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098B1 - 조명유닛 - Google Patents

조명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098B1
KR101325098B1 KR1020120086181A KR20120086181A KR101325098B1 KR 101325098 B1 KR101325098 B1 KR 101325098B1 KR 1020120086181 A KR1020120086181 A KR 1020120086181A KR 20120086181 A KR20120086181 A KR 20120086181A KR 101325098 B1 KR101325098 B1 KR 10132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nnector
light
bar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상
Original Assignee
(주)이코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코루미 filed Critical (주)이코루미
Priority to KR102012008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갖는 복수의 조명체와; 상기 조명체들 중 인접하는 조명체들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인접하는 조명체들 간의 간격 조절 및 각 조명체의 자유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배광조절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추가의 광확산 구성을 포함시키지 않고도, 광역 배광이 가능한 조명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광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광 영역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유닛{lighting unit}
본 발명은 조명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광역 배광이 가능하도록 한 조명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5465호(2005.02.21.공개) 등에 개시된 가로등과 같은 실외 조명이나 가옥의 실내 조명은 정해지 광 조사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광의 조사각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광역 배광을 위해서 반사판 등의 광확산 구성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편, 최근 저전력 및 고효율과 우수한 수명 등의 장점으로 인해 실외 및 실내 조명으로 LED 조명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LED 조명 역시, LED 빛의 특성인 직진성으로 인해서 집광에 의한 초점광이 형성되기 때문에, 광역 배광의 어려움이 있다. LED 조명의 경우 광역 배광을 위해서 2차 렌즈 또는 광확산 시트 등의 광확산 구성을 LED 모듈에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의 평면으로 형성된 LED 모듈에 광역 배광을 위해서 광확산 구성을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은 광역 배광 범위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넓은 광역 배광을 위해서는 복수의 2차 렌즈나 광확산 시트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의해, 광역 배광이 가능한 LED 조명의 제작이 복잡해지면서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추가의 광확산 구성을 포함하는 LED 조명은 광확산 구성의 정해진 조사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에 배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의 광확산 구성을 포함시키지 않고도, 광역 배광이 가능한 조명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광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광 영역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유닛에 있어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갖는 복수의 조명체와; 상기 조명체들 중 인접하는 조명체들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인접하는 조명체들 간의 간격 조절 및 각 조명체의 자유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배광조절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광조절 연결수단은 상기 각 조명체의 광 조사 방향에 대한 반경 방향 측 둘레 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측연결부와; 상기 인접하는 조명체들 사이에 개재되며 양 단부 영역이 각각 상기 조명측연결부에 대해 접근과 이격 및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연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동연결부는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양 단부 영역에서 상기 연결바아의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측연결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연결부재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연결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바아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간격조절공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연결부재는 상기 조명측연결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회동연결구와, 상기 회동연결구로부터 상기 조명측연결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바아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간격조절공은 상기 바아연결부 중앙과 상기 회동연결구 중앙을 관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더불어, 상기 간격조절공에 대한 상기 연결바아의 상대 이동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명측연결부에는 내주면이 상기 회동연결구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부분 원호 단면으로 형성된 회동결합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조명측연결부는 상기 조명체에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회동결합링이 수용되는 결합링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와; 상기 회동연결구와 상기 회동결합링을 둘러싸도록 상기 커플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바아연결부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캡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연결구와 상기 커플러캡의 관통공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의 이탈방지링이 개재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의 광확산 구성을 포함시키지 않고도, 광역 배광이 가능한 조명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광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광 영역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유닛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유닛의 배광조절 연결수단 영역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따른 배광조절 연결수단 영역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3의 조명유닛 사용상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조명유닛의 배광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의 다른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의 다양한 배광 영역 조절에 대한 시뮬레이션 이미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1)은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체(10)와, 조명체(10)들을 배광 영역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배광조절 연결수단(20)을 포함한다.
각 조명체(10)는 외관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조명창(12)을 갖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설치되어 조명창(12)을 통해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을 가지고 있다.
조명체(10)의 외관은 상호 결합에 의해 내부에 광원(미도시) 등의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에 형성되는 조명창(12)은 하우징(11)의 일 측을 향해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개구부를 차단하는 투명커버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조명체(10)의 외관은 일 측 개방된 하나의 하우징(11)과, 투명커버를 조명창으로 하여 하우징(11)의 개방 측을 차단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조명창(12) 역시 단일의 조명창으로 마련되거나, 복수의 조명창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원(미도시)은 일반적인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램프형태일 수 있으나, 저전력 및 고휘도 성능이 우수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광원(미도시)의 발광 및 안정적인 전원입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명체(10) 내에는 회로기판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명체(10)의 광원(미도시)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는데, 전원공급선은 복수의 조명체(10)들 중 어느 하나의 조명체(10)의 하우징(11) 일영역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선공급공을 형성하여 전원공급선이 조명체(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후술할 조명측연결부(30) 중 다른 조명체와 연결되지 않는 조명측연결부(30)의 커플러캡(34)에 형성된 관통공을 이용하여 전원공급선이 조명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명체(10) 내부에는 광원(미도시)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단이 조명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미도시)에서 발생하는 빛은 조명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조명창(12)을 통해 외부를 향해 일 방향으로 조사된다.
이때, 광의 조사 방향은 조명유닛(1)이 사용 형태에 따라 하향 또는 상향이나 측방향을 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명유닛(1)이 가로등에 사용된다면, 조명창(12)이 조명체(10)의 하측에 형성되면서 광의 조사방향이 하향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닌은 가로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실외 조명 또는 실내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배광조절 연결수단(20)은 조명체(10)들 중 인접하는 조명체(10)들을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조명체(10)들 간의 간격 조절 및 각 조명체(10)의 자유 회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명체(10)들의 배광 영역을 조절한다.
이 배광조절 연결수단(20)은 각 조명체(10)의 광 조사 방향에 대한 반경 방향 측 둘레 영역에 마련되는 조명측연결부(30)와, 인접하는 조명체(10)들 사이에서 양 단부 영역이 조명측연결부(30)에 대해 접근과 이격 및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연결부(40)를 가지고 있다.
조명측연결부(30)는 각 조명체(10)의 하우징(11) 둘레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조명체(10)의 수와 상호 연결형태에 따라 하우징(11)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거나 하우징(11)의 둘레 일측에 단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의 둘레 영역은 광원(미도시)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조명창(12)의 둘레 영역으로서, 이는 각 조명체(10)의 광 조사 방향에 대한 반경 방향 측 둘레 영역에 해당된다.
이 조명측연결부(30)는 각 조명체(10)에 마련되는 커플러(31)와, 커플러(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캡(34)과, 후술할 유동연결부(40)의 회동연결구(43)가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링(38)으로 구성된다.
커플러(31)는 조명체(10)의 하우징(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조명체(10)의 하우징(11)에 일체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 커플러(31)의 내측에는 후술할 회동결합링(38)이 수용 결합되는 결합링안착홈(32)과, 유동연결부(40)의 회동연결구(43) 단부 영역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호홈(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플러(31)의 외주면에는 커플러캡(34)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나사부 등의 캡결합구조(33)가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31)의 결합링안착홈(32)에 결합되는 회동결합링(38)은 내주면이 후술할 유동연결부(40)의 회동연결구(43) 외주면에 대응하는 부분 원호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 회동결합링(38)의 외주면에 후술할 회동연결구(43)가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커플러캡(34)은 커플러(31)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커플러(31)의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등의 커플러결합구조(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다른 조명체(10)를 향하는 일측면 중앙부에 후술할 연결바아(41)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커플러캡(34)의 외주면에는 커플러캡(34)을 커플러(31)에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패턴(3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러캡(34)과 커플러(31)의 상호 착탈 가능한 결합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나사 암나사 등의 결합구조가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억지끼워맞춤 형태의 결합구조나 후크나 후크홈 등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형태의 커플러(31)와 커플러캡(34)은 상호 결합에 의해 회동결합링(38)과 후술할 유동연결부(40)의 회동연결구(43)와 이탈방지링(47)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유동연결부(40)는 소정 길이의 연결바아(41)와, 연결바아(41)의 양 단부 영역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조명측연결부(3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연결부재(42)를 갖는다.
연결바아(41)와 유동연결부재(42)의 상대 이동은 후술할 유동연결부재(42)의 바아연결부(44) 중앙부에 형성되는 간격조절공(45)에 연결바아(41)의 양 단부 영역이 삽입되는 형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바아(41)와 회동연결구(43)의 간격조절공(45) 간의 치수공차는 연결바아(41)나 회동연결구(43)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질 때 상호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치수공차인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바아(41)와 회동연결구(43)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50)는 유동연결부재(42)의 바아연결부(44) 외측면으로부터 간격조절공 내부로 관통된 나사공(52)과, 이 나사공(52)에 체결되는 고정나사(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나사(51)의 체결에 따라 고정나사(51)의 말단부가 유동연결부재(42)의 간격조절공 내부에 삽입된 연결바아(41)를 가압 접촉 또는 이격되므로, 연결바아(41)의 길이 조절에 의한 인접하는 조명체(10)들 간의 간격 조절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고정부(50)는 전술한 나사공(52) 및 고정나사(51) 외에도 돌기나 홈 등의 구조에 의한 고정 및 고정 해제 구조를 구성하거나, 커플러캡(34)의 체결력에 따라 유동연결부재(42)의 바아연결부(44)의 내주 측이 연결바아(41)의 외주 측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형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유동연결부재(42)는 연결바아(41)의 삽입 위치를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영역의 바아연결부(44)와, 조명측연결부(3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연결구(43)를 가지며, 그 중앙에 바아연결부(44)로부터 회동연결구(43)의 축선 방향으로 관통된 간결조절공(45)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아연결부(44)에는 전술한 바와 고정부(50)로서 나사공(52)과 고정나사(5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바아연결부(44)는 조명측연결부(30)의 커플러캡(34) 관통공(36)을 통해 일측 단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고정부(50) 역시 외부로 노출된다.
회동연결구(43)는 전술한 조명측연결부(30)의 회동결합링(38)의 내주면에 자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회동연결구(43)와 회동결합링(38) 내주면 간의 치수공차 역시, 회동연결구(43)와 조명체(1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질 때 상호 상대 회동 할 수 있는 정도의 치수공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연결구(43)는 그 외주면 중 최대 외경 부분이 회동결합링(38) 내주면의 최대 내경부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회동연결구(43)와 회동결합링(38)의 내주면 구조상 상호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회동연결구(43)와 커플러캡(34)의 관통공(36) 사이에는 관통공(36)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의 이탈방지링(47)이 회동연결구(43)의 일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개재된다. 이에 의해, 회동연결구(43)가 조명측연결부(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이탈방지링(47)은 커플러캡(34)의 관통공(36) 직경을 연결부 외경에 비해 작게 할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1)은 일예로 도 1 및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복수의 조명체(10)가 배광조절 연결수단(2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체(10)들이 인접한 상태 또는 이격된 상태와 회동된 상태 등 다양한 배광조절 상태에서 광원(미도시)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도 6과 같이, 특정 바닥에 화살표 a 또는 b방향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조사되어 다양한 형태의 배광 영역(A)이 형성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체(10)들이 상호 이접된 상태에서는 도 7에 간략히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광 영역(A)이 협소하게 형성된다.
한편, 인접하는 조명체(10)들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외력을 가하면, 도 4와 같이, 연결바아(41)와 회동연결구(43)의 축선 방향 상대 이동에 의해 인접하는 조명체(10)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닛(1)의 배광 영역(A)은 도 7과 같은 배광영역에 비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명체(10)를 연결바아(41)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측으로 회동시켜서 배광 영역을 폭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하는 조명체(10)들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광 영역(A)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물론, 도 6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체(10)들은 연결바아(41)의 축선에 대해 상하 각도 조절 가능하게 회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광원(미도시)에서 조사되는 빛은 화살표 b 방향으로 발산되면서 도 8과 같이, 배광 영역(A)이 길이방향으로 증가된다.
또한, 조명체(10)들 간의 간격을 이격시키면서 인접하는 조명체(10)들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적절한 각도로 회동시키면, 즉, 도 5와 도 6의 가상선과 같은 형태를 모두 취하게 되면, 도 10과 같이, 배광 영역(A)이 길고 넓게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1)은 도 11과 같이, 복수의 조명체(10)들이 사각 형태로 연결 배치되거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각형태로 배치되어 배광 영역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1)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배광 영역 조절 외에도 조명체(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또는 선택된 복수의 조명체(10)를 회동각이나 인접한 조명체(10)와 이격시키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배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도 12a 내지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유닛(1)의 다양한 배광 영역 조절에 대한 시뮬레이션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의 광확산 구성을 포함시키지 않고도, 광역 배광이 가능한 조명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광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광 영역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유닛이 제공된다.
10 : 조명체 20 : 배광조절 연결수단
30 : 조명측연결부 31 : 커플러
34 : 커플러캡 38 : 회동결합링
40 : 유동연결부 41 : 연결바아
43 : 회동연결구 47 : 이탈방지링

Claims (10)

  1. 조명유닛에 있어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갖는 복수의 조명체와;
    상기 조명체들 중 인접하는 조명체들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인접하는 조명체들 간의 간격 조절 및 각 조명체의 자유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배광조절 연결수단을 포함하됨;
    상기 배광조절 연결수단은
    상기 각 조명체의 광 조사 방향에 대한 반경 방향 측 둘레 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측연결부와;
    상기 인접하는 조명체들 사이에 개재되며 양 단부 영역이 각각 상기 조명측연결부에 대해 접근과 이격 및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연결부는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양 단부 영역에서 상기 연결바아의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측연결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연결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연결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바아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간격조절공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연결부재는
    상기 조명측연결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회동연결구와,
    상기 회동연결구로부터 상기 조명측연결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바아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간격조절공은 상기 바아연결부 중앙과 상기 회동연결구 중앙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공에 대한 상기 연결바아의 상대 이동을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측연결부에는 내주면이 상기 회동연결구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부분 원호 단면으로 형성된 회동결합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측연결부는
    상기 조명체에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회동결합링이 수용되는 결합링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와;
    상기 회동연결구와 상기 회동결합링을 둘러싸도록 상기 커플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바아연결부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구와 상기 커플러캡의 관통공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의 이탈방지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KR1020120086181A 2012-08-07 2012-08-07 조명유닛 KR10132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81A KR101325098B1 (ko) 2012-08-07 2012-08-07 조명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81A KR101325098B1 (ko) 2012-08-07 2012-08-07 조명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098B1 true KR101325098B1 (ko) 2013-11-06

Family

ID=4985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181A KR101325098B1 (ko) 2012-08-07 2012-08-07 조명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0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46B1 (ko) * 2019-01-10 2019-11-06 심용철 에디슨 소켓용 조사각도설정 기능을 갖는 판상 led 램프 기구
KR20210098739A (ko) * 2020-02-03 2021-08-11 주식회사 네모엘텍 탄소동소체가 코팅된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광구조를 갖는 방폭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53B1 (ko) * 2005-02-12 2007-04-10 (주)강산조명 조사 방향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KR101007903B1 (ko) 2009-05-15 2011-01-14 (주)대영오앤이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KR20110058946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광기술원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53B1 (ko) * 2005-02-12 2007-04-10 (주)강산조명 조사 방향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KR101007903B1 (ko) 2009-05-15 2011-01-14 (주)대영오앤이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KR20110058946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광기술원 가변 블록형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46B1 (ko) * 2019-01-10 2019-11-06 심용철 에디슨 소켓용 조사각도설정 기능을 갖는 판상 led 램프 기구
KR20210098739A (ko) * 2020-02-03 2021-08-11 주식회사 네모엘텍 탄소동소체가 코팅된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광구조를 갖는 방폭등
KR102363675B1 (ko) * 2020-02-03 2022-02-16 주식회사 네모엘텍 탄소동소체가 코팅된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광구조를 갖는 방폭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5462B2 (en) Circular LED optic and heat sink module
US8905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A2570789A1 (en) Lighting fixture with smooth adjustable beam width
KR100856725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
CA2247233A1 (en) Triple tube scoop lighting fixture
WO2016015503A1 (zh) 一种led灯具单元体及组合式led灯具
KR20170000589A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US20130278132A1 (en) Led bulbs with adjustable light emitting direction
US20160186962A1 (en) Shabbat Bulb
KR101325098B1 (ko) 조명유닛
CA2986397C (en) Shabbat bulb with gear controlled blackout mechanism
US10054290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light distribution
CN203907415U (zh) 具有远近灯的车头灯结构
US20150109813A1 (en) Light with Asymmetric Distribution Pattern
US7682046B2 (en) Light fixture with lamp adjustment assembly
KR20170074515A (ko) 반사갓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JP2004186104A (ja) 照明器具
JP3179165U (ja) 発光ダイオード電球
CN105953085A (zh) Led照明灯
CN220471510U (zh) 一种模组化led投光灯
JP5005526B2 (ja) 壁面照明器具
KR101729114B1 (ko) 다운 라이트 조명 시스템
KR101368973B1 (ko) 엘이디 조명등
CA2910093C (en) Movable barrier operator light distribution
JP2012099233A (ja) 直管型led式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