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541B1 -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541B1
KR101688541B1 KR1020150084499A KR20150084499A KR101688541B1 KR 101688541 B1 KR101688541 B1 KR 101688541B1 KR 1020150084499 A KR1020150084499 A KR 1020150084499A KR 20150084499 A KR20150084499 A KR 20150084499A KR 101688541 B1 KR101688541 B1 KR 10168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xiliary battery
battery unit
charging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 지에스씨 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에스씨 솔루션 filed Critical (주) 지에스씨 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08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02J7/0054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과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여 충전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 및 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배터리 유닛; 및 랜턴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대상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랜턴과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여 충전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조 배터리는 휴대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충전 가능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언제 어디서나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 가능한 용량에 따라 다른 부피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보조 배터리는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해 전자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연결잭이 형성되어 있다.
휴대용 랜턴은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어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소모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또는 배터리를 충전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현재 휴대용 랜턴을 충전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는 없으며, 이러한 보조 배터리가 있다 하더라도 랜턴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 선이 별도로 필요하여 분실 위험이 있고 랜턴을 충전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745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426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745호는 서로 다른 종류의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어 충전되며, 충전된 전력을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위한 보조 배터리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휴대 단말기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부 영역이 거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로 구성되는 복수의 충전 케이블을 지원하여 보조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휴대용 랜턴과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휴대용 랜턴을 충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426호는 기종이 다른 휴대폰을 충전시 충전 단자를 슬라이드시켜 각각의 휴대폰에 직접 연결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휴대폰 기종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을 손쉽게 충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복수의 전자기기가 아닌 하나의 휴대폰만 충전할 수 있고, 휴대용 랜턴을 충전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745호 (2014.10.02)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426호 (2015.02.23)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과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여 충전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과 슬라이드 결합하여 랜턴과 일체화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랜턴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 공간에 따라 랜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외부 전원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 및 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배터리 유닛; 및 랜턴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대상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면판, 상기 상면판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측면판 및 상기 상면판의 후면에 연결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고, 정면판 및 하면판이 생략되어 그 내부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상 유닛의 측면판의 내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출부와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체결부가 결합하여 상기 충전 대상 유닛과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상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판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거치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후면판의 하부로 당겨지는 힘에 따라 상기 후면판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거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 지지부는 상기 후면판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충전 대상 유닛과 지면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충전 대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은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이 적층되어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은 상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병렬 연결홈; 및 하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병렬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은 상부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일부 수용되는 자성 부재; 및 하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자성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과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여 충전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과 슬라이드 결합하여 랜턴과 일체화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랜턴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 공간에 따라 랜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대상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의 보조 배터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 및 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 및 랜턴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보조 배터리 유닛(120)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대상 유닛(110)을 포함한다.
이하, 도 2 및 도 3 각각에서 충전 대상 유닛(110) 및 보조 배터리 유닛(1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대상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대상 유닛(110)은 랜턴(10)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보조 배터리 유닛(120)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10-1)과 메인 프레임(110-1)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단자(115)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대상 유닛(110)은 보조 배터리 유닛(120)이 연결되기 위한 메인 프레임(110-1)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0-1)은 상면판(111), 상면판(111)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측면판(112, 113) 및 상면판(111)의 후면에 연결되는 후면판(114)을 포함하여 대략 장방형 형태의 케이스로 형성되고, 정면판 및 하면판이 생략되어 그 내부로 보조 배터리 유닛(120)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충전 대상 유닛(110)은 도면에서 장방형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보조 배터리 유닛(120)과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다.
상면판(111)은 충전 대상 유닛(110)의 상부에 해당하는 면으로, 그 상면 일부에서 내측으로 일정 공간의 연결챔버를 형성하여 연결챔버에 랜턴(10)이 탈부착된다. 여기에서, 일정 공간의 연결챔버는 그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랜턴(1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랜턴 전원단자를 구비하여 보조 배터리 유닛(1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랜턴(10)에 공급할 수 있다. 랜턴(1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충전 전원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판(111)은 하면 양 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판(112) 및 제2 측면판(113)이 연결되고, 제1 측면판(112) 및 제2 측면판(113)과 상면판(111) 사이에 후면판(114)이 연결됨으로써 메인 프레임(110-1)을 형성한다.
제1 측면판(112) 및 제2 측면판(113) 각각의 내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출부(116)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돌출부(116)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체결부(124)와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후면판(114)은 충전 대상 유닛(110)의 후면에 해당하는 면으로, 상면판(111), 제1 및 제2 측면판들(112, 113)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면판(114)의 내측에 랜턴(10)을 충전하는 배터리 전원단자(115)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전원단자(115)는 상면판(111), 측면판(112, 113) 또는 후면판(114) 중 하나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된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전원 제공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전원단자(115)는 전원 제공부(12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랜턴(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전원단자(115)는 후면판(114)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돌출부(116)는 제1 및 제2 측면판들(112, 113) 각각의 내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슬라이드 체결부(124)와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유닛(110)은 상면판(111), 측면판(112, 113) 또는 후면판(114)에 배치되고 랜턴(10)의 전원을 온오프하여 랜턴(10)의 발광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오프 푸쉬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114)의 내측면에는 거치 수용홈(114-1)이 형성되어 거치 수용홈(114-1)의 내부를 따라 거치 지지부(118)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거치 지지부(118)는 후면판(114)의 하부로 당겨지는 일정 힘에 따라 후면판(114)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치 지지부(118)는 후면판(114)의 하부로 당겨지는 힘의 강도에 따라 후면판(114)의 거치 수용홈(114-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거치 지지부(118)는 거치 수용홈(114-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별도의 이탈방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면판(114)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지면과 충전 대상 유닛(1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거치 지지부(118)는 후면판(114)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면 충전 대상 유닛(110)의 기울기가 커져 해당 기울기 방향으로 랜턴(10)이 발광하도록 하고, 후면판(114)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짧아지면 충전 대상 유닛(110)의 기울기가 작아져 해당 기울기 방향으로 랜턴(10)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의 보조 배터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외부 전원 공급부(121),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122), 전원 제공부(123) 및 슬라이드 체결부(124)를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독립적으로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충전 대상 유닛(11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b 및 도 3c를 참고하면,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복수 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총 충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랜턴(10) 및 더 많은 전자기기들의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상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병렬 연결홈(126) 및 하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병렬 돌출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병렬 돌출부(127)는 병렬 연결홈(126)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병렬 연결홈(126)과 병렬 돌출부(127)는 다수개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병렬 돌출부(127)가 하측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병렬 연결홈(126)에 삽입됨으로써 다수개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을 병렬로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상측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과 하측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연결홈(126)과 병렬 돌출부(127)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병렬 연결홈(126) 및 병렬 돌출부(127)는 그 표면 일부에서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내부 전기 회로(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해당 병렬 돌출부(127)를 통해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의 병렬 연결홈(126)과 기구적으로 연결되면 그 표면 일부에서 보조 배터리 유닛(120) 및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 각각의 후면에 배치된 전기 회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들은 총 충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상부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일부 수용되는 자성 부재(128) 및 하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자성 연결홈(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 부재(128)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상면으로 일부 돌출되어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자성 연결홈(129)을 통해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120)과 자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자성 부재(128)와 자성 연결홈(129)은 다수개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자성 연결홈(129)에 하측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자성 부재(128)가 삽입됨으로써 다수개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을 병렬로 적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성 연결홈(129)은 그 표면 일부에서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내부 전기 회로(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해당 자성 연결홈(129)을 통해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의 자성 부재(128)와 자력으로 연결되면 그 표면 일부에서 보조 배터리 유닛(120) 및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 각각의 후면에 배치된 전기 회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보조 배터리 유닛(120)들은 총 충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a를 설명하면, 외부 전원 공급부(121)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전면에 배치되고,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 콘센트와 연결되어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유에스비 충전부(122)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전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케이블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에스비 충전부(122)는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들 각각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 상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제공부(123)는 충전 대상 유닛(110)의 배터리 전원단자(1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배터리 전원단자(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 전원단자(115)에 랜턴(10)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제공부(123)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상면, 측면 및 후면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체결부(124)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충전 대상 유닛(110)의 메인 프레임(110-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돌출부(116)와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배터리 유닛(120)은 충전 대상 유닛(110)의 완충 여부 및 충전 가능한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상태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전 대상 유닛(110)의 완충 여부는 LED 램프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충전 대상 유닛(110)이 완충되었으면 초록색 계열의 LED 램프를 발광하여 표시하고, 충전 대상 유닛(110)이 완충되지 않았으면 빨간색 계열의 LED 램프를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122)에 연결된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완충 여부를 LED 램프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현재 남은 충전 용량을 숫자 또는 배터리 바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충전 대상 유닛(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122)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 유닛(120)에 충전된 전원을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전원 제공부(123) 및 충전 대상 유닛(110)의 배터리 전원단자(115)를 통해 랜턴(10)에 제공하고, 보조 배터리 유닛(120)의 유에스비 충전부(122)를 통해 전자기기에 제공하여, 동시에 랜턴(10)의 배터리와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110: 충전 대상 유닛 110-1: 메인 프레임
111: 상면판 112: 제1 측면판
113: 제2 측면판 114: 후면판
115: 배터리 전원단자 116: 슬라이드 돌출부
118: 거치 지지부
120: 보조 배터리 유닛
121: 외부 전원 공급부 122: 유에스비 충전부
123: 전원 제공부 124: 슬라이드 체결부
126: 병렬 연결홈 127: 병렬 돌출부
128: 자성 부재 129: 자성 연결홈
10: 랜턴 20: 전기 회로

Claims (9)

  1. 외부 전원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 및 전원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부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일부 수용되는 자성 부재 및 하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자성 연결홈을 포함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배터리 유닛; 및
    랜턴이 탈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대상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면판, 상기 상면판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측면판 및 상기 상면판의 후면에 연결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고, 정면판 및 하면판이 생략되어 그 내부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이 삽입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상 유닛의 측면판의 내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출부와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체결부가 결합하여 상기 충전 대상 유닛과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상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판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거치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후면판의 하부로 당겨지는 힘에 따라 상기 후면판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거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지지부는
    상기 후면판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충전 대상 유닛과 지면 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충전 대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부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은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이 적층되어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유닛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유닛은
    상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병렬 연결홈; 및
    하면의 양 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병렬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9. 삭제
KR1020150084499A 2015-06-15 2015-06-15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68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99A KR101688541B1 (ko) 2015-06-15 2015-06-15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99A KR101688541B1 (ko) 2015-06-15 2015-06-15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541B1 true KR101688541B1 (ko) 2016-12-21

Family

ID=5773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499A KR101688541B1 (ko) 2015-06-15 2015-06-15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5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3846A (ja)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
KR20130006621U (ko) * 2012-05-09 2013-11-19 휴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용 외부 전력 공급 장치
KR101407539B1 (ko) * 2014-04-07 2014-06-17 주식회사 엔엑스티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474745Y1 (ko) 2014-07-10 2014-10-13 김형숙 휴대 단말기를 위한 보조 배터리 장치
KR200476426Y1 (ko) 2014-10-10 2015-03-02 김범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3846A (ja)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
KR20130006621U (ko) * 2012-05-09 2013-11-19 휴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용 외부 전력 공급 장치
KR101407539B1 (ko) * 2014-04-07 2014-06-17 주식회사 엔엑스티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474745Y1 (ko) 2014-07-10 2014-10-13 김형숙 휴대 단말기를 위한 보조 배터리 장치
KR200476426Y1 (ko) 2014-10-10 2015-03-02 김범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4772B2 (en) Multifunctional socket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50097519A1 (en) Wireless charger with coil position adjustability
JP2019213448A (ja) 1つ又はそれ以上の電子デバイスを充電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502912B2 (en) Mobile power device
CN100530852C (zh) 供电插座
TW201602768A (zh) 移動電源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JP2014138432A (ja) 電源装置及び電源ユニット
US8646937B2 (en) Switch panel illumination structure
US20140239888A1 (en) Wireless charger
KR20110120378A (ko) 휴대폰 멀티 충전기
KR20140062837A (ko)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KR101688541B1 (ko)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40011755A (ko) 무선충전 시스템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JP2020061905A (ja) ワイヤレス充電器
EP3722657B1 (en) Handheld led lamp
JP2018023281A (ja) 携帯端末装置の充電システム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KR20160089120A (ko) 착탈식 배터리 및 이와 연결되는 전자 기기
TWI614595B (zh) 子母式行動電源裝置
KR101682664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KR101288555B1 (ko)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