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540B1 -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540B1
KR101422540B1 KR1020120097571A KR20120097571A KR101422540B1 KR 101422540 B1 KR101422540 B1 KR 101422540B1 KR 1020120097571 A KR1020120097571 A KR 1020120097571A KR 20120097571 A KR20120097571 A KR 20120097571A KR 101422540 B1 KR101422540 B1 KR 10142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pin
rechargeable battery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867A (ko
Inventor
김윤오
Original Assignee
김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오 filed Critical 김윤오
Priority to KR102012009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5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로 각종 전자제품의 모든 충전 배터리를 보다 용이하게 급속 충전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율을 높여 충전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는, 회로기판이 내장됨은 물론 외면에는 전원잭부와 복수 개의 연결통신포트 및 충전잭부, 카운터부가 구비된 바텀커버; 상기 바텀커버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를 삽입 고정함은 물론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 탑커버; 상기 탑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에 삽입 고정된 충전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을 갖는 충전단자핀부;가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rapid charging apparatus for battery}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충전장치로 각종 전자제품의 모든 충전 배터리를 급속 충전가능하도록 한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충전장치는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및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이다.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기는 상기 전자제품의 각 기종별 또는, 상기 전자제품을 제조하는 회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므로, 상기 각 전자제품에 해당하는 각각의 충전기를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구비한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충전기는 상기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호환성이 떨어지므로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상기 해당 전자제품에만 사용가능한 배터리 충전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 배터리 충전기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은 물론 상기 배터리 충전지가 구비된 전자제품을 구입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각종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업으로 하는 회사에서는 다양한 전자제품의 종류 즉, 전자제품의 배터리 크기 및 모양, 단자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충전기를 여러 개 구비하므로 인해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설치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상기 각종 전자제품에 맞는 배터리 충전기를 구비하지 못할 경우에는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인한 영업 이윤의 저하 및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기의 단자핀에서 스파크가 발생되어 상기 단자핀의 표면에 그을림 현상이 일어나므로 인해, 상기 충전기에서 배터리의 충전이 잘 안 됨은 물론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상기 충전기의 충전율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279호(2010.09.10.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각종 전자제품의 모든 충전 배터리를 하나의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로 손쉽고 용이하게 모두 급속 충전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의 충전단자핀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충전단자핀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에서 충전 배터리를 보다 빠른 시간에 충분한 양을 원활하게 충전하는 등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율을 높여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이 내장됨은 물론 외면에는 전원잭부와 복수 개의 연결통신포트 및 충전잭부, 카운터부가 구비된 바텀커버; 상기 바텀커버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를 삽입 고정함은 물론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 탑커버; 상기 탑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에 삽입 고정된 충전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을 갖는 충전단자핀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이 내장된 바텀커버와, 충전 배터리를 삽입 고정 및 충전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탑커버와,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핀을 갖는 충전단자핀부로 구성된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로 각종 전자제품의 모든 충전 배터리를 손쉽고 용이하게 급속 충전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전자제품의 모든 충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호환성으로 인해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하나만을 구비하여 사용가능함에 따라 각종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기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 각종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업소에서는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서비스 향상은 물론 영업 이윤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배터리 급속 배터리 충전단자핀부의 구조를 변경 즉, 충전단지핀부의 컨텍핀과 외부전원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전단자핀부의 컨텍핀에서의 스파크 현상을 방지하므로 상기 컨텍핀의 표면에 그을림이 부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에서 충전 배터리의 충전이 원활하게 잘 이루어짐은 물론 보다 빠른 시간에 충분한 양을 충전하는 등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율을 높여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에 충전 배터리로 일정 전원을 순간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리셋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셋부의 조작에 의해 완전 방전된 상태의 충전 배터리에 순간적으로 일정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의 충전 배터리를 충전가능한 상태로 회복시킨 후 상기 충전 배터리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단자를 찾아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에서는 완전 방전된 충전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를 단면상태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의 충전단자핀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의 충전단자핀부의 충전단자핀 구조를 단면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및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충전 배터리(40) 즉, 크기나 모양 및 단자의 위치가 다른 다양한 형태의 모든 충전 배터리(40)를 급속으로 충전하도록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텀커버(10)와, 탑커버(20) 및, 충전단자핀부(3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텀커버(10)는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외관 중 하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하부 측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이고, 상기 탑커버(20)는 상기 바텀커버(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상부 측 외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40)가 삽입 및 삽입된 충전 배터리(40)를 고정함은 물론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및 조작부를 조작하여 충전 배터리(40)의 충전하도록 한 구성이며, 상기 충전단자핀부(30)는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340)을 포함한 각종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의 구조가 탑커버(2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20)의 삽입홈부(210)에 삽입 고정된 충전 배터리(40)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바텀커버(10)는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텀커버(10)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각 장치부를 작동 및 정지,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110)이 내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텀커버(10)의 외면에는 외부전원단자와 접속되는 전원잭부(1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텀커버(10)의 외면에는 결재시스템의 포스(POS)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전자제품과의 연동을 위해 케이블이 접속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결통신포트(1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통신포트(130)의 측방인 바텀커버(10)의 외면에는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 충전 배터리(40)가 결합된 상태의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40)를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제품의 접속부에 연결 접속되는 케이블이 삽입 및 탈거되는 구조를 갖는 충전잭부(1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텀커버(10)의 외면에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 충전 배터리(40)가 몇 번 충전되었지의 충전 횟수를 카운팅함은 물론 상기 카운팅된 충전 횟수를 후술할 충전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카운터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잭부(120)와 연결통신포트(130) 및 충전잭부(140), 카운터부(150)는 회로기판(110)에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각 부(120,130,140,150)는 바텀커버(10)의 동일 면상에 설치되거나 또는 다른 면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 상기 각 부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탑커버(20)는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탑커버(20)의 상면에는 충전 배터리(40)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삽입홈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부(210) 내의 양측면에는 후술할 고정판(220)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공(211)이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공(211)에는 후술할 고정판(22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슬라이딩공(211)을 통해 외부에서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 모양과 같은 탄성체인 막음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부(210) 내에는 상기 삽입홈부(210)에 삽입된 충전 배터리(40)를 눌러주면서 고정하는 고정판(2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탑커버(20)의 삽입홈부(210) 측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340)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슬롯(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부(210)의 하방 측에는 상기 고정판(2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12)가 위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12)의 상면에는 후술할 고정판(220)의 고정패널(221)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2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커버(20)의 상면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시간과 충전횟수 및 충전량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2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충전표시부(240)는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시간 및 상기 카운터부(150)의 조작에 따라 충전횟수가 표시되는 부분과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량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표시부(240)에서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시간 및 충전회수를 표시하는 부분은 하나 또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충전 배터리(40)를 충전하기 위한 구조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표시부(240)에서 충전 배터리(40)의 충전량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에는 좌, 우측에 위치한 삽입홈부(210) 내에 삽입되어 충전되는 충전 배터리(40)의 충전량 상태가 함께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110)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삽입홈부(210)의 일측방인 탑커버(20)의 상면에는 완전 방전된 상태의 충전 배터리(40)를 충전 가능한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 상기의 완전 방전된 충전 배터리(40)에 일정시간 동안 눌러 순간적으로 일정 전원을 충전 배터리(40)에 공급하도록 하는 리셋부(2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셋부(250)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 충전 배터리(40)를 충전하기 위한 구조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전 배터리(40)가 완전 방전된 상태라는 것은,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된 충전량이 3볼트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충전 배터리(40)에서 더 이상 방전되지 않도록 차단한 상태를 말하며, 상기 리셋부(250)의 조작 즉, 일정 시간(약 3~5초 정도) 동안 리셋부(250)를 누르거나 터치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일정 전압이 충전 배터리(40)로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후술할 충전단자핀부(30)의 컨텍핀(342)은 충전 배터리(40)의 플러스(+)와 마이너스(-)단자를 찾아 확인한 후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는 완전 방전된 충전 배터리(40)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을 하게 된다.
상기 탑커버(20)의 외면 즉, 탑커버(20)의 전면에는 글자나 숫자 및 그림 등 다양한 형태의 문양뿐만 아니라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문양의 변경이나 색상 변화 등 다양한 형태로 조작가능한 엘씨디(LCD) 또는 엘이디(LE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탑커버(20)의 상면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40)가 결합된 상태의 전자제품에서 충전 배터리(40)를 충전할 때 상기 전자제품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홈(2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탑커버(20)의 고정판(22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홈부(210)의 하방 측에 설치된 가이드부(212)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212)의 상면에 접촉 및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고정패널(2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패널(221)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부(212)의 가이드돌기(212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홈(2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패널(221)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부(210)에 삽입된 충전 배터리(40)를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220)을 잡아당기거나 밀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2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222)의 상면은 평편한 상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손으로 잡은 부분인 돌출부를 더 부가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판(220) 및 손잡이부(222)의 제작여건이나 사용목적,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충전단자핀부(30)는 도 1과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탑커버(20)의 내측에 슬라이딩봉(310)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봉(310)의 외면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32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320)의 상부에는 상기 탑커버(20)의 슬롯(230)을 통해 탑커버(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320)의 돌출부(321)에는 상기 슬라이딩봉(31)을 따라 이동부재(32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잡는 밀개부(3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이동부재(320)의 일측에는 삽입홈부(210)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340)이 결합되어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320)에는 슬라이딩봉(310)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봉(310)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봉(310)을 따라 이동부재(320)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재(320) 내에는 상기 슬라이딩봉(3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볼(b)이 회전가능하게 내삽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320)에는 내삽된 볼(b)이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볼(b)을 밀어 고정하도록 하는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c)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밀개부(330)는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상부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거나 또는, 상기 밀개부(330)의 상면이 매끄러운 편평한 형태의 구조를 갖거나 또는, 상기 밀개부(330)의 상면이 울퉁불퉁한 요철모양의 갖는 편평한 형태의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충전단자핀(34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320)에 결합되는 내부가 빈 형태인 중공의 핀외통부(3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핀외통부(341)에는 상기 핀외통부(341)의 양측부로 양단부가 돌출되는 컨텍핀(34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핀외통부(341)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되는 컨텍핀(342)을 원상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3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텍핀(342)의 일단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됨은 물론 상기 컨텍핀(342)의 단부는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둥근 형태 및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텍핀(342)의 타단부는 외부전원선과 연결되도록 핀외통부(341)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텍핀(342)는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의 접촉 간격에 따라 핀외통부(341) 내를 왕복이동된다.
상기 충전단자핀(340)의 핀외통부(341)와 컨텍핀(342)은 상기 핀외통부(341)로부터 컨텍핀(342)이 탈거되지 않으면서도 스프링(343)에 의해 핀외통부(341)를 중심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 각종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40)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 충전 배터리(40)를 고정한다.
즉,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탑커버(20)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10) 내에 설치된 고정판(220)을 상부 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삽입홈부(210) 내에 충전 배터리(40)를 삽입하고 나서 상기 고정판(220)을 하부 측으로 이동시켜 충전 배터리(4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상기 탑커버(20)에 구비된 충전단자핀부(30)의 충전단자핀(340)의 컨텍핀(342)를 접촉시켜야 하는데, 즉 상기 탑커버(20)의 슬롯(230) 측에 위치하는 상기 충전단자핀부(30)의 이동부재(320) 상면에 결합된 밀개부(33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한 쌍의 이동부재(320)를 좌, 우측으로 움직이면 상기의 이동부재(320)는 상기 충전단자핀부(30)의 슬라이딩봉(31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이동하는 이동부재(320)에 결합된 충전단자핀(340)이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단자 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충전단자핀(340)의 컨텍핀(342)은 핀외통부(341)의 스프링(343)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컨텍핀(342)의 일단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된다.
이때,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 배터리(40)가 완전 방전된 상태라면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는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탑커버(20)의 리셋부(250)를 일정시간 동안 누르거나 터치하여 상기 삽입홈부(210)에 삽입 고정된 완전 방전된 상태의 충전 배터리(40)에 순간적으로 일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충전 배터리(40)는 충전 가능한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면, 충전단자핀부(30)의 충전 단자핀(340) 컨텍핀(342)은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플러스(+)와 마이너스(-)단자를 찾아 확인한 후,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는 완전 방전된 충전 배터리(40)로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의 충전 배터리(40)는 충전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바텀커버(10)에 내장된 회로기판(110)에서는 충전 배터리(40)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단자핀부(30)의 충전단자핀(340)의 컨텍핀(342)을 통해 충전 배터리(40)로 보내어 상기 충전 배터리(40)는 충전이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의 충전단자핀(340)은 중공의 핀외통부(341)과,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되는 컨텍핀(342) 및 상기 컨텍핀(342)을 원상 복귀시키는 스프링(34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텍핀(342)의 타단부가 외부 전원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음에 상기 충전 배터리(40)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핀외통부(341)는 물론 컨텍핀(342)에서 스파크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스파크 현상에 의해 그을림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컨텍핀(342)을 통해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이 잘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충전 배터리(40)는 보다 빠른 시간에 충전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충전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시간과 충전 횟수 및 충전량 상태를 상기 탑커버(20)의 충전표시부(240)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되며, 상기 충전표시부(240)에 의해 충전 배터리(40)가 충전 완료되면 상기 고정판(220)의 손잡이부(222)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220)을 상부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삽입홈부(210) 내에서 충전 완료된 충전 배터리(40)를 빼내어 전자제품에 충전 배터리(40)를 결합한 후 상기 전자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탑커버(20)에서는 거치홈(270)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거치홈(270)에 전자제품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텀커버(10) 후면에 설치된 충전잭부(140)와 상기 전자제품의 충전잭부(140)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충전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40)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텀커버(10)의 연결통신포트(130)와 결재시스템의 포스(POS)단말기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이 완료되면 포스단말기에 결재금액이 표시되고, 상기의 결재금액을 지불한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20) 전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2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 즉, 글자나 숫자 및 그림, 캐릭터 등을 디스플레이함은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문양을 수시로 변경 및 색상을 변화, 변경하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의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를 이용하여 각종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40)를 모두 충전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1)에서 충전 배터리(40)를 손쉽고 용이하게 급속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충전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340)의 구조를 변경함에 따라 기존에 충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파크 및 상기 스파크로 인한 그을림 현상을 방지하므로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충전 배터리(40)의 충전율을 높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10: 바텀커버
20: 탑커버 30: 충전단자핀부
40: 충전 배터리 110: 회로기판
120: 전원잭부 130: 연결통신포트
140: 충전잭부 150: 카운터부
210: 삽입홈부 211: 슬라이딩공
212: 가이드부 212a: 가이드돌기
220: 고정판 221: 고정패널
221a: 가이드홈 222: 손잡이부
230: 슬롯 240: 충전표시부
250: 리셋부 260: 디스플레이부
270: 거치홈 310: 슬라이딩봉
320: 이동부재 321: 돌출부
330: 밀개부 340: 충전단자핀
341: 핀외통부 342: 컨텍핀
343: 스프링

Claims (7)

  1. 회로기판이 내장됨은 물론 외면에는 전원잭부와 복수 개의 연결통신포트 및 충전잭부, 카운터부가 구비된 바텀커버;
    상기 바텀커버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자제품의 충전 배터리를 삽입 고정함은 물론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 탑커버;
    상기 탑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탑커버에 삽입 고정된 충전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을 갖는 충전단자핀부;로 구성되되,
    상기의 탑커버는, 상기 탑커버의 상면에 형성되어 충전 배터리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삽입홈부에 삽입된 충전 배터리를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삽입홈부 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판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공과, 상기 삽입홈부의 하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를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탑커버의 삽입홈부 측에 형성되어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슬롯과,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시간과 충전횟수 및 충전량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와, 완전 방전된 충전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 상기의 충전 배터리에 순간적으로 일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리셋부와, 상기 탑커버의 상면에 형성되어 충전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의 전자제품에서 충전 배터리를 충전할 때 상기 전자제품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탑커버의 고정판은, 삽입홈부의 하방 측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하면에 형성되어 가이드부의 가이드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단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단자핀부는, 탑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봉과, 상기 슬라이딩봉의 외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탑커버의 슬롯을 통해 탑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손으로 잡는 밀개부와, 상기 각 이동부재의 일측에는 삽입홈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충전단자핀은,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중공의 핀외통부와, 상기 핀외통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핀외통부의 양측부로 양단부가 돌출되는 컨텍핀과, 상기 핀외통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컨텍핀을 원상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컨텍핀의 일단부는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됨은 물론 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컨텍핀의 타단부는 외부전원선과 연결되도록 핀외통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컨텍핀은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의 접촉 간격에 따라 상기 핀외통부에서 탈거되지 않으면서 상기 핀외통부를 중심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탑커버의 외면에는 글자나 숫자 및 그림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엘씨디(LCD) 또는 엘이디(LE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20120097571A 2012-09-04 2012-09-04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142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71A KR101422540B1 (ko) 2012-09-04 2012-09-04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71A KR101422540B1 (ko) 2012-09-04 2012-09-04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67A KR20140030867A (ko) 2014-03-12
KR101422540B1 true KR101422540B1 (ko) 2014-07-24

Family

ID=5064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571A KR101422540B1 (ko) 2012-09-04 2012-09-04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28B1 (ko) * 2017-06-07 2019-04-19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휴대폰 커버 타입 전자태그 리더기
KR101970119B1 (ko) * 2017-06-07 2019-04-18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 휴대폰 버티컬 커버 타입 전자태그 리더기
KR102167348B1 (ko) * 2020-06-03 2020-10-19 유한회사 숲이엔지 태양열 에너지 저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690A (ko) * 1992-11-19 1994-06-24 정용문 배터리의 전원접속단자
KR20070023337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팬택 접촉 불량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거치대 및 그 방법
KR20100006247U (ko) * 2008-12-11 2010-06-21 김윤오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690A (ko) * 1992-11-19 1994-06-24 정용문 배터리의 전원접속단자
KR20070023337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팬택 접촉 불량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거치대 및 그 방법
KR20100006247U (ko) * 2008-12-11 2010-06-21 김윤오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67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32642Y (zh) 电动工具电池的适配器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00277122A1 (en) UNIVERSAL CHARGER FOR NiH AND LITHIUM BATTERIES
KR101422540B1 (ko)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1763754B1 (ko) 다단 보조배터리 충전 장치
KR20120005258U (ko)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US20120196658A1 (en)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 Exchangeable Battery Cell
CN214204974U (zh) 电池用充电装置
CN101145626A (zh) 手机充电器
US9800067B2 (en) Rail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multiple batteries
CN202712903U (zh) 多功能手机充电器
KR101848780B1 (ko)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CN202026109U (zh) 一充多用充电器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KR20070047952A (ko)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CN208904714U (zh) 一种多用途的电池充电器
WO2012094918A1 (zh) Ac交流数码万能充电器
CN201117758Y (zh) 手机充电皮套座
CN210674202U (zh) 一种组合式带充电功能的游戏控制器
CN104954517B (zh) 接触式无线充电器用的手机套
CN102595828A (zh) 一种多用途移动终端底座
CN220382787U (zh) 一种移动电源
CN103166254A (zh) 手机电池充电器
KR20120081007A (ko)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