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196A -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196A
KR20140132196A KR1020130051416A KR20130051416A KR20140132196A KR 20140132196 A KR20140132196 A KR 20140132196A KR 1020130051416 A KR1020130051416 A KR 1020130051416A KR 20130051416 A KR20130051416 A KR 20130051416A KR 20140132196 A KR20140132196 A KR 2014013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wireless charging
position fixing
elastic memb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05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196A/ko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ko
Publication of KR2014013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휴대 기기의 크기 별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되는 휴대 기기는, 상기 위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휴대 기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들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의 위치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가 결정되나,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없어 휴대 기기가 무선 충전되고 있지 않음에도 무선 충전되고 있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였을 때 휴대 기기가 제 위치를 벗어나 무선 충전이 안되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되는 위치로 휴대 기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휴대 기기의 크기 별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되는 휴대 기기는, 상기 위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부; 휴대 기기를 수납하고, 상기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하우징부 또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할 때 조명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가 무선 충전이 어려운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그 위치를 재조정하여 신속히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를 휴대 기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조명부 자체로 휴대 기기의 충전될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의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동시킴으로써,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다양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는 다양한 위치 고정 수단을 통해 휴대 기기의 위치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의 위치를 무선 충전 모듈이 형성된 부분으로 조절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조명부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프레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휴대 기기가 안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어 무선 충전될 수 있도록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100)의 형태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PMP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190)는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팩이 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에는 휴대 기기(190)를 무선(비접촉)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에는 1차 코일(101)이 형성되고, 휴대 기기(190)에는 1차 코일(102)에 대응하는 2차 코일(19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100)의 1차 코일(101)과 휴대 기기(190)의 2차 코일(191)은 유도 결합에 의해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된다.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한 무선 충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공진 방식 등)으로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조명부(102), 스피커(104), 및 충전 상태 표시부(106)를 포함한다. 조명부(102)는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안착된 경우,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조명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1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1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 가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1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거나 응답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휴대 기기(190)의 위치 및 휴대 기기(190)와 무선 충전 장치(100) 간의 간격(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의 1차 코일(101) 및 휴대 기기(190)의 2차 코일(191) 간의 간격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1차 코일(101)의 위치에서 일정 범위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와 무선 충전 장치(100) 간에 이물질이 끼어 있거나 휴대 기기(190)의 케이스 두께가 두꺼운 경우 등과 같이 휴대 기기(190)와 무선 충전 장치(100) 간의 간격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면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어려울 수 있게 된다.
조명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02)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무선 충전 불가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02)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2)는 반복적으로 점멸하여 무선 충전 가부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조명부(102)는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중인 경우, 점등되어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02)는 휴대 기기(190)의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02)는 휴대 기기(190)와 대응되는 형태의 라인(즉, 사각형 형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19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줄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1차 코일(101)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는 조명부(102)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02)가 그 자체로 휴대 기기(19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조명부(102)를 라인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02)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 형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02)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02)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02)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02)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스피커(104)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스피커(104)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음을 출력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102) 및 스피커(104)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02) 또는 스피커(104)만 동작할 수도 있다.
충전 상태 표시부(106)는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충전 상태 표시부(106)는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중인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된 정도에 따라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를 단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 표시부(106)는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190)의 충전 완료 사실을 화면에 표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로 휴대 기기(190)를 충전할 때 조명부(102) 및 스피커(104)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이 어려운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그 위치를 재조정하여 신속히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102)를 휴대 기기(190)에 대응하는 형상의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조명부(102) 자체로 휴대 기기(190)의 충전될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02)의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동시킴으로써, 휴대 기기(190)의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다양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기기(190)가 안착되는 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190)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휴대 기기(19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 장치(100)에 안착시킬 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조명부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100)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조명부(102-1, 102-2, 102-3)는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1 조명부(102-1)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되고,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 조명부(102-2)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되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3 조명부(102-3) 내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02)가 3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02)는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시키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휴대 기기(190)의 위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선 충전 자체가 어렵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휴대 기기(19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 상에는 위치 고정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돌기(111)는 휴대 기기(190)를 수용하는 영역에서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 돌기(111)는 휴대 기기(190)의 각 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돌기(111)가 휴대 기기(190)의 각 측면을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돌기(111)는 휴대 기기(190)의 대향하는 적어도 2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02)는 휴대 기기(190)의 각 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위치 고정 돌기(111)를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돌기(111)는 무선 충전 장치(10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고정 돌기(111)를 누르면 위치 고정 돌기(111)가 무선 충전 장치(100) 내로 인입되고, 위치 고정 돌기(111)를 다시 누르면 위치 고정 돌기(111)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고정 돌기(111)는 무선 충전 장치(100)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111-1, 111-2, 111-3)는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111-1, 111-2, 111-3)는 각각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위치 고정 돌기(111-1, 111-2, 111-3)를 통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 제2 크기의 휴대 기기, 및 제3 크기의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1 위치 고정 돌기(111-1) 내에서 제1 위치 고정 돌기(111-1)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의 경우,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제2 위치 고정 돌기(111-2)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압박하여 누르면, 제1 위치 고정 돌기(111-1)가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해 눌려져 무선 충전 장치(100) 내로 인입되며, 그로 인해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제2 위치 고정 돌기(111-2) 내에서 제2 위치 고정 돌기(111-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의 경우,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제3 위치 고정 돌기(111-3)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압박하여 누르면, 제1 위치 고정 돌기(111-1) 및 제2 위치 고정 돌기(111-2)가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해 눌려져 무선 충전 장치(100) 내로 인입되며, 그로 인해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제3 위치 고정 돌기(111-3) 내에서 제3 위치 고정 돌기(111-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즉, 제2 위치 고정 돌기(111-2) 및 제3 위치 고정 돌기(111-3)는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제1 위치 고정 돌기(111-1)의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제1 크기 내지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켜 무선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조명부(102-1), 제2 조명부(102-2), 및 제3 조명부(102-3)가 휴대 기기(190)의 각 측면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제1 위치 고정 돌기(111-1), 제2 위치 고정 돌기(111-2), 및 제3 위치 고정 돌기(111-3)를 각각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조명부(102)가 점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내부에 휴대 기기(19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 내에는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홈(113)은 제1 위치 고정 홈(113-1) 및 제2 위치 고정 홈(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홈(113)이 제1 위치 고정 홈(113-1) 및 제2 위치 고정 홈(113-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홈(113)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고정 홈(113)을 복수 개 형성하는 경우, 가장 작은 크기의 제1 위치 고정 홈(113-1) 이외의 위치 고정 홈들은 해당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제1 위치 고정 홈(113-1)에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 고정 홈(113-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형성된다. 이때, 제2 위치 고정 홈(113-2)과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제1 위치 고정 홈(113-1)은 제2 위치 고정 홈(113-2) 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 홈(113-1)과 제2 위치 고정 홈(113-2)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위치 고정 홈(113-1), 제2 위치 고정 홈(113-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1 위치 고정 홈(113-1)에 안착되어 제1 위치 고정 홈(11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제2 위치 고정 홈(113-2)에 안착되어 제2 위치 고정 홈(113-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안착되어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해당 휴대 기기(190)를 제1 위치 고정 홈(113-1), 제2 위치 고정 홈(113-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홈(113)이 휴대 기기 수납부(108)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위치 고정 홈(113)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 홈(113)에는 조명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2)는 라인 또는 점 형태로 위치 고정 홈(11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102)의 형성되는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내부에 휴대 기기(19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안착홈(115)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안착홈(115)이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안착홈(115)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안착홈(115)을 복수 개 형성하는 경우, 가장 작은 크기의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이외의 휴대 기기 안착홈들은 해당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에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이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양측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및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은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과 단차를 갖는다. 여기서,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8)는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에 안착되고, 제2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에 안착되며,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길이 내지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각각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 제2 휴대 기기 안착홈(115-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의해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는 고정될 수 있지만, 폭 방향으로는 고정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일측면에 위치 고정 조절부(117)를 형성할 수 있다. 위치 고정 조절부(117)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119)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조절부(117)는 그 일측이 제1 길이 내지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타측면으로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위치 고정 조절부(117)의 타측에는 위치 고정 조절부(117)가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도록 위치 고정 조절부(11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에 안착된 경우,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위치 고정 조절부(117)가 탄성 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타측면으로 압박하므로,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위치 고정 조절부(117)에 의해 그 폭 방향으로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가 제1 휴대 기기 안착홈(115-1)에 안착될 때,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에 의한 탄성 부재(미도시)의 수축 정도가 작게 된다. 따라서, 위치 고정 조절부(117)는 상대적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108) 내부로 많이 돌출된 상태에서 제1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게 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안착된 경우,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위치 고정 조절부(117)가 탄성 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타측면으로 압박하므로,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위치 고정 조절부(117)에 의해 그 폭 방향으로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므로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안착될 때,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에 의한 탄성 부재(미도시)의 수축 정도가 크게 된다. 따라서, 위치 고정 조절부(117)는 상대적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108) 내부로 적게 돌출된 상태에서 제3 길이를 갖는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안착홈(115)이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서 위치 고정 조절부(117)가 형성되는 위치도 그에 맞게 변경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위치 고정 조절부(117)가 관통홀(119)에 삽입되고,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조절부(117)가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일측면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휴대 기기(190)를 압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안착홈(115)에는 조명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2)는 라인 또는 점 형태로 휴대 기기 안착홈(115)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102)의 형성되는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3 실시예는 휴대 기기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후술하는 위치 조절 수단의 개념을 포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내부에 휴대 기기(190)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프레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프레임(121)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 및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프레임(121)이 1개의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고정 프레임(121)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을 복수 개 형성하는 경우,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위치 고정 프레임(121)이 단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의 하부에는 제1 탄성 지지부(123)가 형성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은 휴대 기기(190)의 안착 여부에 따라 제1 탄성 지지부(12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탄성 지지부(123)는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탄성 부재 결합부(123-1) 및 제1 탄성 부재 결합부(123-1)에 결합되는 제1 탄성 부재(123-2)를 포함한다.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의 하부에는 제2 탄성 지지부(125)가 형성된다.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은 휴대 기기(190)의 안착 여부에 따라 제2 탄성 지지부(12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2 탄성 지지부(125)는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탄성 부재 결합부(125-1) 및 제2 탄성 부재 결합부(125-1)에 결합되는 제2 탄성 부재(125-2)를 포함한다.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은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에 형성된다. 이때,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이 하부로 내려가면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과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은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 내에 형성된다. 이때,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이 하부로 내려가면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과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 및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190)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위치 고정 프레임(121)이 휴대 기기 수납부(108)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위치 고정 프레임(121)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 프레임(121)에는 조명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2)는 라인 또는 점 형태로 위치 고정 프레임(1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102)의 형성되는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고정 프레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휴대 기기가 안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에 안착되는 경우,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해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이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제1 탄성 지지부(123)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의 상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을 지지하게 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이 하부로 내려가는 경우,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과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190)가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에 안착되는 경우,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에 의해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 및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이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제1 탄성 지지부(123)가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의 상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을 지지하게 되고, 제2 탄성 지지부(125)가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의 상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을 지지하게 된다.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121-1) 및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이 하부로 내려가는 경우,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과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108-a)의 경계에서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 크기의 휴대 기기(190)는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121-2)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다양한 위치 고정 수단을 통해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기기(190)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19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조절 수단은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휴대 기기(190)의 위치를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이 형성된 부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위치 조절 수단은 해당 위치에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 및 하우징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108)는 하우징부(130)의 내부에 수납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3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30)의 내부로 인입되어 다시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전단에는 소정 높이의 제1 프레임(108-1)이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양측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는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은 하우징부(1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위치 조절부(140) 및 제2 위치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조절부(140)는 하우징부(130) 내에 형성되며,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전단에 형성된 제1 프레임(108-1) 방향으로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위치 조절부(150)는 하우징부(130) 내에 형성되며,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측면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위치 조절부(140)는 제1 압박부(141), 지지부(143), 가이드부(145), 및 제1 탄성 부재(147)를 포함한다. 제1 압박부(141)는 제1 탄성 부재(147)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압박부(141)는 휴대 기기(190)의 일측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3)는 제1 압박부(141)에 연결되며, 가이드부(145)를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지지부(143)는 제1 탄성 부재(147)의 탄성력을 제1 압박부(141)로 전달한다. 가이드부(145)는 하우징부(13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가이드부(145)는 하우징부(130)의 후단에 하우징부(130)의 길이 방향(즉,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5)는 지지부(143)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 부재(147)는 가이드부(145) 내에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147)는 지지부(143)의 전후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된다.
제2 위치 조절부(150)는 하우징부(130) 내에서 양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치 조절부(150)는 하우징부(130) 내에서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위치 조절부(150)는 하우징부(130) 내에서 일 측벽에 형성되어 휴대 기기(190)의 상측 또는 하측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위치 조절부(150)는 제2 탄성 부재(151) 및 제2 압박부(153)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151)는 하우징부(130) 내의 측벽에 고정 형성된다. 제2 압박부(153)는 제2 탄성 부재(151)와 결합되며, 제2 탄성 부재(15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압박부(153)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인입 시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도록 그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박부(153)는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51)는 힌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 부재(151)는 하우징부(130)내의 타측 방향으로 제2 압박부(153)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제2 탄성 부재(151)가 하우징부(130) 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면, 제2 탄성 부재(151)는 하우징부(130) 내의 타측 방향으로 제2 압박부(15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압박부(141)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에 접촉하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계속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190)의 일측이 제1 압박부(141)에 의해 밀려나면서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에 의해 지지부(143)가 가이드부(145)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 탄성 부재(147)가 지지부(143)에 의해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탄성 부재(147)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 압박부(141)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가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될 때, 제2 압박부(153)가 휴대 기기(190)에 의해 하우징부(130)의 내측벽으로 밀려나게 되고, 제2 탄성 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190)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제1 위치 조절부(140) 및 제1 프레임(108-1)에 의해 고정되고,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은 제2 위치 조절부(150)에 의해 각각 고정됨으로써, 휴대 기기(190)의 4개의 모든 측면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가 고정된 위치에 대응하여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이 형성되면, 무선 충전 장치(100)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19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2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 조절 수단의 제1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 조절 수단의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위치 조절부(150)는 제2 탄성 부재(151) 및 제2 압박부(153)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151)의 일단은 하우징부(130)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제2 탄성 부재(151)의 타단은 제2 압박부(153)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압박부(153)는 그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박부(153)는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51)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압박부(153)는 제2 탄성 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압박부(141)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전단에 형성된 제1 프레임(108-1) 방향으로 밀어내어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완전히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190)에 의해 지지부(143)가 가이드부(145)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 탄성 부재(147)는 지지부(143)에 의해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탄성 부재(147)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 압박부(141)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가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될 때, 제2 압박부(153)가 휴대 기기(190)에 의해 하우징부(130)의 내측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제2 탄성 부재(151)가 수축하면서 제2 압박부(153)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2 압박부(153)가 휴대 기기(19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 조절 수단의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위치 조절부(140)는 제1 탄성 부재(171) 및 제1 압박부(173)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조절부(14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수납된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전단에 형성된 제1 프레임(108-1) 방향으로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 부재(171)는 하우징부(130) 내에서 하우징부(130)의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박부(173)는 제1 탄성 부재(171)에 결합되며, 제1 탄성 부재(17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 부재(171)는 힌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 부재(171)는 휴대 기기 수납부(130)의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 압박부(171)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190)의 일측이 제1 압박부(171)를 누르게 된다. 이때, 제1 탄성 부재(171)가 휴대 기기 수납부(130)의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 압박부(171)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1 압박부(171)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가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될 때, 제2 압박부(153)가 휴대 기기(190)에 의해 하우징부(130)의 내측벽으로 밀려나게 되고, 제2 탄성 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압박하게 된다. 한편, 제2 위치 조절부(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위치 조절부(140)는 제1 압박부(141), 지지부(143), 가이드부(145), 및 제1 탄성 부재(14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압박부(141), 지지부(143), 가이드부(145), 및 제1 탄성 부재(147)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압박부(141)의 양단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연장부(14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41-1)는 제1 탄성 부재(147)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부(141-1)에는 충격 방지 패드(14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41-1)를 통해 휴대 기기(19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여도 휴대 기기(19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충격 방지 패드(149)는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격 방지 패드(149)는 휴대 기기(190)의 양 모서리가 연장부(141-1)에 접촉할 때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8)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시키면, 연장부(141-1)가 휴대 기기(190)의 양 모서리에 접촉하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계속 인입시키면, 휴대 기기(190)의 일측이 연장부(141-1)에 의해 밀려나면서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에 의해 지지부(143)가 가이드부(145)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 탄성 부재(147)가 지지부(143)에 의해 수축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탄성 부재(147)의 탄성력으로 인해 연장부(141-1)가 휴대 기기(19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연장부(141-1)는 휴대 기기(190)의 양 모서리를 압박(즉, 휴대 기기(190)의 일측,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휴대 기기(190)의 하측을 동시에 압박)하므로, 제2 위치 조절부(150) 없이도 휴대 기기(19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108-1) 및 제1 프레임(108-1)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108-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프레임(108-2)에는 제2 위치 조절부(1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 조절부(150)는 제1 프레임(108-1)의 양단에 연결된 제2 프레임(108-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위치 조절부(150)는 제2 탄성 부재(151) 및 제2 압박부(153)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151)의 일단은 제2 프레임(108-2)에 고정되고, 제2 탄성 부재(151)의 타단은 제2 압박부(153)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압박부(153)는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압박부(153)들 간의 간격은 휴대 기기(19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를 제2 압박부(153)들 사이에 위치시켰을 때, 제2 압박부(153)들이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할 수 있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박부(153)들은 휴대 기기(190)가 제2 압박부(153)들 사이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박부(153)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19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면 제2 압박부(153)가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압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위치 조절부(140)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8)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108-1)을 포함한다. 제2 위치 조절부(150)는 제2 탄성 부재(151) 및 제2 압박부(153)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151)의 일단은 하우징부(130)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제2 탄성 부재(151)의 타단은 제2 압박부(153)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압박부(153)의 일측은 하우징부(130)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제2 압박부(153)의 타측은 제2 탄성 부재(15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압박부(153)는 소정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2 압박부(153)의 타측들 간의 간격은 휴대 기기(190)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위치 조절부(140)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제1 프레임(108-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190)에 의해 제2 탄성 부재(151)가 수축하게 되고, 제2 압박부(153)가 제2 탄성 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190)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제2 압박부(153)에는 충격 방지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위치 조절 수단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8)는 베이스 프레임(108-A)만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8-A)에는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고정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 위치 조절부(150)가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위치 조절부(150)는 휴대 기기(190)의 상측 또는 하측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2 위치 조절부(150)는 고정부(161, 161'), 가이드 홈(163, 163'), 연결부(165, 165'), 래크(167, 167'), 및 기어(169)를 포함한다. 고정부(161, 161')는 베이스 프레임(108-A) 상에서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61, 161')는 가이드 홈(163, 16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휴대 기기(190)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161, 161')를 이동하여 휴대 기기(19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부(165, 165')는 베이스 프레임(108-A)의 하부에서 고정부(161, 161')와 연결된다. 연결부(165, 165')의 일측에는 기어(169)와 결합되는 래크(167, 167')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161, 161')가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61)를 가이드 홈(163)을 따라 아래로 이동시키면, 고정부(161')가 가이드 홈(163')을 따라 위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65)의 래크(167)를 기어(169)의 일측에서 결합시키고, 연결부(165')의 래크(167')를 기어(169)의 타측에서 결합시키면, 고정부(161, 161')가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휴대 기기(190)를 베이스 프레임(108-A)에 안착시키는 경우, 고정부(161, 161')를 가이드 홈(163, 163')을 따라 이동시켜 휴대 기기(190)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8)를 하우징부(130) 내로 인입시키면, 제1 위치 조절부(140)가 휴대 기기(190)의 일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190)의 타측이 고정부(161, 16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161, 161')가 휴대 기기(190)의 타측을 고정하도록 하려면, 고정부(161, 161')를 꺽임쇠(예를 들어, ㄱ자 형태 또는 ㄴ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61, 161')는 휴대 기기(190)의 두 측면을 동시에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무선 충전 장치 101 : 1차 코일
102 : 조명부 104 : 스피커
106 : 충전 상태 표시부 108 : 휴대 기기 수납부
108-1 : 제1 프레임 108-2 : 제2 프레임
108-A : 베이스 프레임
111 : 위치 고정 돌기 113 : 위치 고정 홈
115 : 휴대 기기 안착홈 117 : 위치 고정 조절부
119 : 관통홀 121 : 위치 고정 프레임
123 : 제1 탄성 지지부 123-1 : 제1 탄성 부재 결합부
123-2 : 제1 탄성 부재 125 : 제2 탄성 지지부
125-1 : 제2 탄성 부재 결합부 125-2 : 제2 탄성 부재
130 : 하우징부 140 : 제1 위치 조절부
141, 173 : 제1 압박부 141-1 : 연장부
143 : 지지부 145 : 가이드부
147, 171 : 제1 탄성 부재 149 : 충격 방지 패드
150 : 제2 위치 조절부 151 : 제2 탄성 부재
153 : 제2 압박부 161, 161': 고정부
163, 163': 가이드 홈 165, 165': 연결부
167, 167': 래크 169 : 기어
190 : 휴대 기기

Claims (40)

  1.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휴대 기기의 크기 별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되는 휴대 기기는, 상기 위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소리로 알려주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대응되는 라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위치를 표시해주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각 휴대 기기에 대응되는 라인 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시 해당 휴대 기기의 크기에 대응되는 조명부가 점등되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일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휴대 기기의 대향하는 적어도 2측면을 고정하는 위치 고정 돌기인, 무선 충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돌기는,
    상기 휴대 기기의 각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수용 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위치 고정 홈인, 무선 충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일면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위치 고정 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소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휴대 기기 안착홈;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을 상기 휴대 기기 안착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압박하여 상기 휴대 기기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조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안착홈은,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휴대 기기 안착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위치 고정 조절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 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고정 조절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는, 무선 충전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 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고정 조절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는, 무선 충전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일면에 상기 휴대 기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위치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프레임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내측에 형성되는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기준 위치 고정 프레임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위치 고정 프레임이 단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위치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8. 하우징부;
    휴대 기기를 수납하고, 상기 하우징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는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하우징부 또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을 상기 제1 프레임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에 형성되는 제1 탄성 부재;
    상기 가이드부 내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을 압박하는 제1 압박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는,
    상기 제1 압박부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일측의 양 모서리를 압박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는,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는 충격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 탄성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일측을 압박하는 제1 압박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측면을 압박하는 제2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제2 탄성 부재;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입 시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다른 측면을 압박하는 제2 압박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힌지 스프링이고,
    상기 제2 압박부의 일측은 상기 힌지 스프링에 연결되는, 무선 충전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압박부에 고정되는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인, 무선 충전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압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압박부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압박하는 제2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의 양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인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대향하는 측면을 각각 압박하는, 무선 충전 장치.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대향하는 측면을 압박하는 제2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 기기의 측면을 압박하는 제2 압박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박부는,
    상기 제2 압박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무선 충전 장치.
  3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대향하는 측면을 압박하는 제2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압박하는 제2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어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1 래크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이격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적어도 한 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어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2 래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8. 제8항 또는 제10항 또는 제12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조명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 알려주는, 무선 충전 장치.
  39. 제8항 또는 제10항 또는 제12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40.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휴대 기기의 크기 별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되는 휴대 기기는, 상기 위치 조절 수단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130051416A 2013-03-20 2013-05-07 무선 충전 장치 KR20140132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416A KR20140132196A (ko) 2013-05-07 2013-05-07 무선 충전 장치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ko) 2013-03-20 2014-03-20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416A KR20140132196A (ko) 2013-05-07 2013-05-07 무선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96A true KR20140132196A (ko) 2014-11-17

Family

ID=5245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416A KR20140132196A (ko) 2013-03-20 2013-05-07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1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31A1 (ko) * 2015-12-09 2017-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90088508A (ko) * 2016-11-29 2019-07-2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자동차용으로 의도된 사용자 장비를 유도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31A1 (ko) * 2015-12-09 2017-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0886793B2 (en) 2015-12-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90088508A (ko) * 2016-11-29 2019-07-2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자동차용으로 의도된 사용자 장비를 유도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503B2 (en) Charging system for mobile device
KR101285084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US20150097519A1 (en) Wireless charger with coil position adjustability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60218535A1 (en) Rapid charg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ging stations
KR101763754B1 (ko) 다단 보조배터리 충전 장치
US20110079701A1 (en) Connection Device
KR20130079314A (ko) 만능 배터리 충전기
KR100369593B1 (ko) 호환가능한 배터리팩 충전기
KR20140132196A (ko) 무선 충전 장치
KR101447950B1 (ko) 무선 충전기
KR101561069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200481061Y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책상
KR101422540B1 (ko)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WO2019178648A1 (en) Improved wireless charging station
CN215911929U (zh) 一种带有手机支撑和散热功能的无线手机充电器
JP2020061905A (ja) ワイヤレス充電器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KR20150090519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KR101994944B1 (ko) 무선 충전장치
JP3169098U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CN220544745U (zh) 一种组合式无线充电器
KR101769053B1 (ko)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가방
KR101688541B1 (ko)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