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327B1 -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 Google Patents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327B1
KR102654327B1 KR1020230134937A KR20230134937A KR102654327B1 KR 102654327 B1 KR102654327 B1 KR 102654327B1 KR 1020230134937 A KR1020230134937 A KR 1020230134937A KR 20230134937 A KR20230134937 A KR 20230134937A KR 102654327 B1 KR102654327 B1 KR 10265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exterior
exterior portion
lighting
low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훈
Original Assignee
전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훈 filed Critical 전종훈
Priority to KR102023013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는, 지면 또는 책상에 지지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하부외관부, 상기 하부외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외관부, 상기 하부외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부힌지부, 상기 상부외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힌지부가 형성하는 상면에 대응되는 경사방향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부힌지부, 및 상기 상부외관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관부는 상기 하부힌지부와 상기 상부힌지부가 맞물리는 경사면을 따라 회전 구동하여 상기 하기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기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된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하기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하기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Foldable floor stand with changeable lighting direction}
본 발명은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사용되는 조명스탠드는 스탠드 본체에 LED 등의 조명등을 결합하여 조명등을 점등시켜 주변을 밝히는 조명장치를 말한다.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들을 개인의 취향이나 니즈에 따라 원하는 조합으로 배치하고자 하는 공간 스타일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조명스탠드도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추도록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조명스탠드는 형태가 단순하여 미적 감각을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은은한 조명효과 이외에는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제한된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어 조명 효과 이외의 장식 효과를 기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에 모양이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조명스탠드가 다수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9098호(선행문헌1)에는 전기스탠드의 관절구조를 특수하게 설계 변경하여 헤드램프의 각도조정 및 회전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스탠드가 개시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56183호(선행문헌2)에는 연결구조의 개선으로 조명시설의 수직방향 높이 및 수평방향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한 전기스탠드가 개시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4750호(선행문헌3)에는 지지판에 대한 지주의 상하 방향의 회동과 좌우 방향에 대한 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제1회동수단 및 제1회전수단을 구비하고, 나아가 램프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케함과 동시에 램프부의 좌우 방향을 향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회동수단과 제2회전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사 위치와 각도 및 범위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스탠드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들을 비롯하여 종래의 조명스탠드는 디자인이 단순하고 회전을 통해 형태를 변경할 때 구조적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조명스탠드들은 조명 조사각의 한계로 인해 조명효과를 발휘하는데 한계를 가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조명스탠드의 회전이 용이하면서도 각도에 따라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조명스탠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조명스탠드의 회전 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조명스탠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조명스탠드의 회전 시 조명등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며 조명방향에 관계없이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방향 전환 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방향 전환 시 조명등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는 상부힌지부 및 하부힌지부를 통해 조명부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며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는 지면 또는 책상에 지지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하부외관부, 상기 하부외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외관부, 상기 하부외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부힌지부, 상기 상부외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힌지부가 형성하는 상면에 대응되는 경사방향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부힌지부, 및 상기 상부외관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관부는 상기 하부힌지부와 상기 상부힌지부가 맞물리는 경사면을 따라 회전 구동하여 상기 하기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기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된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하기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하기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기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최상단부가 위치하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외관부에 고정되는 하부힌지본체부,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부힌지연장부, 및 상기 상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돌출된 하부힌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외관부에 고정되는 상부힌지본체부, 상기 하부힌지연자부에 맞닿도록 경사방향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부힌지연장부, 및 상기 하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함입되어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삽입되는 상부힌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은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보다 크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과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의 차이는 180도 이상 36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과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의 차이가 180도이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와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일방향의 단부가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와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타방향 단부가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힌지가이드의 돌출된 상면에서 원호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부분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의 함몰된 하면에 원호를 따라 형선된 모서리 부분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힌지가이드의 일방향 단부에 제어부에 연결된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의 일방향 단부에 상기 조명부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맞닿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조명부의 광색 및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어 스탠드는 상기 조명부에 전력을 인가하거나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힌지연장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하부힌지통과부, 및 상기 하부힌지통과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힌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전선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힌지연장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부힌지통과부, 및 상기 상부힌지통과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힌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전선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전선고정부는 상기 하부힌지통과부와 상부힌지통과부를 관통하고 전선이 지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선통과부, 및 상기 전선통과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힌지연장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전선고정부는 상기 상부힌지연장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를 지나 돌출된 상기 전선통과부의 상단을 둘러 고정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연자부가 형성하는 경사진 하면의 상단 인근에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힌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힌지연장부에 상기 상부힌지돌출부가 상입되어 회동할 수 있는 원호 또는 원주를 따라 함입된 하부힌지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힌지만입부는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힌지돌출부가 지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깊이가 깊어질수록 원호 또는 원주의 반지름이 작아지도록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외관부와 상기 하부외관부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상기 상부힌지돌출부는 중심에서 이격된 거리가 상기 하부외관부의 수평방향 반지름 보다 길고, 상기 하부힌지연장부가 형성하는 타원형의 하면의 장축 반지름 보다 짧도록 상기 상부힌지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상부외관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발산부, 및 상기 조명발산부가 상기 상부외관부의 타측으로 빛을 반산할 수 있도록 회전을 가이드하는 조명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관부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에 구비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상부외관관통부, 및 상기 상부외관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조명회동부에 연결된 조명회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며 조명방향에 관계없이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방향 전환 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방향 전환 시 조명등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부 및 하부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부와 하부힌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돌출부 및 하부힌지만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가이드와 하부힌지가이드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상부외관부를 따라 위치가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부 및 하부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부와 하부힌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가 펴졌을 때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가 접혔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상부힌지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하부힌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상부외관부가 하부외관부와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펴진상태의 상부힌지부와 하부힌지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상부외관부가 하부외관부와 직교하며 접힌상태의 상부힌지부와 하부힌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S)는 받침부(L), 받침연장부(M), 하부외관부(1), 상부외관부(2), 하부힌지부(3), 상부힌지부(4) 및 조명부(5)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받침연장부(M)는 생략될 수 있다.
받침부(L)는 지면 또는 책상 등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받침부(L)는 원판 형상이나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L)는 상황에 따라 책상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책상의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연장부(M)는 일단이 받침부(L)에 결합되며, 타단이 받침부(L)에서 상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받침연장부(M)는 원통 형상이나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L)에 결합될 수 있고, 하부외관부(1)와 상부외관부(2)를 지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하부외관부(1)는 받침연장부(M) 또는 받침부(L)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하부외관부(1)는 받침연장부(M)에 의해 고정되어 상부외관부(2)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하부외관부(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 수평방향의 단면이 원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형성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일 수 있다.
상부외관부(2)는 하부외관부(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외관부(2)는 하부외관부(1)에 대응하여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외관부(1)는 경사방향의 상면을 구비하고, 상부외관부(2)는 하부외관부(1)의 상면에 대응하는 경사방향의 하면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외관부(2)는 하부외관부(1)에 대응하여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여 하부외관부(1)와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외관부(2)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경우 하부외관부(1)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의 단면이 원형, 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형성하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일 수 있다.
조명부(5)는 상부외관부(2)의 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조명부(5)는 상부외관부(2)의 일측 관통된 부분에 배치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부외관부(2)의 측면에는 조명부(5)를 포함하고,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를 기준으로 경사면을 따라 회전 구동함으로써, 조명부(5)의 광 조사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조명부(5)는 하부외관부(1)와 상부외관부(2)가 회동하는 경사면의 최상단부가 위치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경우 무드조명 모드로 조명부(5)에서 벽면에 불빛을 투사할 수 있고(도 1(a) 참고),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와 직교로 배치되는 경우 독서 등 모드로 조명부(5)에서 하측으로 불빛을 투사할 수 있다(도 1(b) 참고).
하부외관부(1)는 상부에 하부힌지부(3)를 포함하여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외관부(2)는 하부에 상부힌지부(4)를 포함하고, 하부힌지부(3)가 형성하는 상면에 대응되는 경사방향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부(3)는 상부가 뚫려 있는 하부외관부(1)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어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부힌지부(4)는 하부가 뚫려 있는 상부외관부(2)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 하부힌지부(3)가 형성하는 경사방향의 상면에 맞닿는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힌지부(3)가 형성하는 상면과 상부힌지부(4)가 형성하는 하면은 하부외관부(1)와 상부외관부(2)가 회동하는 경사면에 대응될 수 있다. 상부외관부(2)는 하부힌지부(3)와 상부힌지부(4)가 맞물리는 경사면을 따라 회전 구동하여, 하부외관부(1)에 대응하여 수직하게 구비되거나, 직교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부외관부(2)를 파지하고 힘을 가하여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상부외관부(2)의 위치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하부힌지부(3)는 하부외관부(1)에 고정되는 하부힌지본체부(31)와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상하는 하부힌지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힌지본체부(31)는 상부가 뚫린 하부외관부(1)에 삽입되어 하부외관부(1)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본체부(31)는 하부힌지연장부(3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부외관부(1)에 삽입되고, 하부외관부(1)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하부힌지연장부(32)는 상부가 뚫린 하부외관부(1)의 상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하부힌지연장부(32)는 지면에 대응하여 경사방향을 따라 기울어진 상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상면은 지면에 대응하여 45도 기울어진 상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하부힌지본체부(31)는 하부힌지연장부(3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힌지본체부(31)는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경사방향의 상면의 최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힌지부(3)는 하부힌지연장부(32)의 타측에 구비되는 하부힌지지지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힌지지지부(34)는 상부가 뚫린 하부외관부(1)에 삽입되어 하부외관부(1)에 지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지지부(34)는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경사방향의 상면의 최상단부에 구비되어 하부외관부(1)의 내측벽에 맞닿는 구성일 수 있다. 하부힌지지지부(34)는 하부힌지본체부(31)에 대향하여 구비되고, 하부외관부(1)에 고정되거나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하부힌지지지부(34)는 하부힌지부(3)가 하부외관부(1)에 고정되는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토록 할 수 있다.
상부힌지부(4)는 상부외관부(2)에 고정되는 상부힌지본체부(41)와 경사방향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부힌지연장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힌지본체부(41)는 하부가 뚫린 상부외관부(2)에 삽입되어 상부외관부(1)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힌지본체부(41)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부외관부(2)에 삽입되고, 상부외관부(2)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연장부(42)는 하부가 뚫린 상부외관부(2)의 하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부힌지연장부(42)는 하부힌지연장부(32)에 대응하여 경사방향을 따라 기울어진 하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하면은 지면에 대응하여 45도 기울어진 하면을 형성하고, 하부힌지연장부(32)에 맞다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본체부(41)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힌지본체부(41)는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경사방향의 하면의 최하단부(상부외관부(2)가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배치 기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힌지부(4)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부힌지지지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힌지지지부(44)는 하부가 뚫린 상부외관부(2)에 삽입되어 상부외관부(2)에 지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힌지지지부(44)는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경사방향의 하면의 최상단부(상부외관부(2)가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배치 기준)에 구비되어 상부외관부(2)의 내측벽에 맞닿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지지부(44)는 상부힌지본체부(41)에 대향하여 구비되고, 상부외관부(2)에 고정되거나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지지부(44)는 상부힌지부(4)가 상부외관부(2)에 고정되는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토록 할 수 있다.
하부힌지부(3)는 하부힌지연장부(32)의 중앙을 관통하는 하부힌지통과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힌지통과부(35)는 하부외관부(1)와 상부외관부(4)를 연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부(4)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부힌지통과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힌지통과부(45)는 하부외관부(1)와 상부외관부(4)를 연통하는 구성으로, 하부힌지통과부(35)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힌지통과부(35)과 상부힌지통과부(45)를 관통하여 하부힌지연장부(32)와 상부힌지연장부(42)을 회전 구동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을 포할 수 있다. 이때, 하부힌지연장부(32)와 상부힌지연장부(42)을 회전 구동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에는 내부에 홀을 포함하여 하부외관부(4)에서 상부외관부(4)에 구비된 조명부(5)에 전력을 인가하거나,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선이 지날 수 있다. 여기서 전선은 하부외관부(1)에 구비된 제어부와 조명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이거나, 상부외관부(2)에 구비된 제어부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연장부(32)와 상부힌지연장부(42)을 회전 구동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은 하부힌지연장부(32)에 고정되는 하부전선고정부(E1)와 상부힌지연장부(42)에 고정되는 상부전선고정부(E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전선고정부(E1)는 하부힌지통과부(35)와 상부힌지통과부(45)를 관통하고 전선이 지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선통과부와, 전선통과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부힌지연장부(32)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결합부(36)는 하부힌지통과부(35)를 둘러싼 복수개의 홀로,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상면을 기준으로 함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볼트의 헤드가 하부힌지결합부(36)에 구비되어 하부전선고정부(E1)의 하부고정부를 관통하여 너트로 조여지고 하부전선고정부(E1)의 하부고정부가 하부힌지연장부(3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전선고정부(E2)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부와, 상부고정부를 지나 돌출된 전선통과부의 상단을 둘러 고정되는 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임부는 전선통과부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조여지는 너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힌지결합부(46)는 상하부힌지통과부(45)를 둘러싼 복수개의 홀로,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하면을 기준으로 함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볼트의 헤드가 상부힌지결합부(46)에 구비되어 상부전선고정부(E2)의 상부고정부를 관통하여 너트로 조여지고 상부전선고정부(E2)의 상부고정부가 상부힌지연장부(4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외관부(2)는 하부외관부(1)를 기준으로 경사면을 따라 제한된 기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 각도 범위는 180도 이상 360도 미만의 각도 범위로, 상기 기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동일선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부외관부(2)는 기준 각도에서 하부외관부(1)에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C1)으로 180도 회전 구동하면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되며, 상부외관부(2)가 기준 각도에서 180 이상 360도 미만의 회전 범위 내에서만 회전 구동하도록 구동 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C1)은 시계방향 회전 방향을 의미하고, 일 방향(C1)의 반대방향인 타방향(C2)는 반시계방향의 회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부외관부(2)는 기준 각도에서 일 방향(C1)으로 제1 각도(r1) 회전 구동하면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추가로 상기 일 방향(C1)으로 180도 회전 구동하여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되며, 상부외관부(2)가 기준 각도에서 제2 각도(180 + r1) 이상 360도 미만의 회전 범위 내에서만 회전 구동하도록 구동 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를 기준으로 경사면을 따라 제한된 기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 구동토록, 하부힌지부(3)와 상부힌지부(4)는 각각 하부힌지가이드(37)와 상부힌지가이드(4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가이드(37)는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기울어진 상면에 원호(원둘레의 일부분)를 따라 수직하게 돌출될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가이드(47)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기울어진 하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함입되어 하부힌지가이드(37)가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하부힌지가이드(37)가 형성하는 원호는 하부힌지결합부(36)를 둘러 구비되고, 상부힌지가이드(47)가 형성하는 원호는 하부힌지결합부(46)를 둘러 구비될 수 있다.
상부힌지가이드(47)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는 하부힌지가이드(37)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원호의 각도는 원주의 일부분에 구비되는 원호의 중심각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힌지가이드(47)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와 하부힌지가이드(37)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의 차이가 180도 이상 360도 미만일 수 있다. 하부힌지가이드(37)가 상부힌지가이드(47)에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는 각도 범위 및 기준 지점은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힌지가이드(47)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와 하부힌지가이드(37)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 차이가 180도이고, 각각의 원호의 일방향(C1)의 단부가 맞닿는 위치에서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원호의 타방향(C2)의 타 단부가 맞닿는 위치에서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부힌지가이드(37)의 돌출된 상면에서 원호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부분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힌지가이드(37)가 형성하는 함몰된 하면에서 원호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부분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부외관부(2)가 회동하는 경사면을 따라 정확하게 힘을 주지 않더라도 손쉽게 상부외관부(2)를 회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반대로, 하부힌지가이드(37)는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기울어진 상면에 원호(원둘레의 일부분)를 따라 함몰된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가이드(47)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기울어진 하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돌출되어 하부힌지가이드(37)에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하부힌지가이드(37) 및 상부힌지가이드(47)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 범위와 기준 지점은 상기 실시예의 반대일 수 있다.
하부힌지강성부(33)는 하부힌지본체부(31)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힌지연장부(32)와 연결되며, 강성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강성부(33)는 하부힌지일측강성부(331) 및 하부힌지타측강성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힌지일측강성부(331)는 하부힌지본체부(31)의 외측면과 하부힌지연장부(32)의 외측면을 연결하며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하부힌지일측강성부(331)는 하부힌지본체부(31)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하부힌지연장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힌지일측강성부(331)는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배치되는 하부힌지일측강성부(331)의 타단부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어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하부힌지타측강성부(333)는 하부힌지본체부(31)의 내측면과 하부힌지연장부(32)의 내측면을 연결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하부힌지타측강성부(333)는 하부힌지본체부(31)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하부힌지연장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힌지타측강성부(333)는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배치되는 하부힌지타측강성부(333)의 타단부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어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힌지지지부(34)는 외측면에 복수 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구조적 안전성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상부힌지강성부(43)는 상부힌지본체부(41)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힌지연장부(42)와 연결되며, 강성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힌지강성부(43)는 상부힌지일측강성부(431) 및 상부힌지타측강성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힌지일측강성부(431)는 상부힌지본체부(41)의 외측면과 상부힌지연장부(42)의 외측면을 연결하며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부힌지일측강성부(431)는 상부힌지본체부(41)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부힌지연장부(4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힌지일측강성부(431)는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배치되는 상부힌지일측강성부(431)의 타단부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어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부힌지타측강성부(433)는 상부힌지본체부(41)의 내측면과 상부힌지연장부(42)의 내측면을 연결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부힌지타측강성부(433)는 상부힌지본체부(41)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부힌지연장부(4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힌지타측강성부(433)는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배치되는 상부힌지타측강성부(433)의 타단부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어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힌지지지부(44)는 외측면에 복수 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구조적 안전성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돌출부 및 하부힌지만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상부힌지돌출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하부힌지만입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부(4)의 상부힌지연장부(42)는 상부힌지돌출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힌지돌출부(49)는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경사진 하면의 상단(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 기준) 인근에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힌지돌출부(49)는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 기준으로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하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b)을 참조하면, 하부힌지부(3)의 하부힌지연장부(32)는 상부힌지돌출부(49)가 삽입될 수 있는 하부힌지만입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힌지만입부(39)는 하부힌지연장부(32)의 경사진 상면에서 상부힌지돌출부(49)가 회동하는 원호 또는 원주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힌지만입부(39)는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힌지돌출부(49)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힌지돌출부(49)가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힌지만입부(39)는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부힌지돌출부(49)가 지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깊이가 깊어질수록 원호 또는 원주의 반지름이 작아지도록 함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부외관부(2)의 무게에 의해서 상부외관부(2)가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힌지만입부(39)에 삽입되는 상부힌지돌출부(49)는 하부힌지만입부(39)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힌지돌출부(49)는 상부외관부(2)가 무게에 의해서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와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힌지만입부(39)에 삽입되는 상부힌지돌출부(49)는 상부외관부(2)를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힌지돌출부(49)는 상부외관부(2)와 하부외관부(1)의 틈이 경사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부외관부(1)와 상부외관부(2)가 원통형인 경우, 경사진 하부힌지연장부(32)의 상면과 상부힌지연장부(42)의 하면은 타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부힌지만입부(39)는 원호 또는 원주를 따라 형성되므로, 하부힌지연장부(32)의 상면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하부힌지연장부(32)의 상면의 상단 부분에 형성된 하부힌지만입부(39)와 하부힌지연장부(32)의 상면의 하단 부분에 형성된 하부힌지만입부(39)는 동일 원주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힌지돌출부(49)는 경사면의 상단과 하단에서는 하부힌지만입부(39)에 삽입되고, 상단과 중단 사이를 회동하는 경우에는 하부힌지연장부(32)을 벗어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외관부(1)와 상부외관부(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힌지연장부(32)와 상부힌지연장부(42)는 상단과 하단 방향이 긴 타원형의 하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힌지돌출부(49)가 중심에서 이격된 거리가, 원통형의 하부외관부(1)의 수평 방향 반지름 보다 길고, 하부힌지연장부(32)이 형성하는 타원형의 하단의 장축 반지름 보다 짧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힌지가이드와 하부힌지가이드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발명에 따른 플로어 스탠드는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를 기준으로 경사면을 따라 제한된 기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 구동토록, 하부힌지부(3)와 상부힌지부(4)에 각각 하부힌지가이드(37)와 상부힌지가이드(4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힌지가이드(37)는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기울어진 상면에 원호(원둘레의 일부분)를 따라 수직하게 돌출된 구성일 수 있다. 상부힌지가이드(47)는 상부힌지연장부(42)의 기울어진 하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함입되어 하부힌지가이드(37)가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힌지가이드(47)는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기울어진 하면에 원호(원둘레의 일부분)를 따라 수직하게 돌출될 구성일 수 있다. 하부힌지가이드(37)는 하부힌지연장부(32)의 기울어진 상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함입되어 상부힌지가이드(47)가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부힌지가이드(37)가 돌출된 구성으로, 상부힌지가이드(47)에 삽입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부힌지가이드(37)는 하부힌지연장부(32)가 형성하는 기울어진 상면에 원호(원둘레의 일부분)를 따라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가이드(37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가이드(371) 원호를 따라 원주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돌출가이드(371) 단부의 측벽인 돌출가이드측벽(373)은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가이드측벽(373)은 일방향(C1)의 단부에 구비되고, 타방향(C2)의 단부에 각각 두개 구비될 수 있다. 돌출가이드(371)의 상면에서 원호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부분(375)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힌지가이드(47)는 상부힌지연장부(42)가 형성하는 기울어진 하면에 원호(원둘레의 일부분)를 따라 수직하게 함입된 함입가이드(471)를 포함할 수 있다. 함입가이드(471) 원호를 따라 원주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합입가이드(471) 단부의 측벽인 함입가이드측벽(473)은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입가이드측벽(473)은 일방향(C1)의 단부에 구비되고, 타방향(C2)의 단부에 각각 두개 구비될 수 있다. 함입가이드(471)의 하면에서 원호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부분(475)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돌출가이드(371)가 형성하는 원호와 함입가이드(471)가 형성하는 원호는 반지름은 동일하지만, 함입가이드(471)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가 돌출가이드(371)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돌출가이드(371)가 형성하는 원호가 함입가이드(471)가 형성하는 원보 보다 작기 때문에 함입가이드(471)는 돌출가이드(371)를 따라 회동할 수 있다. 회동할 수 있는 범위는 돌출가이드(371)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와 함입가이드(471)가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다.
회동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벗어난 일방향(C1) 회전과 타방향(C2) 회전은 양 단부에서 돌출가이드측벽(373)과 함입가이드측벽(473)이 맞닿아 방지될 수 있다. 즉, 돌출가이드측벽(373)과 함입가이드측벽(473)이 회동할 수 있는 각도 범위의 기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동일선상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경우 일측 돌출가이드측벽(373)이 대응되는 함입가이드측벽(473)에 맞닿아 일방향(C1)로만 회동할 수 있고 타방향(C2)으로는 회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외관부(2)가 일방향(C1)으로 회전하여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구비되는 경우 타측 돌출가이드측벽(373)이 대응되는 함입가이드측벽(473)에 맞닿아 타방향(C2)로만 회동할 수 있고 일방향(C1)으로는 회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일측 돌출가이드측벽(373)과 여기에 맞닿는 함입가이드측벽(473)은 맞닿을 경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단자(377, 477)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측 돌출가이드측벽(373)에 구비된 제1 단자(377)가 대응하여 함입가이드측벽(473)에 구비된 제2 단자(477)에 맞닿는 경우 제어신호의 전달을 통해 상부외관부(2)에 구비된 조명부(5)의 조명색 및 조명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자(377)는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2 단자(477)는 조명부(5)에 연결되어, 제1 단자(377)와 제2 단자(477)가 맞닿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조명부(5)의 광색 및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전원에 연결하여 조명부(5)의 on/off를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조명부(5)의 광색 및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동일선상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경우, 제1 단자(377)와 제2 단자(477)가 떨어져 무드 등으로 활용하기 적합한 조명색 및 조명강도로 조명부(5)에서 발광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구비되는 경우, 제1 단자(377)가 제2 단자(477)가 맞닿아 조명부(5)의 광을 독서에 활용하기 적합한 조명색 또는 조명강도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조명부(5)의 조명색 및 조명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맞닿아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단자(377, 477)의 위치는 각각 하부힌지연장부(32)의 상면 및 상부힌지연장부(42)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자(377)는 하부힌지연장부(32)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단자(477)는 하부힌지연자부(42)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단자(377)와 제2 단자(477)는 상부외관부(2)가 더 이상 일방향(C1)으로 회동할 수 없는 위치에서 맞닿도록 구비되거나, 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는 위치에서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외관부(2)가 일방향(C1)으로 회동하여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게 구비된 후 더 이상 일방향(C1)으로 회동할 수 없도록 회동 각도가 제한된 경우, 제1 단자(377)가 제2 단자(477)가 맞닿아 조명부(5)의 광을 기본 설정에서 독서에 활용하기 적합한 조명색 또는 조명강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상부외관부를 따라 위치가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5)는 조명발산부(51) 및 조명회동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발산부(51)는 상부외관부(2)의 일측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조명발산부(51)는 전선이 연결되고,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회동부(53)는 조명발산부(51)가 상부외관부(2)의 타측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도록 조명발산부(51)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외관부(2)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상부외관관통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회동부(53)는 조명발산부(51)를 회동하여 일측에 구비된 상부외관관통부(23)에 위치하거나, 타측에 구비된 상부외관관통부(23)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외관부(2)은 조명회동조작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회동조작부(21)는 조명회동부(53)에 연결되어 상부외관부(2)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명회동조작부(21)를 회전하여 조명회동부(53)를 통해 조명발산부(51)를 일측에 구비된 상부외관관통부(23)에 위치하거나, 타측에 구비된 상부외관관통부(23)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회동조작부(21)는 상부외관부(2)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부외관부(2)에 회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조명회동조작부(21)는 상부외관부(2)의 내측 수용공간을 통해 조명회동부(53)에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조명회동부(53)는 조명회동조작부(21)의 회동에 대응하여 조명발산부(51)를 회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부외관부(2)가 하부외관부(1)에 직교하는 경우는 조명부(5)의 방향이 아래로 빛을 발산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독서에 적합한 조명등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부외관부(2)가 경사면을 따라 회동하기 때문에, 하부외관부(1)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경우 조명등은 벽을 향하게 되어 간접 등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조명회동조작부(21)을 통해 조명부(5)의 광이 벽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플로어 스탠드 L: 받침부
M: 받침연장부 1: 하부외관부
2: 상부외관부 3: 하부힌지부
4: 상부힌지부 5: 조명부
6: 조작부

Claims (10)

  1. 지면 또는 책상에 지지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하부외관부;
    상기 하부외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외관부;
    상기 하부외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부힌지부;
    상기 상부외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힌지부가 형성하는 상면에 대응되는 경사방향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부힌지부; 및
    상기 상부외관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관부는
    상기 하부힌지부와 상기 상부힌지부가 맞물리는 경사면을 따라 회전 구동하여 상기 하부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된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상부외관부는
    상기 하부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하부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외관부에 고정되는 하부힌지본체부;
    경사방향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부힌지연장부; 및
    상기 상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돌출된 하부힌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외관부에 고정되는 상부힌지본체부;
    상기 하부힌지연장부에 맞닿도록 경사방향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부힌지연장부; 및
    상기 하면에 원호를 따라 수직하게 함입되어,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삽입되는 상부힌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은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보다 크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과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의 차이는 180도 이상 36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의 최상단부가 위치하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과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의 차이가 180도이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와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일방향의 단부가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동일선상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와 상기 하부힌지가이드가 형성하는 원호의 타방향 단부가 맞닿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로어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가이드의 돌출된 상면에서 원호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부분은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의 함몰된 하면에 원호를 따라 형선된 모서리 부분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스탠드는
    상기 조명부에 전력을 인가하거나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힌지연장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하부힌지통과부; 및
    상기 하부힌지통과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힌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전선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힌지연장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부힌지통과부; 및
    상기 상부힌지통과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힌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전선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전선고정부는
    상기 하부힌지통과부와 상부힌지통과부를 관통하고, 전선이 지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선통과부; 및
    상기 전선통과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힌지연장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전선고정부는
    상기 상부힌지연장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부를 지나 돌출된 상기 전선통과부의 상단을 둘러 고정되는 조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직교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연장부가 형성하는 경사진 하면의 상단 인근에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힌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힌지연장부에 상기 상부힌지돌출부가 상입되어 회동할 수 있는 원호 또는 원주를 따라 함입된 하부힌지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힌지만입부는
    상기 상부외관부가 상기 하부외관부에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힌지돌출부가 지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깊이가 깊어질수록 원호 또는 원주의 반지름이 작아지도록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외관부와 상기 하부외관부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상기 상부힌지돌출부는
    중심에서 이격된 거리가, 상기 하부외관부의 수평방향 반지름 보다 길고, 상기 하부힌지연장부가 형성하는 타원형의 하면의 장축 반지름 보다 짧도록 상기 상부힌지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기 하부힌지가이드의 일방향 단부에 제어부에 연결된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힌지부는
    상기 상부힌지가이드의 일방향 단부에 상기 조명부에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맞닿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조명부의 광색 및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상부외관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발산부; 및
    상기 조명발산부가 상기 상부외관부의 타측으로 빛을 반산할 수 있도록 회전을 가이드하는 조명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관부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에 구비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상부외관관통부; 및
    상기 상부외관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조명회동부에 연결된 조명회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드.
KR1020230134937A 2023-10-11 2023-10-11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KR10265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937A KR102654327B1 (ko) 2023-10-11 2023-10-11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937A KR102654327B1 (ko) 2023-10-11 2023-10-11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327B1 true KR102654327B1 (ko) 2024-04-02

Family

ID=9071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937A KR102654327B1 (ko) 2023-10-11 2023-10-11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3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09B1 (ko) * 2009-11-27 2012-02-28 한국광기술원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KR20140001403U (ko) * 2012-08-29 2014-03-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접이식 라이트 폴
KR101578850B1 (ko) * 2014-03-24 2015-12-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장치
JP2020503650A (ja) * 2016-12-30 2020-01-30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照明装置
KR102411606B1 (ko) * 2019-09-11 2022-06-22 이주원 다기능 아이오티 가로등
KR20230110085A (ko) * 2022-01-14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스탠드 및 그 회전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09B1 (ko) * 2009-11-27 2012-02-28 한국광기술원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KR20140001403U (ko) * 2012-08-29 2014-03-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접이식 라이트 폴
KR101578850B1 (ko) * 2014-03-24 2015-12-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장치
JP2020503650A (ja) * 2016-12-30 2020-01-30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照明装置
KR102411606B1 (ko) * 2019-09-11 2022-06-22 이주원 다기능 아이오티 가로등
KR20230110085A (ko) * 2022-01-14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스탠드 및 그 회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2040B2 (en) Electronic simulation candle
JP4655952B2 (ja) 照明器具
US20080247181A1 (en) Luminaire With a Housing and an Adjustable Spotlight
JP2008251444A (ja) Led電球および照明器具
JP2019501490A (ja) 照明装置
KR102654327B1 (ko) 조명방향 전환이 가능한 접이식 플로어 스탠드
US10018312B2 (en) Light fixture with touch control finial
US11460162B2 (en) Lampshade and flameless candle comprising the same
JP2021515976A (ja) 電動式埋込型スポットライト
US6176595B1 (en) Vertical canopy adjustable path light
KR20110118400A (ko) 조사각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명등기구
US20150109800A1 (en) Spotlight having 360-degree horizontal lighting
JP5935002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JP2013020775A (ja) 照明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ベースユニット及びサテライトユニット
JP2008071604A (ja) 照明器具
KR100766957B1 (ko) 조경용 조명기구
KR200394139Y1 (ko) 조명장치
KR101442492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led 등기구
KR101104855B1 (ko) 빔 조절가능 벽등
KR101377968B1 (ko) 조명장치
KR20210146161A (ko) 천장등 조립체
JP3213871U (ja) 建物玩具
KR20160123062A (ko) 밝기 및 색상 조절이 가능한 백라이트 방식의 화장거울을 갖는 화장대
JP2006236895A (ja) Led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200368492Y1 (ko) 스포트 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