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555B1 -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555B1
KR101288555B1 KR1020130049532A KR20130049532A KR101288555B1 KR 101288555 B1 KR101288555 B1 KR 101288555B1 KR 1020130049532 A KR1020130049532 A KR 1020130049532A KR 20130049532 A KR20130049532 A KR 20130049532A KR 101288555 B1 KR101288555 B1 KR 10128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using
portable device
mounting me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이석준
(주) 파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준, (주) 파오드 filed Critical 이석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발명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기기용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야간이나 조명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광범위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외부 장치와 접속가능한 커넥터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삽입하여 충전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조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Description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Lighting device using batteries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기기용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야간이나 조명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구입하게 되면, 상기 휴대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충전배터리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기술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는 새로운 휴대기기를 구입하고 있으며, 휴대기기별로 배터리의 크기나 단자의 위치가 달라 기존에 가지고 있던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새로운 휴대기기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바, 기존에 가지고 있던 휴대기기는 물론 배터리가 버려지거나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휴대기기와 배터리는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시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사업자가 기기 보상판매 등을 통하여 회수를 하고 있으나, 폐기되는 수는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반면, 야외활동은 물론 가정에서는 손전등과 같은 소형 조명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장치는 대부분 일회용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방전된 일회용 건전지는 앞서 설명한 배터리처럼 버려지게 되고 이 또한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휴대기기용 배터리는 주로 리튬계 배터리로써, 단시간 충전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되더라도 축전용량이 높고, 충방전이 되풀이되더라도 성능이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는바, 이하 관련기술문헌과 같은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은 휴대폰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단순히 충전된 배터리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에 불과하며, 상기 손전등에 배터리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다. 또한, LED를 주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는바, LED를 통해 발생된 빛은 직진성이 좋은 반면 조사각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지면 등에 손전등을 고정시킬 수 없는바 야외에서 사용하기 어렵고, 손전등과 규격이 맞아 결합가능한 배터리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2는 재활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명장치에 배터리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하나, 전원포트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이물질이 들어가 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충격에 약하다. 또한, 관련기술문헌 1과 마찬가지로 LED를 주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는바, LED를 통해 발생된 빛은 직진성이 좋은 반면 조사각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지면 등에 손전등을 고정시킬 수 없는바 야외에서 사용하기 어렵고, 손전등과 규격이 맞아 결합되는 배터리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고휘도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하고 휴대폰 배터리를전원으로하는 다용도 휴대용 손전등 (Multi purpose super bright LED Flashlight usingrechargeable cellular phone battery)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00337호)
2. 재활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LIGHTING APPARATUS WITH A RECYCLE BATTERY)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260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기기용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조사각을 갖으며, 지면 등에 거치가 용이함은 물론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외부 장치와 접속가능한 커넥터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삽입하여 충전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회동가능하며 상기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된 거치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말단과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에 회전제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일측이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의 측면과 접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과 접하며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에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다양한 크기의 휴대기기용 배터리가 내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을 발생시키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커버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을 포함함으로써 광범위한 범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는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한 커넥터가 구비됨으로써 휴대기기용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은 물론 충전된 배터리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보조 배터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동가능한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지면 등에 지지됨은 물론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재는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의 말단과 인접하여 회전제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와 하우징에 접하며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더 포함됨으로써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제한없이 상기 하우징에 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내에 휴대기기용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와 외부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거치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지면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고정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휴대기기용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야간이나 조명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광범위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외부 장치와 접속가능한 커넥터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삽입하여 충전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조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휴대기기는 핸드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등을 의미하며,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를 통칭한다.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10)를 삽입하여 충전시키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발광부(200)와, 상기 발광부(200)를 커버하는 광확산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휴대기기용 배터리(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는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작시 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 힌지결합된 커버(170)가 형성되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70)는 상기 발광부(200) 및 광확산판(150)이 설치된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발광부(200)와 광확산판(150)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17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수용된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가 충전되거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110)는 외부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비롯하여 각종 케이블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전원단자 또는 USB 단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에는 다수개의 커넥터(1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충전기와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케이블이 동시에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결상태는 일 예를 뿐이며, 충전기만을 상기 커넥터(110)와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어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10)를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케이블만을 상기 커넥터(110)와 연결하여 충전된 휴대기기용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어 보조 배터리로써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등(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등(160)은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가 충전중인 경우, 충전이 완료된 경우 등에 점등색깔을 변경시켜 표시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의 충전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광부(200)는 광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LED를 광원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00)는 LED와,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70)와 반대편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200)에 포함된 LED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는 스위치(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3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 원하는 시간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0)에는 조도센서(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140)는 외부의 밝기에 따라 상기 LED의 세기를 조절하는바,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충전된 후 방전되기 전까지 작동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광확산판(150)은 상기 발광부(200)를 커버하여 LED 및 회로기판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빛을 확산시켜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광범위한 조사각을 갖도록 한다. LED의 경우 소자의 특성상 빛의 직진성이 강하여 조사각이 좁다는 문제가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확산판(150)을 설치함으로써 빛이 광확산판(150)을 투과하게 되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는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확산판(150)은 필름 형태나 고순도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고른 확산이 되도록 경사를 유지하는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는 거치부재(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3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거치부재(300)의 회동시 상기 하우징(100)이 지면 등에 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부재(300)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110)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ㄷ"자로 형성된 거치부재(300)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거치부재(300)는 "ㄴ"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ㄷ"자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상기 하우징(100)과 견고히 결합된다.
"ㄷ"자로 형성된 상기 거치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면과 힌지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110)와 동일선상에 상기 거치부재(300)가 위치한 경우 상기 커넥터(11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거치부재(3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10)는 상기 거치부재(300)에 의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300)를 회동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등에 상기 하우징(1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10)는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를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을 지면에 고정시켜 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를 전원으로 휴대단말기를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을 지면에 고정시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상기 발광부(20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재(300)는 회동시 상기 발광부(200)로부터 나오는 빛을 차단하지 않도록 상향으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300)의 회동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지면 등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부재(30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300)의 말단은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재(300)의 말단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회전제한부(12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제한부(120)에서 상기 거치부재(300)와 인접한 부분은 상향으로 경사지며 오목하게 라운드져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제한부(120)가 상향으로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발광부(200)의 설치위치에 따라 하향으로 오목하게 경사질 수도 있다. 상기 발광부(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재(300)는 상향으로는 작은 회동각도를 이루고, 하향으로는 큰 회동각도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회전제한부(120)가 상향으로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제한부(120) 중 상기 거치부재(300)와 인접한 부분의 상부는 상기 회전제한부(120)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가 되어 상기 거치부재(300)는 작은 각도로 상향을 향해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300)의 말단 및 상기 회전제한부(120) 중 상기 거치부재(300)와 인접한 부분의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라운드진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거치각도를 이룰 경우 상기 거치부재(300)의 말단의 볼록한 부분과 상기 회전제한부(120)의 오목한 부분이 맞닿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는바, 고정부재(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와 접하면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하우징(10) 내에 삽입시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충전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하우징(100) 내에 크기가 작은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가 삽입될 경우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남는 공간을 채울 수 있는 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ㄴ" 자 또는 "1" 자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가 끼워지며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단자부재(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재(500)에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형성된 단자와 접하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지는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단자부재(500)에 고정부재(400)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400)를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재(400)는 하방으로 다수개의 고정돌기(410)가 돌출되고, 하우징(100)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홈(180)이 형성되어, 고정부재(400)를 배터리(10) 크기에 맞춘 상태에서 고정돌기(410)를 고정홈(180)에 끼움으로써 용이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돌기(410)의 끝부분은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홈(180)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400)는 도 10 및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 자의 부재로서 가로 및 세로 크기에 맞추어 각기 고정하거나, 도 12 및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ㄴ" 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번에 가로 및 세로를 맞추어 고정할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 14 내지 도 16을 통해 확인하면, 고정부재(400)의 일측에는 고정홈(180)의 간격보다 짧은 길이로 간격조절돌기(420)가 돌출된다. 이는 고정홈(180)의 간격보다 미세하게 배터리 수납간격을 조절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예로써 도 15에서와 같이 배터리 크기에 맞춘 상태에서 고정부재(400)의 위치가 고정홈(180)의 위치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간격조절돌기(420)가 없는 면으로 닿도록 하여 고정하되, 만일 도 16에서와 같이 배터리 크기가 다소 작은 경우에는 간격조절돌기(420)가 배터리에 닿도록 고정함으로서, 단순히 고정부재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만으로 고정가능한 배터리의 사이즈를 미세하게 조절가능한 것이다.
한편 고정부재에는 도 17 및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쿠션부재(430)를 더 포함함으로써 미세하게 고정가능한 배터리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배터리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배터리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재의 재질 자체를 탄성재질로 선정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는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커버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을 포함함으로써 광범위한 범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는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외부장치와 연결가능한 커넥터가 구비됨으로써 휴대기기용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함은 물론 충전된 배터리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보조 배터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회동가능한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지면 등에 지지됨은 물론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재는 커넥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의 말단과 인접하여 회전제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지면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와 하우징에 접하며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더 포함됨으로써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제한없이 상기 하우징에 내장할 수 있다.
10 : 휴대기기용 배터리 100 : 하우징
110 : 커넥터 120 : 회전제한부
130 : 스위치 140 : 조도센서
150 : 광확산판 160 : 상태표시등
170 : 커버 180 : 고정홈
200 : 발광부 300 : 거치부재
400 : 고정부재 410 : 고정돌기
420 : 간격조절돌기 430 : 쿠션부재
500 : 단자부재

Claims (9)

  1. 외부 장치와 접속가능한 커넥터(110)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소장하고 있는 휴대기기용 배터리(10)를 삽입하여 충전시키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200);와,
    상기 발광부(200)를 커버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에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고정되는 고정부재(400)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에 다양한 크기의 휴대기기용 배터리(10)가 내장가능하되,
    상기 고정부재(400)는 고정돌기(410)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180)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회동가능한 거치부재(300);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300)의 회동시 상기 하우징(100)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재(300)는 상기 커넥터(110)를 감싸도록 "ㄷ"자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300)의 회동시 상기 커넥터(11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300)의 말단은 볼록하게 라운드지고,
    상기 하우징(100)은 측면에 상기 거치부재(300)의 말단과 인접하여 돌출형성된 회전제한부(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제한부(120)는 상기 거치부재(300)와 인접한 부분이 상향으로 경사지고 오목하게 라운드짐으로써, 상기 거치부재(300)의 회동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휴대기기용 배터리(10)의 측면을 따라 접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의 측면에는 쿠션부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의 일 측면에는 간격조절돌기(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LED의 점멸을 제어하는 스위치(13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조도센서(140)가 더 포함되어 외부의 밝기에 따라 상기 LED의 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20130049532A 2012-11-09 2013-05-02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288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49 2012-11-09
KR20120010249 2012-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555B1 true KR101288555B1 (ko) 2013-07-24

Family

ID=4899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532A KR101288555B1 (ko) 2012-11-09 2013-05-02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299B1 (ko) * 2021-05-10 2021-11-22 (주)카데코 배터리 활용도를 높인 휴대용 랜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001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충전 및 거치 구조물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KR20080007839A (ko) * 2006-07-18 2008-01-23 김영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한 조명장치
KR20110003804A (ko) * 2009-07-06 2011-01-13 (주)메탈라이프 휴대폰용 폐배터리를 이용한 플래시 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001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충전 및 거치 구조물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KR20080007839A (ko) * 2006-07-18 2008-01-23 김영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한 조명장치
KR20110003804A (ko) * 2009-07-06 2011-01-13 (주)메탈라이프 휴대폰용 폐배터리를 이용한 플래시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299B1 (ko) * 2021-05-10 2021-11-22 (주)카데코 배터리 활용도를 높인 휴대용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0031A1 (en) Handle battery, handle battery kit and hand-held gimbal
KR200469779Y1 (ko)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US20170363276A1 (en) LED Light Has Optics Design
EP3352530A1 (en) Automatic light control devices and sockets
CN206195404U (zh) 单体座式充电器及组合式座式充电器
CN103166287B (zh) 移动电子终端设备的底座
CN106813192A (zh) 一种星空投影灯
KR101288555B1 (ko)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10120378A (ko) 휴대폰 멀티 충전기
CN109474861B (zh) 移动式多功能音响
KR20130052156A (ko) 플렉시블 발광 밴드를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KR20120133607A (ko) 휴대용 랜턴
KR20150049802A (ko)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CN102483194A (zh) 移动式照明装置
CN109559437B (zh) 移动电源租赁设备
CN205299174U (zh) 便携式太阳能多功能照明装置
KR20140037346A (ko) 태양전지 이용 휴대단말기 충전 거치대
KR20130029191A (ko) 방범용 랜턴
CN208370761U (zh) 一种无线充电电蚊拍
KR20170064072A (ko) 휴대용 랜턴
CN219673997U (zh) 户外灯具
KR101814512B1 (ko) 휴대용 엘이디 랜턴
CN210601359U (zh) 一种分体式无线充电小夜灯
CN204879470U (zh) 手电筒和充电座
CN204611381U (zh) 一种便携式照明装置及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