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139Y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139Y1
KR200394139Y1 KR20-2005-0017571U KR20050017571U KR200394139Y1 KR 200394139 Y1 KR200394139 Y1 KR 200394139Y1 KR 20050017571 U KR20050017571 U KR 20050017571U KR 200394139 Y1 KR200394139 Y1 KR 200394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ght
plate
reflec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율삼
Original Assignee
고율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율삼 filed Critical 고율삼
Priority to KR20-2005-0017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139Y1/ko
Priority to PCT/KR2006/002322 priority patent/WO2006135214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7/00Apparatus for performing colour-mus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movement of parts, e.g. by movement of reflectors 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래방, 유흥주점 등에 설치되는 조명기구에 있어서,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리듬에 맞추어 라이트(36)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리듬에 맞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66)에 나타내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중심체(10)와, 중심체(10)의 측면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빛을 비추는 라이트 유니트(30)와 라이트 유니트(30)의 빛을 리듬에 맞추어 여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유니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이트 유니트(30) 및 반사판 유니트(40)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음악 리듬에 맞추어 조명이 바뀌므로 사용자가 즐겁게 유흥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 {LIGH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노래방 또는 가라오케 등의 유흥업소에서 사용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듬에 맞추어 조명의 방향과 움직임이 변화하고, 리듬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변화하며, 레이져, 비누방울 및 안개가 발생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흥업소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미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점멸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천장 등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조명을 비추었다. 한편, 유흥업소가 고급화되면서 이러한 조명기구 이외의 레이져발광 장치나, 비누방울 분사장치 등의 특수장치들이 함께 설치되는데, 이러한 특수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외부음악과 별개로 각각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조명기구는 운동이나 점멸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노래 장르와 관계없이 조명이 동일하고, 빠른 댄스곡 등에는 조명의 변화가 다채롭지 못하여 조명효과가 음향효과를 따라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조명기구와 기타 특수효과장치를 별개로 설치하므로 조명장치 및 각각의 특수효과 장치가 연동하지 못하고,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음향을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여 조명과 특수장치를 작동시키는 조명기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명을 담당하는 라이트를 운동시키고, 이에 더하여 라이트에 반사판을 설치하고, 반사판을 라이트와 동시에 운동시켜, 조명에 더욱 다양한 변화가 발생하도록 하는 조명기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기구와 특수장치를 하나의 기구장치에 설치하고, 동시에 제어되도록 하여 조명과 특수장치 사이에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명기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소정의 단면적을 가진 기둥의 형태로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상단에 상기 중심체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조명을 비추는 라이트 유니트와, 상기 라이트 유니트의 조명을 소정의 각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이트 유니트는 상기 중심체의 상부 측면에, 상기 중심체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이트 지지대와, 상기 라이트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점멸이 제어되는 다수의 라이트와, 상기 중심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라이트 지지대를 상기 라이트 지지대의 축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 유니트는 상기 라이트 유니트의 배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중심체의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반사판 지지대와, 상기 반사판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반사판 지지대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반사판 유니트에는 상기 반사판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막대와, 상기 반사판 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막대의 운동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막대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반사판 지지대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막대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구동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반사판과 반사판 지지대는 중심체 쪽 단부가 상기 반사판과 수직인 면을 따라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부재(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모터에 축으로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체의 전면에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입력 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가 점멸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심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측면에 형성된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이져를 발사하는 레이져발광장치와,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62)에서 발사되는 레이져를 반사하며, 상기 반사판 유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반사판 조립체(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체에는, 비누방울을 분사하는 비누방울 분사장치와, 안개를 분사하는 안개 분사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라이트 빛의 방향이 회동하는 반사판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변화가 가능하고, 조명과 특수장치가 외부음향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므로 노래 분위기에 맞추어 작동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명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요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중심체의 상부를 확대도시한 상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반사판 유니트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가이드부분을 확대도시한 상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반사판의 전방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며,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반사판 유니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둥의 형태로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특수 효과를 내는 특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중심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체(1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조절막대(12)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막대(12)에는 상기 조절막대(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13)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절막대(12)에는 후술할 라이트 지지대(34)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레버(14)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레버(14)는 상기 조절막대(12)를 따라 상하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후술할 라이트 지지대(34)를 끼울 수 있는 결합돌기(1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절막대(12)에는 후술할 레이져 발광장치(62)를 결합하여 상하이동 및 고정을 위한 한쌍의 설치레버(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체(10) 내부에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인식하고, 이에 맞는 입력신호를 송출하여 본 고안에 의한 조명기구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0)에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인식하여 전달하는 마이크(22)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막대(12)의 결합레버(14)에 구비된 결합돌기(15)에는 조명을 비추는 라이트 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라이트 유니트(30)는 상기 결합돌기(15)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5)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20)의 신호를 입력받아 회동이 조절되는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32)을 포함하며(도 3 참조), 상기 라이트 유니트(30)가 상기 구동축(32)에 결합되어 구동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라이트 유니트(30)는 소정의 길이와 단면을 가진 형태로 상기 결합돌기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이트 지지대(34), 그리고 상기 라이트 지지대(34)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0)의 신호를 입력받아 점멸되는 다수의 라이트(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이트 유니트(30)는 빛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라이트 유니트(30) 배면에는 상기 라이트(36)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 유니트(40)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 유니트(40)는, 판형태로 형성되고, 전면 하단이 상기 라이트 지지대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전면이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로 형성된 반사판 지지대(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판 지지대(41)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반사판 지지대(41)로 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할 지지막대(52)가 이동가능한 가이드공(42)이 형성된 가이드(43)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43)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로 부터 꺾여 연장 성형된 제 1 고정판(4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판(44)은 후술할 반사판(5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말단에는 소정의 각으로 꺾여 연장성형된 결합판(4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판에는 후술할 반사판의 전면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46)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정판(44)의 하단부에는 제 2고정판(47)이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공(42)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제 1고정판(44)과 제 2고정판(47)이 설치된다. 상기 제 2고정판(47)은 비교적 짧은 길이로 제작되고, 후술할 반사판(5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한편, 제 1고정판(44)의 후단부 하면과 제 2고정판(47)의 상면에는 각각 제 1지지돌기(48)와 제 2지지돌기(49)가 설치된다. 상기 제 1지지돌기(48)와 제 2지지돌기(49)는 상기 가이드공(42)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설치되어 후술할 반사판(50)의 상하운동을 좌우로 비대칭이 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반사판 지지대(41)의 상부에는 상기 라이트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50)이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은 전면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체로 형성되고, 전단에 상기 결합공(46)에 삽입되는 전면돌기(51)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가이드공(42)에 삽입되는 지지막대(52)가 형성된다. 상기 반사판(50)의 전면돌기(51)와 지지막대(52)는 각각 상기 결합공(46)과 가이드공(42)에 삽입되고, 상기 반사판(50)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돌기(51)를 중심으로 양측이, 상기 제 1고정판(44)과 스프링(53)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53)은 상기 반사판(50)이 운동하지 않는 경우 수평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반사판 지지대(41)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막대(52)를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4)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54)은, 상기 제어부(20)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회전운동을 하는 모터(56)와, 상기 모터(56)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막대(52)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터(56)의 회전운동을 상기 지지막대(52)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54)은 상기 지지막대(52)를 통해 상기 반사판(50)을 움직여 반사되는 빛의 방향이 다각도로 변화되게 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판 지지대(41), 반사판(50) 및 구동수단(54)이 결합되어 상기 라이트(36)의 빛을 다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유니트(4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설치레버(16)에는 레이져가 발사되는 레이져 발광장치(62)가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62)의 배면에는 상기 반사판 유니트(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62)에서 발사되는 레이져를 반사하는 반사판 조립체(6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20)의 입력신호를 받아 비누방울을 분사하는 비누방울 분사장치(6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심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중심체(10) 전면이 소정의 공간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고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제어부(20)의 입력신호에 의해 점멸되는 디스플레이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소자로 다수의 LED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6) 하단에는 상기 제어부(20)의 입력신호를 받아 안개를 분사하는 안개 분사장치(6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심체(10)에는 투입된 돈의 액수를 감지하고, 이에 의해 이용시간을 결정하며, 이를 표시하는 현금 수납장치(7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을 작동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조명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놓는다. 그리고, 조절레버(13)를 풀어 조절막대(12)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조절레버(13)를 조여주어 고정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막대(12)를 천장에 닿도록 조절하여 본 고안의 조명장치가 천장으로 부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결합레버(14)를 풀어 라이트 유니트(30)를 원하는 높이에 맞추고, 전후방으로 회동시켜 원하는 각을 맞춘 후에 상기 결합레버(14)를 조여주어 상기 라이트 유니트(3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라이트 지지대(34)를 회동시켜 상기 라이트를 원하는 방향에 맞추어 놓는다.
다음으로 설치레버(16)를 이용하여 레이져 발광장치(62)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킨 후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를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설치를 끝낸다.
설치가 끝난 이후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를 작동시킨다.
실내에 음악이 흐르게 되면, 이 음악은 제어부(20)에 설치된 마이크(22)를 통해 상기 제어부(2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입력된 음향을 분류하게 되고, 이에 따른 신호를 각각의 장치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라이트(36)는 빛을 비추고, 반사판(50)은 전단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라이트 지지대(34)가 구동장치에 의해 회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기구가 작동시 라이트 지지대(34)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레이져 발광장치(62)는 레이저 빛을 쏘고 이는 움직이는 반사판(50)에 반사되어 불특정한 방향으로 레이져 빛을 진행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6)에 설치된 LED는 입력신호에 의해 점멸되어 영상을 나타내고, 더불어 안개와 비누방울이 분사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외부 음향에 따라 그 작동 형태가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빠른 리듬의 댄스곡에 맞추어 본 고안의 조명기구가 작동할 경우에는, 상기 라이트(36)의 점멸이 빠른 리듬에 맞추어 바뀐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36)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50)의 움직임도 빠른 리듬에 맞추어 이루어지고, 반사판 조립체(64) 또한 빠른 리듬에 맞추어 운동한다. 따라서 라이트(36)의 불빛 및 레이져 빛의 반사된 방향이 리듬에 맞추어 바뀌면서 댄스곡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66)에는 빠른 댄스곡에 맞는 영상이 표현되는데, 예를 들면 빠른 나이트댄스를 추는 사람의 동작 형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66)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판(50)의 동작형태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 지지대(41)의 배면에 설치된 모터(56)가 상기 제어부(20)의 신호를 입력받아 회전한다. 상기 모터(56)가 회전하면 상기 모터(56)의 회전축에 설치된 캠(58)이 연동하여 회전하고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캠(58)은 상기 캠(58)에 접한 지지막대(52)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막대(52)는 가이드공(42)을 따라 상하로 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반사판(50)의 후단도 상하로 운동한다.
상기 반사판(50)이 상방으로 움직일 경우 상기 반사판(50)의 상면 일측이 제 1 지지돌기(48)에 의해 눌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판은 제 1 지지돌기(48)의 반대편이 들려지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반사판이 하방으로 움직일경우 상기 반사판(50)의 하면 일측이 제 2 지지돌기(49)에 의해 눌리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반사판(50)은 제 1 지지돌기(48)의 반대편이 들리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반사판(50)의 후단이 상하로 운동하면서, 상기 반사판(50)은 제 2 지지돌기(49)쪽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운동을 한다. 따라서 반사되어지는 라이트의 빛의 방향이 다각도로 변화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음향신호를 수신받아 조명 및 특수장치들이 작동하므로, 노래의 종류나 분위기에 맞도록 조명과 특수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라이트 자체가 회동하면서 동시에 반사판도 좌우로 회동하므로, 라이트 불빛의 방향이 다양하게 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과 특수효과 장치가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므로, 각각의 장치가 조화를 이루어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요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중심체의 상부를 확대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반사판 유니트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가이드부분을 확대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반사판의 전방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반사판 유니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심체 12 : 조절막대
13 : 조절레버 14 : 결합레버
15 : 결합돌기 16 : 설치레버
20 : 제어부 22 : 마이크
30 : 라이트 유니트 32 : 구동축
34 : 라이트 지지대 36 : 라이트
40 : 반사판 유니트 41 : 반사판 지지대
42 : 가이드공 43 : 가이드
44 : 제 1 고정판 45 : 결합판
46 : 결합공 47 : 제 2 고정판
48 : 제 1 지지돌기 49 : 제 2 지지돌기
50 : 반사판 51 : 전면돌기
52 : 지지막대 53 : 스프링
54 : 구동수단 56 : 모터
58 : 캠 65 : 비누방울 분사장치
66 : 디스플레이부 68 : 안개 분사장치
70 : 현금 수납장치

Claims (10)

  1. 소정의 단면적을 가진 기둥의 형태로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심체(10)와;
    상기 중심체(10)의 상단에 상기 중심체(10)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조명을 비추는 라이트 유니트(30); 그리고
    상기 라이트 유니트(30)의 조명을 소정의 각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유니트(40)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유니트(30)는,
    상기 중심체(10)의 상부 측면에, 상기 중심체(10)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이트 지지대(34)와;
    상기 라이트 지지대(34)의 상면에 설치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점멸이 제어되는 다수의 라이트(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 유니트(40)는,
    상기 라이트 유니트(30)의 배면에 위치하고, 하단부가 상기 라이트 지지대(34) 배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반사판 지지대(41)와;
    상기 반사판 지지대(41)의 상부에 상기 반사판 지지대(41)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36)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유니트(40)는,
    상기 반사판 지지대(46)의 상단으로 부터 소정의 각으로 꺾여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운동방향을 안내해줄 수 있는 가이드공(42)이 형성된 가이드(43)와;
    상기 가이드(43) 말단으로 부터 꺾여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5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말단에는 상기 반사판(50)의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공(46)이 형성된 제 1 고정판(44)과;
    상기 가이드공(42) 하부에 상기 가이드(43)로 부터 상기 제 1 고정판(44)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고정판(47)과;
    상기 제 1 고정판(44)의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공(42)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돌기(48)와;
    상기 제 2 고정판(47)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공(42)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지지돌기(48)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돌기(4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50)은,
    전단부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6)에 끼워져 상기 반사판(5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면돌기(51)와;
    후단부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42)에 끼워져 상기 반사판(50)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운동시키는 지지막대(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돌기(51)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50)과 제 1 지지판(44)을 연결하여 상기 반사판(50)이 정지한 경우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한쌍의 스프링(53)과;
    상기 반사판 지지대(41)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막대(52)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구동수단(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4)은 모터(56)와, 상기 모터(56)에 축으로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5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0)의 전면에 설치되고,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가 점멸되는 디스플레이부(6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측면에 형성된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이져를 발사하는 레이져 발광장치(62)와;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62)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62)에서 발사되는 레이져를 반사하며, 상기 반사판 유니트(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반사판 조립체(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측면에 형성된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이져를 발사하는 레이져 발광장치(62)와;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62)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져 발광장치(62)에서 발사되는 레이져를 반사하며, 상기 반사판 유니트(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반사판 조립체(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0)에는,
    비누방울을 분사하는 비누방울 분사장치(65)와;
    안개를 분사하는 안개 분사장치(6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0)에는,
    비누방울을 분사하는 비누방울 분사장치(65)와;
    안개를 분사하는 안개 분사장치(6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0)에는,
    비누방울을 분사하는 비누방울 분사장치(65)와;
    안개를 분사하는 안개 분사장치(6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10)에는,
    비누방울을 분사하는 비누방울 분사장치(65)와;
    안개를 분사하는 안개 분사장치(6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20-2005-0017571U 2005-06-17 2005-06-17 조명장치 KR200394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71U KR200394139Y1 (ko) 2005-06-17 2005-06-17 조명장치
PCT/KR2006/002322 WO2006135214A1 (en) 2005-06-17 2006-06-16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71U KR200394139Y1 (ko) 2005-06-17 2005-06-17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139Y1 true KR200394139Y1 (ko) 2005-08-30

Family

ID=3753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71U KR200394139Y1 (ko) 2005-06-17 2005-06-1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94139Y1 (ko)
WO (1) WO20061352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72B1 (ko) 2007-02-20 2007-08-29 이현승 동영상 녹화장치 및 방법
KR101027640B1 (ko) 2009-02-17 2011-04-12 쌍용자동차인천정비사업소(주) 교통 안전구역의 감속주행 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3963B (zh) * 2007-12-21 2010-09-29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照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056A (ko) * 1998-12-31 2000-07-25 윤재환 무대효과장치의 제어방법
KR20050054518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엔.에스시스템 분위기 연출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345341Y1 (ko) * 2003-12-26 2004-03-18 김석암 다기능 조명장치
KR200387890Y1 (ko) * 2005-04-14 2005-06-28 조현성 유희용 상품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72B1 (ko) 2007-02-20 2007-08-29 이현승 동영상 녹화장치 및 방법
KR101027640B1 (ko) 2009-02-17 2011-04-12 쌍용자동차인천정비사업소(주) 교통 안전구역의 감속주행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5214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0277B2 (en) Lighting device for projecting a starry pattern
US9869459B2 (en) Landscape light
JP4363387B2 (ja) 照明器具
RU2449212C2 (ru) Светильник, содержащий регулируемые осветительные модули
JP6173618B2 (ja) 照明器具
US8622598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uminaire
US20150176788A1 (en) Stage representation device and stage representation method
JP3121210U (ja) オプティカル・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200394139Y1 (ko) 조명장치
KR101138065B1 (ko) 휴대용 빔 프로젝터
KR101605184B1 (ko) 디스플레이 기기
US6953270B1 (en) Universal automated yoke for lighting fixtures
CN102598071B (zh) 具有光效安排的电子游戏装置
JP2012146663A (ja) 屋内照明装置および内部空間を照明する方法
US20140022803A1 (en) Spotlight device
JP5248736B2 (ja) 反射照明装置
KR101440115B1 (ko) 반사판의 틸팅 구조를 갖는 등기구
KR202100830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020775A (ja) 照明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ベースユニット及びサテライトユニット
KR101104855B1 (ko) 빔 조절가능 벽등
KR100766957B1 (ko) 조경용 조명기구
US20220282852A1 (en) Lighting device with motorised collimation control
JP3213871U (ja) 建物玩具
KR102039257B1 (ko) 무대 조명장치
JP2019029176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