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422B1 -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422B1
KR102520422B1 KR1020200159253A KR20200159253A KR102520422B1 KR 102520422 B1 KR102520422 B1 KR 102520422B1 KR 1020200159253 A KR1020200159253 A KR 1020200159253A KR 20200159253 A KR20200159253 A KR 20200159253A KR 102520422 B1 KR102520422 B1 KR 102520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bo
holder
coupled
portable lanter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763A (ko
Inventor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임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빈 filed Critical 임효빈
Priority to KR102020015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4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랜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용 랜턴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을 이용하여 고보(Gobo)상에 형성된 문자나 사진 등의 이미지를 스크린상에 확대하여 투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식 고보 투사장치와는 달리 장소에 관계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미 만들어진 통상적인 고보 대신 고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름에 사용자가 즉석에서 문자나 이미지를 마킹(marking)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보 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을 외부에서 끼워 삽입하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의 돌출된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휴대용 랜턴에 내장된 엘이디(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중심쪽으로 모아 앞쪽으로 보내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집광렌즈가 끼워져 결합된 원통형상의 제1렌즈홀더와; 상기 제1렌즈홀더의 선단부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커플러(coupler)와; 상기 커플러의 선단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뒷부분 상부로부터 아랫쪽으로는 고보끼움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보홀더와;상기 고보홀더상의 고보끼움부에 끼워져 삽입되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 또는 고보와; 상기 고보홀더의 선단부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이나 고보를 통과한 빛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상을 외부의 스크린상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 투사렌즈가 끼워져 결합된 제2렌즈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Detachable gobo projector using portable lantern}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랜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용 랜턴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을 이용하여 고보(Gobo)상에 형성된 문자나 사진 등의 이미지를 스크린상에 확대하여 투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식 고보 투사장치와는 달리 장소에 관계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미 만들어진 통상적인 고보 대신 고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름에 사용자가 즉석에서 문자나 이미지를 마킹(marking)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보 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을 외부에서 끼워 삽입하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보 투사장치는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에 광이 투과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미지가 형성된 유리판에 엘이디(LED)광을 투사함으로써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면 또는 천장이나 별도로 마련되는 스크린상에 비추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고보 투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기기에 전원을 연결하고, 미리 정해진 홍보하고자 하는 내용의 이미지가 형성된 고보에 조명빛을 통과시켜 원하는 내용의 이미지가 확대되어 투사되도록 하는 것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고보 투사장치는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즉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조명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원하는 내용의 이미지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고보 투사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고보 투사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9289호가 제안되었는바, 상기 관련기술에서는 양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프로젝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9289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용 랜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용 랜턴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을 이용하여 고보(Gobo)상에 형성된 문자나 사진 등의 이미지를 스크린상에 확대하여 투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식 고보 투사장치와는 달리 장소에 관계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 만들어진 통상적인 고보 대신 고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름에 사용자가 즉석에서 문자나 이미지를 마킹(marking)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보나 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을 외부에서 끼워 삽입하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랜턴의 돌출된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휴대용 랜턴에 내장된 엘이디(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중심쪽으로 모아 앞쪽으로 보내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집광렌즈가 끼워져 결합된 원통형상의 제1렌즈홀더와; 상기 제1렌즈홀더의 선단부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커플러(coupler)와; 상기 커플러의 선단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뒷부분 상부로부터 아랫쪽으로는 고보끼움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보홀더와;상기 고보홀더상의 고보끼움부에 끼워져 삽입되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 또는 고보와; 상기 고보홀더의 선단부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이나 고보를 통과한 빛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상을 외부의 스크린상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 투사렌즈가 끼워져 결합된 제2렌즈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용 랜턴의 돌출된 선단부의 외주면과 제1렌즈홀더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호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홀더의 선단부 내주면과 커플러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호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의 내주면과 고보홀더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호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보홀더의 내주면과 제2렌즈홀더의 외주면에는 상호 착탈가능한 결합 및 투사렌즈의 촛점거리조절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보홀더의 상부에는 고보끼움부에 삽입된 고보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가 전후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덮개는 고보홀더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만곡진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뒷부분 양쪽 내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는 걸림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덮개의 이동범위에 해당되는 고보홀더의 외측 둘레면에는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보홀더상의 고보끼움부는 커플러가 결합되는 고보홀더 의 뒷부분 외주면상의 나사부 앞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고보홀더와 커플러와의 나사결합상태를 일정 피치 만큼 해제하면 고보끼움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고보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렌즈홀더의 후단에는 휴대용 랜턴이 결합되는 대신에 별도의 엔드캡(end cap)이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엔드캡의 내측 중심부에는 회로기판을 매개로 엘이디가 설치되고, 상기 엔드캡의 바깥면에는 별도의 외부배터리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DC잭을 통하여 엘이디가 설치된 회로기판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엔드캡의 바깥면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중심쪽을 향하여 "ㄱ'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편과; 상기 엔드캡상의 제1결합편과 마주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외부배터리 바깥면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외측을 향하여 "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편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결합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엔드캡의 외측 둘레면에는 엘이디가 실장된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배터리와 연결된 DC잭이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DC잭 접속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보 투사장치가 휴대용 랜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용 랜턴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에 의하여 고보(Gobo)상에 형성된 문자나 사진 등의 이미지가 스크린상에 확대되어 투사되기 때문에 기존의 고정식 고보 투사장치와는 달리 장소에 관계없이 광고, 이벤트, 콘서트 등의 각종 행사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미 만들어진 통상적인 고보 대신 고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름에 사용자가 즉석에서 문자나 이미지를 마킹(marking)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보 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을 외부에서 끼워 삽입하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 되며, 외부로부터 고보를 끼워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덮개로 고보홀더상의 고보끼움부를 덮어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에서 고보홀더의 상부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휴대용 랜턴에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가 휴대용 랜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에서 고보끼움부가 고보홀더 뒷부분의 나사부상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1렌즈홀더의 뒷부분에 휴대용 랜턴 대신에 엘이디가 내장된 엔드캡이 결합되고, 엔드캡에는 외부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10)는 내부에 배터리(B)가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B)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조명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22)가 설치되는 휴대용 랜턴(20)의 돌출된 선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광고나 이벤트 또는 콘서트 같은 각종 행사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휴대용 랜턴(20)의 돌출된 선단부에는 원통형상의 제1렌즈홀더(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1렌즈홀더(30)의 내부에는 휴대용 랜턴(20)에 내장된 엘이디(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중심쪽으로 모아 앞쪽으로 보내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집광렌즈(31)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 상기 휴대용 랜턴(20)의 돌출된 선단부의 외주면과 제1렌즈홀더(30)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랜턴(20)의 돌출된 선단부의 외주면과 제1렌즈홀더(30)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21)(32)가 형성되도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1렌즈홀더(30)의 선단부 내측에는 링형상의 커플러(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1렌즈홀더(30)의 선단부 내주면과 커플러(40)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호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한 나사부(32)(4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플러(40)의 선단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고보홀더(5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고보홀더(50)의 뒷부분 상부로부터 아랫쪽으로는 고보끼움부(53)가 형성되고, 상기 고보홀더(50)상의 고보끼움부(53)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 또는 고보(60)가 끼워져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40)의 내주면과 고보홀더(50)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호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한 나사부(42)(5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보홀더(50)의 선단부 내부에는 제2렌즈홀더(7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제2렌즈홀더(70)의 내부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이나 고보(60)를 통과한 빛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상을 외부의 스크린(S)상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 투사렌즈(7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고보홀더(50)의 내주면과 제2렌즈홀더(70)의 외주면에는 상호 착탈가능한 결합 및 투사렌즈(71)의 촛점거리조절을 위한 나사부(52)(7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고보홀더(50)의 상부에는 고보끼움부(53)에 삽입된 고보(6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80)가 전후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덮개(80)는 고보홀더(5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만곡진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80)의 뒷부분 양쪽 내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는 걸림돌기(81)가 돌출되는 한편, 상기 덮개(80)의 이동범위에 해당되는 고보홀더(50)의 외측 둘레면에는 덮개(80)상의 걸림돌기(81)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홈(54)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보홀더(50)상의 고보끼움부(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40)가 결합되는 고보홀더(50)의 뒷부분 외주면상의 나사부 (51) 앞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고보홀더(50)와 커플러(40)와의 나사결합상태를 일정 피치 만큼 해제하면 고보끼움부(53)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고보(6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고보(60)를 교체하여 끼운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일정 피치 만큼 나사결합하면 고보끼움부(53)에 끼워진 고보(60)가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렌즈홀더(30)의 후단에는 휴대용 랜턴이 결합되는 대신에 별도의 엔드캡(end cap: 90)이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드캡(90)의 내측 중심부에는 회로기판(91)을 매개로 엘이디(92)가 설치되고, 상기 엔드캡(90)의 바깥면에는 별도의 외부배터리(93)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결합부재(100)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로기판(91)에는 외부배터리(93)와 연결된 DC잭(94)을 통하여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한 엔드캡(90)과 외부배터리(93)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00)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엔드캡(90)의 바깥면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중심쪽으로 "ㄱ'형의 제1결합편(10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엔드캡(90)상의 제1결합편(101)과 마주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외부배터리(93) 바깥면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는 "ㄴ"형의 제2결합편(10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엔드캡(90)의 외측 둘레면에는 엘이디(92)가 실장된 회로기판(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DC잭 접속공(95)이 형성되어 외부배터리(93)와 연결된 DC잭(94)이 DC잭 접속공(95)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10)를 이용하여 고보(60)에 형성된 이미지를 투사하고자 하는 경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고보홀더(80)의 상부면에 덮여진 덮개(80)를 앞쪽으로 밀거나 또는 고보홀더(50)와 커플러(40)의 나사결합상태를 일정 피치 만큼 해제시켜 고보끼움부(53)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윗쪽으로부터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이나 고보(60)를 고보끼움부(53)에 끼워 삽입하고, 다시 덮개(80)를 뒷쪽으로 밀어 이동시켜 고보끼움부(53(를 덮어주거나 또는 고보홀더(50)를 커플러(40)에 원래대로 나사결합하여 고보끼움부(53)가 커플러(40)에 의하여 덮어 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휴대용 랜턴(20)을 점등시키면, 상기 휴대용 랜턴(20)의 내부에 설치된 엘이디(22)로부터 발생된 조명빛이 제1렌즈홀더(30)의 내부를 통하여 앞쪽으로 조사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1렌즈홀더(3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집광렌즈(31)에 의하여 중심쪽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집광렌즈(31)에 의하여 중심쪽으로 모아진 상태로 커플러(40)의 내부를 통과한 조명빛은 고보홀더(50)상의 고보끼움부(53)에 끼워진 이미지 마킹된 필름이나 고보(60)를 통과하여 조사되는데, 이 때 필름이나 고보(60)에 형성된 이미지가 조명빛과 함께 앞쪽으로 투사된다.
이와 같이 빛과 함께 투사된 고보(60)상의 이미지는 제2렌즈홀더(7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투사렌즈(71)을 통하여 확산된 상태로 외부의 스크린(S)상에 투사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렌즈홀더(70)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보홀더(50)의 선단부 내측에 나사결합된 제2렌즈홀더(70)가 나사부(72)의 피치만큼 고보홀더의 내외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고보(60)와 투사렌즈(7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투사렌즈(71)의 촛점거리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S)상에 투사되는 고보이미지의 선명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홀더(30)의 뒷부분에 엘이디(92)가 내장된 엔드캡(90)이 결합되고, 엔드캡(90)의 바깥면에 외부배터리(93)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엘이디(92)가 실장된 회로기판(91)과 외부배터리(93)가 DC잭(9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엘이디(92)를 점등시키면 조명빛이 제1렌즈홀더(30)의 내부를 통하여 앞쪽으로 조사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1렌즈홀더(3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집광렌즈(31)에 의하여 중심쪽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집광렌즈(31)에 의하여 중심쪽으로 모아진 상태로 커플러(40)의 내부를 통과한 조명빛은 고보홀더(50)상의 고보끼움부(53)에 끼워진 이미지 마킹된 필름이나 고보(60)를 통과하여 조사되는데, 이 때 필름이나 고보(60)에 형성된 이미지가 조명빛과 함께 앞쪽으로 투사된다.
이와 같이 빛과 함께 투사된 고보(60)상의 이미지는 제2렌즈홀더(7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투사렌즈(71)을 통하여 확산된 상태로 외부의 스크린(S)상에 투사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렌즈홀더(70)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보홀더(50)의 선단부 내측에 나사결합된 제2렌즈홀더(70)가 나사부(72)의 피치만큼 고보홀더의 내외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고보(60)와 투사렌즈(7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투사렌즈(71)의 촛점거리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S)상에 투사되는 고보이미지의 선명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고보 투사장치(10)가 휴대용 랜턴(20)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용 랜턴(20)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에 의하여 고보(60)상에 형성된 문자나 사진 등의 이미지가 스크린상에 확대되어 투사되기 때문에 기존의 고정식 고보 투사장치와는 달리 장소에 관계없이 광고, 이벤트, 콘서트 등의 각종 행사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미 만들어진 통상적인 고보 대신 고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필름에 사용자가 즉석에서 문자나 이미지를 마킹(marking)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보(60) 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을 외부에서 끼워 삽입하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외부로부터 고보를 끼워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덮개(80)로 고보홀더(50)상의 고보끼움부(53)를 덮어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10 :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20 : 휴대용 랜턴 21,32,41,42,51,52,72 : 나사부
22,92 : LED 30 : 제1렌즈홀더
31 : 집광렌즈 40 : 커플러(coupler)
50 : 고보홀더 53 : 고보끼움부
54 : 가이드홈 60 : 고보(이미지 마킹된 필름)
70 : 제2렌즈홀더 71 : 투사렌즈
80 : 덮개 81 : 걸림돌기
90 : 엔드캡(end cap) 91 : 회로기판
93 : 외부배터리 94 : DC잭
95 : DC잭 접속공 100 : 결합부재
101 : 제1결합편 102 : 제2결합편
B : 배터리.

Claims (6)

  1. 휴대용 랜턴(20)의 돌출된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휴대용 랜턴(20)에 내장된 엘이디(LED: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중심쪽으로 모아 앞쪽으로 보내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집광렌즈(31)가 끼워져 결합된 원통형상의 제1렌즈홀더(30)와; 상기 제1렌즈홀더(30)의 선단부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커플러(coupler:40)와; 상기 커플러(40)의 선단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뒷부분 상부로부터 아랫쪽으로는 고보끼움부(53)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보홀더(50)와; 상기 고보홀더(50)상의 고보끼움부(53)에 끼워져 삽입되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 또는 고보(60)와; 상기 고보홀더(50)의 선단부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는 이미지가 마킹된 필름이나 고보(60)를 통과한 빛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상을 외부의 스크린(S)상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 투사렌즈(71)가 끼워져 결합된 제2렌즈홀더(70)를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보홀더(50)의 상부에는 고보끼움부(53)에 삽입된 고보(6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80)가 전후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덮개(80)는 고보홀더(5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만곡진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80)의 뒷부분 양쪽 내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는 걸림돌기(81)가 돌출되며;
    상기 덮개(80)의 이동범위에 해당되는 고보홀더(50)의 외측 둘레면에는 덮개(80)상의 걸림돌기(81)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가이드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보홀더(50)상의 고보끼움부(53)는 커플러(40)가 결합되는 고보홀더(50)의 뒷부분 외주면상의 나사부(51) 앞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고보홀더(50)와 커플러(40)와의 나사결합상태를 일정 피치 만큼 해제하면 고보끼움부(53)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고보(6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159253A 2020-11-24 2020-11-24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KR10252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53A KR102520422B1 (ko) 2020-11-24 2020-11-24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53A KR102520422B1 (ko) 2020-11-24 2020-11-24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63A KR20220071763A (ko) 2022-05-31
KR102520422B1 true KR102520422B1 (ko) 2023-04-10

Family

ID=8178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253A KR102520422B1 (ko) 2020-11-24 2020-11-24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4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64Y1 (ko) * 2003-11-05 2004-01-24 이인희 다용도 조립식 조명 기기
KR101951331B1 (ko) * 2018-10-19 2019-02-22 박기철 손전등형 로고라이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65B1 (ko) 2010-08-25 2012-04-23 정재훈 휴대용 빔 프로젝터
KR20150049802A (ko) * 2013-10-31 2015-05-08 성홍석 전원 모듈 교체형 휴대용 전등
KR20180110394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테크웍스플러스 이미지 홀더를 구비한 휴대용 랜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64Y1 (ko) * 2003-11-05 2004-01-24 이인희 다용도 조립식 조명 기기
KR101951331B1 (ko) * 2018-10-19 2019-02-22 박기철 손전등형 로고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63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3209A1 (en) Electrical lamp apparatus
US7246925B2 (en) Light modifier and lamp assembly
EP0355143B1 (en) Lighting unit
JP6341638B2 (ja) 照明装置
KR102520422B1 (ko) 휴대용 랜턴을 이용한 착탈식 고보 투사장치
WO1999010772A1 (fr) Flash
EP3543761A1 (en) Device for condensing and changing light of mobile phone
US7736074B2 (en) Cartridge type attachment lens for a digital camera
CN217684826U (zh) 调焦聚光灯系统
US8891954B1 (en) Light focusing device
US3543746A (en) Endoscop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system
TWI533074B (zh) Photography lights
US10371922B2 (en) Optical apparatus
US3728536A (en) Photographic lighting unit
JP3243551U (ja) 画像投影機能付き提灯
RU223972U1 (ru) Проекционная насадка
JPH0676602A (ja) 撮影用照明器
RU221252U1 (ru) Проекционная насадка на фонарь
CN213957818U (zh) 射灯投影元件
KR101803835B1 (ko) 휴대전화 조명용 집광장치
US2735336A (en) Bersudsky
FR2374662A1 (fr) Lecteur de microfiche
US6450650B1 (en) Projector with image source from objects
JP3105583U (ja) 影無しカメラ
JP3076483U (ja) 投影型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