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509B1 -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509B1
KR101116509B1 KR1020090115505A KR20090115505A KR101116509B1 KR 101116509 B1 KR101116509 B1 KR 101116509B1 KR 1020090115505 A KR1020090115505 A KR 1020090115505A KR 20090115505 A KR20090115505 A KR 20090115505A KR 101116509 B1 KR101116509 B1 KR 101116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unit
rotary
block
un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946A (ko
Inventor
박정욱
송상빈
김재필
김기훈
구대형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1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5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LED 조명을 블록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블록조립체와, 각각의 단위 블록에 구비되는 광원모듈과, 블록조립체를 지지하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따르면, LED 조명을 복수의 단위 블록 형태로 제작하여 상호 연결한 후 필요에 따라 단위 블록들을 회전시켜 필요한 모양으로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장치, LED, 블록(BLOCK), 전극

Description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VARIABLE BLOCK TYPE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을 형성할 수 있는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원거리까지 빛이 도달할 수 있도록 광원으로서 백열전구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백열전구 등을 사용하는 조명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광도 및 휘도가 높지 않다.
최근에는 광도와 휘도가 높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단일조명 형태의 고정구조를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 조명장치의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이에 맞는 다른 조명기구들을 적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ED 조명을 블록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블록조립체,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및 상기 블록조립체를 지지하며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이 1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을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광원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의 회전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은 상호 회전 단면이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은 양단에 회전 경사면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들의 회전 경사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단일 회전축이 마련되어 상기 단위 블록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부에는 고무패킹 또는 O-ring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경사면에 상기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 및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경사면과 대향되는 다른 단위 블록의 회전 경사면에 상기 전원 전극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이 2개 이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을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광원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의 회전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는,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축을 가지는 제 1 회전연결부, 및 상기 제 1 회전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회전축을 가지는 제 2 회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단위 블록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 2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한 회전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경사회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에 대하여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기 단위 블록의 외측으로 이동될 때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기 단위 블록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블록과 상기 회전연결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연결부가 회전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단위 블록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블록의 내부에 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연결부의 외주연에 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기 단위 블록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회전연결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단면에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 및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단면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회전연결부의 회전 단면에 상기 전원 전극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제 2 회전연결부의 일측 경사회전몸체의 회전 경사면에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 및 상기 일측 경사회전몸체의 회전 경사면과 대향되는 타측 경사회전몸체의 회전 경사면 에 상기 전원 전극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상기 회전연결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에 따르면, LED 조명을 복수의 단위 블록 형태로 제작하여 상호 연결한 후 필요에 따라 단위 블록들을 회전시켜 필요한 모양으로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는 2개 또는 3개의 단위 블록이 연결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를 초과하는 단위 블록이 연결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에서 회전연결부의 회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점선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복수의 단위 블록(111), 광원모듈(120), 회전연결부(130), 전원연결부(140) 및 본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블록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조립체(11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위 블록(111)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반원기둥형,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블록(111)은 상호 회전 단면이 경사면(111a)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단위 블록(111)은 양단에 회전 경사면(111a)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 어, 단위 블록(111)의 일단에 회전 경사면(111a)이 좌상향 45도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에 회전 경사면(111a)이 우상향 45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접하는 다른 단위 블록(111)의 일단에 회전 경사면(111a)이 우하향 45도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에 회전 경사면(111a)이 좌하향 45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모듈(120)은 각각의 단위 블록(111)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모듈(120)은 광원(121)과, 광원(121)이 전기적으로 실장되는 회로기판(12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21)은 광도와 휘도가 높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이하, 참조부호 121로 설명함)가 사용될 수 있으며, LED 패키지 형태로 회로기판(123)에 실장된다. 이러한 LED(121)는 반도체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을 루미네선스(전기장발광)라고 하는데 이러한 전기장발광을 이용해 빛이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이다. 이러한 LED(121)는 수명이 길고,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적어 효율성이 우수하고, 일반 전구(램프) 보다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121)의 특성상 고발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열하기 위해 방열부(heat sink)(미도시)가 각각의 단위 블록(111)에 구비될 수 있다. 방열부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광원모듈(120)로부터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방열핀(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연결부(130)는 각각의 단위 블록(111)이 1개의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하도록 단위 블록(111)들을 연결한다.
회전연결부(130)는 단위 블록(111)들의 회전 경사면(111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단일 회전축(131)이 마련되어 단위 블록(111)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회전연결부(130)에는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131a), 예컨대 고무패킹, O-ring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140)는 각각의 광원모듈(120)에 전원 공급 및 제어신호 전달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단위 블록(111)들의 회전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연결부(140)는 전원 전극(141) 및 접지 전극(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전극(141)은 단위 블록(111)의 회전 경사면(111a)에 단일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전극(141)은 일측 반원주 상으로 양전극단자(141a)가 복수 개 형성되고, 타측 반원주 상으로 음전극단자(141b)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전극(143)은 단위 블록(111)의 회전 경사면(111a)과 대향되는 다른 단위 블록(111)의 회전 경사면(111a)에 전원 전극(141)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접지 전극(143)은 반원주 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양전극단자(141a)와 음전극단자(141b)에 각각 대응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원형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50)는 블록조립체(110)를 지지하며, 각각의 단위 블록(111)에 구비되는 광원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5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체부(150)는 블록조립체(110)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블록지지부(151)와, 블록지지부(151)와 연결되고 광원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수용하는 전원수용부(15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부는 그 방식에 따라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고,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전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체부(150)는 조명장치(100)가 설치되는 외부 구조물(미도시)에 결합된다.
또한, 블록지지부(151)가 전원수용부(153)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블록지지부(151)와 전원수용부(153)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블록지지부(151)가 전원수용부(153)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됨으로써, 전원수용부(153) 내부에 전원공급부를 수용 및 수용해제 할 수 있다. 블록지지부(151)와 전원수용부(153)의 결합방식은 힌지 결합 이외에도 원주방향으로 회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7에서 회전연결부의 회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점선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의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는 복수의 단위 블록(211), 광원모듈(220), 회전연결부(230), 전원연결부(240) 및 본체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블록(211)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조립체(21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위 블록(211)은 반원기둥 형상을 가 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원모듈(220)은 각각의 단위 블록(211)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모듈(220)은 광원(221)과, 광원(221)이 전기적으로 실장되는 회로기판(22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221)은 광도와 휘도가 높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이하, 참조부호 221로 설명함)가 사용될 수 있으며, LED 패키지 형태로 회로기판(223)에 실장된다.
또한,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223)의 특성상 고발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열하기 위해 방열부(heat sink)(미도시)가 각각의 단위 블록(211)에 구비될 수 있다. 방열부에는 공기와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광원모듈(220)로부터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방열핀(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연결부(230)는 각각의 단위 블록(211)들 사이에 마련되며, 각각의 단위 블록(211)이 2개 이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하도록 단위 블록(211)들을 연결한다. 이때, 회전연결부(230)의 크기는 단위 블록(211)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연결부(230)는 각각의 단위 블록(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축(231a)을 가지는 제 1 회전연결부(231)와, 제 1 회전연결부(231)와 결합되며 제 1 회전축(231a)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회전축(233a)을 가지는 제 2 회전연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회전축(231a)은 단위 블록(211)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회전축(233a)은 제 1 회전축(231a)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연결부(233)는 제 2 회전축(233a)에 대하여 수직한 회전 경사면(211a)을 가지는 한 쌍의 경사회전몸체(234,235)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회전연결부(231,233)에는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231b,233b), 예컨대 고무패킹, O-ring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240)는 각각의 광원모듈(220)에 전원 공급 및 제어신호 전달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단위 블록(211)들의 회전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연결부(240)는 단위 블록(211)의 회전 단면(211a)에 제 1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241)(도 9 (a)참조)과, 단위 블록(211)의 회전 단면(211a)과 대향되는 제 1 회전연결부(231)의 회전 단면(211a)에 전원 전극(241)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243)(도 9 (b)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연결부(240)는 제 2 회전연결부(233)의 일측 경사회전몸체(234)의 회전 경사면(211b)에 제 2 회전축(233a)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241)과, 일측 경사회전몸체(234)의 회전 경사면(211b)과 대향되는 타측 경사회전몸체(235)의 회전 경사면(211b)에 전원 전극(241)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2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전극(241)은 일측 반원주 상으로 양전극단자(241a)가 복수 개 형성되고, 타측 반원주 상으로 음전극단자(241b)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 전극(243)은 반원주 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양전극단자(241a)와 음전극단자(241b)에 각각 대응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원형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50)는 블록조립체(210)를 지지하며, 광원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체부(250)는 블록조립체(210)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블록지지부(251)와, 블록지지부(251)와 연결되고 광원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수용하는 전원수용부(25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조명장치에 마련되는 회전방지부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장치(200)에는 회전연결부(2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방지부는 단위 블록(211)에 쐐기형 고정부재(261)가 구비되고, 고정부재(261)가 눌려졌을 때 제 1 회전연결부(231)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232)에 고정부재(261)가 끼워져 제 1 회전연결부(23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는 일측 경사회전몸체(234)에 쐐기형 고정부재(263)가 구비되고, 고정부재(263)가 눌려졌을 때 타측 경사회전몸체(235)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고정부재(263)가 끼워져 제 2 회전연결부(23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는 쐐기형 회전방지 구조를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형, 톱니형 등 다양한 형태의 회전방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조명장치에 마련되는 회전연결부의 회전 및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연결부(230)는 탄성부재(213)와 연동 하여 이동 및 회전 형태로 조립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예들 들어, 제 1 회전연결부(231)는 단위 블록(211)에 대하여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회전연결부(231)가 단위 블록(211)의 외측으로 이동될 때 회전 가능하고, 제 1 회전연결부(231)가 단위 블록(211)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단위 블록(211)과 제 1 회전연결부(231) 사이에는 탄성부재(213), 예컨대 스프링이 마련되며, 제 1 회전연결부(231)가 회전된 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단위 블록(211)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단위 블록(211)의 내부에 고정돌기(215)가 마련되고, 제 1 회전연결부(231)의 외주연에 톱니형상 또는 기어형상의 고정홈(237)이 마련됨으로써, 제 1 회전연결부(231)가 단위 블록(211)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고정돌기(215)가 고정홈(237)에 끼워져 제 1 회전연결부(23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회전연결부(233) 역시 제 1 회전연결부(231)와 마찬가지로 탄성부재(213)와 연동하여 이동 및 회전 형태로 조립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회전연결부(230) 내를 중공형으로 형성하고, 중공형으로 전원 및 제어신호 케이블(미도시)을 삽입하여 광원모듈(220)에 전원 공급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100,200)는 LED 조명을 복수의 단위 블록(111,211) 형태로 제작하여 상호 연결한 후 필요에 따라 단위 블록(111,211)들을 회전시켜 필요한 모양으로 가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200)는 단위 블록(111,211) 형태의 LED 조명을 상호 연결 및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 및 배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200)는 보안등뿐만 아니라 보행용이나 자전거 도로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지중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에서 회전연결부의 회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점선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의 예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7에서 회전연결부의 회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점선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의 예시도,
도 10은 조명장치에 마련되는 회전방지부의 예시도,
도 11 및 12는 조명장치에 마련되는 회전연결부의 회전 및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조명장치 110,210 : 블록조립체
111,211 : 단위 블록 120,220 : 광원모듈
121,221 : 광원,LED 123,223 : 회로기판
130,230 : 회전연결부 140,240 : 전원연결부
141,241 : 전원 전극 143,243 : 접지 전극
150,250 : 본체부 151,251 : 블록지지부
153,253 : 전원수용부 231 : 제 1 회전연결부
233 : 제 2 회전연결부 234,235 : 경사회전몸체

Claims (19)

  1. 삭제
  2. 양단에 회전 단면을 가지고,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상기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부;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이 1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을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광원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의 회전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블록 각각은 양단에 회전 단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1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은 양단에 회전 경사면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들의 회전 경사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단일 회전축이 마련되어 상기 단위 블록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경사면에 상기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 및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경사면과 대향되는 다른 단위 블록의 회전 경사면에 상기 전원 전극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8. 복수 개의 단위 블록;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에 구비되는 광원모듈;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이 2개 이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을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광원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단위 블록들의 회전 부위에 마련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블록 각각은 상기 2개 이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각각의 상기 단위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축을 가지는 제 1 회전연결부; 및
    상기 제 1 회전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회전축을 가지는 제 2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단위 블록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 2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한 회전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경사회전몸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에 대하여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기 단위 블록의 외측으로 이동될 때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기 단위 블록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과 상기 회전연결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연결부가 회전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단위 블록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의 내부에 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연결부의 외주연에 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기 단위 블록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회전연결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단면에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 및
    상기 단위 블록의 회전 단면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회전연결부의 회전 단면에 상기 전원 전극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제 2 회전연결부의 일측 경사회전몸체의 회전 경사면에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전원 전극; 및
    상기 일측 경사회전몸체의 회전 경사면과 대향되는 타측 경사회전몸체의 회전 경사면에 상기 전원 전극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0090115505A 2009-11-27 2009-11-27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KR101116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505A KR101116509B1 (ko) 2009-11-27 2009-11-27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505A KR101116509B1 (ko) 2009-11-27 2009-11-27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946A KR20110058946A (ko) 2011-06-02
KR101116509B1 true KR101116509B1 (ko) 2012-02-28

Family

ID=4439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505A KR101116509B1 (ko) 2009-11-27 2009-11-27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5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524B1 (ko) * 2002-12-13 2005-06-22 주식회사 오리온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111440A (ko) * 2014-03-24 2015-10-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장치
KR102654327B1 (ko) * 2023-10-11 2024-04-02 전종훈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82B1 (ko) * 2011-11-22 2014-01-17 대한민국 회전식 엘이디 전등 조명 시스템
KR101325098B1 (ko) * 2012-08-07 2013-11-06 (주)이코루미 조명유닛
KR101352467B1 (ko) * 2013-02-14 2014-01-17 (주)와이앤엘 엘이디 가로등 두부
KR101721141B1 (ko) * 2016-10-21 2017-03-29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가로등 램프
KR102411606B1 (ko) * 2019-09-11 2022-06-22 이주원 다기능 아이오티 가로등
KR102166040B1 (ko) * 2019-12-03 2020-10-15 배하영 엘이디가 구비된 선형 큐브
EP3892915A1 (en) * 2020-04-09 2021-10-13 Signify Holding B.V. Connector piece for a luminaire system, and the luminaire system using the connector piece
KR102657964B1 (ko) * 2023-12-11 2024-04-17 (주)에스제이이엔씨 형상 가변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3982A (ja) * 2006-01-17 2007-08-02 Zhuxuan Lin 投射光の方向を調整可能なledライト
KR20090073102A (ko) * 2006-08-17 2009-07-02 티아이알 테크놀로지 엘피 조절가능한 광 모듈을 구비한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3982A (ja) * 2006-01-17 2007-08-02 Zhuxuan Lin 投射光の方向を調整可能なledライト
KR20090073102A (ko) * 2006-08-17 2009-07-02 티아이알 테크놀로지 엘피 조절가능한 광 모듈을 구비한 조명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524B1 (ko) * 2002-12-13 2005-06-22 주식회사 오리온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111440A (ko) * 2014-03-24 2015-10-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장치
KR101578850B1 (ko) * 2014-03-24 2015-12-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장치
KR102654327B1 (ko) * 2023-10-11 2024-04-02 전종훈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946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509B1 (ko)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JP3154671U (ja) Ledランプ
US20110170288A1 (en) Led retrofit unit having adjustable heads for street lighting
KR101215381B1 (ko) 조명 장치
TWM314823U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tube
CN107750317A (zh) 具有倾斜外壁的led灯
JP2012510171A (ja) 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US201302425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ed lighting
CN102506313A (zh) 防触电灯管结构
CN202266886U (zh) 模块化组装的led灯泡
KR101103815B1 (ko) Led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바 타입의 led 조명장치
CN105090845A (zh) 一种led路灯
KR101096092B1 (ko) 접이식 조명장치
CN201462680U (zh) 新型led灯
CN205208462U (zh) 一种led灯架及其组成的led灯具
KR101069990B1 (ko) 조명장치
CN208794347U (zh) 一种便于安装的led灯头
KR101077521B1 (ko) 발광다이오드 전구
KR20110001240U (ko) 구조물에 부착되는 밀착면이 경사각을 형성한 엘이디 발광모듈
CN106032876B (zh) 环形分镜式led光源模块
CN104266096A (zh) 平板球灯
KR200457460Y1 (ko) 방수성 및 체결성이 향상된 엘이디 조명
US11035523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305070B1 (ko) 형광등 소켓에 연결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CN217356737U (zh) 一种可调节发光范围的led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