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725A -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725A
KR20080079725A KR1020070019982A KR20070019982A KR20080079725A KR 20080079725 A KR20080079725 A KR 20080079725A KR 1020070019982 A KR1020070019982 A KR 1020070019982A KR 20070019982 A KR20070019982 A KR 20070019982A KR 20080079725 A KR20080079725 A KR 2008007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projector
projection lens
hous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철
최태석
Original Assignee
일진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일진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70019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9725A/ko
Publication of KR2008007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다양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투사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모듈레이터와, 상기 광모듈레이터의 출력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와,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를 고정 설치하고, 전면에는 투사렌즈의 일부가 노출되는 형성되는 고정 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고정 하우징의 양 측면과 전면을 둘러싸는 이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젝터

Description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MICRO PROJECTO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에 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3 및 도 4는 전면에 반사경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도 5는 도 3에 제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도 7 및 도 8은 도 6에 제시된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보다 상세하게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도.
도 15는 도 13의 A-A 방향의 단면도.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보다 상세하게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투사렌즈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오프셋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다양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투사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라는 것은 광원과 광 모듈레이터 및 투사렌즈를 이용하여 작은 이미지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확대 투사하는 전기 소자를 의미한다. 종래 프로젝터는 대체로 사무실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서 보통 사무실 중앙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거나 거취시켜서 사용된다. 프로젝터 중에서도 A4지 정도 사이즈를 갖는 소형의 것이 상용화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소형 프로젝터의 경우도 핸드폰이나 PDA와 같이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중요한 회의석상이 아니면 휴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사이즈가 신용카드 한 장보다도 작은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본원의 출원인이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젝터는 부피가 너무 작고 가볍다 보니 마이크로 프로젝터가 올려지는 선반이나 책상의 진동 등의 작은 움직임에도 마이크로 프로젝터가 일정한 투사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거취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대두된 것으로서, 부피와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소정의 각도로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 모듈레이터와, 상기 광 모듈레이터의 출력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와,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를 고정 설치하고, 전면에는 투사렌즈의 일부가 노출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고정 하우징의 양 측면과 전면을 둘러싸는 이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 시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에 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와 이를 거취하고,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이동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프로젝터(100)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와 고정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모듈레이터와, 상기 광모듈레이터의 출력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를 의미하며, 고정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를 고정 설치하고, 전면에는 투사렌즈의 일부가 노출 고정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의미한다. 하우징의 형상은 육면체가 아닌 여러 가지 형태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에 대한 구성은 일부 투사렌즈(220)을 제외하고는 고정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 하우징(200)은 우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과 회전 부재(210)와 결합하여 고정 및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의 평면도는 고정 하우징 외부에 투사 렌즈(220)가 일부 노출 형성됨을 도시한 것으로서, 정투상법에 의한 평면도는 이동 하우징(200)의 전면만이 보일 것이나, 도 1의 평면도는 이동 하우징(200)을 제거한 상태의 마이크로 프로젝터의 전면(前面)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투사 렌즈는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안고 투사 렌즈를 보호하는 보호 유리가 고정 하우징 전면에 형성되고, 보호 유리 후면에 투사 렌즈가 구비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따라서 고정 하우징 전면에 투사 렌즈의 일부가 노출된다는 의미는 고정 하우징 전면에서 육안으로 보았을 때 투사 렌즈의 일부가 식별가능하다는 넓은 의미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젝터는 내부에 전지(電池)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상용 전원이 없더라도 구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광원으로는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거나, LED 광원 또는 레이저 광원과 LED 광원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은 이동 하우징(200)의 회전 부재(210)를 축으로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시킨 후, 영상 이미지를 벽 등의 스크린(300)에 투사하는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면에 반사경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에 대한 실시도이다. 반사경(400)은 휴대 시에는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지니며, 사용 시에는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이동 하우징(200)의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상태에서 반사경(400)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 투사 렌즈(22)로부터 투사되는 영상 이미지를 후방으로 반사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전 면에 이동 하우징(200)과 이격되는 별도의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휴대 시 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사경(400)을 회전 부재(410)를 축으로 수용 공간에 수납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제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실시예도로서, 사용 시에는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이동 하우징(200)의 후방으로 최대한 빼고,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와 이동 하우징(200)을 소정 각도 구부러지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으로 영상 이미지가 투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에 제시된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의 실시예도에서는 반사경이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제시한 것에 특징이 있다. 반사경(400)은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 하우징(200)의 밑면에 고정시키고, 사용할 경우에는 반사경(400)을 전면에 설치한 후 투사 영상을 반사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반사경(400)은 이동 하우징(20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450)와 이동바(450)와 반사경(40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바(430)로 구성된다.
도 6에 제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하우징(200)의 회전 부재(210)를 축으로 마이크로 프로젝터(100)를 회전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이동 하우징(200)의 후방으로 최대한 빼고, 반사경(400)을 이동 하우징(200)에 구비된 이동홈(250)을 따라 이동시킨 후, 이동바(450)와 지지바(430)를 회전시켜 반사경(400)을 설치한 후 투사시켜 사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의 실시예도에서는 고정 하우징의 전방 좌우측면 상에 상부 이동 하우징(280)이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부 이동 하우징(280)에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결착부(410)가 구비되며, 상부 이동 하우징(280) 내면에는 반사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젝터(100)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 지지 바닥면 상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 부재(230)를 이동 하우징(200)의 외면에 회전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설치하였으며, 이동 하우징(200)은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의 좌우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고 또한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와 이동 하우징(200)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도 10의 사용 상태도는 도 9의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하나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부 이동 하우징(280)을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시키고,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의 좌우측면을 따라 이동 하우징(2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의 사용 상태도는 도 9의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하나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부 이동 하우징(280)을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에 형 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시킨 후, 다시 회전하여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에서 출사되는 영상 이미지가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마이크로 프로젝터(100)를 이동 하우징(200)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지지 부재(230)를 이동 하우징(200)에서 회전시켜 바닥면 상에 닿도록 하여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도 12의 사용 상태도는 도 9의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하나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부 이동 하우징(280)을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시키고, 이동 하우징(200)을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 좌우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지지 부재(230)를 이동 하우징(200)에서 회전시켜 바닥면 상에 닿도록 하여 단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보다 상세하게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며,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고정 하우징의 좌우측면에는 T자형 홈(1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홈(110)은 전방 또는 후방 부근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홈(110) 내부에는 나사 블럭(260)이 삽입되어 T자형 홈(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동 하우징(200)은 관통홈을 통하여 나사(210)가 삽입되고, 나사(210)와 나사 블럭(260)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과 결합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를 도 14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나사(210)를 돌려 이동 하우징(200)과 마이크로 프로젝터 사이를 자유롭게 한 후, 이동 하우징(200)을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100)에 형성된 T자형 나사홈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나사(210)를 체결함으로써 도 14와 같이 고정되어,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전방 부위가 이동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보다 상세하게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며,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의 마이크로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고정 하우징의 좌우측면에는 T자형 홈(1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홈(110)은 전방 또는 후방 부근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를 도 17과 같은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나사(210)를 돌려 이동 하우징(200)과 마이크로 프로젝터 사이를 자유롭게 한 후, 이동 하우징(200)을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고정 하우징(100)에 형성된 T자형 나사홈을 따라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나사(210)를 체결함으로써, 도 17과 같은 고정 상태가 되고, 마이크로 프로젝 터(100)와 이동 하우징(100)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고정되게 된다. 또한 반사경(400)을 외부로 회전 돌출시킴으로써 마이크로 프로젝터(100)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이미지가 바닥면 상에 투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제안된 이동 하우징(200)을 열전도성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동)로 형성할 경우 마이크로 프로젝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으로서 작동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구부린 후 전면에 투사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400)을 이용하여 반사시킨 후 바닥면 또는 후면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어느 경우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렌즈에 오프셋을 주어 투사렌즈를 수평 지시선(221)에 의해 상하로 이등분할 경우 윗쪽 영역 중 일부 영역(510)을 통해서만 투사하도록 하여야 한다. 오프셋을 주지 않을 경우에는 투사 렌즈 전체를 이용하여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므로 투사 렌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은 형태로 조사시키려면 오프셋을 인가하여 도 18과 같이 투사렌즈의 상부 혹은 하부 영역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통상적인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투사렌즈보다 직경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즉, 오프셋을 적용할 경우 투사렌즈의 절반만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투사렌즈(220)에서 투사된 광이 전면 반사 경(400)에 의해 반사된 후 바닥면(300)에 투사되는 경우를 살펴 보면, 투사렌즈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이미지는 소정의 오프셋(offset)을 가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오프셋(offset)이란 광의 중심축이 일정 거리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도 19는 오프셋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의 예시도에서 마이크로 프로젝터(100)의 투사렌즈(220)는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수직 중심선상에 놓여지고, 표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은 실질적으로 투사 렌즈가 설치되는 위치와도 거의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투사렌즈로부터 반사경(400)까지의 거리는 "L"로 정의하며, 상기 투사렌즈의 수직중심선과 고정 하우징의 우측 외곽부 사이의 수평 거리를 "T/2"라 하고, 투사렌즈로부터 방사되는 투사 영상은 화각 "θ1"을 구비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투사렌즈로부터 방사된 투사 영상 중에서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곽부에 가장 가깝게 반사되는 투사 영상과 상기 투사렌즈의 수직 중심선과 이루는 각도를 "θ1"이라고 가정한다.
그런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 a 지점에 입사되는 영상 이미지는 수직으로 반사경과 맞닿게 되므로 수직으로 반사되어 바닥면(300)에 투사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사렌즈에서 투사되는 광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400)의 a'-b' 사이 영역으로 오프셋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반사경의 a 지점에 도달하여야 하는 투사 영상은 a' 지점에 도달하도록 투사 영상 이미지가 θ2의 각도만큼의 오프셋을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때 필요한 오프셋(%)은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offset (%) = ( 1 + aa'/ab ) * 100
도 19에서 tanθ1 및 tanθ2는 각각 수학식 2 및 수학식 3로 표시할 수 있다.
ab = tanθ1 * L
aa' = tanθ2 * L
수학식 3은 수학식 4로 유도된다.
T = 2 * L * tanθ2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수학식 1에 대입하면, 수학식 5가 유도되고, 수학식 5에서 tanθ2 대신에 수학식 4에서 유도된 값을 대입하면 수학식 6이 유도된다.
최소 요구 Offset(%) = [ 1 + (tanθ2)/(tanθ1) ] * 100
최소 요구 Offset(%) = [ 1 + T/(2*L) * tanθ1 ] * 100
수학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소 요구 오프셋은 화각 θ1 과 투사렌즈로부터 반사경까지의 거리 L과 투사렌즈로부터 하우징의 우측 모서리까지의 수평거리 T의 함수로 구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6에 따른 최소 요구 오프셋 또는 이보다 큰 오프셋을 갖도록 투사렌즈를 설계할 경우 하우징의 외곽에 의해 왜곡되는 투사 영상이 없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오프셋이 커질수록 광축을 이동시키는 정도가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투사렌즈 크기도 증가시켜야 하는데, 수학식 6에 따라 최소 요구 offset를 손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투사렌즈 크기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투사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부피와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 프로젝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동 하우징 부재를 열전도성이 좋은 부재로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 프로젝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식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 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15)

  1.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 모듈레이터와, 상기 광 모듈레이터의 출력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와,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를 고정 설치하고, 전면에는 투사렌즈의 일부가 노출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고정 하우징의 양 측면과 전면을 둘러싸는 이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양쪽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은 회전 부재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전면 내측에는 상기 고정 하우징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반사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은 열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 내부에는 사기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지(電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는 레이저 광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 터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는 LED 광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T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T자형 가이드 홈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은 투사렌즈가 구비되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의 전면부 를 둘러싸는 상부 이동 하우징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의 좌우 측면을 둘러싸는 나머지 이동 하우징으로 분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 하우징의 내측면에서는 반사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이동 하우징의 외면에 회전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14.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 모듈레이터와, 상기 광 모듈레이터의 출력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와,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를 고정 설치하고, 전면에는 투사렌즈의 일부가 노출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투사렌즈를 수평으로 이등분하였을 때, 상기 이등분된 투사렌즈 중에서 상부 영역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15.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광 모듈레이터와, 상기 광 모듈레이터의 출력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와,
    내부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젝터 소자를 고정 설치하고, 전면에는 투사렌즈의 일부가 노출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투사렌즈 전면에 구비되는 반사경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경과 투사렌즈 사이의 거리를 "L"이라 하고, 상기 투사렌즈의 수직중심선과 고정 하우징의 외곽부 사이의 수평 거리를 "T/2"라 하고, 투사렌즈로부터 방사되는 투사 영상의 화각이 "θ1"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투사렌즈로부터 방사되는 영상 이미지는
    offset (%) = ( 1 + T/(2*L) * tan(θ1) ) * 100
    으로 계산되는 오프셋(%) 또는 이보다 큰 값의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KR1020070019982A 2007-02-28 2007-02-28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KR20080079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982A KR20080079725A (ko) 2007-02-28 2007-02-28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982A KR20080079725A (ko) 2007-02-28 2007-02-28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725A true KR20080079725A (ko) 2008-09-02

Family

ID=4002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982A KR20080079725A (ko) 2007-02-28 2007-02-28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97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65B1 (ko) * 2010-08-25 2012-04-23 정재훈 휴대용 빔 프로젝터
WO2014107728A1 (en) * 2013-01-07 2014-07-10 Bem Wireless Llc Apparatus for projection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65B1 (ko) * 2010-08-25 2012-04-23 정재훈 휴대용 빔 프로젝터
WO2014107728A1 (en) * 2013-01-07 2014-07-10 Bem Wireless Llc Apparatus for projection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9389494B2 (en) 2013-01-07 2016-07-12 Bem Wireless Llc Apparatus for projection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6490A1 (en) Image projection device and image projection method
US20110188008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EP3855248A1 (en)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lens
TW200304328A (en) Rear surface projector
US9052087B2 (en) Display and projection device
EP2461593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apparatus
CN105319810A (zh) 镜头调整模块及投影机
US8985784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micro projector using the same
JP2018124311A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2011158523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20070206124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KR20160019193A (ko)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58522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20080079725A (ko) 마이크로 프로젝터 장치
WO2013054427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9014962A (ja) 画像表示装置
JPWO2018139430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549415B2 (ja) 画像投影装置
JP2010122466A (ja)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426797Y1 (ko) 투사장치를 가진 노트북 컴퓨터
EP2653921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US884025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20133909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6391269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4205686A (ja) プロジェクタ用筐体及びこの筐体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