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890Y1 - 유희용 상품 자판기 - Google Patents

유희용 상품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890Y1
KR200387890Y1 KR20-2005-0010317U KR20050010317U KR200387890Y1 KR 200387890 Y1 KR200387890 Y1 KR 200387890Y1 KR 20050010317 U KR20050010317 U KR 20050010317U KR 200387890 Y1 KR200387890 Y1 KR 200387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main body
psychedelic
entertainm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성
Original Assignee
조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성 filed Critical 조현성
Priority to KR20-2005-0010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상품을 인출하면서 조명장치, 버블 발생기 등을 구비하여 노래방 등의 유흥업소에서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나 시각적으로 보다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노래방 등의 유흥업소에서 노래를 즐길 경우 청각적인 즐거움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보다 더 환상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흥미유발을 위한 상품 인출시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즉석에서 상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더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오락으로서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유희용 상품 자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희용 상품 자판기{Play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유희용 상품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상품을 인출할 수 있고 노래방기기의 음악과 연계적으로 작동하는 조명장치, 버블 발생기 등의 주변기기를 구비하여 노래방 등의 유흥업소에서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나 시각적으로 보다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적당한 휴식을 취하는 방법으로 노래방 등의 유흥업소에서 노래를 마음껏 부르는 방법을 많이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점에서 유흥업소, 특히 노래방은 남녀노소를 불문한 여흥 공간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보통 노래방의 경우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때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간단한 조명이 별도로 연결되어 있거나, 노래가 끝나서 노래점수가 디스플레이될 때 빵빠레 음악이 나오는 정도이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단조로운 분위기가 유도되는 등 보다 만족스럽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노래방 등을 이용하다 보면 흥미유발을 위하여 각종 상품을 인출할 수 있는 자판기를 이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자판기는 대부분 실외의 모퉁이나 업소 내의 한쪽 구석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판기의 상품을 인출하려면 노래를 부르거나 노래를 부르고 난 후 휴식을 취할 때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상품을 인출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노래방의 이용이나 자판기의 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충분한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유희수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노래방 등의 유흥업소에서 노래를 즐길 경우 청각적인 즐거움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보다 더 환상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흥미유발을 위한 상품 인출시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즉석에서 상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더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오락으로서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유희용 상품 자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부에 스테이지 조명이 갖추어져 있으며 일정높이를 갖는 수직의 자판기 프레임과, 상기 자판기 프레임의 하부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면에는 지폐 투입구 및 상품 배출구와 디스플레이창이 갖추어져 있으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금액의 투입에 따른 상품의 배출과 주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자판기 본체와, 상기 자판기 프레임의 상부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자판기 본체측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가능한 사이키 조명과, 상기 자판기 프레임의 상단부 전면에 상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설치되고 자판기 본체측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가능한 레이저 조명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판기 본체는 노래방기기의 음악과 주변기기의 작동이 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노래방기기의 음향을 감지하는 콘덴서 마이크의 신호를 입력받아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판기 본체는 콘덴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음향의 진폭에 따라 주변기기들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판기 본체는 제어가 가능하고 상부에 거치할 수 있는 버블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키 조명은 사각 형태의 메인 사이키 조명과 이것의 양측면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태의 적어도 4개의 서브 사이키 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명은 자판기 프레임상에 잠금/해제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브라켓과, 상기 제 1브라켓의 선단부에 그 중심이 고정되고 양옆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나란한 2개의 지지부를 갖는 제 2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각 브라켓이 갖는 레버의 조작을 통해 상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희용 상품 자판기는 크게 상품의 제공을 위한 자판기 본체(15)와 이것을 지지하기 위한 자판기 프레임(11)으로 구성되고, 자판기 본체(15)에 의한 제어를 받아 동작되는 각종 주변기기, 예를 들면 스테이지 조명(10), 사이키 조명(16), 레이저 조명(17), 버블 발생기(18) 등을 포함한다.
상품의 제공은 자판기 본체(15)에 투입되는 금액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품의 종류로는 상품권, 악세서리, 캐릭터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들은 자판기 본체(15)에 투입되는 금액에 상응하는 해당 시간동안 동작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노래방기기의 음악과 연계적으로 동작되면서 조명의 밝기나 점멸횟수 등이 자판기 본체(15)의 제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유희용 상품 자판기는 노래방, 룸싸롱, 단람주점 등의 유흥업소에 보조장비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보다 더 즐거운 분위기 하에서 노래 등의 건전한 유희를 즐길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각 구성부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판기 프레임(11)은 하단의 받침틀과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는 2개의 나란한 포스트가 조합된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부의 받침틀 내에는 자판기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기본적으로 불이 켜지게 되는 스테이지 조명(10)이 설치되고, 그 윗쪽으로 자판기 본체(15), 사이키 조명(16), 레이저 조명(17)이 차례로 배치되면서 프레임 전면에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자판기 본체(15)와 사이키 조명(16)은 프레임상에 그 후면이 체결되는 구조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조명(17)은 후술하는 브라켓에 의해 자세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자판기 프레임(11)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주변기기들은 위의 배치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배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자판기 프레임(11)의 포스트는 상단부 일부 길이가 분리형 구조, 예를 들면 포스트를 구성하는 사각튜브의 규격을 달리하여 상단부 일부 길이가 하단부 내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인출을 가능하게 하며 고정은 별도의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포스트 전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판기가 설치되는 장소나 공간의 여건에 따라 자판기 프레임(11)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자판기 본체(15)는 투입되는 금액에 의해 상품을 배출하고, 또 주변기기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부분으로서, 대략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에는 지폐의 투입을 위한 지폐투입구(12), 상품의 배출을 위한 상품배출구(13), 금액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창(14)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자판기 본체(15)는 내부 점검이나 프로그램 설정 변경 등을 위하여 전면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전면 일측의 열쇠구멍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폐투입구(12)의 경우 지폐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상품배출구(13) 역시 캐릭터나 악세사리 등 다양한 상품을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지폐의 투입과 상품권의 배출을 위한 길다란 사각홀 형태의 투입구와 배출구를 제공한다.
또한, 지폐의 투입에 상응하는 상품의 배출을 위한 지폐의 인식이나 해당 상품의 배출방법 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자판기 본체(15)는 후면을 이용하여 자판기 프레임(11)의 전면에 보통의 볼트체결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자판기 본체(15)는 금액이 투입된 후 설정금액에 도달되면 상품권을 배출하는 한편, 일정시간 동안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한 컨트롤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00원, 5,000원, 10,000원 짜리 지폐를 투입하면 디스플레이창(14)에 해당 금액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시간, 즉 1,000에 10분이 표시되고, 3,000원을 투입하여 시간이 30분이 됐을 때 자동으로 상품권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금액과 시간은 자판기 본체(15)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딥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프로그램 설정만 변경하면 자유롭게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시간의 경우 1,000원에 10분, 15분, 20분 등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품권의 경우에도 1,000원, 2,000원, 3,000원 등에도 배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자판기 본체(15)에 의한 주변기기의 제어는 금액의 투입에 의해 표시되는 시간 동안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노래방기기의 음악과 연계시켜 주변기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자판기 본체(15)의 일측과 사이키 조명(16)의 일측에 각각 노래방기기의 음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예를 들면 콘덴서 마이크(22a),(22b)를 장착하고, 이 콘덴서 마이크(22a),(22b)의 신호가 컨트롤러에 입력되면 컨트롤러(CPU)의 출력 제어에 의해 각 주변기기, 즉 사이키 조명, 레이저 조명, 버블 발생기로 제공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방식으로 주변기기의 동작과 노래방기기의 작동이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판기 본체(15)측의 콘덴서 마이크(22b)는 음향의 입력여부만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사이키 조명(16)측의 콘덴서 마이크(22a)는 음향의 높고 낮음을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판기 본체(15)에 금액이 투입되면 해당 시간 동안 자체적으로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 있거나, 또 노래방기기의 음악이 나오지 않으면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디스플레이창에 시간이 표시되면 자동으로 카운터되면서 시간이 줄어들고 시간 안에 음악이 나오면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창에 시간이 남아 있어도 음악이 나오지 않으면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투입에 따라 자판기 본체(15)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아래쪽 콘덴서 마이크(22b)에 의해 음향(노래방기기에서 나오는 음악)의 유무를 감지한다.
음향이 감지되면 이때의 신호는 컨트롤러에 입력되면서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여건이 확보되고, 음향이 감지되지 않으면 주변기기로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윗쪽 콘덴서 마이크(22a)의 감지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신호가 없으면 앞단계로 되돌아가고, 신호가 있으면, 컨트롤러에서 이때의 신호를 입력받아 높고 낮음을 판단한다(예를 들면 주파수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 주파수 이상인 경우 주변기기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컨트롤러에 의해 음향의 높고 낮음이 판정되면 스테이지 조명, 사이키 조명, 레이져 조명, 버블 발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창에 시간이 남아 있으면 주변기기들에 대한 제어는 계속되고, 표시되는 시간이 "0"인 경우에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은 OFF된다.
이와 같은 주변기기와 노래방기기의 연계적인 작동 및 콘덴서 마이크에 의한 음향의 고저를 감지하는 작동 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업으로 당업자에 의해 컨트롤러가 갖는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판기 본체(15)는 콘덴서 마이크(22a),(22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음향의 진폭에 따라 주변기기들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래방기기에서 나오는 음악이 고음인 경우 2개의 사이키 조명 중에서 어느 1개에 한두번씩 전원을 공급하여 사이키 조명 효과에 차별화를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자판기 본체(15)는 디스플레이창(14)에 표시되는 시간 동안 방울을 배출할 수 있는 버블 발생기(18)를 포함한다.
이러한 버블 발생기(18)는 자판기 본체(15)의 상부에 거치되며, 자판기 본체(15)측과 연결되어 제어를 받아 작동된다.
예를 들면, 자판기 본체(15)에 금액이 투입되면 곧바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해당 시간 동안 연속해서 방울을 배출하거나, 또는 음악이 나온 후 일정시간 동안, 예를 들면 10초 동안 방울을 배출하고 시간 경과 후 전원이 차단과 동시에 방울 배출을 중지했다가 음악이 꺼진 다음 다시 음악이 나오면 재차 10초 동안 방울을 배출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블 발생기(18)의 다양한 작동방식은 딥스위치를 조작하여 자판기 본체(15)가 갖는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때의 분위기 조성을 위한 주변기기로서의 사이키 조명(16)은 소정의 사각 본체로 이루어진 메인 사이키 조명(16a)과, 이 메인 사이키 조명(16b)의 양옆에 부착되는 원통 형태의 적어도 4개의 서브 사이키 조명(16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이키 조명(16)은 메인 사이키 조명(16a)의 후면을 이용하여 자판기 프레임(11)의 전면에 자판기 본체(15)의 설치구조와 마찬가지로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자판기 본체(15)측과 배선되어 있어서 점멸횟수나 선택적인 점멸 등 그 제어를 받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메인 사이키 조명(16a)의 경우 자판기 본체(15)측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는 연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서브 사이키 조명(16b)의 경우 점등/점멸을 반복하거나, 또는 음의 진동대소에 따라 고음이 나올 경우 한두번씩 전원이 단속적으로 공급되면서 간헐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키 조명(16)의 여러 작동들은 자판기 본체(15)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딥스위치 조작에 따른 프로그램의 설명에 의해 미리 세팅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주변기기로서의 레이저 조명(17)은 자판기 프레임(11)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레이저 조명(17)의 경우 다른 주변기기들과 마찬가지로 자판기 본체(15)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그 작동방식 또한 자판기 본체(15)가 갖는 설정 프로그램에 의해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레이저 조명(17)은 높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자판기 프레임(11)상에 잠금/해제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브라켓(19)과, 상기 제 1브라켓(19)의 선단부에 그 중심이 고정되고 양옆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나란한 2개의 지지부를 갖는 제 2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어 각 브라켓이 갖는 레버(21a),(21b)의 조작을 통해 상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 1브라켓(19)의 후면쪽 자판기 프레임(11)측 레버(21a)를 풀고 조이는 방법으로 레이저 조명(17)을 포함하는 브라켓 전체의 높이를 자판기 프레임(11)상에서 위아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제 2브라켓(20)의 양옆쪽 레이저 조명 본체측 레버(21b)를 풀고 조이는 방법으로 레이저 조명(17)의 위아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천정쪽으로 높이거나 바닥쪽으로 숙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자판기 본체측에서 연장되는 전원 코드의 연결을 마친 상태에서 자판기 본체의 지폐 투입구에 지폐를 투입한다(S100).
1,000원짜리 지폐 한장을 투입하면 디스플레이창에 10분이 표시되며, 계속 1,000원짜리 지폐를 투입하면 10분씩 시간이 더해진다.
이렇게 디스플레이창에 시간이 표시되면 자판기 본체는 가동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때부터 시간은 자동으로 카운트되면서 줄어들게 된다(S110).
계속해서, 자판기 본체에 있는 콘덴서 마이크(22a),(22b)를 통해 노래방기기로부터의 음악이 나오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0).
콘덴서 마이크(22a),(22b)의 신호가 없으면, 즉 음악이 나오고 있지 않으면 전단계로 되돌아가면서 음악 여부를 감지하고, 이때에는 디스플레이창에 시간이 남아 있어도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콘덴서 마이크(22a),(22b)의 신호가 있으면, 즉 노래방기기로부터 음악이 흘러나오면 이때부터 자판기 본체의 컨트롤러에서는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이키 조명, 레이저 조명, 버블 발생기를 작동시킨다(S130).
주변기기의 제어에 대한 일 예로서, 금액투입과 함께 디스플레이창에 시간이 표시되고 음악이 나오면 스테이지 전등, 메인 사이키 조명, 레이저 조명은 무조건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서브 사이키 조명의 경우 일정조건하에서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이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고음이 나올 경우 한두번씩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작동은 자판기 본체가 갖는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을 딥스위치로 조작하여 설정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버블 발생기의 경우 좀더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음악이 시작되고 일정시간 후(예를 들면, 10초 후)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0초 동안) 버블을 발생시키고, 다음 음악이 나올 때까지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음악이 시작되면 위의 과정이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버블의 발생은 한곡에 한번 혹은 두곡이나 세곡에 한번 정도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제어방식은 딥스위치의 조작으로 가능하다.
주변기기의 작동은 디스플레이창에 시간이 표시되는 동안, 즉 금액이 남아있는 동안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투입금액이 제로이면, 다시 말해 시간이 "0"을 나타내면(S140),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상품자판기의 가동은 중지된다.
한편, 노래방기기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상태 및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품권을 지급받아 좀더 흥미유발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투입금액과 설정금액을 비교하여 투입금액이 설정금액을 넘어섰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0).
투입금액이 설정금액 이상이면, 상품배출구를 통해 상품이 배출되고(S160). 금액이 모자라면 주변기기만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원짜리 지폐를 계속 투입하여 3,000원(30분이 표시되면)이 되면 상품은 자동으로 지급된다.
다만, 1,000원이나 2,000원을 넣은 후 디스프레이창의 카운터가 "0"이 되면 지금까지 넣은 돈은 자동으로 초기화되며, 누적금은 없는 걸로 한다.
그러므로, 1,000원이나 2,000원 등 상품권 배출금액 이하는 주변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상품권은 가져가지 못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상품의 인출이 가능하고 조명장치나 버블 발생기 등의 주변기기가 구비되며 노래방기기의 음악과 연계되면서 주변기기가 작동되도록 한 유희용 상품 자판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노래방 등의 유흥업소에서 노래를 즐길 경우 청각적인 즐거움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보다 더 환상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고, 흥미유발을 위한 상품 인출시 먼 곳에 설치된 자판기로 이동하지 않고도 즉석에서 상품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더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오락으로서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상품 자판기의 작동상태에서 노래방기기와의 연계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테이지 조명 11 : 자판기 프레임
12 : 지폐 투입구 13 : 상품 배출구
14 : 디스플레이창 15 : 자판기 본체
16 : 사이키 조명 17 : 레이저 조명
18 : 버블 발생기 19 : 제 1브라켓
20 : 제 2브라켓 21a,21b : 레버
22a,22b : 콘덴서 마이크

Claims (6)

  1. 하단부에 스테이지 조명(10)이 갖추어져 있으며 일정높이를 갖는 수직의 자판기 프레임(11);
    상기 자판기 프레임(11)의 하부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면에는 지폐 투입구(12) 및 상품 배출구(13)와 디스플레이창(14)이 갖추어져 있으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금액의 투입에 따른 상품의 배출과 주변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자판기 본체(15);
    상기 자판기 프레임(11)의 상부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자판기 본체(15)측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가능한 사이키 조명(16);
    상기 자판기 프레임(11)의 상단부 전면에 상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설치되고 자판기 본체(15)측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가능한 레이저 조명(17);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판기 본체(15)는 노래방기기의 음악과 주변기기의 작동이 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노래방기기의 음향을 감지하는 콘덴서 마이크(22a),(22b)의 신호를 입력받아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판기 본체(15)는 콘덴서 마이크(22a),(22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음향의 진폭에 따라 주변기기들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판기 본체(15)는 제어가 가능하고 상부에 거치할 수 있는 버블 발생기(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키 조명(16)은 사각 형태의 메인 사이키 조명(16a)과 이것의 양측면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태의 적어도 4개의 서브 사이키 조명(16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명(17)은 자판기 프레임(11)상에 잠금/해제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브라켓(19)과, 상기 제 1브라켓(19)의 선단부에 그 중심이 고정되고 양옆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나란한 2개의 지지부를 갖는 제 2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어 각 브라켓이 갖는 레버(21a),(21b)의 조작을 통해 상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상품 자판기.
KR20-2005-0010317U 2005-04-14 2005-04-14 유희용 상품 자판기 KR200387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17U KR200387890Y1 (ko) 2005-04-14 2005-04-14 유희용 상품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17U KR200387890Y1 (ko) 2005-04-14 2005-04-14 유희용 상품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890Y1 true KR200387890Y1 (ko) 2005-06-28

Family

ID=4368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317U KR200387890Y1 (ko) 2005-04-14 2005-04-14 유희용 상품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8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5214A1 (en) * 2005-06-17 2006-12-21 Yool-Sam G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ligh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5214A1 (en) * 2005-06-17 2006-12-21 Yool-Sam G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ligh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692B2 (ja) 遊技機
JP5124713B2 (ja) 弾球遊技機
KR200387890Y1 (ko) 유희용 상품 자판기
JP2008245969A (ja) パチンコ機等の遊戯機用筐体
JP3162187U (ja) パチンコ機等の遊戯機用筐体におけるアナウンス装置
JP7055437B2 (ja) 遊技機
JP2006341005A (ja) 遊技機
JP5386791B2 (ja) 遊技機
JP5844024B2 (ja) 遊技機
JP2008245971A (ja) パチンコ機等の遊戯機用筐体におけるアナウンス装置
JP2006072948A (ja) 貨幣投入式サービス提供装置
KR200203805Y1 (ko) 댄싱머신
JP2003117214A (ja) 遊技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333859Y1 (ko) 노래방기기와 보너스 게임기가 장착된 자판기
JP5272236B2 (ja) 遊技機
JP4529042B2 (ja) 遊技機
WO2004090822A1 (en) A timing controller for a generator of water drops
JPH05228256A (ja) パチンコ機用椅子
JP4452924B2 (ja) 遊技機
KR200201032Y1 (ko) 댄스 게임기용 자판기
JPH06269543A (ja) 遊技機
JP5360856B2 (ja) 遊技機
JP2001145722A (ja) スロットマシンゲーム機の演出方法と装置
KR20230046660A (ko) 복합형 이벤트 경품기능을 갖는 안전 노래방 부스의 제어방법
KR20050001628A (ko) 노래방기기와 보너스 게임기가 장착된 자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