기어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 구조들의 기어 작용에 의해 무선 충전부(106)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조정부(119)는 무선 터치 방식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다. 즉, 접촉 감지 센서(미도시)가 사용자의 접촉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모터(미도시)가 무선 충전부(106)의 이동 거리를 달리하여 무선 충전부(106)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가 제대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경우, 이동 조정부(119)를 통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이동 조정부(119) 및 무선 충전부(106)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조정부(119) 및 무선 충전부(106)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 양측에 형성된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킬 수 잇다. 또한, 휴대 기기(50)의 삽입 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 깊이 조절부(138)가 휴대 기기(50)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삽입 깊이 조절부(138)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1) 및 탄성 부재(138-2)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1)의 일측에는 돌출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수납 공간 측으로 요철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85)에는 요철부(18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돌출부(181)가 요철부(185)의 어느 돌기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50)가 삽입될 때, 돌출부(181)가 요철부(185)와 맞물려 휴대 기기(50)(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1))를 고정시키거나, 요철부(185)의 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휴대 기기(50)(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1))가 이동되도록 한다. 돌출부(181) 및 요철부(18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의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삽입 깊이 조절부(138)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a), 회전부(138b), 회전 레버(138c), 나사부(138d), 및 홀부(138e)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 지지부(138a)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에서 휴대 기기(50)를 접촉 지지하며,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지지부(138a)는 회전부(138b) 및 회전 레버(138c)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138b)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회전부(138b)의 일단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38b)의 타단은 회전 레버(138c)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38b)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회전 레버(138c)는 회전부(138b)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부(138b)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회전부(138b)의 일단의 직경이 회전부(138b)의 타단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레버(138c)는 일단이 회전부(138b)와 결합되고 타측부가 휴대 기기 지지부(138a)와 결합된다. 여기서는, 회전 레버(138c)의 일단과 회전부(138b)의 타단이 일체로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레버(138c)의 일단과 회전부(138b)의 타단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별개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 레버(138c)의 일단과 회전부(138b)의 타단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 레버(138c)의 일단에는 회전부(138b)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부(138b)의 타단의 형상과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레버(138c)의 타측부는 휴대 기기 지지부(138a)와 결합할 수 있다. 회전 레버(138c)의 타측부에는 휴대 기기(5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나사부(138d)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지지부(138a)는 회전 레버(138c)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부(110e)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홀부(110e)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38d)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38b) 및 회전 레버(138c)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는 이동됨이 없이 고정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138b) 및 회전 레버(138c)가 회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a)는 회전 레버(138c)의 나사부(138d)를 따라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부(138b) 및 회전 레버(138c)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a)는 따라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회전부(138b) 및 회전 레버(138c)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 지지부(138a)는 따라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부(138b)의 회전에 따라 휴대 기기 지지부(138a)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삽입되는 깊이를 간단히 조작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휴대 기기 수납부의 입구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조정부(119)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에 마련되어 무선 충전부(106)를 이동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면)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릿(1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릿(129)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조정부(119)는 도 1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푸시(push) 가능한 버튼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에는 제1 표시부(142), 제2 표시부(144), 및 스피커(14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42)는 무선 충전부(106)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는 휴대 기기(50)의 위치, 즉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부(106)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부(106) 간의 간격 또는 거리가 소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이 어려울 수 있다.
제1 표시부(142)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부(106)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경우(즉,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1 표시부(142)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부(106)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를 벗어나 있어 무선 충전이 어려운 경우(즉, 충전 불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1 표시부(142)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50) 또는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42)는 반복적으로 점멸하여 충전 가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2)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또는 색 온도 레벨이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2)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700)의 제어부(미도시)는 휴대 기기(50)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의 변화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42)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문자, 전화 등을 수신하여 착신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1 표시부(142)는 노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50)의 착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만, 제1 표시부(142)가 휴대 기기(50)의 착신 여부를 표시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표시부(142)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에 따라 밝기 레벨 또는 색 온도 레벨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착신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144)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구비되는 유선 접속부(130)에 휴대 기기(5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휴대 기기(50)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접속부(130)는 유선 충전 포트(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표시부(144)는 예를 들어, 유선 충전 포트에 휴대 기기(50)가 연결되는 경우, 주황색의 빛을 발생시켜 유선 충전이 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2 표시부(144)는 유선 충전 포트에서 휴대 기기(50)가 분리되는 경우,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유선 충전이 되고 있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2 표시부(144)는 휴대 기기(50)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밝기 레벨 또는 색 온도 레벨이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무선 충전부(106)를 통한 무선 충전과 유선 접속부(130)를 통한 유선 충전은 병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보다 신속하게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스피커(14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서 휴대 기기(50)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 휴대 기기(50)의 충전 가능 여부, 충전 상태,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는 휴대 기기(50)를 인식하여 휴대 기기 인식 신호를 생성한 후 스피커(146)로 송신할 수 있다. 스피커(146)는 센서로부터 휴대 기기 인식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휴대 기기(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거나, 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서 휴대 기기(50)가 이탈되는 경우, 스피커(146)는 알림음을 출력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스피커(146)는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스피커(146)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음을 출력하여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제1 표시부(142) 및 스피커(146)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표시부(142) 또는 스피커(146)만 동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스피커(146)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구비되는 유선 접속부(130)에 휴대 기기(5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음을 출력하여 휴대 기기(50)가 유선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표시부(144) 및 스피커(146)는 유선 접속부(130)에 휴대 기기(5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표시부(144) 또는 스피커(146)만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14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도 있다. 스피커(14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된 정도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서로 다른 알림음으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스피커(146)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도 있다.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는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카카오 톡 등 SNS 메시지 수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충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 등이 걸려온 경우, 스피커(146)는 착신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무선 충전 가부 상태, 무선 충전 진행 상태,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1 표시부(142), 제2 표시부(144), 및 스피커(146)는 상태 알림부(126)의 일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일측에 블랙박스 기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블랙박스 기능부(미도시)는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카메라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화질의 CCD(Charge Coupled Device)일 수 있으며,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이미지 증폭기나 줌(Zoom)기능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블랙박스 기능부(미도시)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 기능부(미도시)는 차량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7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만 소정 시간 동안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부(241)의 내부를 도시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가 수평하게 놓여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의 자세에 따라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무선 충전 모듈(201), 휴대 기기 수납부(202), 및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200)는 차량 구조물(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글로브 박스, 차량 도어, 센터 콘솔, 암레스트, 차량 좌석 등)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200)는 실내 구조물(예를 들어, 가구, 벽면, 전자 기기 등)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200)는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책상 또는 탁자 등에 놓인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은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 모듈(201)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공명 방식인 경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탈착시킨 후,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인 경우, WPC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탈착시킨 후, PMA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WPC 방식 및 PMA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은 그 이외에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앞으로 개발될 무선 충전 방식도 포함)일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부(206)가 마련된다. 무선 충전부(206)는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충전부 수납부(21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206)는 전력 송신부(206-1) 및 받침부(2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06-1)는 받침부(206-2) 상에 형성된다. 전력 송신부(206-1)는 무선 전력을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력 송신부(206-1)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송신부(206-1)는 충전 코일이 여러 번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06-1)는 충전 코일이 원형으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코일이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송신부(206-1)로는 안테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받침부(206-2)는 전력 송신부(206-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206)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 및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크기 또는 휴대 기기(50)의 위치에 따라 무선 충전부(206)를 이동시켜 무선 충전부(206)와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상호 대응시킴으로써,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모듈 하우징부(21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의 수납 공간에 따라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일측에서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안착되어 수납될 수도 있다.
충전부 수납부(217)는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무선 충전부(206)를 수납한다. 충전부 수납부(217)는 내부에 무선 충전부(206)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무선 충전부(206)는 충전부 수납부(217) 내에서 고정되어 수납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217)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 및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부(206)는 충전부 수납부(217)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충전부 수납부(217)를 이동시킴으로써, 무선 충전부(206)를 이동시킬 수 있다.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는 충전 제어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5)는 무선 충전부(206)의 동작을 제어한다. 충전 제어부(215)는 플렉서블 케이블(227)을 통해 전력 송신부(20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5)와 전력 송신부(206-1)를 플렉서블 케이블(227)로 연결하는 경우, 무선 충전부(206)가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충전 제어부(215)와 전력 송신부(206-1)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201)은 이동 조정부(219), 제1 커넥터(221), 제1 가이드부(223), 및 제2 가이드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을 관통하여 충전부 수납부(217)와 결합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217)의 이동 조정부(219)를 향하는 측면에는 결합부(217-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은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즉, 모듈 하우징부(211)의 일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타측은 결합부(217-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타측은 결합부(217-a)를 관통하면서 결합부(217-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19-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7-a)에는 나사부(219-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동 조정부(219)와 결합부(217-a)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충전부 수납부(217)의 결합부(217-a)가 이동 조정부(219)의 나사부(219-a)를 따라(즉,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무선 충전부(206)는 충전부 수납부(217)에 수납되므로, 충전부 수납부(217)와 함께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의 회전 방향에 따라 충전부 수납부(217)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는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219)를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회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 및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에는 이동 조정부(219)의 회전 횟수(또는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선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종단에는 이동 제한부(219-b)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217)의 결합부(217-a)가 나사부(219-a)를 따라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제한부(219-b)에 걸림되어 후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나사부(219-a)의 길이는 충전부 수납부(217)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이동 제한부(219-b)는 결합부(217-a)의 후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결합부(217-a)가 나사부(219-a)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206)가 충전부 수납부(217)에 수납되고, 이동 조정부(219)가 충전부 수납부(217)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부 수납부(217) 없이 이동 조정부(219)가 무선 충전부(206)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조정부(219)의 나사부(219-a)가 무선 충전부(206)의 받침부(206-2)와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받침부(206-2)에는 나사부(219-a)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미도시)에는 나사부(219-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부(206)는 이동 조정부(219)에 의해 직접 이동되게 된다.
한편,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릿(2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는 가이드 슬릿(229)을 따라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 수납부(217)(그리고, 무선 충전부(206))는 이동 조정부(219)와 함께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는 이동 조정부(219)의 이동 거리에 따른 눈금이 예를 들어, cm 또는 mm 단위로 표시되거나,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른 식별자(즉,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219)를 폭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조정부(219)를 통해 충전부 수납부(217)를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부(206)가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부(206)를 무선 충전 효율이 최대가 되는 위치(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위치)(즉,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 조정부(219)를 조작하여 무선 충전부(206)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조정부(219)는 전자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및 기어 등을 이용하여 이동 조정부(219)를 회전시키거나 가이드 슬릿(229)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무선 충전부(206)를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206)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206)의 이동 동작과 연동하여 무선 충전부(206)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206)의 중심에 형성되는 조명(또는 인디케이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듈 하우징부(211) 및 베이스부(241)는 상기 조명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는 재질(즉, 조명은 시인되지 않으나 조명에서 발생하는 빛은 시인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부(206)가 이동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모듈 하우징부(211) 및 베이스부(241)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충전부(206)의 위치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도록 구현 할 수도 있다. 또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받침부(206-2)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커넥터(221)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무선 충전 모듈(201)은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모두 제1 커넥터(221)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가이드부(223)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내부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부 수납부(217)는 이동 조정부(219)의 회전 시 제1 가이드부(223)를 따라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측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측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가이드부(225)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내부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부 수납부(217)는 이동 조정부(219)가 가이드 슬릿(229)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가이드부(225)를 따라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하부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하부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상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개방된 전단으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면에는 보호 패드(21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패드(218)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보호 패드(218)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개방된 전단에는 입구 커버(212)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212)는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212)에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에는 자외선 조사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에는 전자파 차폐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 일부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202)에는 유선 접속부(230) 및 상태 알림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유선 접속부(230) 및 상태 알림부(226)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외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접속부(230) 및 상태 알림부(226)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태 알림부(226)는 표시 알림부(226-1) 및 음성 출력 알림부(226-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에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들이 도안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에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표시부(ⓑ)(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자외선 조사부(210)의 동작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표시부(ⓓ) 등이 도안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대응하는 도안화된 부분에 조명이 켜지는 것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알림부(226-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즉, 소리로 알려줌)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알림부(226)는 표시 알림부(226-1) 및 음성 출력 알림부(226-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는 무선 충전 모듈(201)을 수납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202) 및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체 외형을 이루게 된다.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는 베이스부(24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4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바디를 이루게 된다. 베이스부(241)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41)는 휴대 기기(50)와 같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24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241)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201)이 수납되는 수납홈(243)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베이스부(241)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수납홈(243)이 형성되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베이스부(241)의 일측에서 수납홈(243)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241)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수납홈(243)이 형성되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베이스부(241) 하부에서 수납홈(243)에 안착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241)의 상면과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하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41)의 하면에는 전자파 차폐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204)는 전자파 차폐 시트 형태로 이루어져 베이스부(241)의 하면에 매립되거나 베이스부(241)의 하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자차 차폐부(204)는 전자파 차폐막의 형태로 베이스부(241)의 하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파 차폐부(204)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부(204)는 베이스부(241)의 하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241)의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41)의 상면(즉, 무선 충전부(206)와 휴대 기기(50) 사이에 존재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41)의 일부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41)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전자파 차단 섬유 또는 전자파 차단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41)의 내부 타측에는 제2 커넥터(2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제1 커넥터(2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무선 충전 모듈(201)이 수납홈(243)에 삽입되면서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45)가 접속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베이스부(241) 내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2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1)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261)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전원부(예를 들어, 상용 전원 또는 차량 배터리 등)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의 휴대 기기(50)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여러 개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생략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은 자기 유도 방식이고, 제2 무선 충전 모듈(201-2)은 자기 공명 방식이고,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은 전자기파 방식이라고 가정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내지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장착될 수 있는 일군의 무선 충전 모듈 세트가 된다. 여기서, 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방식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기 유도 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과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공진 주파수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를 상기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하여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자기파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면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에서 안테나 및 정류기를 조합한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수신한 후 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제2 무선 충전 모듈(201-2), 및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수납홈(243)으로 삽입되어 장착되게 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제2 무선 충전 모듈(201-2), 및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의 제1 커넥터(221)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어느 무선 충전 모듈이 선택되더라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내지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의 각 제1 커넥터(221)는 동일 크기 및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상에 휴대 기기 수납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일측 내벽에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232)가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타측 내벽에는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232)는 제1 탄성 부재(232-1) 및 제1 탄성 부재(232-1)와 힌지 결합되는 제1 압박 부재(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234)는 제2 탄성 부재(234-1) 및 제2 탄성 부재(23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압박 부재(2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2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234)는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고정되는 위치는 전력 송신부(206-1)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전 모듈(201)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에는 돌출부(28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요철부(285)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85)는 수납홈(243)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돌출부(281)가 요철부(285)의 어느 돌기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201)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201)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상태에 대한 설명은 도 9에서 휴대 기기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요철부(285)는 수납홈(243) 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85)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돌기(285a)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수납홈(243)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285a)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편향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285a)는 일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28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삽입될 때, 요철부(285)와 맞물려 무선 충전 모듈(201)을 고정시키거나, 요철부(285)의 돌기(285a)를 타고 넘으면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이동되도록 한다.
돌출부(281)는 지지 부재(281a), 돌출 부재(281b), 탄성 부재(281c) 및 걸림부(281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81a)는 돌출부(281)의 몸체로서, 일단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에 결합된다. 지지 부재(281a)의 일단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에 힌지(미도시) 결합되어 수납홈(243)의 폭 방향으로 이동(a↔b 방향)(즉,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부재(281a)의 타단에는 돌출 부재(281b)가 요철부(28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걸림부(281d)는 지지 부재(281a)의 타단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81a)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281c)가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281c)는 일단이 지지 부재(281a)의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무선 충전 모듈(201)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281c)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돌출 부재(281b)는 지지 부재(281a)의 타단에서 요철부(28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281b)는 예를 들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85)의 일단은 돌기(285a)가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81)는 돌출 부재(281b)가 요철부(285)의 돌기(285a)와 접촉하기 전에는 탄성 부재(281c)의 탄성력에 의해 a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무선 충전 모듈(201)이 삽입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의 돌기(285a)와 맞물려 고정되거나 탄성 부재(281c)에 의해 돌기(285a)로부터 고정 해제 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여 c 위치에 고정된다. 이후,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따라 이동하여 d 위치에 고정된다. 즉, 돌출 부재(281b)는 무선 충전 모듈(201)이 삽입됨에 따라 c, d, e, f… 위치에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된다. 돌기(285a)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편향되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돌출 부재(281b)의 이동 및 고정이 좀 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돌출 부재(281b)가 g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이탈하게 되며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걸림부(281d)는 지지 부재(281a)의 타단을 관통하여 가이드 레일(281e)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81d)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8에서는 돌출부(281)가 요철부(285)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81)의 돌출 부재(281b)는 실제로 c, d, e, f…g 위치에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됨에 유의한다(요철부(285)는 도시된 것보다 왼쪽에 위치함).
가이드 레일(281e)은 수납홈(243)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281d)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281e)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인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81e)은 예를 들어, 걸림부(281d)의 직경보다 수 mm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부재(281b)가 g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이탈하게 되고, 걸림부(281d)는 가이드 레일(281e)의 입구, 즉 h 위치에 진입하게 되며 이후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81e)은 요철부(285)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걸림부(281d)가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281)의 일측에 고정된 탄성 부재(281c)는 소정 거리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후, 걸림부(281d)가 가이드 레일(281e)의 출구, 즉 i 위치를 지나 가이드 레일(281e)을 이탈하게 되면, 돌출부(281)는 탄성 부재(281c)의 탄성력에 의해 b 위치에서 다시 a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281)가 a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모듈(201)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의 전기적 접속은 유지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1 커넥터(221)는 모듈 하우징부(211)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67) 내에서 가이드 홈(267)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67)은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즉,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의 일측은 가이드 홈(267) 내에 위치하고, 제1 커텍터(221)의 타측은 무선 충전 모듈(201)에서 제2 커넥터(245) 방향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의 일측은 플렉서블 케이블(269)을 통해 충전 제어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이드 홈(267)에는 무선 충전 모듈(201)과 제1 커넥터(221)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미도시)는 제1 커넥터(221)에 제2 커넥터(245)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따라 이동하여 요철부(285)의 종단부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제1 커넥터(221)는 제2 커넥터(245)에 삽입되면서 접속되게 된다(도 18의 (a)). 즉, 제1 커넥터(221)는 수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제2 커넥터(245)는 암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의 g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커넥터(221) 및 제2 커넥터(245)가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플렉서블 케이블(269)이 늘어나면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인출되고,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도 18의 (b)).
이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무선 충전 모듈(201)의 전력 송신부(206-1)가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전력 송신부(206-1)의 위치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커넥터(221)는 제2 커넥터(245)와 접속되어 있고, 충전 제어부(215)와 제1 커넥터(221)는 플렉서블 케이블(269)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모듈(201)(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제어부(215))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간의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충전 제어부(215) 및 제1 커넥터(221)가 플렉서블 케이블(269)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제어부(215)와 제1 커넥터(221)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타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타측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는 충전 제어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제어부(21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의 상측에는 접속 패턴(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커넥터(245)의 내부에는 제1 커넥터(221)가 삽입되는 삽입홈(245-1)이 형성된다. 제2 커넥터(245)의 내부에는 접속 부재(25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251)는 접속 지지부(251-1) 및 접촉부(251-2)를 포함한다. 접속 지지부(251-1)는 제2 커넥터(245)의 내부 타측에서 일측 방향(즉,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인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지지부(251-1)의 타측은 제2 커넥터(245)의 내부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251-2)는 접속 지지부(251-1)의 종단(즉, 접속 지지부(251-1)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251-2)는 제1 커넥터(221)의 접속 패턴(221-1)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따라 이동하여 요철부(285)의 종단부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제1 커넥터(221)가 제2 커넥터(245)의 삽입홈(245-1)으로 삽입되면서 접속 부재(251)를 통해 제2 커넥터(2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도 20의 (a)). 접촉부(251-2)는 제1 커넥터(221)가 삽입홈(245-1)으로 삽입됨에 따라 접속 패턴(221-1)의 타측에서 일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221-1)을 따라 접속 패턴(221-1)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커넥터(221) 및 제2 커넥터(245)가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인출되고,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도 20의 (b)). 접촉부(251-2)는 제1 커넥터(221)가 삽입홈(245-1)에서 인출됨에 따라 접속 패턴(221-1)의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221-1)을 따라 접속 패턴(221-1)과 접촉하게 된다. 제1 커넥터(221)의 타측이 삽입홈(245-1)을 벗어나는 않는 한도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무선 충전 모듈(201)의 전력 송신부(206-1)가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즉, 제1 커넥터(221)가 삽입홈(245-1)으로 삽입됨에 따라), 접촉부(251-2)는 접속 패턴(221-1)의 타측에서 일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221-1)과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무선 충전 모듈(201)(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제어부(215))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간의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력 송신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의 받침부(206-2) 상에 전력 송신부(206-1)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가 무선 충전 모듈(201)(또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길이 방향(즉,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2 전력 송신부(297)는 일부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일부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각각 충전 제어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3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가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전력 송신부가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206-2) 상에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를 배열하여 형성함으로써, 전력 송신부(206-1)가 커버할 수 있는 전체 영역이 넓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경우,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각각 휴대 기기(50)로부터 무선 충전과 관련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동작 초기에는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로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각각 수신하도록 한 후,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에 전력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 송신부로는 전력 공급을 줄일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송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21의 (b)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의 받침부(206-2) 상에 4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 29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4 전력 송신부(299)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4 전력 송신부(299)는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와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는 그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 측으로 가이드 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전단 일측부에 제1 입구 커버(2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전단 타측부에 제2 입구 커버(212-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입구 커버(212-1) 및 제2 입구 커버(212-2)는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개방된 전단에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구 커버(212-1)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1 위치 고정부(214-1)가 형성되고, 제2 입구 커버(212-2)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2 위치 고정부(2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중심축에서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입구 커버(212-1) 및 제2 입구 커버(212-2)는 각각 휴대 기기(50)에 밀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가 휴대 기기(50)를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 측으로 가이드하면서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는 각각 제1 힌지(236-1) 및 제2 힌지(236-2)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도 22의 (b)를 참조하면,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4 전력 송신부(299)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길이 방향(도 16에서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제1 입구 커버(212-1) 및 제2 입구 커버(212-1)에 의해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 299) 측으로 가이드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무선 충전 장치의 형태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우징부(352), 휴대 기기 수납부(302), 무선 충전부(306), 자외선 조사부(310), 자외선 차단 커버(356), 유선 접속부(330), 조명부(354), 및 표시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352)는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352)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352)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부(352)는 그 이외의 실내 구조물(예를 들어, 벽멱, 가구, 전자 기기 등)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하우징부(352)의 내부에 수납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35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352)의 내부로 인입되어 다시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내부에는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S)이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휴대 기기 안착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안착 수단(미도시)으로는 예를 들어, 안착홈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353)이 형성되어 수납 공간(S)을 복수 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복수 개의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격벽(353)이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벽(353)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격벽(353)이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서 상호 크로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352)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하우징부(352)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의해 탄성 부재(미도시)가 수축된 상태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을 누르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미도시)가 원래의 상태로 늘어나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을 눌러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하우징부(35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탄성 부재(미도시)가 다시 수축하면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어떤 구조물을 누름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기술은 예를 들어, CD 또는 DVD 플레이어 등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자세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서랍과 같이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4)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352)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하우징부(352)와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 부분을 잡아 당겨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 부분을 밀어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하우징부(352) 내로 다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에는 별도의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 구비된 별도의 제어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거나 기 설정된 음성을 말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휴대 기기(50)가 충전 또는 살균되는 동안 하우징부(352) 내로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에 설치된 하우징부(352)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차량 실내에서 노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직선 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일측으로 휘어지면서(즉, 곡선을 그리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352) 내에 2개의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수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고, 다른 하나의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부(306)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306)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충전부(306)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바닥면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부(306) 및 휴대 기기 수납부(302)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부(306)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때, 차량 내의 탑승자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충전부(306)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면서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306)의 전체 구성이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부(306) 중 전력 송신부(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만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무선 충전부(306)는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게 된다. 이때,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하우징부(352) 또는 후술하는 별도의 회로 기판(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선 충전부(306)의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가 모두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31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31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310)는 격벽(35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310)는 하우징부(35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310)는 하우징부(352) 및 휴대 기기 수납부(30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31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310)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310)는 무선 충전부(306)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즉, 자외선 조사부(310)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310)는 무선 충전부(306)과 별도로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31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인입되면 자외선 조사부(310)가 온(ON) 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고,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인출되면 자외선 조사부(310)가 오프(OFF) 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310)가 온(ON) 되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31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한 후 자동으로 오프(OFF)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 또는 하우징부(35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302)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일측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힌지를 회전축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자외선 조사부(310)가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때, 자외선 조사부(310)가 조사하는 자외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차량 내의 탑승자들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내측벽에 자외선 차단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자외선 조사부(310)의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310)가 온(ON)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닫혀져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310)가 오프(OFF)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열려져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3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이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거나 기 설정된 음성을 말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31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도중 전화(또는 메시지)가 걸려오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310)는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자외선 조사부(310)를 통해 살균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에 의해 외부와 단절된다. 이때, 휴대 기기(50)는 무선 충전 장치(3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링크되어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300)에 휴대 기기(50)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휴대 기기(50)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50)의 제어를 위해 무선 충전 장치(300)가 별도의 터치 스크린을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300)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아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300)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PDA 등)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300)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발생된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5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는 무선 충전 장치(300)의 인근에 위치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제어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제어를 시작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을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 전달하여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는 사용자가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해당 동작에 따른 휴대 기기(50)의 화면을 다시 무선 충전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수신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 기기(50)는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무선 충전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도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31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도중에도 휴대 기기(50)를 제어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50)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50)를 통해 휴대 기기(50)와 연동된 다른 디지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33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유선 접속부(330)가 격벽(353)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유선 접속부(330)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접속부(330)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접속부(330)에는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전 장치(300)는 별도의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미도시)은 유선 접속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저장 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유선 접속부(330)에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휴대용 저장 장치를 연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와 회로 기판(미도시)의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유선 접속부(330)에 연결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미도시)의 저장 매체와 휴대 기기(50)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휴대 기기(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즉, 충전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 케이블의 일측을 유선 접속부(330)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미도시)의 충전 회로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부(306)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도 있고, 유선 접속부(330)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유선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306)을 통한 무선 충전과 유선 접속부(330)를 통한 유선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무선 충전부(306)은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되고, 유선 접속부(330)는 유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겸용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회로 기판(미도시)은 무선 충전부(306), 자외선 조사부(310), 자외선 차단 커버(356), 유선 접속부(330), 조명부(354), 및 표시부(34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미도시)에는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354)는 무선 충전 장치(300)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부(354)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352)가 설치된 차량 내부 구조물(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354)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354)를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내측에 형성하는 경우, 조명부(354)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하면, 자외선 조사부(310)와 함께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휴대 기기 수납부(302)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35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사 각도가 상하 좌우로 조절될 수 있다.
조명부(354)의 동작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될 때 조명부(354)가 온(ON) 되도록 하고,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내로 인입될 때 조명부(354)가 오프(OFF)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될 때, 조명부(354)가 온(ON) 되고,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될 때 조명부(354)가 오프(OFF) 될 수 있다.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5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35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35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354)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354)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기 설정된 모션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예를 들어, 온 또는 오프 동작, 밝기 레벨 조절, 색 온도 레벨 조절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354)는 사용자가 조명부(354)의 동작과 관련된 음성을 발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명부(354)을 온 또는 오프시키라는 음성을 발하거나 조명부(354)의 밝기 레벨을 조절하라는 음성을 발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표시부(342)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342)는 무선 충전 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또는 유선 충전 중인 경우, 표시부(342)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310)가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경우, 표시부(342)는 휴대 기기(50)의 살균 시간 및 살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하우징부 외부로 인출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하우징부(352) 또는 차량 내부 구조물(10)과 힌지(355)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좌우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된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상하 좌우로 회전시켜 자신이 바라보기에 편한 각도에서 수납 공간(S)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될 때 하부로 경사지게 인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인입 및 인출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도 26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부(352)는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에 세로로 설치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일측은 힌지(355)를 통해 하우징부(352)의 내측과 힌지 결합된다.
도 26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355)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도 26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35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355)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352) 내부에 다시 수납되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누름 방식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이온 발생기 및 배터리 모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300)는 이온 발생기(308), 송풍팬(358), 터치펜(122), 및 배터리 모듈(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308)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308)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온 발생기(308)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온 발생기(308)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308)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358)은 이온 발생기(308)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58)은 이온 발생기(3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을 전방으로 불어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온 발생기(308) 및 송풍팬(358)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후방에서 하우징부(35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는 에어홀(320)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에어홀(320)이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홀(320)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온 발생기(3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송풍팬(358)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 내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정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온 발생기(3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지나 에어홀(320)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홀(320)로 빠져나간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즉, 이온 발생기(308)에서 발생시킨 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 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살균하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온 발생기(308) 및 송풍팬(358)은 차량 내 오염 정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308) 및 송풍팬(358)은 차량 내 오염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온 발생기(308)가 형성된 위치에 방향기가 형성되어 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내에 좋은 향기를 발생시켜 차량 내 나쁜 냄새를 제거하고, 차량 내 탑승자의 기분을 돋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기(308)가 형성된 위치에 가습기가 형성되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습기를 통해 차량 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308), 방향기, 및 가습기가 택일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후단에 이온 발생기(308), 방향기, 및 가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터치 펜(357)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 형성된 터치 펜 결합부(359)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펜 결합부(359)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내측벽 또는 격벽(353)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펜(357)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될 수도 있다. 터치 펜(357)은 휴대 기기(50)의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무선 충전 장치(300)에 별도로 구비된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360)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360)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60)을 무선 충전 장치(3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36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60)을 무선 충전 장치(3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360)은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전동 칫솔, 미니 선풍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360)의 배터리는 무선 충전부(306)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360)은 상기 회로 기판(미도시)의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모듈(360)은 케이블(충전 케이블 또는 충전 및 데이터 겸용 케이블)을 통해 유선 접속부(330)에 접속되거나 USB 형태로 형성되어 유선 접속부(33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360)의 배터리는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60)은 광 전지셀(360a), 후레쉬부(360b), 및 레이저 포인터부(360c)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전지셀(360a)은 배터리 모듈(360)의 표면에 형성된다. 광 전지셀(360a)은 광원(예를 들어, 태양 또는 전등)으로부터 광을 수집하고, 수집한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광 전지셀(360a)은 변환시킨 전기 에너지를 통해 배터리 모듈(36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즉, 배터리 모듈(360)은 무선 충전 장치(300)에서 탈착된 경우, 광 전지셀(360a)을 통해 자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60)에는 배터리 모듈(36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360b)는 배터리 모듈(36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레쉬부(360b)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밝은 빛을 방사하여 주변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360)을 무선 충전 장치(3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360)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360)을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포인터부(360c)는 배터리 모듈(36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부(360c)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특정 사물(또는 대상)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모듈(360)을 무선 충전 장치(30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 모듈(360)을 휴대하면서 배터리 모듈(360)을 레이저 포인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360)은 메모리를 내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360)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360)은 휴대용 USB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에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인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에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차량용 보관 장치(10)는 예를 들어, 콘솔 박스 또는 암레스트 또는 글로브 박스 등이 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에는 에어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보관 장치(10)에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상측을 일부 개방시킨 윈도우(349)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윈도우(349)는 차량용 보관 장치(10)(휴대 기기 수납부(302)도 포함됨)의 개방된 부분을 말한다. 윈도우(349)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키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윈도우(349)를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보관 장치(10)에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를 수납하는 커버 수납홈(35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커버 수납홈(356a)에서 인출되면서 윈도우(349)를 폐쇄시키고, 커버 수납홈(356a)으로 인입되면서 윈도우(349)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커버 수납홈(356a)과 슬라이드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를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휴대 기기(50)를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외선 차단 커버(356)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윈도우(349)를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윈도우 커버가 윈도우(349)를 개폐할 수도 있다. 이때, 윈도우 커버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커버에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차단 필름이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커버가 자외선 차단 커버의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윈도우 커버와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윈도우 커버 및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각각 윈도우(349)를 개폐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윈도우 커버의 하부에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형성되거나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하부에 윈도우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커버 및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이중 커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윈도우(349)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윈도우(349)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윈도우(349)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윈도우(349)가 형성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윈도우(349)가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윈도우(349)에는 윈도우(349)를 개폐하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9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에서 힌지(13)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11)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상부에서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1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11)를 통해 이중 커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11)는 동일한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함께 열리고 닫힐 수 있으나, 서로 다른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별개로 열리고 닫힐 수도 있다. 여기서, 윈도우(349)는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9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에서 힌지(13)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302a)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힌지(15)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커버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349)는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302a)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9의 (c)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에서 힌지(13)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11)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상부에서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1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11)를 통해 이중 커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용 보관 장치 커버(11)는 동일한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함께 열리고 닫힐 수 있으나, 서로 다른 힌지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별개로 열리고 닫힐 수도 있다. 여기서, 윈도우(349)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개방되어 윈도우(34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9의 (d)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에서 힌지(13)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302a)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커버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349)는 휴대 기기 수납부 커버(302a)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차량용 보관 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케이스 수납홈(302-1) 및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수납홈(302-1)은 차량용 보관 장치(10)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는 케이스 수납홈(30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는 케이스 수납홈(302-1)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에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305)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305)의 양측에는 휴대 기기 수납홈(305) 내에 안착된 휴대 기기(5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손잡이홈(305-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여러 개의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에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 수납홈(305)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 각각에 서로 다른 크기의 휴대 기기 수납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소정의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에 제1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휴대 기기 수납홈(305)을 형성할 수 있고(도 31의 (a)), 다른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에는 제2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휴대 기기 수납홈(305)을 형성할 수 있으며(도 31의 (b)), 또 다른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에는 제3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휴대 기기 수납홈(305)을 형성할 수 있다(도 31의 (c)).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305)이 구비된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302-2)를 선택하여 케이스 수납홈(302-1)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30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 무선 충전부(306), 자외선 조사부(310), 자외선 차단 커버(356), 유선 접속부(330), 제1 조명부(354), 표시부(342), 이온 발생기(308), 송풍팬(358), 배터리 모듈(360), 사용자 인터페이스(362), 전원 공급부(361), 신호 증폭부(363), 충전 제어부(315), 저장 매체(364), 오염 감지 센서(365), 모션 감지부(366), 음성 감지부(368),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370), 통신부(371), 휴대 기기 링크부(372), 위치 감지 센서(373), 제2 조명부(374), 및 제어부(375)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302), 무선 충전부(306), 자외선 조사부(310), 자외선 차단 커버(356), 유선 접속부(330), 제1 조명부(354), 표시부(342), 이온 발생기(308), 송풍팬(358), 및 배터리 모듈(360)에 대해서는 위에서 살펴보았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는 차량 내 탑승자가 무선 충전 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작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61)는 무선 충전 장치(3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361)는 전력 공급원(예를 들어, 별도의 배터리 또는 차량 내의 배터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361)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용 전원의 전압(예를 들어, 220V 또는 110V)보다 낮은 전압(예를 들어, 12V 또는 24V 등)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361)가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부(306) 또는 충전 제어부(315)가 휴대 기기(50) 또는 배터리 모듈(360)을 충전할 때, 휴대 기기(50) 또는 배터리 모듈(360)의 충전 속도가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느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50) 또는 배터리 모듈(360)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호 증폭부(363)를 구비한다.
신호 증폭부(363)는 무선 충전부(306) 또는 충전 제어부(315)가 휴대 기기(50) 또는 배터리 모듈(360)을 충전할 때, 전원 공급부(361)에서 무선 충전부(306) 또는 충전 제어부(315)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켜 줌으로써, 휴대 기기(50) 또는 배터리 모듈(360)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신호 증폭부(363)는 전원 공급부(361)에서 무선 충전부(306) 또는 충전 제어부(315)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상용 전원의 전압 수준으로 증폭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제어부(315)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유선 접속부(330)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50)에 연결된 경우, 휴대 기기(50)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충전 제어부(315)는 배터리 모듈(360)이 유선 접속부(330)에 접속된 경우, 배터리 모듈(36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때, 충전 제어부(315)는 전원 공급부(36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기기(50) 또는 배터리 모듈(360)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저장 매체(364)는 유선 접속부(33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매체(364)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부(302), 자외선 차단 커버(356), 및 제1 조명부(354)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364)는 사용자의 특정 음성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부(302), 자외선 차단 커버(356), 및 제1 조명부(354)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메뉴얼을 저장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365)는 차량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오염 감지 센서(365)는 차량 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오염 감지 센서(365)는 예를 들어, 차량 내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악취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365)는 차량 내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를 제어부(375)로 발생시킬 수 있다.
모션 감지부(366)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모션 감지부(366)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손 또는 손가락 등)를 인식하여 특정 부위만을 촬영할 수도 있다. 모션 감지부(366)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해당 모션에 따른 모션 감지 신호를 제어부(375)로 발생시킨다. 또한, 모션 감지부(366)는 촬영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차량 내 탑승자의 얼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제어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문이 열리거나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감지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음성 감지부(368)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음성 감지부(368)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감지부(368)는 사용자가 특정 내용의 음성(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인입 또는 인출하라는 음성, 자외선 차단 커버(356)를 개폐하라는 음성, 제1 조명부(354)를 온 또는 오프 하라는 음성 등)을 발하는 경우, 해당 음성에 따른 음성 감지 신호를 제어부(375)로 발생시킨다. 모션 감지부(366) 및 음성 감지부(368)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전단 또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와 인접한 차량 내부 구조물(10)에 설치될 수 있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370)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특정 동작(예를 들어, 전화 착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370)는 휴대 기기(50)의 진동 또는 신호음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370)는 휴대 기기(50)의 특정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를 제어부(375)로 발생시킨다.
통신부(371)는 모션 감지부(366)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탑승자의 얼굴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71)는 탑승자의 얼굴 영상을 차량 소유자의 휴대 기기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모션 감지부(366)의 카메라로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카메라로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372)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와 링크(Link)된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372)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300)의 인근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와도 링크될 수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37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5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링크부(372)는 상기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50)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5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372)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휴대 기기(50)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해주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62)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372)는 휴대 기기 제어 시작 신호를 휴대 기기(5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372)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송해준다. 다음으로,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는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다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을 보면서 휴대 기기(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링크부(372)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50)로 전달하며, 휴대 기기(50)는 해당 휴대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는 해당 동작(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인터넷 실행, 동영상 콘텐츠 실행, 음향 콘텐츠 실행 등)에 따른 휴대 기기(50)의 화면을 휴대 기기 링크부(372)로 전달하여 무선 충전 장치(3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 기기 링크부(372)는 휴대 기기(50) 및 다른 디지털 기기와 각각 링크되어 휴대 기기(50)와 다른 디지털 기기를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를 통해 다른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50)를 조작하여 다른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373)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 내에 수납된 경우, 무선 충전부(306)의 전력 송신부를 기준으로 한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감지하여 휴대 기기 위치 정보를 제어부(375)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위치 감지 센서(373)는 휴대 기기 위치 정보를 무선 충전부(306)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375)는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5)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인출 및 인입 동작과 연동하여 제1 조명부(354)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모션 감지부(366)의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부(368)의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저장 매체(364)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동작 매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매뉴얼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37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무선 충전부(306)을 제어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5)는 전원 공급부(361)에서 무선 충전부(306)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36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자외선 조사부(310)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5)는 자외선 조사부(310)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자외선 조사부(310)가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370)로부터 휴대 기기 동작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자외선 조사부(310)를 오프(OFF)시키고, 자외선 차단 커버(356)를 열 수 있다. 제어부(375)는 모션 감지부(366)의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부(368)의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저장 매체(364)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 또는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동작 매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매뉴얼에 따라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유선 접속부(330)에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364)와 휴대용 저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이 유선 접속부(330)에 연결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50)에 연결된 경우, 저장 매체(364)와 휴대 기기(5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충전 케이블의 일측이 유선 접속부(330)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이 휴대 기기(50)에 연결된 경우, 충전 제어부(315)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유선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5)는 전원 공급부(361)에서 충전 제어부(315)로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신호 증폭부(36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휴대 기기(5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제1 조명부(3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모션 감지부(366)로부터 모션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364)에서 해당 모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354)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제1 조명부(3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음성 감지부(368)로부터 음성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저장 매체(364)에서 해당 음성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354)의 동작 메뉴얼을 추출한 후, 추출한 동작 메뉴얼에 따라 제1 조명부(3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휴대 기기(50)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자외선 조사부(310)가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살균 시간 및 살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온 발생기(308) 및 송풍팬(358)을 제어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오염 감지 센서(365)로부터 오염 기준치 초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이온 발생기(308) 및 송풍팬(358)를 제어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302) 및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로부터 촬영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모션 감지부(366)의 카메라 또는 별도의 카메라로 촬영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차량 내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한다. 제어부(375)는 촬영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차량 소유자의 휴대 기기(50)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71)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소유자는 예를 들어, 자신의 차량을 일정 기간 이용하지 않게 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362)를 통해 촬영 시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후에 차량 소유자가 아닌 타인이 해당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을 자신의 휴대 기기(50)로 전송 받음으로써, 무단 탑승에 대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75)는 자외선 조사부(310)가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중에 휴대 기기 링크부(372)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 링크부(372)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제어하는 것이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기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7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2) 또는 휴대 기기 링크부(372)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50)로 전송하도록 휴대 기기 링크부(37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5)는 무선 충전부(306)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제2 조명부(37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306)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375)는 제2 조명부(374)가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부(306)에서 무선 충전 불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375)는 제2 조명부(374)가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306)은 위치 감지 센서(373)의 휴대 기기 위치 정보를 참고하여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가 플렉서블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일측이 하우징부(352)에 형성된 전원 공급 단자(361a)에 연결되고, 타측이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케이블(369)을 포함한다(도 33의 (a)). 이때, 플렉서블 케이블(369)의 타측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서 무선 충전부(306)의 전력 송신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302)를 하우징부(352)에서 인출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부(306)의 전력 송신부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도 33의 (b)). 여기서는, 플렉서블 케이블(369)이 일측이 하우징부(352)에 형성된 전원 공급 단자(361a)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케이블(369)이 일측은 하우징부(352) 외부에 형성된 전원 공급부(예를 들어, 차량 메인 보드 또는 배터리 등)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는 플렉서블 케이블(369)이 무선 충전부(306)의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케이블(369)은 무선 충전부(306) 자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케이블(369)은 충전 제어부(315)에 연결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369)은 무선 충전부(306) 및 충전 제어부(315)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플렉서블 케이블(369)이 사용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식 케이블(즉, 케이블 선이 몸체에 감겨 있어 잡아 당기면 인출할 수 있는 형태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300)는 차량 내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의 센터페시아 하부 또는 센터 콘솔 또는 암레스트 등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차량용 보관 장치가 형성되게 된다. 무선 충전 장치(300)는 이러한 차량용 보관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되게 된다.
도 35는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6은 차량용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300)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차량용 보관 장치(10)에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용 보관 장치(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여기서,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수납 공간이 휴대 기기 수납부를 이루게 된다. 차량용 보관 장치(10)는 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하부,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에는 보호 패드(3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318)는 휴대 기기(50)가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에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318)는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318)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에서 무선 충전부(306)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306)이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318)는 무선 충전부(306)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318)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부(306)이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부(306)은 차량용 보관 장치(10)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306)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306) 중 전력 송신부만이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신부 및 충전 제어 회로가 모두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310)는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에 형성된다. 자외선 조사부(310)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및 기어 등과 같은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열리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다른 차량 내부 구조물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용 보관 장치(1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일측은 차량용 보관 장치(1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힌지를 회전축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또한,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양문 개폐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닫혀 있어도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일부(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만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31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때, 자외선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는 자외선 조사부(310)의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3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이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온 발생기(308)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308)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박스(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온 발생기(308)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용 보관 장치(10)에는 에어 홀(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온 발생기(308)가 발생한 음이온 및 양이온은 에어 홀(320)을 통해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에어 홀(320)은 박스(116)와 차량용 보관 장치(10)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온 발생기(3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용 보관 장치(10)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용 보관 장치(10)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10)에서 빠져나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표시부(342)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342)는 박스(20)의 상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자외선 차단 커버가 열리는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은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열리는 경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차량용 보관 장치(10)에 수납하기가 용이해지며, 차량용 보관 장치(10)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상태(예를 들어, 메시지가 오거나 전화가 오는 경우 등)를 확인하기도 용이해지게 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관 장치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의 (a)를 참조하면,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일단 하부에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을 압박하는 압박부(356-1)가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356-1)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일단 하부에서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닫혀 있는 경우 압박부(356-1)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 일측을 압박하게 된다.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 타측에는 힌지(21)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은 힌지(21)를 통해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내측면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의 일측 하부에는 탄성 부재(23)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에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탄성 부재(23)는 예를 들어,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박부(356-1)가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의 일측을 상부에서 압박하고 있으므로, 탄성 부재(23)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의 일측 하부에서 수축된 상태에 있게 되고,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은 수평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도 38의 (b)를 참조하면,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열리는 경우, 압박부(356-1)는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이동과 함께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 일측에서 바닥면(10a)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압박부(356-1)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의 일측 하부에 위치한 탄성 부재(23)가 이완되면서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의 일측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은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 일측이 걸림부(25)에 걸리면서 회전이 멈추게 된다. 걸림부(25)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일측 상단에서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수납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이 자외선 차단 커버(356)의 개방 동작 시 회전하여 경사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10a)은 고정된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용 보관 장치(10)에 설치되고, 자외선 차단 커버(356)가 열리는 경우 차량용 보관 장치(10)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실시예는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에 따라 휴대 기기 수납부(202, 302)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의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의 (a)는 휴대 기기 수납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9의 (b)는 도 39의 (a)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바닥면(302-a)에는 휴대 기기 안착홈(376)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안착홈(376)은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는 차량용 보관 장치(10)에서 휴대 기기 안착홈(376)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휴대 기기 안착홈(376)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바닥면(302-a)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안착홈(376)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376-2), 및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안착홈(376)이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 내지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안착홈(376)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 내지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은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바닥면(302-a)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 내지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2 휴대 기기 안착홈(376-2)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306)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 내지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 내지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의 하부에는 무선 충전부(306)의 전력 송신부(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안착홈(376)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부(306)는 복수 개의 휴대 기기 안착홈(376)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안착홈(376)에는 조명부(354)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 안착홈(376)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 안착홈(376)의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5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354)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35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35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35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안착홈(376)이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조명부(354)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안착홈(376)이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 내지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부(354)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376-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조명부(354-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376-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조명부(354-2), 및 제3 휴대 기기 안착홈(376-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조명부(35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조명부(354-1, 354-2, 354-3)는 각 휴대 기기 안착홈(376-1, 121-2, 121-3)들의 경계 부분(즉,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 안착홈(376) 내에서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354)가 휴대 기기 안착홈(376)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354)는 휴대 기기 안착홈(37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바닥면(302-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354)는 무선 충전부(30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그 자체로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조명부(354)는 무선 충전 가능 영역(무선 충전부(306)와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해주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354)는 무선 충전부(306)에서 발생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306)는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306)는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 가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부(306)는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거나 응답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부(306)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354)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부(306)에서 무선 충전 불가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354)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0의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400)는 상면에 휴대 기기(50)가 안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장치(400)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한다. 무선 충전 장치(400)의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400)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무선 충전 장치(400)의 하단부에 휴대 기기(50)의 하측을 지지하는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400)는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와 같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무선 충전 장치(400)의 형태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400)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팩이 무선 충전 장치(400)에 안착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400)에는 휴대 기기(50)를 무선(비접촉)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부(406)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400)에는 1차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부(406)가 형성되고, 휴대 기기(50)에는 상기 1차 코일에 대응하는 2차 코일(5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400)의 1차 코일과 휴대 기기(50)의 2차 코일(51)은 유도 결합에 의해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된다.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400)는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400)를 통한 무선 충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공진 방식 등)으로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400)는 조명부(454), 스피커(446), 및 표시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454)는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400)에 안착된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조명부(454)는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장치(400)는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400)는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 가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장치(400)는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거나 응답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는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휴대 기기(50)의 위치 및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 장치(400) 간의 간격(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400)의 1차 코일 및 휴대 기기(50)의 2차 코일(51) 간의 간격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400)의 1차 코일(즉, 무선 충전부(406)의 위치에서 일정 범위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 장치(400) 간에 이물질이 끼어 있거나 휴대 기기(50)의 케이스 두께가 두꺼운 경우 등과 같이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 장치(400) 간의 간격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면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이 어려울 수 있게 된다.
조명부(454)는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454)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무선 충전 불가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454)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454)는 반복적으로 점멸하여 무선 충전 가부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조명부(454)는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중인 경우, 점등되어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조명부(454)는 휴대 기기(50)의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454)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형태의 라인(즉, 사각형 형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5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줄 수 있다. 이때, 조명부(454)는 무선 충전 장치(400)의 1차 코일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는 조명부(454)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454)가 그 자체로 휴대 기기(5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조명부(454)를 라인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454)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 형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454)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45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45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45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스피커(446)는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스피커(446)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음을 출력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454) 및 스피커(446)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454) 또는 스피커(446)만 동작할 수도 있다.
표시부(442)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442)는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중인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된 정도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단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442)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 완료 사실을 화면에 표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400)로 휴대 기기(50)를 충전할 때 조명부(454) 및 스피커(446)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이 어려운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그 위치를 재조정하여 신속히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454)를 휴대 기기(50)에 대응하는 형상의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조명부(454) 자체로 휴대 기기(50)의 충전될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454)의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동시킴으로써,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다양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50)가 안착되는 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50)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 장치(400)에 안착시킬 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조명부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조명부(454)는 무선 충전 장치(400)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조명부(454-1, 454-2, 454-3)는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1 조명부(454-1)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되고,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2 조명부(454-2)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되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3 조명부(454-3)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454)가 3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454)는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전 장치(40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휴대 기기(50)의 위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선 충전 자체가 어렵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400)의 상면에는 위치 고정 돌기(477)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돌기(477)는 휴대 기기(50)를 수용하는 영역에서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 돌기(477)는 휴대 기기(50)의 각 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돌기(477)가 휴대 기기(50)의 각 측면을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돌기(477)는 휴대 기기(50)의 대향하는 적어도 2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454)는 휴대 기기(50)의 각 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위치 고정 돌기(477)를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돌기(477)는 무선 충전 장치(40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고정 돌기(477)를 누르면 위치 고정 돌기(477)가 무선 충전 장치(100) 내로 인입되고, 위치 고정 돌기(477)를 다시 누르면 위치 고정 돌기(477)가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위치 고정 돌기(477)는 무선 충전 장치(400)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477-1, 477-2, 477-3)는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477-1, 477-2, 477-3)는 각각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477-1, 477-2, 477-3)를 통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 제2 크기의 휴대 기기, 및 제3 크기의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1 위치 고정 돌기(477-1) 내측에서 제1 위치 고정 돌기(477-1)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의 경우,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를 제2 위치 고정 돌기(477-2)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압박하여 누르면, 제1 위치 고정 돌기(477-1)가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에 의해 눌려져 무선 충전 장치(400) 내로 인입되며, 그로 인해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가 제2 위치 고정 돌기(477-2) 내측에서 제2 위치 고정 돌기(477-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의 경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를 제3 위치 고정 돌기(477-3)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압박하여 누르면, 제1 위치 고정 돌기(477-1) 및 제2 위치 고정 돌기(477-2)가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에 의해 눌려져 무선 충전 장치(400) 내로 인입되며, 그로 인해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가 제3 위치 고정 돌기(477-3)의 내측에서 제3 위치 고정 돌기(477-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즉, 제2 위치 고정 돌기(477-2) 및 제3 위치 고정 돌기(477-3)는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제1 위치 고정 돌기(477-1)의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제1 크기 내지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를 고정시켜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조명부(454-1), 제2 조명부(454-2), 및 제3 조명부(454-3)가 휴대 기기(50)의 각 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제1 위치 고정 돌기(477-1), 제2 위치 고정 돌기(477-2), 및 제3 위치 고정 돌기(477-3)를 각각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조명부(454)가 점등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400)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구비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 내에는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홈(478)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홈(478)은 제1 위치 고정 홈(478-1) 및 제2 위치 고정 홈(478-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홈(478)이 제1 위치 고정 홈(478-1) 및 제2 위치 고정 홈(478-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홈(478)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고정 홈(478)을 복수 개 형성하는 경우, 가장 작은 크기의 제1 위치 고정 홈(478-1) 이외의 위치 고정 홈들은 해당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제1 위치 고정 홈(478-1)에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 고정 홈(478-2)은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형성된다. 이때, 제2 위치 고정 홈(478-2)과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제1 위치 고정 홈(478-1)은 제2 위치 고정 홈(478-2) 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 홈(478-1)과 제2 위치 고정 홈(478-2)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위치 고정 홈(478-1), 제2 위치 고정 홈(478-2) 및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1 위치 고정 홈(478-1)에 안착되어 제1 위치 고정 홈(478-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제2 위치 고정 홈(478-2)에 안착되어 제2 위치 고정 홈(478-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안착되어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해당 휴대 기기(50)를 제1 위치 고정 홈(478-1), 제2 위치 고정 홈(478-2) 및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홈(478)이 휴대 기기 수납부(402)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위치 고정 홈(478)은 무선 충전 장치(4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 홈(478)에는 조명부(4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454)는 라인 또는 점 형태로 위치 고정 홈(478)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454)의 형성되는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를 고정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400)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안착홈(476)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안착홈(476)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안착홈(476)이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안착홈(476)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안착홈(476)을 복수 개 형성하는 경우, 가장 작은 크기의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이외의 휴대 기기 안착홈들은 해당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에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은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이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양측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은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은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과 단차를 갖는다. 여기서,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 및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에 안착되고, 제2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에 안착되며,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길이 내지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각각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476-2), 및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의해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는 고정될 수 있지만, 폭 방향으로는 고정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일측면에 위치 고정 조절부(479)를 형성할 수 있다. 위치 고정 조절부(479)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479-1)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조절부(479)는 그 일측이 제1 길이 내지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타측면으로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위치 고정 조절부(479)의 타측에는 위치 고정 조절부(479)가 휴대 기기(50)를 압박하도록 위치 고정 조절부(479)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5의 (a)를 참조하면,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에 안착된 경우,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위치 고정 조절부(479)가 탄성 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타측면으로 압박하므로,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위치 고정 조절부(479)에 의해 그 폭 방향으로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476-1)에 안착될 때,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에 의한 탄성 부재(미도시)의 수축 정도가 작게 된다. 따라서, 위치 고정 조절부(479)는 상대적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402) 내부로 많이 돌출된 상태에서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를 압박하게 된다.
도 45의 (b)를 참조하면,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안착된 경우,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위치 고정 조절부(479)가 탄성 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타측면으로 압박하므로,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위치 고정 조절부(479)에 의해 그 폭 방향으로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므로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안착될 때,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에 의한 탄성 부재(미도시)의 수축 정도가 크게 된다. 따라서, 위치 고정 조절부(479)는 상대적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402) 내부로 적게 돌출된 상태에서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50)를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안착홈(476)이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서 위치 고정 조절부(479)가 형성되는 위치도 그에 맞게 변경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위치 고정 조절부(479)가 관통홀(479-1)에 삽입되고,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조절부(479)가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일측면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압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안착홈(476)에는 조명부(4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454)는 라인 또는 점 형태로 휴대 기기 안착홈(476)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454)의 형성되는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위치 고정 수단은 휴대 기기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후술하는 위치 조절 수단의 개념을 포함하게 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를 고정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400)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프레임(480)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프레임(480)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 및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프레임(480)이 1개의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프레임(480)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을 복수 개 형성하는 경우,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위치 고정 프레임(480)이 단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의 하부에는 제1 탄성 지지부(482)가 형성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은 휴대 기기(50)의 안착 여부에 따라 제1 탄성 지지부(48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탄성 지지부(482)는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탄성 부재 결합부(482-1) 및 제1 탄성 부재 결합부(482-1)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482-2)를 포함한다.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의 하부에는 제2 탄성 지지부(483)가 형성된다.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은 휴대 기기(50)의 안착 여부에 따라 제2 탄성 지지부(48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2 탄성 지지부(483)는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탄성 부재 결합부(483-1) 및 제2 탄성 부재 결합부(483-1)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483-2)를 포함한다.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은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에 형성된다. 이때,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이 하부로 내려가면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과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은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 내에 형성된다. 이때,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이 하부로 내려가면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과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 및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프레임(480)이 휴대 기기 수납부(402)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충전 장치(400)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위치 고정 프레임(480)은 무선 충전 장치(4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 프레임(480)에는 조명부(4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454)는 라인 또는 점 형태로 위치 고정 프레임(48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454)의 형성되는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7 및 도 4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프레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휴대 기기가 안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에 안착되는 경우,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에 의해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이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제1 탄성 지지부(482)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의 상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을 지지하게 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이 하부로 내려가는 경우,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과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도 48을 참조하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50)가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에 안착되는 경우,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에 의해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 및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이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제1 탄성 지지부(482)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의 상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을 지지하게 되고, 제2 탄성 지지부(483)가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의 상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을 지지하게 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480-1) 및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이 하부로 내려가는 경우,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과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402-a)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 크기의 휴대 기기(50)는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480-2)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400)는 다양한 위치 고정 수단을 통해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400)는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조절 수단은 무선 충전 장치(400)에서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무선 충전부(406)가 형성된 부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위치 조절 수단은 해당 위치에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400)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 및 하우징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하우징부(452)의 내부에 수납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45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452)의 내부로 인입되어 다시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전단에는 소정 높이의 제1 프레임(402-1)이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양측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는 무선 충전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부(미도시)은 하우징부(45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400)는 제1 위치 조절부(484) 및 제2 위치 조절부(486)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조절부(484)는 하우징부(452) 내에 형성되며,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전단에 형성된 제1 프레임(402-1) 방향으로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위치 조절부(486)는 하우징부(452) 내에 형성되며,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측면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위치 조절부(484)는 제1 압박부(484a), 지지부(484b), 가이드부(484c), 및 제3 탄성 부재(484d)를 포함한다. 제1 압박부(484a)는 제3 탄성 부재(484d)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압박부(484a)는 휴대 기기(50)의 일측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84b)는 제1 압박부(484a)에 연결되며, 가이드부(484c)를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지지부(484b)는 제3 탄성 부재(484d)의 탄성력을 제1 압박부(484a)로 전달한다. 가이드부(484c)는 하우징부(45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가이드부(484c)는 하우징부(452)의 후단에 하우징부(452)의 길이 방향(즉,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84c)는 지지부(484b)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제3 탄성 부재(484d)는 가이드부(484c) 내에 형성된다. 제3 탄성 부재(484d)는 지지부(484b)의 전후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된다.
제2 위치 조절부(486)는 하우징부(452) 내에서 양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치 조절부(486)는 하우징부(452) 내에서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위치 조절부(486)는 하우징부(452) 내에서 일 측벽에 형성되어 휴대 기기(50)의 상측 또는 하측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위치 조절부(486)는 제4 탄성 부재(486a) 및 제2 압박부(486b)를 포함한다. 제4 탄성 부재(486a)는 하우징부(452) 내의 측벽에 고정 형성된다. 제2 압박부(486b)는 제4 탄성 부재(486a)와 결합되며, 제4 탄성 부재(486a)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3 탄성 부재(484d) 및 제4 탄성 부재(486a)의 제3 및 제4는 다른 탄성 부재들과의 구별을 위해 기재한 것이다.
제2 압박부(486b)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인입 시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도록 그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박부(486b)는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탄성 부재(486a)는 힌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4 탄성 부재(486a)는 하우징부(452)내의 타측 방향으로 제2 압박부(486b)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제4 탄성 부재(486a)가 하우징부(452) 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면, 제4 탄성 부재(486a)는 하우징부(452) 내의 타측 방향으로 제2 압박부(486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압박부(484a)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에 접촉하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계속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50)의 일측이 제1 압박부(484a)에 의해 밀려나면서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에 의해 지지부(484b)가 가이드부(484c)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3 탄성 부재(484d)가 지지부(484b)에 의해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제3 탄성 부재(484d)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 압박부(484a)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가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될 때, 제2 압박부(486b)가 휴대 기기(50)에 의해 하우징부(452)의 내측벽으로 밀려나게 되고, 제4 탄성 부재(486a)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50)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제1 위치 조절부(484) 및 제1 프레임(402-1)에 의해 고정되고,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은 제2 위치 조절부(486)에 의해 각각 고정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4개의 모든 측면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고정된 위치에 대응하여 무선 충전부(미도시)가 형성되면, 무선 충전 장치(400)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위치 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도 49에 도시된 위치 조절 수단의 일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49에 도시된 위치 조절 수단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2 위치 조절부(486)는 제4 탄성 부재(486a) 및 제2 압박부(486b)를 포함한다. 제4 탄성 부재(486a)의 일단은 하우징부(452)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제4 탄성 부재(486a)의 타단은 제2 압박부(486b)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압박부(486b)는 그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박부(486b)는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탄성 부재(486a)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압박부(486b)는 제4 탄성 부재(486a)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압박부(484a)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전단에 형성된 제1 프레임(402-1) 방향으로 밀어내어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완전히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50)에 의해 지지부(484b)가 가이드부(484c)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3 탄성 부재(484d)는 지지부(484b)에 의해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제3 탄성 부재(484d)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 압박부(484a)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가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될 때, 제2 압박부(486b)가 휴대 기기(50)에 의해 하우징부(452)의 내측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제4 탄성 부재(486a)가 수축하면서 제2 압박부(486b)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2 압박부(486b)가 휴대 기기(5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제1 위치 조절부(484)는 제3 탄성 부재(484d) 및 제1 압박부(484a)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조절부(484)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전단에 형성된 제1 프레임(402-1) 방향으로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 탄성 부재(484d)는 하우징부(452) 내에서 하우징부(452)의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박부(484a)는 제3 탄성 부재(484d)에 결합되며, 제3 탄성 부재(484d)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압박부(484a)는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도록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탄성 부재(484d)는 힌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3 탄성 부재(484d)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 압박부(484a)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50)의 일측이 제1 압박부(484a)를 누르게 된다. 이때, 제3 탄성 부재(484d)가 휴대 기기 수납부(130)의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 압박부(484a)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1 압박부(484a)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가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될 때, 제2 압박부(486b)가 휴대 기기(50)에 의해 하우징부(452)의 내측벽으로 밀려나게 되고, 제4 탄성 부재(486a)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제2 압박부(486b)는 휴대 기기(50)의 측부를 압박하도록 그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위치 조절부(486)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를 참조하면, 제1 위치 조절부(484)는 제1 압박부(484a), 지지부(484b), 가이드부(484c), 및 제3 탄성 부재(484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압박부(484a), 지지부(484b), 가이드부(484c), 및 제3 탄성 부재(484d)는 도 4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압박부(484a)의 양단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연장부(484a-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484a-1)는 제3 탄성 부재(484d)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부(484a-1)에는 보호 패드(4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484a-1)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여도 휴대 기기(5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호 패드(418)는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패드(418)는 휴대 기기(50)의 양 모서리가 연장부(484a-1)에 접촉할 때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4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시키면, 연장부(484a-1)가 휴대 기기(50)의 양 모서리에 접촉하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계속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50)의 일측이 연장부(484a-1)에 의해 밀려나면서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에 의해 지지부(484b)가 가이드부(484c)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3 탄성 부재(484d)가 지지부(484b)에 의해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제3 탄성 부재(484d)의 탄성력으로 인해 연장부(484a-1)가 휴대 기기(5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여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연장부(484a-1)는 휴대 기기(50)의 양 모서리를 압박(즉, 휴대 기기(50)의 일측,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휴대 기기(50)의 하측을 동시에 압박)하므로, 제2 위치 조절부(486) 없이도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484)는 도 4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402-1) 및 제1 프레임(402-1)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402-2)을 포함한다. 즉, 제2 프레임(402-2)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402-2)에는 제2 위치 조절부(48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 조절부(486)는 제1 프레임(402-1)의 양단에 연결된 제2 프레임(402-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위치 조절부(486)는 제4 탄성 부재(486a) 및 제2 압박부(486b)를 포함한다. 제4 탄성 부재(486a)의 일단은 제2 프레임(402-2)에 고정되고, 제4 탄성 부재(486a)의 타단은 제2 압박부(486b)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압박부(486b)는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압박부(486b)들 간의 간격은 휴대 기기(5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를 제2 압박부(486b)들 사이에 위치시켰을 때, 제2 압박부(486b)들이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할 수 있게 된다.
도 54는 도 53에서 제2 압박부(486b)의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를 참조하면, 제2 압박부(486b)들은 휴대 기기(50)가 제2 압박부(486b)들 사이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일면(즉, 휴대 기기(50)을 압박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박부(486b)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면 제2 압박부(486b)가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위치 조절부(484)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484)는 도 4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휴대 기기 수납부(402)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402-1)을 포함한다. 제2 위치 조절부(486)는 제4 탄성 부재(486a) 및 제2 압박부(486b)를 포함한다. 제4 탄성 부재(486a)의 일단은 하우징부(452)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제4 탄성 부재(486a)의 타단은 제2 압박부(486b)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압박부(486b)의 일측은 하우징부(452)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제2 압박부(486b)의 타측은 제4 탄성 부재(486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압박부(486b)는 소정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2 압박부(486b)의 타측들 간의 간격은 휴대 기기(50)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위치 조절부(484)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제1 프레임(402-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에 의해 제4 탄성 부재(486a)가 수축하게 되고, 제2 압박부(486b)가 제4 탄성 부재(486a)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제2 압박부(486b)에는 보호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6 및 도 5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484)는 도 4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6 및 도 57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402)는 베이스 프레임(402-A)만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02-A)에는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고정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48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 위치 조절부(486)가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위치 조절부(486)는 휴대 기기(50)의 상측 또는 하측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2 위치 조절부(486)는 고정부(486c1, 486c2), 가이드 홈(486d1, 486d2), 연결부(486e1, 486e2), 래크(486f1, 486f2), 및 기어(486g)를 포함한다. 고정부(486c1, 486c2)는 베이스 프레임(108-A) 상에서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486c1, 486c2)는 가이드 홈(486d1, 486d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고정부(486c1) 및 고정부(486c2)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86d1) 및 가이드 홈(486d2)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486c1, 486c2)를 이동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부(486e1, 486e2)는 베이스 프레임(402-A)의 하부에서 고정부(486c1, 486c2)와 각각 연결된다. 연결부(486e1, 486e2)의 일측에는 기어(486g)와 결합되는 래크(486f1, 486f2)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486c1, 486c2)가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486c1)를 가이드 홈(486d1)을 따라 아래로 이동시키면, 고정부(486c2)가 가이드 홈(486d2)을 따라 위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86e1)의 래크(486f1)를 기어(486g)의 일측에서 결합시키고, 연결부(486e2)의 래크(486f2)를 기어(486g)의 타측에서 결합시키면, 고정부(486c1, 486c2)가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휴대 기기(50)를 베이스 프레임(402-A)에 안착시키는 경우, 고정부(486c1, 486c2)를 가이드 홈(486d1, 486d2)을 따라 이동시켜 휴대 기기(5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402)를 하우징부(452)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위치 조절부(484)가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의 타측이 고정부(486c1, 486c2)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486c1, 486c2)가 휴대 기기(50)의 타측을 고정하도록 하려면, 고정부(486c1, 486c2)를 꺽임쇠(예를 들어, ㄱ자 형태 또는 ㄴ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486c1, 486c2)는 휴대 기기(50)의 두 측면을 동시에 고정하게 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도어(3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500)는 우측 앞 도어, 좌측 앞 도어, 우측 뒷 도어, 및 좌측 뒷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무선 충전 장치(500)가 차량 도어(30)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내 다른 구조물(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도어(30)에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도어 트림(3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도어 암레스트(33)에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이 형성된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공간(S)은 휴대 기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 전체가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휴대 기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휴대 기기의 일부(즉, 휴대 기기의 일측)가 수납 공간(S)에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의 타측은 차량 도어(30)에 지지될 수 있다.
도어 트림(31)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수납되는 하우징 홈(55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하측은 하우징 홈(552a) 내에서 힌지(555)를 통해 도어 트림(31)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힌지(55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 홈(552a)에서 외부로 펼쳐지거나(Unfolding) 하우징 홈(552a) 내부로 접혀져(Folding)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하우징 홈(552a) 내부로 접혀져 수납된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하우징 홈(552a)에 형성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상단을 누르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힌지(55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우징 홈(552a)에서 외부로 펼쳐질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놓이도록 힌지(55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도어 트림(31) 쪽으로 밀어 올려 하우징 홈(552a)에 위치시킨 후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상단을 누르면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되면서 하우징 홈(552a)에 고정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하우징 홈(552a)에 고정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도어 트림(31)의 일 부분을 이루게 된다.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펼친 상태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여 충전시킬 수도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펼쳐 휴대 기기를 수납시킨 후,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접어 하우징 홈(552a)에 고정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 기기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는 무선 충전부(506), 자외선 조사부(510), 조명부(554), 유선 접속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506), 자외선 조사부(510), 조명부(554), 및 유선 접속부(530)는 차량 도어(30)의 하우징 홈(552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510) 및 조명부(554)는 각각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차량 도어(30)에는 표시부(5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54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542)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평소에는 하우징 홈(552a) 내로 폴딩되어 차량 도어(30)의 일 부분을 이루도록 하고, 사용자의 필요 시에만 언폴딩되어 외부로 도출되게 함으로써,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차량 도어(30)에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차량 도어(30)의 내부로 인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도어 암레스트(33)에 수납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상부에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개폐시키는 수납부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수납홈 형태의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 세워져 수납될 수도 있고 눕힌 상태로 수납될 수도 있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9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센터페시아(40)에 장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센터페시아(40)에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이 형성된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공간(S)은 휴대 기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 전체가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휴대 기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휴대 기기의 일부(즉, 휴대 기기의 일측)가 수납 공간(S)에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의 타측은 차량 센터 페시아(40)에 지지될 수 있다. 차량 센터페시아(40)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수납되는 하우징 홈(55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하측은 하우징 홈(552a) 내에서 힌지(555)를 통해 차량 센터페시아(4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힌지(55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 홈(552a)에서 외부로 펼쳐지거나(Unfolding) 하우징 홈(552a) 내부로 접혀져(Folding)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하우징 홈(552a) 내부로 접혀져 수납된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하우징 홈(552a)에 형성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상단을 누르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힌지(55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우징 홈(552a)에서 외부로 펼쳐질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놓이도록 힌지(55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차량 센터페시아(40) 쪽으로 밀어 올려 하우징 홈(552a)에 위치시킨 후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상단을 누르면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되면서 하우징 홈(552a)에 고정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하우징 홈(552a)에 고정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차량 센터페시아(40)의 일 부분을 이루게 된다.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펼친 상태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여 충전시킬 수도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펼쳐 휴대 기기를 수납시킨 후,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접어 하우징 홈(552a)에 고정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 기기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는 무선 충전부(506), 자외선 조사부(510), 조명부(554), 유선 접속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506), 자외선 조사부(510), 조명부(554), 및 유선 접속부(530)는 차량 센터페시아(40)의 하우징 홈(552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510) 및 조명부(554)는 각각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차량 센터페시아(40)에는 표시부(5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54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542)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502)가 평소에는 하우징 홈(552a) 내로 폴딩되어 차량 센터페시아(40)의 일 부분을 이루도록 하고, 사용자의 필요 시에만 언폴딩되어 외부로 도출되게 함으로써,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차량 센터페시아(40)에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차량 센터페시아(40)의 내부로 인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차량 센터페시아(40)에 수납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상부에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개폐시키는 수납부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수납홈 형태의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 세워져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50)는 전체 또는 일부가 수납홈 형태의 휴대 기기 수납부(502)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도 6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다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센터페시아(40)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센터페시아(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500)는 차량 센터페시아(40)에 고정 매립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500)는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외부 하우징(또는 케이스)를 이루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에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S)이 형성된다. 수납 공간(S)은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는 수납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공간(S)은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길이 방향(즉,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전면에는 상태 알림부(526), 유선 접속부(530), 및 조명부(5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526)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500)의 전원 상태, 무선 충전부(506)의 동작 상태(즉,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이온 발생기(미도시)의 동작 상태, 자외선 조사부(510)의 동작 상태, 조명부(554)의 동작 상태, 및 유선 접속부(530)의 접속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는 각 구성들(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506), 이온 발생기(미도시), 자외선 조사부(510), 조명부(554) 등)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의 동작 지속 시간 및 진행 정도(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506) 또는 유선 접속부(530)를 통한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 충전 진행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는 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및 SNS 메시지 수신(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알림부(526)는 표시 알림부(526-1) 및 음성 출력 알림부(526-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526-1)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표시 알림부(526-1)에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들이 도안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526-1)에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500)의 전원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표시부(ⓑ)(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자외선 조사부(510)의 동작 상태 표시부(ⓒ), 이온 발생기(미도시)의 동작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표시부(ⓔ) 등이 도안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526-1)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대응하는 도안화된 부분에 조명이 켜지는 것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526-1)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대해 조명부(554)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알림부(526-2)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즉, 소리로 알려줌)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알림부(526)는 표시 알림부(526-1) 및 음성 출력 알림부(526-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조명부(554)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554)는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554)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명부(554)가 휴대 기기 수납부(502)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명부(554)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554)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55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55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55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554)는 표시 알림부(526-1)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554)는 무선 충전 장치(5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에 따라 표시 알림부(526-1)의 조명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는 그 이외의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1 내지 도 6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600)는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컵 홀더(60)가 차량 내부 구조물(10)에 장착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600)는 컵 홀더(6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컵 홀더 커버에 마련될 수 있다. 컵 홀더(60)는 예를 들어, 차량 센터페시아 하부,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컵 홀더(60)는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60-1)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컵 홀더 커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602)는 컵 홀더(6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컵 홀더(60)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602)는 컵 홀더(60)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602)는 차량 내부 구조물(10)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어 컵 홀더(60)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602)는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되어 컵 홀더(60)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컵 홀더 커버에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마련되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전단에는 손잡이 홈(68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홈(687)을 잡고 휴대 기기 수납부(602)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수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및 기어 등과 같은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컵 홀더(60)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602)는 그 이외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컵 홀더(60)와 결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50)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이 마련된다. 수납 공간(S)은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수납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공간(S)은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전단부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를 인출하였을 때 컵 홀더(60)의 상부를 차폐하는 부분을 말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602)를 인출한 경우, 수납 공간(S)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수납 공간(S)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후단부에는 보조 수납부(688)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공간(S)의 바닥면에는 보호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50)가 수납 공간(S) 내에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미도시)는 수납 공간(S)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미도시)는 수납 공간(S)의 바닥면에서 무선 충전부(606)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606)가 수납 공간(S)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미도시)는 무선 충전부(606)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미도시)는 수납 공간(S)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부(606)이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부(606)는 수납 공간(S)의 하부(즉,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606)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606) 중 전력 송신부만이 수납 공간(S)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다른 위치(예를 들어, 보조 수납부(688))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신부 및 충전 제어 회로가 모두 수납 공간(S)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602)에는 자외선 조사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610)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610)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610)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로 인입되는 경우 온(ON) 동작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로 인입되는 경우, 수납 공간(S)은 차량 내부 구조물(10)에 의해 차폐되므로, 자외선 조사부(610)를 온(ON) 동작시켜도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로 인입되었을 때, 자외선 조사부(610)는 무선 충전부(606)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610)는 무선 충전부(606)와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차량 내부 구조물(10)에서 인출되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610)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610)의 동작이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개폐 동작이 자외선 조사부(6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과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610)가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610)는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수납 공간(S)의 상부에는 수납 공간(S)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602)를 차량 내부 구조물(10) 내로 인입시키지 않고도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로 수납 공간(S)의 상부를 차폐하여 자외선 조사부(61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6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의 개폐 동작과 상호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수납 공간(S)의 일측에는 이온 발생기(608)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608)는 보조 수납부(68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688)는 수납 공간(S)의 내부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조 수납부(688)에는 수납 공간(S)와 연통하는 에어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688)에서 발생시킨 이온은 에어 홀(미도시)을 통해 수납 공간(S)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602)에는 상태 알림부(6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62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태 알림부(626)는 휴대 기기 수납부(602)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602)가 인입되더라도 상태 알림부(626)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4 및 도 65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무선 충전 장치의 형태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여기서는 무선 충전 장치가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의 형태 및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도 64 및 도 65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700)는 베이스부(741), 휴대 기기 수납부(702), 무선 충전부(706), 이온 발생기(708), 조명부(754), 유선 접속부(730), 및 표시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741)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의 일측에 형성된다. 베이스부(741)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와 함께 무선 충전 장치(700)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베이스부(741)의 내부에는 이온 발생기(708) 및 무선 충전 장치(7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보드(750)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702)는 베이스부(741)의 전면에서 베이스부(741)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702)는 베이스부(74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702)의 하단에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는 안착부(789)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702)는 후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702)는 휴대 기기(50)의 하측이 안착되고 휴대 기기(50)의 일면이 지지되는 형태로 휴대 기기(50)를 수납하게 된다.
무선 충전부(706)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 내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부(706)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702)에 안착되었을 때,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708)는 베이스부(741)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온 발생기(708)는 이온 발생부(708-1) 및 송풍팬(708-2)을 포함한다. 이온 발생부(708-1)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708-2)은 이온 발생부(708-1)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온 발생부(708-1)의 타측에는 이온 가이드부(7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온 가이드부(790)는 이온 발생부(708-1)의 타측에서 베이스부(741) 내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708-2)은 이온 발생부(708-1)가 발생시킨 이온을 이온 가이드부(790)로 불어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702)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홀(720)이 휴대 기기 수납부(702) 및 베이스부(741)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홀(720)은 이온 가이드부(790)와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이온 발생부(708-1)가 발생시킨 이온은 이온 가이드부(790)를 따라 베이스부(741) 내의 상부로 이동하다가 에어 홀(720)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에어 홀(720)로 배출된 이온은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에어 홀(720)로 배출된 이온은 무선 충전 장치(700) 주변 공간의 세균, 악취, 곰팡이 등을 살균 및 탈취하여 무선 충전 장치(700) 주변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온 발생기(708)는 무선 충전 장치(700)의 주변 공간의 오염 정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700)의 주변 공간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온 발생기(708)가 동작하여 이온을 에어 홀(720)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기(70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충전되기 시작하면 이온 발생기(708)가 온(ON) 되어 이온을 발생시키고, 휴대 기기(50)의 충전이 완료되면 이온 발생기(708)가 오프(OFF)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온 발생부(708-1)가 형성된 위치에 방향기가 형성되어 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방향기에서 발생한 향이 에어 홀(720)로 배출되어 무선 충전 장치(700)의 주변 공간에 좋은 향기를 발하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부(708-1)가 형성된 위치에 가습기가 형성되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습기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에어 홀(720)로 배출되어 무선 충전 장치(700)의 주변 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기, 방향기, 및 가습기가 택일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741) 내에는 이온 발생기, 방향기, 및 가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754)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754)는 베이스부(74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754)는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702) 또는 베이스부(741)의 테두리를 따라 라인(Lin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754)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명부(754)는 휴대 기기(5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및 색 온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75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75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754)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754)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기 설정된 모션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예를 들어, 온 또는 오프 동작, 밝기 레벨 조절, 색 온도 레벨 조절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754)는 사용자가 조명부(754)의 동작과 관련된 음성을 발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명부(754)을 온 또는 오프시키라는 음성을 발하거나 조명부(754)의 밝기 레벨을 조절하라는 음성을 발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유선 접속부(730)는 베이스부(74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접속부(730)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730)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접속부(730)에는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접속부(730)는 베이스부(741) 내에 형성되는 메인 보드(7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메인 보드(750)에는 저장 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유선 접속부(730)에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를 연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와 메인 보드(750)의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유선 접속부(730)에 연결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702)에 안착된 휴대 기기(50)에 연결하면, 메인 보드(750)의 저장 매체와 휴대 기기(50)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인 보드(750)에는 휴대 기기(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 케이블의 일측을 유선 접속부(730)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702)에 안착된 휴대 기기(50)에 연결하면, 메인 보드(750)의 충전 회로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부(706)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도 있고, 유선 접속부(730)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유선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706)을 통한 무선 충전과 유선 접속부(730)를 통한 유선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무선 충전부(706)은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되고, 유선 접속부(730)는 유선 충전을 위한 충전 수단이 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겸용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742)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742)는 무선 충전 장치(7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50)가 무선 또는 유선 충전 중인 경우, 표시부(742)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온 발생기(708)가 동작 중인 경우, 표시부(742)는 이온 발생기(708)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자외선 조사부 및 자외선 차단 커버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700)는 자외선 조사부(710) 및 자외선 차단 커버(7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베이스부(741)의 상단에서 결합부(791)를 통해 베이스부(741)와 결합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결합부(79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부(741)에 결합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커버(756)의 내측에는 자외선 조사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710)는 베이스부(741) 내의 메인 보드(7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결합부(131)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 결합부(131)와 함께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756)가 닫히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에 안착되며, 휴대 기기(50)는 자외선 차단 커버(756)를 통해 외부와 단절된다.
이와 같이, 자외선 차단 커버(756)가 닫힌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부(710)가 온(ON) 동작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710)가 조사하는 자외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장치(700) 주변의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756)의 표면에는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를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살균할 때, 무선 충전 장치(700) 주변의 사용자가 자외선 및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각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결합부(791)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 결합부(791)와 함께 회전하면서 열리게 된다. 자외선 차단 커버(756)가 열리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710)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즉, 자외선 조사부(710)는 자외선 차단 커버(756)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경우, 기 설정된 모션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사용자가 자외선 차단 커버(756)의 개폐 와 관련된 음성을 발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된 동작 메뉴얼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710)는 자외선 차단 커버(756)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커버(756)가 닫힌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부(71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도중 휴대 기기(50)에 전화가 걸려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커버(756)가 열리면서 자외선 조사부(710)가 오프(OFF)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754)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현하면, 조명부(754)는 자외선 조사부(710)와 함께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부(754)는 평상시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하고, 휴대 기기(50)의 살균 시에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차단 커버(756)가 상하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자외선 차단 커버(756)의 개폐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폐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 커버(756)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50)가 자외선 조사부(710)를 통해 살균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자외선 차단 커버(756)에 의해 외부와 단절된다. 이때, 휴대 기기(50)는 무선 충전 장치(7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링크되어 무선 충전 장치(7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700)에 휴대 기기(50)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휴대 기기(50)는 무선 충전 장치(700)를 통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기기(50)의 제어를 위해 무선 충전 장치(700)가 별도의 터치 스크린을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700)에 구비된 조작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아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장치(70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700)와 링크된 다른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등)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700)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 발생된 휴대 기기 제어 신호를 휴대 기기(5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무선 충전 장치(7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제어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무선 충전 장치(7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여 무선 충전 장치(7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7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제어를 시작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을 무선 충전 장치(7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에 전달하여 무선 충전 장치(7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무선 충전 장치(700) 또는 다른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휴대 기기(50)의 홈 화면에서 소정 버튼 또는 소정 애플리케이션 등을 터치하여 휴대 기기(5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이온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700)는 이온 배출부(7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배출부(793)는 힌지(792)를 통해 베이스부(74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온 배출부(793)는 베이스부(741)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온 배출부(793)는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온의 배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온 배출부(793)에는 이온 발생부(708-1)가 발생시킨 이온을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홀(720)이 형성된다.
이온 발생부(708-1)의 일측에는 송풍팬(708-2)이 형성되고, 이온 발생부(708-1)의 타측에는 이온 가이드부(7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온 가이드부(790)는 이온 발생부(708-1)의 타측에서 힌지(792)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792)에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온 발생부(708-1)가 발생시킨 이온은 이온 가이드부(790), 힌지(792), 및 이온 배출부(793)를 경유하여 에어 홀(720)로 배출되게 된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살균 제어를 위한 구성을 추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8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700)는 센서부(794), 살균부(795), 입력부(796), 및 살균 제어기(7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94)는 휴대 기기(50)의 안착 여부를 센싱하여 해당되는 센싱 신호를 살균 제어기(797)에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794)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794)의 예로는 포토 센서, 근접 센서, 압전 센서, 무게 센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살균부(795)는 휴대 기기 수납부(702)의 내부에 형성되어 살균을 위한 소스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살균부(795)는 휴대 기기(50)의 살균을 위해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UV LED 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6에서 자외선 조사부(710)가 살균부(795)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부(795)는 자외선 LED 이외에 다양한 살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부(795)는 살균 제어기(797)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부(795)는 살균 제어기(797)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입력부(796)는 살균부(795)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 예컨대 시간 설정용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796)에 의해 설정된 동작 시간은 살균 제어기(797)에 입력될 수 있으며, 살균 제어기(797)는 살균 시작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동작 시간 동안 살균부(79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입력부(796)는 베이스부(741)에 형성될 수 있다.
살균 제어기(797)는 무선 충전부(706)와의 연동을 통해 충전 여부에 따라 살균부(795)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센서부(794)와 연동하여 센서부(794)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살균부(79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제어기(797)는 살균 진행 상태를 조명부(754) 또는 표시부(742)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살균 제어기(797)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6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살균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9를 참조하면, 살균 제어기(797)는 감지부(797a), 동작부(797b), 제어부(797c), 카운터(797d) 및 신호 발생부(797e)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797a)는 무선 충전부(706)와 연결되어 무선 충전부(706)의 변화를 감지한 후 이에 대응하는 살균 시작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797a)는 무선 충전부(706) 내 수단, 예컨대 코일의 변화(예를 들어,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변화)를 감지하며, 변화가 기 설정된 범위 벗어나는 시점을 충전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여 살균 시작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797a)는 살균 시작 요청 신호를 출력한 후 무선 충전부(706) 내 수단의 변화를 체크하며, 변화가 기 설정된 범위에 들어오는 시점을 충전 완료 시점으로 판단하여 살균 종료 요청 신호를 제어부(797c)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797a)는 센서부(794)와의 연결되어 살균 시작 요청 신호 또는 살균 종료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797a)는 센서부(794)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기에 장착되지를 감지하며,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휴대 기기(50)가 장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감지되면 살균 시작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기에서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살균 종료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착은 수납, 거치, 안착 등을 포함하며, 분리는 인출, 탈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부(797b)는 제어부(797c)의 제어에 의거하여 살균부(795)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부(797b)는 제어부(797c)에서 인가되는 살균 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살균부(795)를 온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797c)에서 인가되는 살균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살균부(795)를 오프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동작부(797b)는 카운터(797d)와의 연동을 통해 살균부(795)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부(797b)는 카운터(797d)와의 연동을 통해 살균부(795)를 동작시킨 후 카운터(797d)와의 연동을 통해 오프시켜 충전 상태 또는 휴대 기기(50)의 장착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살균부(795)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동작부(797b)는 제1 시간 동안 살균부(795)를 온시킨 후 제2 시간 동안 오프시키고, 제2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살균부(795)를 온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살균부(795)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동작부(797b)는 제어부(797c)로부터 휴대 기기(50)의 분리 또는 충전 종료에 대응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부(795)의 온 동작 상태를 유지한 후 종료시킬 수 있다.
제어부(797c)는 감지부(797a)로부터 입력되는 살균 시작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살균 시작 신호를 동작부(797b)에 출력하거나 살균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살균 종료 신호를 동작부(797b)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97c)는 감지부(797a)로부터 살균 종료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터(797d)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97c)는 살균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시간으로 카운터(797d)를 셋팅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10분, 20분 또는 30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부(797c)는 살균 시작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동작부(797b)를 통해 살균부(795)를 온 시킴과 더불어 기 설정된 시간으로 카운터(797d)를 셋팅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살균부(79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온되어 휴대 기기(190)에 대한 살균을 수행한 후 종료될 수 있다.
제어부(797c)는 살균 상태, 예컨대 살균 진행 시간에 따른 살균 진행 상태 신호를 신호 발생부(797e)에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살균 진행 상태 신호는 음성, 화면 데이터일 수도 있다.
살균 진행 상태 신호가 음성일 경우 신호 발생부(797e)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살균 진행 상태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이 아닌 경우 신호 발생부(797e)는 살균 진행 상태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부(754)를 동작시킬 수 있다.
카운터(797d)는 제어부(797c)에서 인가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살균 종료 신호를 동작부(797b)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부(797b)는 살균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살균부(795)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살균 제어기(797)의 동작 방법에 대해 도 7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살균 제어기(797)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제어기(797)는 감지부(797a)를 통해 무선 충전부(706) 또는 센서부(794)와 연동하여 살균부(795)의 구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 102). 구체적으로, 살균 제어기(797)는 감지부(797a)를 통해 무선 충전부(706)의 변화를 기반으로 휴대 기기(50)에 대한 충전이 시작되는지 또는 감지부(797a)를 통해 센서부(794)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살균부(795)의 구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 102의 판단 결과, 살균부(795)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감지부(797a)는 살균 시작 요청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797c)에 제공하며, 제어부(797c)는 살균 시작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살균 시작 신호를 동작부(797b)에 인가하여 살균부(795)를 온시킨다(S 104).
그리고 나서, 제어부(797c)는 기 설정된 시간이 셋팅된 동작 제어 신호를 카운터(797d)에 인가하여 카운터(797d)를 구동시킨다(S 106).
이후, 동작부(797b)는 카운터(797d)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동작부(797b)는 카운터(797d)의 구동 종료에 따라 카운터(797d)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가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 108).
단계 S 108의 판단 결과, 카운터(797d)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살균 제어기(797)의 제어부(797c)는 감지부(797a)를 통해 충전 종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 110).
한편, 단계 S 108의 판단 결과, 카운터(797d)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가 인가되면, 동작부(797b)는 살균부(795)의 오프시킨다(S 112).
단계 S 110의 판단 결과, 충전 종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살균 제어기(797)는 단계 S 106으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 S 110의 판단 결과, 충전 종료가 감지되면, 제어부(797c)는 기 설정된 시간이 셋팅된 동작 제어 신호를 카운터(797d)에 인가하여 카운터(797d)를 구동시킨다(S 114).
이후, 단계 S 108과 마찬가지로 동작부(797b)는 카운터(797d)로부터 살균 종료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한 후 살균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살균부(795)를 오프시킨다.
한편, 도 70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제어기(797)는 살균부(795)가 온된 후 살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신호 발생부(797e)를 통해 조명부(754), 표시부(742) 또는 스피커(미도시)로 전달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실제 적용된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 구조 및 휴대 기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나, 이는 무선 충전 장치가 실제 적용된 제품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 구조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는 무선 충전 장치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입구 커버, 휴대 기기 가이드부, 위치 고정 수단 등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Rx)는 무선 충전부의 전력 송신부(Tx)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이 진행될 때, 무선 충전 장치는 살균부에 해당하는 UV LED를 휴대 기기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술한 구성은 해당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술한 구성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술한 구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무선 충전 장치
102, 202, 302, 402, 502, 602, 702 : 휴대 기기 수납부
104 : 전자파 차폐부
106, 206, 306, 406, 506, 606, 706 : 무선 충전부
108, 308, 608, 708 : 이온 발생기
109 : 걸림부
110, 210, 310, 510, 610, 710 : 자외선 조사부
112, 212 : 입구 커버
112-1, 212-1 : 제1 입구 커버
112-2, 212-2 : 제2 입구 커버
114, 214 : 위치 고정부
114-1, 214-1 :제1 위치 고정부
114-2, 214-2 :제2 위치 고정부
116 : 개구부
118, 218, 318, 418 :보호 패드
120, 320, 720 : 에어홀
122 : 연통부
124 : 이물질 수납부
126, 226, 526, 626 : 상태 알림부
128 : 지지 리브
130, 230, 330, 530, 730 : 유선 접속부
132, 232 :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
132-1, 232-1 : 제1 탄성 부재
132-2, 232-2 : 제1 압박 부재
134, 234 :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
134-1, 234-1 : 제2 탄성 부재
134-2, 234-2 : 제2 압박 부재
136 : 힌지
136-1 : 제1 힌지
136-2 : 제2 힌지
138 : 삽입 깊이 조절부
138-1 : 휴대 기기 지지부
138-2 : 탄성 부재
138a : 휴대 기기 지지부
138b : 회전부
138c : 회전 레버
138d : 나사부
138e : 홀부
142 : 제1 표시부
144 : 제2 표시부
146, 446 : 스피커
201 : 무선 충전 모듈
203 : 무선 충전 모듈 데크
206-1 : 전력 송신부
206-2 : 받침부
211 : 모듈 하우징부
215 : 충전 제어부
217 : 충전부 수납부
217-a : 결합부
219 : 이동 조정부
219-a : 나사부
219-b : 걸림부
221 : 제1 커넥터
221-1 : 접속 패턴
223 : 제1 가이드부
225 : 제2 가이드부
226-1, 526-1 : 표시 알림부
226-2, 526-2 :음성출력 알림부
227 : 플렉서블 케이블
229 : 가이드 슬릿
241 : 베이스부
243 : 수납홈
245 : 제2 커넥터
245-1 : 삽입홈
251 : 접속 부재
251-1 : 접속 지지부
251-2 : 접촉부
261, 361 : 전원 공급부
267 : 가이드 홈
269 : 플렉서블 케이블
281 : 돌출부
281a : 지지 부재
281b : 돌출 부재
281c : 탄성 부재
281d : 걸림부
281e : 가이드 레일
285 : 요철부
285a : 돌기
302-1 : 케이스 수납홈
302-2 : 휴대 기기 수납 케이스
342, 442, 542, 742 : 표시부
349 : 윈도우
352, 452 : 하우징부
353 : 격벽
354, 454, 554, 754 : 조명부
355 : 힌지
356, 756 : 자외선 차단 커버
357 : 터치 펜
358 : 송풍팬
359 : 터치펜 결합부
360 : 배터리 모듈
360a : 광 전지셀
360b : 후레쉬부
360c : 레이저 포인터부
361a : 전원 공급 단자
362 : 사용자 인터페이스
363 : 신호 증폭부
364 : 저장 매체
365 : 오염 감지 센서
366 : 모션 감지부
368 : 음성 감지부
369 : 플렉서블 케이블
370 : 휴대 기기 동작 감지부
371 : 통신부
372 : 휴대 기기 링크부
373 : 위치 감지 센서
374 : 제2 조명부
375 : 제어부
376, 476 : 휴대 기기 안착홈
402-1 : 제1 프레임
402-2 : 제2 프레임
402-A : 베이스 프레임
477 : 위치 고정 돌기
478 : 위치 고정 홈
479 : 위치 고정 조절부
479-1 : 관통홀
480 : 위치 고정 프레임
480-1 :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
480-2 :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
482 : 제1 탄성 지지부
482-1 : 제1 탄성 부재 결합부
482-2 : 탄성 부재
483 : 제2 탄성 지지부
483-1 : 제2 탄성 부재 결합부
483-2 : 탄성 부재
484 : 제1 위치 조절부
484a : 제1 압박부
484a-1 : 연장부
484b : 지지부
484c : 가이드부
484d : 제3 탄성 부재
486 : 제2 위치 조절부
486a : 제4 탄성 부재
486b : 제2 압박부
486c1, 486c2 : 고정부
486d1, 486d2 : 가이드 홈
486e1, 486e2 : 연결부
486f1, 486f2 : 래크
486g : 기어
552a : 하우징 홈
555 : 힌지
687 : 손잡이 홈
688 : 보조 수납부

Claims (18)

  1.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수납되는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무선 충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입구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입구 커버인, 무선 충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적어도 한 면은 전자파 차폐 수단을 포함하거나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무선 충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수납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교환 장착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충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납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차폐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 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통공 구조를 이루는, 무선 충전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무선 충전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휴대 기기를 유선 충전시키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불어보내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 측으로 가이드하는, 무선 충전 장치.
  17.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8.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PCT/KR2014/002372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WO20141488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31 2013-03-20
KR1020130029631A KR20140095938A (ko) 2013-01-25 2013-03-20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044270 2013-04-22
KR1020130044270A KR20140100381A (ko) 2013-02-05 2013-04-22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130044271A KR20140126126A (ko) 2013-04-22 2013-04-22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044271 2013-04-22
KR10-2013-0047403 2013-04-29
KR1020130047403A KR20140128683A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051416 2013-05-07
KR1020130051416A KR20140132196A (ko) 2013-05-07 2013-05-07 무선 충전 장치
KR10-2013-0109915 2013-09-12
KR20130109915A KR20150030527A (ko) 2013-09-12 2013-09-12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112106 2013-09-17
KR20130112106A KR20150032079A (ko) 2013-09-17 2013-09-17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112107A KR102081718B1 (ko) 2013-09-17 2013-09-17 컵 홀더 장치
KR10-2013-0112107 2013-09-17
KR1020130151316A KR20150066139A (ko) 2013-12-06 2013-12-06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151316 2013-12-06
KR1020130155736A KR20150069392A (ko) 2013-12-13 2013-12-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13-0155736 2013-12-13
KR1020130158657A KR20150071523A (ko) 2013-12-18 2013-12-18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158657 2013-12-18
KR1020130162055A KR102158366B1 (ko) 2013-12-24 2013-12-24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10-2013-0162055 2013-12-24
KR1020130164794A KR20150076517A (ko) 2013-12-27 2013-12-27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13-0164794 2013-12-27
KR10-2014-0003994 2014-01-13
KR1020140003994A KR20150084210A (ko) 2014-01-13 2014-01-13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20140015911A KR20150094961A (ko) 2014-02-12 2014-02-12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
KR10-2014-0015911 2014-02-12
KR10-2014-0026140 2014-03-05
KR1020140026140A KR20150104421A (ko) 2014-03-05 2014-03-05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030358 2014-03-14
KR10-2014-0030358 2014-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8853A1 true WO2014148853A1 (ko) 2014-09-25

Family

ID=5158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48853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2975A (zh) * 2014-10-20 2016-04-27 福特全球技术公司 光致发光消毒和充电仓
CN106314157A (zh) * 2015-07-02 2017-01-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输入装置及包括该输入装置的车辆
CN108650369A (zh) * 2018-07-24 2018-10-12 福州馨香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收纳手机数据线的手机外壳
CN108810221A (zh) * 2018-06-22 2018-11-13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紫外线消毒充电翻盖手机壳及其监测方法
EP3490101A4 (en) * 2016-08-10 2019-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CN110323844A (zh) * 2018-03-30 2019-10-11 Tdk株式会社 无线受电装置、及无线电力传输系统
TWI696332B (zh) * 2019-06-06 2020-06-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裝置
CN111544612A (zh) * 2019-02-12 2020-08-1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可消毒灯组件以及使用其的消毒方法
DE102020213074A1 (de) 2020-10-16 2022-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mit Staufach
GB2603484A (en) * 2021-02-04 2022-08-10 Daimler Ag A sanitizer device for a mobile phone in a motor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70A (ja) * 2001-08-28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給電機器
US20090206674A1 (en) * 2005-07-19 2009-08-2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dical instrument storage system
KR20110000012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전기자동차용 비접촉식 충전장치
KR20120085980A (ko) * 2011-01-25 2012-08-02 이승택 보청기용 무접점 충전기
KR20130000246A (ko) * 2011-06-22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무선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70A (ja) * 2001-08-28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給電機器
US20090206674A1 (en) * 2005-07-19 2009-08-2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dical instrument storage system
KR20110000012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전기자동차용 비접촉식 충전장치
KR20120085980A (ko) * 2011-01-25 2012-08-02 이승택 보청기용 무접점 충전기
KR20130000246A (ko) * 2011-06-22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무선충전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2975B (zh) * 2014-10-20 2020-01-14 福特全球技术公司 光致发光消毒和充电仓
CN105522975A (zh) * 2014-10-20 2016-04-27 福特全球技术公司 光致发光消毒和充电仓
CN106314157A (zh) * 2015-07-02 2017-01-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输入装置及包括该输入装置的车辆
EP3793058A1 (en) * 2016-08-10 2021-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EP3490101A4 (en) * 2016-08-10 2019-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US11503745B2 (en) 2016-08-10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US11735936B2 (en) 2016-08-10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CN110323844A (zh) * 2018-03-30 2019-10-11 Tdk株式会社 无线受电装置、及无线电力传输系统
CN108810221A (zh) * 2018-06-22 2018-11-13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紫外线消毒充电翻盖手机壳及其监测方法
CN108650369A (zh) * 2018-07-24 2018-10-12 福州馨香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收纳手机数据线的手机外壳
CN111544612A (zh) * 2019-02-12 2020-08-1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可消毒灯组件以及使用其的消毒方法
TWI696332B (zh) * 2019-06-06 2020-06-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裝置
DE102020213074A1 (de) 2020-10-16 2022-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mit Staufach
GB2603484A (en) * 2021-02-04 2022-08-10 Daimler Ag A sanitizer device for a mobile phone in a mot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48853A1 (ko) 무선 충전 장치
WO2021201326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22611A1 (ko) 무선 충전 장치
WO2017200353A1 (ko) 로봇 청소기
WO2019168383A1 (en) Electronic device
WO2019168380A1 (en) Electronic device
WO2014137109A1 (ko) 전자 기기, 전기 차량 및 무선 전력 전송장치
WO20151420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WO2020138729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20145767A1 (ko) 조리기기
WO2018048098A1 (en) Portable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20032306A1 (ko) 차량용 상품 제공 장치 및 카고 시스템
WO2021162139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80061A1 (ko) 전자펜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WO2021117952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14958A1 (ko)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4119879A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충전시스템
WO2018038372A1 (ko) 청소기
WO2021029601A1 (ko) 블렌더
WO2022045397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34941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45766A1 (ko) 조리기기
WO2022245159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3003344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WO2020032307A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674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74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