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065B1 - 휴대용 빔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빔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065B1
KR101138065B1 KR1020100082623A KR20100082623A KR101138065B1 KR 101138065 B1 KR101138065 B1 KR 101138065B1 KR 1020100082623 A KR1020100082623 A KR 1020100082623A KR 20100082623 A KR20100082623 A KR 20100082623A KR 101138065 B1 KR101138065 B1 KR 10113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module
projector
cutout
mounting bracke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289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10008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0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양 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게 일면에 제 1 절개부가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제 1 절개부 및 상기 1 절개부의 양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회동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상기 홈부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내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상기 양 측면부의 내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면에 제 2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개부에는 상기 제 2 절개부의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받침부재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렌즈가 형성된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절개부의 저면은 소정 각도로 서로 대응되게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또 상기 양 측면부의 각각의 상면에는 걸림바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투사렌즈를 보호할 수 있으며, 원하는 각도로 빔을 투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빔 프로젝터{PORTABLE BEAM PROJECTOR}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가능하고 원하는 위치에 화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대형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큰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프로젝션 및 프로젝터에 대한 기대와 역할이 매우 증가하고 있다.
상기 프로젝터는 LD 플레이어, VCR, DVD 플레이어, PC 등을 연결하여 화면을 대형 스크린에 비추는 장비이고, 특히 입력된 영상신호를 빛으로 화면에 투사하기 때문에 통상 빔 프로젝터라고 한다.
상기 빔 프로젝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PC)를 비롯하여 각종 영상 재생기기(DVD플레이어, VCR 등)와 연결되어 대화면을 구사할 수 있는 투사형 영상 표시기기이다. 상기 빔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프로젝션(projection) 방식으로 화면을 투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영상신호가 담긴 광선을 주사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주사되는 광선을 반영하여 영상을 나타내는 화면(스크린)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는 투사광 공급을 위하여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광선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분리된 화소의 투과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에 맺힌 영상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그와 같은 구성의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면, 작은 크기에도 대형화면으로 영화를 볼 수 있게 해주고, 누워서 천장을 대형 스크린 삼아 영화를 즐길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빔 프로젝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대부분 사이즈가 커서 휴대하고 다니기가 불편하였다. 따라서 빔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회의실 등에서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등, 그 사용장소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또한, 빔 프로젝트의 설치 및 연결 방식의 번거로운 문제점으로 이를 사용하는데 시간이 다소 지연되며, 크기 조절이나 초점이 맞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조절해 줘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손바닥 크기의 휴대성이 강조된 빔 프로젝터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출시된 대부분의 빔 프로젝터는 그 빔 프로젝터의 외형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로 빔 프로젝터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기 때문에, 투사하는 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빔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본체의 위치를 변경해야만 했다.
아울러, 소형 크기의 빔 프로젝터는 광을 투사하는 방향이 제한적이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본체로 빔 프로젝터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빔 프로젝터를 수평 또는 수직 형상으로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빔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은 수평이나 수직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물론, 별도의 조절 브라켓을 빔 프로젝터에 적용하여 빔 프로젝터를 이루는 본체의 각도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조절 브라켓이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 휴대용 빔 프로젝터는 투사렌즈가 외부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이동시 투사렌즈에 흠집이 생길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물론, 투사렌즈 전면에 보호커버를 결합할 수 있으나, 보호커버의 구성이 더 추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을 조사하는 투사렌즈의 방향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및 이동시 투사렌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빔 프로젝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양 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프로젝터 모듈;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게 일면에 제 1 절개부가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제 1 절개부 및 상기 제 1 절개부의 양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회동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상기 홈부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내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상기 양 측면부의 내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렌즈가 형성된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절개부의 저면은 소정 각도로 서로 대응되게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 측면부의 각각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홈에는 걸림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면에 제 2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개부에는 상기 절개부의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받침부재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빔 프로젝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장착 브라켓에 프로젝터 모듈이 결합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화상을 용이하게 투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프로젝터 모듈이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프로젝터 모듈은 걸림바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화상을 투사할 때 흔들림 없이 고정된 상태로 정확하게 화면에 투사할 수 있다.
또 장착 브라켓의 저면 부분에 구비된 받침부재의 사용으로 인해 장착 브라켓을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세울 수 있어, 화상을 상방으로도 용이하게 투사할 수 있다.
또 장착 브라켓의 저면 방향으로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가 접한 상태에서 휴대 및 이동을 하면, 투사렌즈의 전방에 별도의 보호커버를 부착하지 않더라도 투사렌즈에 흠집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빔 프로젝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프로젝터 모듈의 홈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홈부에 돌출부가 삽입된 형상을 보인 부분 구성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빔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휴대용 빔 프로젝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빔 프로젝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측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의 프로젝터 모듈의 홈부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홈부에 돌출부가 삽입된 형상을 보인 부분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휴대용 빔 프로젝터(100)에는 실질적으로 영상신호를 빛으로 화면에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 모듈(1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고, 일면에 투사렌즈(130)가 설치된다. 상기 투사렌즈(130)를 통해 광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내부에는 이와 관련된 구성이 포함되어 구비된다. 즉, 내부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로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광선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다이크로익 미러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분리된 화소의 투과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액정패널 등이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들은 빔 프로젝터(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 투사렌즈(130)가 형성된 면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132)으로 형성된다. 이는 측면 구성도를 보인 도 3을 보면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2)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후술하는 장착 브라켓(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도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타 방향(도면에서는 시계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회동하지 않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보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물결모양으로 길게 형성되는 홈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20)는 후술하는 돌출부(23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보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은 상기 홈부(1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홈부(12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홈부(120)를 형성하는 상하면이 서로 대칭되게 물결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물결모양의 넓은 부분(A)에 상기 돌출부(230)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30)가 이웃하는 다른 넓은 부분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230)의 연결목부(232)가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B)을 통과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홈부(12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홈부(120)의 가로 방향으로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돌출부(230)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은 회동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홈부(120)에 삽입된 돌출부(230)를 회동축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회동 가능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에 형성된 투사렌즈(130)는 특정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LED부(130)와 전원 버튼(150)이 형성된다. 상기 LED부(13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대기상태 및 정상 구동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LED부(130)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20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200)의 외형 및 골격은 본체(202)가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200)과 본체(202)는 서로 같은 의미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이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202)는 도면에서 봤을 때 후단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 1 절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개부(21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너비만큼 일정 간격만큼 벌어진 형상이다. 이에 상기 제 1 절개부(210)는 실질적으로 본체(202)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양 측면부(220)와 저면부(221)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 1 절개부(210)를 형성하는 상기 양 측면부(220)의 내면에는 상기 홈부(120)에 끼워지는 돌출부(230)가 각각 고정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홈부(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홈부(120) 내부에 위치하는 머리부(230)와 상기 머리부(230) 및 상기 측면부(220)의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목부(2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 측면부(2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안착홈(222)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22)에는 걸림바(224)가 수평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상기 걸림바(224)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일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걸림바(224)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임의의 안착홈(222)에 걸림바를 놓아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절개부(210)를 형성하는 저면부(221)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경사면(132)과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측면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는 도 3을 참조하면, 저면부(221)와 경사면(132)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개부(210)내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수용된 상태에서, 일 방향(시계 반대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202)의 선단에는 제 2 절개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절개부(240)도 상기 본체(20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양 측면부(250)와 저면부(24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저면부(241)에는 상기 제 2 절개부(240)와 동일한 형상의 받침부재(260)가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본체(202)의 선단 일부가 절개된 제 2 절개부(240)의 형상이 상기 받침부재(260)가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260)는 상기 제 2 절개부(240)의 저면(24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저면(241)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 2 절개부(240)에 상기 받침부재(260)가 소정의 연결구조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의 예는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면(241) 또는 상기 받침부재(260)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홀을 형성하고, 다른 면에는 상기 홀에 끼워져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의 결합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저면(241)에 상기 받침부재(260)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저면(241)과 받침부재(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자석을 설치하고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자석에 붙는 물질을 설치하거나, 두 면에 서로 잡아당기는 성질을 가지는 자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조로서 자석을 사용할 경우는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재(260)를 상기 제 2 절개부(240)의 저면부(241)에서 이격시키고 다시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60)의 측면과 이와 대응하는 상기 제 2 절개부(240)를 형성하는 측면부(250)는 모두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는 상기 제 2 절개부(240)내에서 상기 받침부재(26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본체(202)의 측면 외면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버튼부(270)와, 전원 공급용 전원 공급잭(28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02)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 사이에는 케이블(도면 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상기 제 1 절개부(21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돌출부(230)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더라도 케이블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제공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본체(202)에 형성된 상기 버튼부(279)의 조작 명령 및 상기 전원 공급잭(28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빔 프로젝터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빔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우선, 도 6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투사렌즈(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제 1 절개부(210) 내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통상 프로젝터 모듈(110)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고, 휴대용 빔 프로젝터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경우에 해당한다.
반면, 도 7 내지 도 10은 사용자가 휴대용 빔 프로젝터를 사용하기 위해 프로젝터 모듈을 회동한 경우이다.
먼저 사용자가 프로젝터 모듈(1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지 않고 원하는 각도만큼 상방으로 밀어올린 경우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7과 같이 단순히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의 경사면(132)에 형성된 투사렌즈(13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빔을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1차적으로 상기 홈부(120)에 상기 돌출부(230)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지만, 상기 본체(202)의 측면부(220)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222)에 걸림바(224)를 설치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더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상기 걸림바(224)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 상태인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이 지지되기 때문에, 투사렌즈(130)를 통해 투사된 빔이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을 상기 제 1 절개부(210) 내에서 180도 회동시켜, 빔을 투사할 수도 있다.
상기한 도 7 및 도 8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을 상기 제 1 절개부(210)내에서 회동시켜 화면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빔을 용이하게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부재(26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용 빔 프로젝터(100)를 사용하는 것이다.
반면, 도 9 및 도 10은 휴대용 빔 프로젝터(100)를 세로 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이용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 2 절개부(240)내에 수용된 받침부재(26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받침부재(260)는 사용자에 의해 약 90도 정도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장착 브라켓(200)의 본체(202) 저면이 상기 받침부재(260)에 의해 대략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모양은 상기 휴대용 빔 프로젝터(100)가 세로방향으로도 쉽게 세워질 수 있다.
그와 같이 상기 휴대용 빔 프로젝터(100)가 세워진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프로젝터 모듈(110)을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은 상기 홈부(120)를 따라 사용자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빔 프로젝터를 제공하면서, 실질적으로 빔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모듈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프로젝터 모듈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을 세로로 세워서 사용할 수도 있어, 빔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조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휴대용 빔 프로젝터 110 : 프로젝터 모듈
120 : 홈부 130 : 투사렌즈
132 : 경사면 200 : 장착 브라켓
202 : 본체 210 : 제 1 절개부
220 : 제 1 절개부의 측면부 221 : 제 1 절개부의 저면
222 : 안착홈 224 : 걸림바
230 : 돌출부 240 : 제 2 절개부
242 : 제 2 절개부의 저면 250 : 제 2 절개부의 측면부
260 : 받침부재

Claims (4)

  1. 양 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프로젝터 모듈;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게 일면에 제 1절개부가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제 1절개부 및 상기 제 1절개부의 양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회동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상기 홈부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내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상기 양 측면부의 내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빔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렌즈가 형성된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절개부의 저면은 소정 각도로 서로 대응되게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빔 프로젝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부의 각각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홈에는 걸림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빔 프로젝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면에 제 2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개부에는 상기 제 2 절개부의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받침부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빔 프로젝터.
KR1020100082623A 2010-08-25 2010-08-25 휴대용 빔 프로젝터 KR10113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23A KR101138065B1 (ko) 2010-08-25 2010-08-25 휴대용 빔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23A KR101138065B1 (ko) 2010-08-25 2010-08-25 휴대용 빔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89A KR20120019289A (ko) 2012-03-06
KR101138065B1 true KR101138065B1 (ko) 2012-04-23

Family

ID=4612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623A KR101138065B1 (ko) 2010-08-25 2010-08-25 휴대용 빔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5310A (zh) * 2017-07-04 2017-11-03 芜湖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野外多功能微型投影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728A1 (en) * 2013-01-07 2014-07-10 Bem Wireless Llc Apparatus for projection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20160129935A (ko) 2015-04-30 2016-11-10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무빙요크장치
CN110427113B (zh) * 2019-07-10 2024-05-28 安庆市恒怡多精彩科技有限公司 带投影功能的键盘
KR20210061612A (ko) 2019-11-20 2021-05-28 유창진 휴대용 고보 조명기
CN212298304U (zh) * 2020-04-10 2021-01-05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投影装置
KR102520422B1 (ko) 2020-11-24 2023-04-10 임효빈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6866A (ja) * 1995-09-29 1997-04-08 Chukyo Koden Kofun Yugenkoshi 液晶プロジェクターのレンズ収納・押出装置
JP2002049953A (ja) * 2000-08-03 2002-02-15 San Kiko Kk 投入コイン等の整列排出機構
JP2006047893A (ja) * 2004-08-09 2006-02-16 Seiko Epson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収納装置
KR20080079725A (ko) * 2007-02-28 2008-09-02 일진디스플레이(주)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6866A (ja) * 1995-09-29 1997-04-08 Chukyo Koden Kofun Yugenkoshi 液晶プロジェクターのレンズ収納・押出装置
JP2002049953A (ja) * 2000-08-03 2002-02-15 San Kiko Kk 投入コイン等の整列排出機構
JP2006047893A (ja) * 2004-08-09 2006-02-16 Seiko Epson Corp 液晶プロジェクタ収納装置
KR20080079725A (ko) * 2007-02-28 2008-09-02 일진디스플레이(주)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5310A (zh) * 2017-07-04 2017-11-03 芜湖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野外多功能微型投影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89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065B1 (ko) 휴대용 빔 프로젝터
CN100410806C (zh) 用于控制投影机的投影透镜移动的装置
JP4901648B2 (ja) 投写型表示装置用のスタンド
JP5085905B2 (ja) 垂直位置に取り付けられた投写装置から画像を表示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60198842A1 (en) Movable table for projector
US8403505B2 (en) Projector for adjusting projection direction
JP6170164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5210665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200478172Y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JP2014232199A (ja) 投影装置、支持板、及び、投影装置の投影方法
JP2010145456A (ja) プロジェクター用スクリーンユニット
US884025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120598U (ja) プロジェクタ
KR200475511Y1 (ko) 휴대 가능한 아동용 프로젝터
JP2014206567A (ja) 映像投射装置
JP2006106078A (ja) 投射装置
KR101106723B1 (ko) 스크린과 프로젝터 일체형 프레임 이동장치
KR102487905B1 (ko) 프로젝터 장치
KR101452996B1 (ko) 입체영상투영기
JP2006322955A (ja) 多方向選択投射型プロジェクタ
JP2005172959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6459547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5621316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102302736B1 (ko) 영상투사장치
JP2006330525A (ja) 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