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990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990B1
KR101069990B1 KR1020090115974A KR20090115974A KR101069990B1 KR 101069990 B1 KR101069990 B1 KR 101069990B1 KR 1020090115974 A KR1020090115974 A KR 1020090115974A KR 20090115974 A KR20090115974 A KR 20090115974A KR 101069990 B1 KR101069990 B1 KR 10106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ight source
function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290A (ko
Inventor
박정욱
천우영
김기훈
김진홍
구대형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1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9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21V23/042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the switch being part of, or disposed on the tail cap por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금속재에 자성을 통해 부착함과 동시에 LED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시키고, 동일한 형태의 단위 조명을 두 개 이상 결합하여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조명본체부와,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광원모듈과, 광원모듈의 전원 온/오프 기능 및 조명본체부의 부착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부와, 조명본체부를 금속재에 자성을 통한 부착과 동시에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자성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본체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의 조명본체부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본체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련되며 각각의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광원모듈의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휘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115974
조명장치, LED, 자석(Magnet), PCB, 스위치, 센서

Description

조명장치{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원거리까지 빛이 도달할 수 있도록 광원으로서 백열전구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백열전구 등을 사용하는 조명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광도 및 휘도가 높지 않다.
최근에는 광도와 휘도가 높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단순히 전원 온/오프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시 다양한 기능 실현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야간 작업 시 차량, 선박, 중장비, 건물 구조물 등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조명장치를 손에 파지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명장치를 차량, 구조물 등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거치하기 전에 추가적으로 조명장치의 전원을 온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단일조명 형태의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 장소에 맞게 필요에 따라 조명장치의 광 밝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에 자성을 통해 부착이 가능하고, 부착과 동시에 LED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시키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적으로 하나 사용 시 개별적인 광 밝기 조절이 가능하고 두 개 이상 결합하여 사용 시 연동하여 각각의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시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조명본체부,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모듈의 전원 온/오프 기능 및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부, 및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본체부를 금속재에 자성을 통한 부착과 동시에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자성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조명본체부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선택부는 회전에 따라 상기 온/오프 및 부착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선택부의 상기 부착 기능을 선택한 후 상기 조명본체부를 금속재에 자성을 통해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자성스위치부는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자성스위치부는,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단에 내장되며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전극,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단에 내장되며 상기 금속재와의 자성을 통해 상기 조명본체부를 상기 금속재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위칭전극을 가압하여 통전시키는 자성체, 및 상기 스위칭전극과 상기 자성체 사이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탄성체는 플렉서블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본체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본체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조명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조명본체부의 타단에 다른 조명본체부의 상기 결합홈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상기 광원모듈의 광 밝기를 조절하는 휘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휘도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의 일단 외주연에 마련되는 제 1 광감지센서전극,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의 타단 외주연에 마련되는 제 2 광감지센서전극, 및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광감지센서전극 또는 상기 제 2 광감지센서전극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을 작동시켜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상기 광원모듈의 광밝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광조절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선택부는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결합 기능 선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선택부의 상기 결합 기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에 전원이 인가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조명본체부와, 각각의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광원모듈과, 각각의 조명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광원모듈의 전원 온/오프 기능, 조명본체부의 부착 기능 및 조명본체부들 간의 결합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부와, 각각의 조명본체부에 내장되며 조명본체부를 금속재에 자성을 통한 부착과 동시에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자성스위치부와, 조명본체부들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본체결합부와,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련되어 각각의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광원모듈의 광 밝기를 조절하는 휘도조절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따르면, 자석을 내장하여 차량의 외부 샤시, 건물의 철골 구조물 등과 같은 금속재와 같은 자석이 붙는 곳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부착과 동시에 LED 광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 활동에서 휴대용 랜턴으로 사용 가능하며, 야간에 차량, 선박, 중장비, 건물 구조물 등에 부착하여 특수 목적용 랜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형태의 조명장치 두 개 이상을 상호 결합하고 광감지센서 또는 가변저항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장치에 구비된 LED 광원의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시 단위 형태의 조명장치를 두 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 경우 각 조명장치의 광 밝기 조절 기능이 싱크되어 동시에 광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형 기능선택부를 이용하여 광원의 온/오프 스위칭 기능, 조명본체부의 부착 스위칭 기능 및 조명본체부들 간의 결합 스위칭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시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 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명장치는 3개의 단위 조명이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단위 조명장치로 구성되거나 2개 또는 3개를 초과하는 단위 조명이 결합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도, 도 2 및 3은 도 1에서 하나의 단위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위 형태의 조명장치(100)를 복수 개로 마련하고, 각각을 상호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위 형태의 조명장치(100)는 조명본체부(110), 광원모듈(120), 기능선택부(130), 자성스위치부(140), 본체결합부(150) 및 휘도조절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본체부(110)는 원기둥 형상의 케이싱 형태를 가지며, 후술하는 광원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수용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는 그 방식에 따라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고,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전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본체부(1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광원모듈(120)은 조명본체부(110)에 구비된다. 광원모듈(120)은 조명본체부(110)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121)과, 연성회로기판(121)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23)은 광도와 휘도가 높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이하, 참조부호 123으로 설명함)가 사용될 수 있으며, LED 패키지 형태로 연성회로기판(121)에 실장된다. 이러한 LED(123)는 반도체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을 루미네선스(전기장발광)라고 하는데 이러한 전기장발광을 이용해 빛이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이다. 이러한 LED(123)는 수명이 길고,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적어 효율성이 우수하고, 일반 전구(램프) 보다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 다.
또한,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123)의 특성상 고발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열하기 위해 방열부(heat sink)(미도시)가 조명본체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방열부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광원모듈(120)로부터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방열핀(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기능선택부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선택부(130)는 광원모듈(120)의 전원 온/오프 기능, 조명본체부(110)의 부착 기능 및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결합 기능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선택부(130)는 조명본체부(110)에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기능선택부(130)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조명본체부(110)의 부착단(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선택부(130)는 조명본체부(110)와 결합되는 내측면에 광원모듈(120)의 온/오프 기능을 선택하는 온/오프 스위치단자(130a,130b)와, 조명본체부(110)의 부착 기능을 선택하는 부착 스위치단자(130c)와,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결합 기능을 선택하는 결합 스위치단자(130d)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온 스위치단자(130a), 오프 스위치단자(130b), 부착 스위치단자(130c) 및 결합 스위치단자(130d)는 기능선택부(1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능선택부(130)의 부착 기능을 선택한 후 조명본체부(110)를 금속재(1)에 자성을 통해 부착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자성스위치부(140)는 광원모 듈(12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기능선택부(130)의 결합 기능을 선택한 경우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161,163)에 전원이 인가 된다.
또한, 기능선택부(130)에는 복수 개의 조명본체부(11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연접하는 다른 조명본체부(110)의 결합돌기(15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결합홈(151)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자성스위치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취도, 도 6 및 7은 자성스위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스위치부(140)는 조명본체부(110)를 차량의 외부 샤시, 건물의 철골 구조물 등과 같은 금속재(1)에 자성을 통한 부착과 동시에 광원모듈(12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자성스위치부(140)는 조명본체부(110)에 구비되며, 스위칭전극(141), 자성체(143) 및 탄성체(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전극(141)은 양(+)전극(141a)과 음(-)전극(141b)으로 구성되어 조명본체부(110)의 부착단(111) 내에 설치된 스위치홀더(115)에 내장되며, 광원모듈(12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한다. 또한, 자성체(143)는 조명본체부(110) 내 스위치홀더(115)에 수용되며, 금속재(1)와 자성을 통해 조명본체부(110)를 금속재(1)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스위칭전극(141)을 가압하여 통전시킨다. 여기서, 자성체(143)는 영구 자석(이하, 참조부호 143으로 설명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체(145)는 스위칭전극(141)과 자성체(143) 사이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145)는 원형링, 반원형링, 타원형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플렉서블 기판(이하, 참조부호 145로 설명함)이고, 플렉서블 기판(145)의 상측면이 스위칭전극(141)의 상부전극, 예컨대 도 6 및 7의 양(+)전극(141a)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명장치(100)를 금속재(1)에 자성을 통해 부착하면 자성체(143)가 금속재(1)와 사이에 있는 탄성체(145)를 가압하여 스위칭전극(141)의 양(+)전극(141a)과 음(-)전극(141b)이 접촉되면서 광원모듈(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LED광원(123)이 발광하게 된다. 이때, 자성스위치부(140)는 기능선택부(130)의 부착 기능을 선택한 후 조명본체부(110)를 금속재(1)에 자성을 통해 부착하는 경우에 LED광원(123)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장치(100)를 금속재(1)로부터 분리하면 자성체(143)와 금속재(1) 사이의 자력이 해제되고 탄성체(145)가 자성체(143)를 탄성 지지하면서 스위칭전극(141)의 양(+)전극(141a)과 음(-)전극(141b)이 이격되어 LED광원(123)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본체결합부(150)는 조명본체부(110)가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의 조명본체부(11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조명본체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결합부(150)는 조명본체부(110)의 일단(111),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본체부(110)의 일단(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능선택부(130)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151)과, 조명본체부(110)의 타단(113)에 연접하는 다른 조명본체부(110)의 결합홈(151)들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결합홈(151)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결합홈(151)은 기능선택부(130)의 단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이격 위치하는 한 쌍의 호형의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결합돌기(153)는 조명본체 부(110)의 타측 단면에 결합홈(151)과 대응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이격 위치하는 한 쌍의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11은 조명장치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조명 형태의 조명장치(100)들을 상호 결합하고자 할 경우,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100)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151)과 연접한 다른 하나의 조명장치(100)의 타단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53)가 대응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돌기(153)의 이탈방지용돌기 부분이 결합홈(151)의 삽입용홈 부분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53)를 결합홈(151)에 삽입한다. 이때, 결합돌기(153)의 이탈방지용돌기 부분은 결합홈(151)의 삽입용홈 부분을 완전히 관통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53)를 결합홈(151)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53)가 결합홈(151)을 따라 끝까지 회전하면서 결합홈(151)과 결합돌기(153)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단위 조명 형태의 조명장치(100)들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조명장치의 결합 및 광 밝기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조절부(160)는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련되며,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에 마련된 광원모듈(120) 의 광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휘도조절부(160)는 제 1 광감지센서전극(161), 제 2 광감지센서전극(163) 및 광조절커버(1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감지센서전극(161)은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의 일단(111) 외주연에 조명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광감지센서전극(163)은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의 타단(113) 외주연에 조명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제 1 광감지센서전극(161)과 대응되게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광조절커버(165)는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광조절커버(165)는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연에 암나사(165a)가 형성되어 조명본체부(110)의 타단(113)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113a)와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겹합에 따른 회전을 통해 제 1 광감지센서전극(161) 또는 제 2 광감지센서전극(163)쪽으로 이동하면서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161,163)을 작동시켜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에 마련된 광원모듈(120)의 광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선택부(130)의 결합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만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161,163)에 전원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감지센서전극(161,163)을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감지센서전극(161,163) 대신에 가변저항(미도시)을 사용하고 광조절커버(165)의 회전 조작을 통해 가변저항을 작동시켜 각각의 조명본체부(110) 에 마련된 LED광원(123)의 광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복수 개의 조명본체부(110)와,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에 구비되는 광원모듈(120)과,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광원모듈(120)의 전원 온/오프 기능, 조명본체부(110)의 부착 기능 및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결합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부(130)와,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에 내장되며 조명본체부(110)를 금속재(1)에 자성을 통한 부착과 동시에 광원모듈(12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자성스위치부(140)와, 조명본체부(110)들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조명본체부(110)에 구비되는 본체결합부(150)와,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련되어 각각의 조명본체부(110)에 마련된 광원모듈(120)의 광 밝기를 조절하는 휘도조절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명장치(100)는 자석(143)을 내장하여 차량의 외부 샤시, 건물의 철골 구조물 등과 같은 금속재(1)와 같은 자석(143)이 붙는 곳에 부착하면 조명장치(100)의 LED광원(123)이 발광하는 장치로서, 동일한 형태의 조명장치(100)를 두 개 이상 결합하여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형 기능선택부(130)를 회전시켜 광원모듈(120)의 온/오프 스위칭 기능, 조명본체부(110)의 부착 스위칭 기능 및 조명본체부(110)들 간의 결합 스위칭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시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선택부(130)의 부착 기능을 선택한 경우 자석(143)이 내장된 조명 장치(100)를 금속재(1)에 가져가면 자성을 통해 조명장치(100)가 금속재(1)에 부착됨과 동시에 전원 스위치가 온(ON)되어 조명장치(100)의 LED광원(123)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정장치(100)는 야외 활동에서 휴대용 랜턴으로 사용 가능하며, 야간에 차량, 선박, 중장비, 건물 구조물 등에 부착하여 특수 목적용 랜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형태의 조명장치(100)를 두 개 이상 상호 결합하고 광감지센서 또는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장치(100)에 구비된 LED광원(123)의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독립적으로 하나 사용하는 경우 개별적인 광 밝기 조절이 가능하고 두 개 이상 결합하여 사용시 연동하여 각각의 LED광원(123)의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시 단위 형태의 조명장치(100)를 두 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 경우 각 조명장치(100)의 광 밝기 조절 기능이 싱크되어 동시에 광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도,
도 2 및 3은 도 1에서 하나의 단위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기능선택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자성스위치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취도,
도 6 및 7은 자성스위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 내지 11은 조명장치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 내지 14는 조명장치의 결합 및 광 밝기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명장치 110 : 조명본체부
120 : 광원모듈 121 : 회로기판
123 : 광원, LED 130 : 기능선택부
140 : 자성스위치부 141 : 스위칭전극
143 : 자성체, 자석 145 : 탄성체, 플렉서블기판
150 : 본체결합부 151 : 결합홈
153 : 결합돌기 160 : 휘도조절부
161 : 제 1 광감지센서전극 163 : 제 2 광감지센서전극
165 : 광조절커버

Claims (19)

  1. 조명본체부;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모듈의 전원 온/오프 기능 및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부; 및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능선택부의 상기 부착 기능을 선택한 후 상기 조명본체부를 금속재에 자성을 통해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자성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스위치부는,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단에 내장되며,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전극;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단에 내장되며, 상기 금속재와의 자성을 통해 상기 조명본체부를 상기 금속재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위칭전극을 가압하여 통전시키는 자성체; 및
    상기 스위칭전극과 상기 자성체 사이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조명본체부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는 회전에 따라 상기 온/오프 및 부착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플렉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본체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본체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조명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조명본체부의 타단에 다른 조명본체부의 상기 결합홈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상기 광원모듈의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휘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의 일단 외주연에 마련되는 제 1 광감지센서전극;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의 타단 외주연에 마련되는 제 2 광감지센서전극; 및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광감지센서전극 또는 상기 제 2 광감지센서전극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을 작동시켜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상기 광원모듈의 광밝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광조절커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는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결합 기능 선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의 상기 결합 기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복수 개의 조명본체부;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광원모듈의 전원 온/오프 기능 및 상기 조명본체부의 부착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부;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조명본체부를 금속재에 자성을 통한 부착과 동시에 상기 기능선택부의 상기 부착 기능을 선택한 후 상기 조명본체부를 금속재에 자성을 통해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자성스위치부;
    상기 조명본체부들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본체부에 구비되는 본체결합부; 및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에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상기 광원모듈의 광 밝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휘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조명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조명본체부의 타단에 다른 조명본체부의 상기 결합홈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의 일단 외주연에 마련되는 제 1 광감지센서전극;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의 타단 외주연에 마련되는 제 2 광감지센서전극; 및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상호 결합부위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광감지센서전극 또는 상기 제 2 광감지센서전극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을 작동시켜 각각의 상기 조명본체부에 마련된 상기 광원모듈의 광밝기를 동시에 조절하는 광조절커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는 상기 조명본체부들 간의 결합 기능 선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의 상기 결합 기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광감지센서전극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90115974A 2009-11-27 2009-11-27 조명장치 KR10106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974A KR101069990B1 (ko) 2009-11-27 2009-11-27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974A KR101069990B1 (ko) 2009-11-27 2009-11-27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290A KR20110059290A (ko) 2011-06-02
KR101069990B1 true KR101069990B1 (ko) 2011-10-05

Family

ID=4439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974A KR101069990B1 (ko) 2009-11-27 2009-11-2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73A1 (ko) * 2011-12-02 2013-06-06 Kim Kyu-Wan 탈착형 led 조명 기구 및 유니버셜 dc 포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03A1 (ko) * 2012-02-22 2013-08-29 Ryu Dae Young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를 가지는 엘이디조명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73A1 (ko) * 2011-12-02 2013-06-06 Kim Kyu-Wan 탈착형 led 조명 기구 및 유니버셜 dc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290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509B1 (ko)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UA96146C2 (ru) Улучшенная схема для переносных освети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и переносное перезаряжаем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2062377A (zh) 发光二极管灯具
KR100987460B1 (ko) 랜턴 겸용 전기스탠드
US9055642B2 (en) Multi-purpose rechargeable LED lighting device
KR20060112574A (ko) 에너지 절약형 엘이디
KR101249386B1 (ko) 직류 및 교류전원을 공급토록 컨버터가 구비되는 엘이디 등기구
US9458970B2 (en) Lamp with LED light bulb
WO2013100164A1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KR101069990B1 (ko) 조명장치
JP3116268U (ja) ランプユニット
KR101192723B1 (ko) 휴대용 랜턴
US10907804B2 (en) Lighting apparatus
KR20110001240U (ko) 구조물에 부착되는 밀착면이 경사각을 형성한 엘이디 발광모듈
KR100970450B1 (ko)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조광장치
KR101206469B1 (ko) Led 조명장치
JP2005116379A (ja) 懐中電灯用ledユニット
KR20130039833A (ko) 선박용 led 조명장치
CN203628579U (zh) 一种头灯
JP2013225450A (ja) 照明装置
CN213333998U (zh) 一种便于光源安装的环形灯具
KR200350513Y1 (ko)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형광등케이스
JP3083343U (ja) 蛍光灯器具対応型発光ダイオード発光装置
CN201875603U (zh) 渔船灯
JP3169179U (ja) Ledランプ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