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612A - 휴대용 고보 조명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고보 조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612A
KR20210061612A KR1020190149377A KR20190149377A KR20210061612A KR 20210061612 A KR20210061612 A KR 20210061612A KR 1020190149377 A KR1020190149377 A KR 1020190149377A KR 20190149377 A KR20190149377 A KR 20190149377A KR 20210061612 A KR20210061612 A KR 2021006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bo
connector
portable
light
illumin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진
Original Assignee
유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진 filed Critical 유창진
Priority to KR102019014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612A/ko
Publication of KR2021006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61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movement of parts, e.g. by movement of reflectors 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8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보 조명기, 특히 종래의 LED 후래쉬 등에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로 구성된 고보 조명 커낵터를 연결하여 이미지 필터를 통과한 광이 4개의 렌즈로 구성된 조명 출력 렌즈를 통해 원하는 내용의 조명을 비추도록 하여 고보 조명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고보 조명기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고보 조명기{PORTABLE GOBO L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고보 조명기, 특히 종래의 후래쉬 등에 고보 조명 커낵터를 연결하여 고보 조명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고보 조명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는 광을 스크린 등의 화면에 비추는 장치이다. 그 중에서 고보 조명기는 오목렌즈와 볼록 렌즈에 광이 투과하는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 이미지 글라스에 LED 광을 투사해 건물 벽면, 바닥, 천장 등에 비추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알리는 조명을 말한다. 이와 같은 고보 조명기는 광을 스크린 등의 면에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광을 발생하는 조명기에 전원을 연결하여 사전 설정된 원하는 내용을 이미지 필터에 광을 통과시켜 원하는 내용의 조명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고보 조명은 고정식으로 조명을 사용하므로 원하는 장소를 이동하며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고정식이 아닌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한 고보 조명의 필요성이 증가 되었는데, 고보 조명 커넥터를 구성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ED 후래쉬에 연결하여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휴대용 고보 조명기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상기 휴대용 고보 조명의 원리는 LED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스크린 등의 면에 표시하는데, 상기 LED 광을 발산하는 장치와 상기 광이 1차적으로 투과하는 고보 렌즈와, 상기 고보 렌즈를 투과한 광을 반영하여 이를 이미지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스크린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조명과, 상기 조명을 알맞은 밝기와 크기로 조절하여 표시하는 고보 조명을 생성하기 위해 2차적으로 광이 투과하는 출력 렌즈를 이용하여 원하는 내용의 고보 조명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12-0019289호는 양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프로젝터를 개시하고 있는데, 사이즈가 커서 휴대가 불가능하여 사용범위가 제한적이다.
본 발명은 종래부터 고정식으로 사용하던 고보 조명을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보 렌즈가 장착된 고보 커넥터를 연결하고 초점 커넥터와 4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조명 출력 렌즈를 통해 고보 조명의 밝기와 선명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보 커넥터를 이용하여 고정식 고보 조명의 50와트에 해당하는 3600 내지 4000 루멘(lumen)과 동일한 출력을 유지하는 휴대용 고보 조명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상기 고보 커넥터의 외부 직경을 호환 가능하게 구성하여 기존의 LED 후레쉬를 휴대용 고보 조명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 건전지를 이용하여 충전 가능하게 구성한 전원과, 상기 충전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광을 발광하도록 하는 LED와, 상기 LED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서로 다른 초점을 가지는 2개의 볼록렌즈를 6 내지 8mm 거리를 두고 2중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볼록 렌즈에 대향하여 설치된 이미지 필터를 가진 고보 커넥터와, 상기 고보 커넥터와 연결되어 LED로부터 발생된 광을 3600 내지 4000 루맨 정도의 밝기로 맞추기 위해 미세 거리 조절이 가능한 초점 커넥터와, 상기 초점 커넥터와 연결되어 통과한 광을 비추고자 하는 스크린에 사전 설정된 크기로 집약하도록 외주 면에 미세조절이 가능한 링을 형성하여 거리를 두고 볼록, 오목, 볼록, 볼록 렌즈를 순차적으로 설치한 조명 출력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필터를 교환하여 고보 조명의 내용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보 조명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삼각대로 고정할수 있도록 결합 나사홈를 형성하여 고정용 조명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전원부에는 외부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USB 단자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으로 제작하여 광고, 이벤트, 콘서트 등의 각종 행사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보 조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보 조명기를 분해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보 조명기를 종래 LED 후래쉬와 호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고보 커넥터는 LED 후레쉬와 연결하여 휴대용 고보 조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핵심 부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고보 커넥터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보 렌즈를 투과한 광이 이미지 필터를 통과하여 원하는 내용의 조명을 얻을 수 있는데, 렌즈와 렌즈간의 거리를 유지하고 초점 커넥터를 이용하여, 광의 밝기가 기존 전원 연결 고보 조명의 50와트에 해당하는 3600 내지 4000 루멘에 해당하는 밝기를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고보 조명에 사용되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는 축에 평행한 광은 허초점에서 나온 것처럼 나가고, 렌즈 반대쪽의 허초점을 향한 광은 축에 평행하게 나가는 오목렌즈의 특성과, 축에 평행한 광은 반대쪽의 초점을 지나고, 초점을 지나는 광은 볼록렌즈를 지난 후 평행하게 나가는 특성이 있는 볼록렌즈의 성질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이미지 필터를 통과한 조명을 최종적으로 스크린 등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보 조명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보 조명기의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용 고보 조명기는 먼저 충전 전원부(50)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건전지를 삽입하여 내장하도록 하는데 이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하여 LED 소자에서 광을 발생한다.
상기 충전 전원부(5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LED 소자에 가하여 상기 LED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고보 조명을 생성하고, 고보 커넥터(30)는 볼록 렌즈와 오목렌즈를 6 내지 8mm 거리를 두고 2중으로 설치한 고보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통과한 광을 연속해서 이미지 필터를 통과시켜 원하는 내용의 고보 조명을 얻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이미지 필터를 통과한 조명은 초점 커넥터(20)를 통해 광의 초점을 맞추고 원하는 내용의 조명을 얻도록 4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조명 출력 렌즈(10)를 광이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고보 커넥터(30) 일단에 장착된 이미지 필터는 원형 모양의 고정 링을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고정 링 해체 후 이미지 필터를 교환하여 조명 내용을 변경할 수도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2중으로 구성된 고보 렌즈는 전체 2내지 3센티미터의 두께로 한쪽은 원형으로 돌기되어 볼록하게 구성된 작은 렌즈로 이루어지고 다른 쪽은 그보다 더 큰 원형으로 두꺼운 상태로 큰 렌즈로 구성되어 이미지 필터에 대향하여 장착된다.
다음에 고보 커넥터(30)의 이미지 필터를 통과한 광은 초점 커넥터(20)를 통과하면서 원하는 크기의 화면으로 조절되는데, 상기 초점 커넥터(20)는 고보 커넥터(30)로부터 투과된 광을 조명 출력 렌즈(10)로 보내 광을 원하는 크기와 밝기의 조명으로 규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초점 커넥터(20)를 통과한 광은 최종적으로 조명 출력 렌즈(10)를 통과하면서 원하는 밝기와 크기로 스크린 등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조명 출력 렌즈(10)는 볼록, 오목, 볼록, 볼록의 4개의 렌즈가 연속해서 장착되는데 조명의 초점을 맞추도록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다. 도면에서는 좌 우측의 2개의 렌즈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이미지 필터를 통과한 광이 초점 커넥터(20)를 지나 4개의 볼록 렌즈를 통과하면서 초점이 더욱 선명하고 밝은 광으로 스크린 등에 원하는 조명을 비추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조명기를 분해한 도면으로서, 좌로부터 조명 출력 렌즈(10), 초점 커넥터(20), 고보 커넥터(30), 충전기(50)를 도시한다. 조명 출력 렌즈(10)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좌 우측에 2개의 볼록 렌즈만을 도시하였으나 그 내부에 오목렌즈, 볼록 렌즈의 2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명 출력 렌즈(10) 외부에 장착된 고정 링(15)은 회전에 의해 초점 커넥터(20)와 함께 초점 커넥터(20)에 연결된 조명 출력 렌즈(10)의 초점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하며, 이미지 필터(33)로부터 나온 조명의 초점을 맞추어 스크린 등에 표시하는 조명의 밝기와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초점 커넥터(20)는 조명 출력 렌즈의 거리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1차적으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초점 커넥터(20)에 연결된 고보 커넥터(30)는 본 발명의 휴대용 고보 조명기의 핵심부로서 내부에 이미지 필터(33)를 고정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2중으로 6 내지 8 mm 거리를 두고 구성된 고보 렌즈(32)를 통과한 광이 상기 고정된 이미지 필터(33)를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한편, LED 장착부(41)는 고보 커넥터(30)에 내장된 고보 렌즈(32)에 직접 맞닿아 광을 투사하며, LED 한쪽에 일체된 충전기(50)는 원통형 공간을 이루어 그 내부에 건전지를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에 USB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여 별도로 충전가능 하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보 커넥터(30)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고보 커넥터(30)에 삽입되는 고보 렌즈(32)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로 이루어지는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보 커넥터(30) 내부에서 서로 6내지 8mm 정도의 거리를 두고 2중으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보 렌즈(32)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필터(33)(첨부 도면에는 별표 모양으로 구성됨)를 통과하여 초점 커넥터(20)를 통과하는데 상기 이미지 필터(33)는 교환 가능하게 고정 링(34)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고보 커넥터(30) 내부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보 커넥터(30) 외부에는 연결 나사 홈(31)을 형성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하다 고정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삼각대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광고, 이벤트 등의 행사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충전 건전지를 이용하여 충전 가능하게 구성한 전원과,
    상기 충전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광을 발광하도록 하는 LED와,
    상기 LED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서로 다른 초점을 가지는 2개의 볼록렌즈를 6 내지 8mm 거리를 두고 2중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볼록 렌즈에 대향하여 설치된 이미지 필터를 가진 고보 커넥터와,
    상기 고보 커넥터와 연결되어 LED로부터 발생된 광을 3600 내지 4000 루맨 정도의 밝기로 초점을 맞추기 위해 미세 거리 조절이 가능한 초점 커넥터와,
    상기 초점 커넥터와 연결되어 통과한 광을 비추고자 하는 스크린에 사전 설정된 크기로 집약하도록 외주 면에 미세조절이 가능한 링을 형성하여 거리를 두고 그 내부에 볼록, 오목, 볼록, 볼록 렌즈를 순차적으로 설치한 조명 출력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고보 조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필터를 교환하여 고보 조명의 내용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보 조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보 조명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삼각대로 고정할수 있도록 결합 나사홈를 형성하여 고정용 조명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보 조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원부에는 외부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USB 단자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보 조명기.

KR1020190149377A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고보 조명기 Ceased KR20210061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77A KR20210061612A (ko)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고보 조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77A KR20210061612A (ko)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고보 조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12A true KR20210061612A (ko) 2021-05-28

Family

ID=7614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377A Ceased KR20210061612A (ko)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고보 조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16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58B1 (ko) * 2021-12-28 2022-03-17 주식회사 다원 광고용 램프
KR20250080585A (ko) 2023-11-28 2025-06-05 김광수 고보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289A (ko) 2010-08-25 2012-03-06 정재훈 휴대용 빔 프로젝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289A (ko) 2010-08-25 2012-03-06 정재훈 휴대용 빔 프로젝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58B1 (ko) * 2021-12-28 2022-03-17 주식회사 다원 광고용 램프
KR20250080585A (ko) 2023-11-28 2025-06-05 김광수 고보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330B2 (en) LED projection night light
US7821569B2 (en) Converter lens attachm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for compact digital camera
US9964840B1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that provides both functions of lighting and image projection
KR20170117361A (ko) 직접 조명 방식 및 소프트 라이트 방식의 전환 가능한 촬영용 led 조명등
US20120257418A1 (en) Projection night light
US8454200B2 (en) Ring light apparatus with variable projection angle
KR20210061612A (ko) 휴대용 고보 조명기
US10309585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20060013008A1 (en) Projector desk lamp
KR20100124063A (ko) 조명용 렌즈와 이를 구비한 조명등
JP5107470B1 (ja) 電球
KR200478356Y1 (ko) Led 손전등
US5384881A (en) Multi-lens fiber optic luminaire
US20190203892A1 (en)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KR101061058B1 (ko) 휴대용 후레쉬
KR20120119476A (ko) 조명기구
CN106814529B (zh) 投影装置
JP2013093283A (ja) 照明器具
IL314201A (en) A remote for an optical sight with a light source
CN204536647U (zh) 一种双光合一激光瞄具
CN204269921U (zh) 一种双光合一光路系统及含有该光路系统的激光瞄具
CN104849865A (zh) 万花筒投影装置
CN207334605U (zh) 一种光纤透镜灯
US20200088369A1 (en) Electronically variable light beam pattern for lighting device
CN219867584U (zh) 可调光束角的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