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802A -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 Google Patents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802A
KR20150049802A KR1020130130801A KR20130130801A KR20150049802A KR 20150049802 A KR20150049802 A KR 20150049802A KR 1020130130801 A KR1020130130801 A KR 1020130130801A KR 20130130801 A KR20130130801 A KR 20130130801A KR 20150049802 A KR20150049802 A KR 2015004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wer
light emitting
light sour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홍석
Original Assignee
성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홍석 filed Critical 성홍석
Priority to KR102013013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802A/ko
Publication of KR2015004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으로, 용량, 크기, 형태 등이 다른 전원모듈을 용이하게 교체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은 전원 공급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연결된 광원접속단자가 구비된 발광모듈;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각각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모듈과 결합 시 상기 광원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 및 충전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충전단자가 구비된 전원모듈; 상기 발광모듈과 전원모듈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광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Portable electric light with replaceable power module}
본 발명은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량 및 구조의 전원 모듈을 용이하게 교체 장착하여 플래시, 랜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등은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필요 없도록 자체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야외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명수단으로, 흔히 '플래시'로 칭해지는 손전등(flashlight, 이하 플래시)과 '랜턴'으로 칭해지는 회중전등(lantern, 이하 랜턴)으로 나눌 수 있다. 플래시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원하는 곳을 비추어 상대적으로 좁은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밝히는 용도로 사용되고, 랜턴은 바닥에 내려놓거나 소정 높이의 위치에 걸어 놓은 상태로 주위의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플래시와 랜턴은 공통적으로 배터리가 내장되고 외부에 스위치가 구비된 본체와 반사경의 전방에 전구나 LED로 이루어진 광원이 구비된 발광부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은 용도의 차이에 따라 구체적인 구조는 차이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들고다니며 사용하는 플래시는 휴대성을 보다 중시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에 중점을 둔 구조로서,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본체가 상대적으로 작고 긴 막대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부합하는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며, 발광부에 빛을 좁은 영역으로 모아주는 반사경이 구비된다. 이에 반해, 소정 위치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랜턴은 사용시간을 보다 중시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채용에 중점을 둔 구조로서, 본체가 상대적으로 크고 통통한 원통이나 박스 등의 형태로 형성되며, 발광부에 빛을 넓은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구비된다.
피치 못할 경우에는 플래시나 랜턴을 서로의 용도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는 있으나, 상기와 같이 양자는 구조적/기능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혼용은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명을 제공할 수가 없고 사용상의 불편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휴대용 조명수단으로서 플래시와 랜턴을 각각 구입 및 관리해야 하고, 상황에 따라 플래시와 랜턴을 선택하거나 둘 모두를 휴대해야 했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낭비가 되고 관리 및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량, 크기, 형태 등이 다른 전원모듈을 용이하게 교체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은, 전원 공급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연결된 광원접속단자가 구비된 발광모듈;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각각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모듈과 결합 시 상기 광원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 및 충전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충전단자가 구비된 전원모듈; 상기 발광모듈과 전원모듈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광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은 상기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은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는 리튬이온전지 또는 리튬이온폴리머전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모듈은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막대 형태의 플래시용 전원모듈, 및 대용량의 배터리를 수용하는 통통한 통형 또는 박스 형태의 랜턴용 전원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랜턴용 전원모듈은 소정 위치에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의 거치수단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발광모듈과 전원모듈에 각각 구비된 나사결합부, 및 상기 발광모듈의 나사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전원모듈의 나사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가 서로 체결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링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의 광원접속단자와 전원모듈의 전원접속단자는 각각 둘 이상의 극이 구비된 다극 커넥터의 플러그 또는 소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광원접속단자와 전원접속단자는 각각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은 다른 전원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 및 다른 전원모듈의 전원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서로 결합된 전원모듈의 배터리가 병렬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모듈의 광원 외측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커버로서 광원의 측방 및 후방을 감싸는 오목한 집광형 반사체가 구비된 발광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되 착색되거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빛을 분산 또는 산란시키는 발광커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하나의 발광모듈에 크기와 구조, 배터리 용량 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전원모듈을 용이하게 교체 장착하여 플래시, 랜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휴대용 전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하고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발광모듈과 전원모듈 간의 결합수단으로서 링커넥터를 구비하여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이 접속된 상태에서 링커넥터의 회전만으로 양자간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발광모듈과 전원모듈 간의 접속단자를 보다 효율적인 구조의 것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3) 발광모듈과 전원모듈의 접속단자로서 각각의 중심부에 구비된 다극 커넥터를 구비하여 양자 간의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접속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광모듈과 전원모듈 간의 결합수단을 보다 효율적인 구조의 것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4) 전원모듈에 다른 전원모듈과의 결합수단 및 전원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전원모듈의 교체뿐 아니라 추가 장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휴대용 전등의 크기와 형태, 배터리의 용량을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의 제1실시예를 발광모듈과 전원모듈의 분리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을 소용량 플래시용 전원모듈이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을 중용량 플래시용 전원모듈이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을 대용량 랜턴용 전원모듈이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의 제1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은 광원(101)이 구비된 발광모듈(100), 배터리(122)가 내장된 전원모듈(120, 130, 140), 및 상기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 130, 140)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모듈(100)은 전원 공급에 따라 발생된 광원(101)의 빛에 의해 외부의 조명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외향하는 전면부에 상기 광원(101)이 구비된 모듈베이스(102), 상기 모듈베이스(102)의 전방부에 결합된 발광커버(103), 상기 광원(101)의 주위에 구비된 반사체(105), 및 상기 광원(101)과 연결되고 전원모듈(120, 130, 140) 측의 접속단자와 반복적인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베이스(102)의 후방 측에 설치된 광원접속단자(111)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01)은 필라멘트 전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LED로 이루어진 것이 전력 효율과 소형화 및 경량화 면에서 바람직하며, 특히 고휘도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베이스(102)와 발광커버(103)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교체 장착이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하게는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 위치에 따라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돌기와 홈/구멍, 또는 일정 한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돌기와 홈/구멍 등 다양한 통상의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커버(103)는 광원(101)을 보호하고 경우에 따라 빛의 방출 강도, 방향, 색상 등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하우징에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판(104)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체(105)는 광원(101)의 빛을 반사하여 상기 투광판(104)을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광원(101)인 LED가 장착된 기판의 표면에 얇은 층을 이루도록 도포되거나 피복된 반사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되어 장착되는 반사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반사체(105)가 평면 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광원의 빛이 소정의 영역에 집중적으로 조사되도록 광원의 측방과 후방을 감싸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빛이 분산되도록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접속단자(111)는 핀이나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하는 삽입식 커넥터, 핀이나 판을 판과 접촉시키는 접촉식 커넥터 등 다양한 통상의 접속 단자 구조의 일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이루는 2개의 핀과 소켓이 결합되는 2핀 커넥터의 핀 또는 소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극단과 음극단이 일체로 된 2극 플러그와 소켓이 결합되는 다극 커넥터의 플러그 또는 소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핀 커넥터를 이루는 한 쌍의 접속핀(111)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전원모듈(120, 130, 140)은 필요에 따라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 크기, 구조를 갖는 것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량의 플래시용 전원모듈(120), 중용량의 플래시용 전원모듈(130), 대용량의 랜턴용 전원모듈(1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각 전원모듈(120, 130, 140)은 공통적으로 모듈하우징(121)의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122)가 내장되고, 발광모듈(100)과 결합되는 측에 발광모듈(100)의 광원접속단자(111)와 대응되는 전원접속단자(123)가 구비된다. 이 전원접속단자(123) 역시 삽입식 커넥터, 접촉식 커넥터 등 다양한 통상의 접속단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핀 커넥터를 이루는 한 쌍의 핀소켓(123)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전원모듈(120, 130, 140)의 일측에는 배터리(122)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나 USB케이블 등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충전단자(124)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122)는 충전 가능한 2차전지로 이루어지며,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등 상용화된 모든 2차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하여 리튬이온(Li-ion) 전지나 리튬이온폴리머(Li-ion)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전원모듈(120, 130, 140) 중에서 플래시용 전원모듈(120, 130)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적당한 굵기를 갖는 막대 형태를 가지며, 배터리(122)의 용량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랜턴용 전원모듈(140)은 보다 대용량의 배터리(122)를 내장할 수 있도록, 또한 임의의 장소에 안정적으로 세워놓거나 눕혀놓을 수 있도록 통통한 원통형이나 박스 형태를 가지며, 통상의 랜턴과 같이 소정 위치에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고리(141)와 같은 거치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 130, 14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 130, 140)에 각각 나사결합부(107, 125)가 구비되고, 양측 나사결합부(107, 125)에 결합되는 링커넥터(150)가 구비된다. 상기 링커넥터(150)는 상기 발광모듈(100)의 나사결합부(107)에 결합되는 암나사부(153)가 구비된 제1커넥터(151)와 상기 전원모듈(120, 130, 140)의 나사결합부(125)에 결합되는 암나사부(154)가 구비된 제2커넥터(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커넥터(151)와 제2커넥터(152)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서로 걸리는 이탈방지부(155, 156)가 상호 대응되는 돌기나 홈/구멍 등의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링커넥터(150)의 구조는 광원접속단자(111)와 전원접속단자(123)가 접속된 상태에서 발광모듈(100)이나 전원모듈(120, 130, 140)을 회전시키지 않고 링커넥터(150)를 회전시켜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 130, 14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링커넥터(150)와 발광모듈(100) 및 전원모듈(120, 130, 140)의 결합부 사이에는 물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링과 같은 실링재(161, 162)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 130, 140)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배터리(122)의 전압을 광원(101)의 구동 전압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인가하는 전원제어회로 및 전원의 ON/OFF를 조정하는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는 배터리(122)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전압, 예를 들어 리튬이온 계열 배터리의 경우 3.3V, 이하가 되면 전력 공급을 차단(cut off)하는 보호회로 기능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광원(101)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광원(101)이 점멸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은 링커넥터(150)의 제2커넥터(152)가 전원모듈(120, 130, 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모듈(120, 130, 140)의 전원접속단자(123)와 발광모듈(100)의 광원접속단자(111)를 서로 삽입하여 접속하고 제1커넥터(151)를 회전시켜 발광모듈(100)에 결합하면 간단하게 전원모듈(120, 130, 140)과 발광모듈(1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물론 제1커넥터(151)가 발광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접속단자(123)와 광원접속단자(111)를 접속하고 제2커넥터(152)를 전원모듈(120, 130, 140)에 결합하는 방식을 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커넥터(151) 또는 제2커넥터(15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각각 전원모듈(120, 130, 140) 또는 발광모듈(100)과 분리하고 전원모듈(120, 130, 140)과 발광모듈(100)를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전원접속단자(123)와 광원접속단자(111)의 접속이 해제되어 간단하게 전원모듈(120, 130, 140)과 발광모듈(10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은 하나의 발광모듈(100)에 다양한 종류의 전원모듈(120, 130, 140)을 필요에 따라 교체 장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볍고 휴대가 편리한 플래시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소용량의 플래시용 전원모듈(120)을 결합하고, 보다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플래시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용량의 플래시용 전원모듈(130)을 결합하며, 소정 장소에 배치/거치하여 장시간 조명용으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용량의 랜턴용 전원모듈(14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용량의 플래시와 랜턴 등을 각각 별도로 구비함에 따른 비용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분리/결합을 통해 적합한 형태의 조명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2실시예는 발광모듈(100)의 광원접속단자(113)와 전원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8)가 각각 2극 플러그(113)와 소켓(128)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다극 커넥터를 통해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이 접속되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접속단자(113)와 전원접속단자(128)가 각각 발광모듈(100) 및 전원모듈(120)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광원접속단자(113)와 전원접속단자(128)가 접속된 상태에서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이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의 결합수단이 서로 직접 결합되는 각각의 나사결합부(109, 127)로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3실시예는 발광커버(103)가 모듈베이스(102)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발광커버(103)에 오목 거울 형태의 집광형 반사체(108)가 구비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발광커버(103)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을 플래시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 교체 장착하여 빛이 원하는 영역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플래시로서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4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발광커버(171)가 모듈베이스(102)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발광커버(171)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을 랜턴으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 넓은 영역에 고른 조명을 제공하도록 하여 랜턴으로서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LED를 광원(101)으로 할 경우, 보다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고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커버(171)는 착색하거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광 분산/산란형 투광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등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5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전원모듈(180)을 부가 결합하여 용량을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제5실시예에서 각 전원모듈(180)은 종방향 양측단에 각각 발광모듈(100) 또는 다른 전원모듈(180)과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착탈 가능한 결합수단으로서 나사결합부(181, 182)가 구비되고, 각각 발광모듈(100)의 광원접속단자(110) 또는 다른 전원모듈(180)의 전원접속단자(183, 184)와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183, 184)가 구비되어 전원모듈(18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전원의 병렬접속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각 전원모듈(18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전원접속단자(183, 184)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단자(124)와 공용될 수 있다. 가장 외측단에 결합되는 전원모듈(180)에는 전원접속단자(184)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착탈 가능한 커버(190)가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80)이 직접 나사결합되는 구조인 경우, 광원접속단자(110)와 전원접속단자(183, 184)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광원접속단자(110)와 전원접속단자(183, 184)가 각각 발광모듈(100) 및 전원모듈(180)의 중심부에 위치된 다극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그 반대의 극이 환형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링커넥터(150)를 결합수단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광원접속단자(110)와 전원접속단자(183, 184)가 2핀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 130, 140) 간의 결합수단, 전원모듈(180)과 전원모듈(180) 간의 결합수단으로서 링커넥터(150)를 매개로 하거나 직접 결합되는 나사결합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결합수단은 발광모듈(100)과 전원모듈(120, 130, 140), 전원모듈(180)과 전원모듈(180)의 상호 회전 위치에 따라 서로 맞물려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돌기와 홈/구멍, 또는 일정 한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돌기와 홈/구멍, 결합은 용이하되 분리는 억제되는 탄성 후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핀이나 클립, 고리 형태의 고정구 등 다양한 통상의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발광모듈 101 : 광원
102 : 모듈베이스 103 : 발광커버
105 : 반사체 110, 111, 113 : 광원접속단자
120, 130, 140, 180 : 전원모듈 121 : 모듈하우징
122 : 배터리 123, 128, 183, 184 : 전원접속단자
124 : 충전단자 150 : 링커넥터
151 : 제1커넥터 152 : 제2커넥터
161, 162 : 실링재

Claims (11)

  1. 전원 공급에 따라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연결된 광원접속단자가 구비된 발광모듈;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각각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모듈과 결합 시 상기 광원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 및 충전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충전단자가 구비된 전원모듈;
    상기 발광모듈과 전원모듈을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광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는 리튬이온전지 또는 리튬이온폴리머전지로 이루어진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은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막대 형태의 플래시용 전원모듈, 및 대용량의 배터리를 수용하는 통통한 통형 또는 박스 형태의 랜턴용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랜턴용 전원모듈은 소정 위치에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의 거치수단을 구비한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발광모듈과 전원모듈에 각각 구비된 나사결합부, 및 상기 발광모듈의 나사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전원모듈의 나사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가 서로 체결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링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의 광원접속단자와 전원모듈의 전원접속단자는 각각 둘 이상의 극이 구비된 다극 커넥터의 플러그 또는 소켓으로 이루어진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원접속단자와 전원접속단자는 각각 발광모듈 및 전원모듈의 중심부에 위치된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9.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은 다른 전원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 및 다른 전원모듈의 전원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서로 결합된 전원모듈의 배터리가 병렬접속되는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10.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의 광원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광원의 측방 및 후방을 감싸는 오목한 집광형 반사체가 구비된 발광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11.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의 광원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되 착색되거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빛을 분산 또는 산란시키는 발광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원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KR1020130130801A 2013-10-31 2013-10-31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KR20150049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801A KR20150049802A (ko) 2013-10-31 2013-10-31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801A KR20150049802A (ko) 2013-10-31 2013-10-31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802A true KR20150049802A (ko) 2015-05-08

Family

ID=5338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801A KR20150049802A (ko) 2013-10-31 2013-10-31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8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77A (ko) * 2017-11-17 2019-05-27 (주) 엠파워 건식 금속 공기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랜턴
KR20210078851A (ko) * 2019-12-19 2021-06-29 허권 수중랜턴
KR20220071763A (ko) * 2020-11-24 2022-05-31 임효빈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KR20220135625A (ko) * 2021-03-31 2022-10-07 한국광기술원 광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77A (ko) * 2017-11-17 2019-05-27 (주) 엠파워 건식 금속 공기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랜턴
KR20210078851A (ko) * 2019-12-19 2021-06-29 허권 수중랜턴
KR20220071763A (ko) * 2020-11-24 2022-05-31 임효빈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KR20220135625A (ko) * 2021-03-31 2022-10-07 한국광기술원 광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8704B2 (en) Modular flash light with magnetic connection
US9033539B2 (en) LED device has built-in removable LED-lights
EP0801263A2 (en) Rechargeable flashlight assembly with nightlight
US9232593B2 (en) Converting a lamp for continued operation following a line current failure
EP2859271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 multi-modal flashlight and charging base
KR20150049802A (ko)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KR100987460B1 (ko) 랜턴 겸용 전기스탠드
US2018022407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ulti-functional folding straight light
US9131560B2 (en) Portable lamp system
US8777436B2 (en) Battery powered lamp socket that supplies energy for LED or CFL light bulbs
KR101218372B1 (ko) 휴대용 랜턴
KR101094410B1 (ko) 휴대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CN202469819U (zh) 台灯
CN216047002U (zh) Led应急球泡灯
CN2662066Y (zh) 结构改良的安全警示灯
CN201072034Y (zh) 手提分体式聚光灯
KR101089043B1 (ko) 비상용 전원을 구비한 충전식 엘이디 랜턴
KR101444830B1 (ko) 휴대용 엘이디 작업등
KR101069990B1 (ko) 조명장치
TWM320644U (en) Illuminating device of a rechargeable LED fluorescent tube
CN209026554U (zh) 一种拼体式散热的多功率led灯
CN215982083U (zh) 多功能手电筒
CN217559612U (zh) 可太阳能充电的无线手提应急照明灯
CN203560807U (zh) 多功能led光管
CN217559754U (zh) 具有多种照明模式且灯光可调的应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